KR101695378B1 -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378B1
KR101695378B1 KR1020150038771A KR20150038771A KR101695378B1 KR 101695378 B1 KR101695378 B1 KR 101695378B1 KR 1020150038771 A KR1020150038771 A KR 1020150038771A KR 20150038771 A KR20150038771 A KR 20150038771A KR 101695378 B1 KR101695378 B1 KR 10169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unit module
lower frame
coupled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656A (ko
Inventor
김일수
지장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3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37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2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모듈은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 및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Unit Module, Modula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고를 줄일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공법은 내후성강을 소재로 기본틀을 80%이상 사전 제작해 현장에서 설치하는 선진화된 건축공법이다.
컨테이너 형태의 철골 구조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해 상자를 쌓듯이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이 공법은 건축물의 품질 확보와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쉽게 이동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어 종전 건설공법에 비해 공사품질,경제성,환경친화성 면에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모듈러 공법의 가장 큰 강점은 공사기간과 경제성이다. 공사기간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고 공사비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에서 탁월하다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작업을 줄여 폐기물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고 현장의 소음과 먼지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유닛 모듈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은 동일한 크기와 규격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는 자재의 규격화를 유도함으로써 자재의 수급을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부프레임의 경우, 바닥판을 지지하는 동시에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나, 상부프레임의 경우, 하중을 지탱하기보다는 유닛 모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 및 유닛 모듈을 양중할 때 유닛 모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할 뿐이다.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의 과설계로 인해 모듈러 공법에서 자재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닛 모듈을 적층하여 건물을 지을 때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상부 유닛 모듈의 하부보가 서로 중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중첩보에 의해 모듈러 공법에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중첩보의 발생은 층고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제한된 용적율에서 유닛 모듈을 통한 고층 건물을 구현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54386호(2012. 06. 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고를 낮추어 고층화를 실현할 수 있는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설계로 인한 자재비 및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는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닛 모듈은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시멘트 몰탈과, 상기 시멘트 몰탈의 상부에 적층되는 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강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철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각형강관, ㄷ형강 또는 H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상부 스티프너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는 하부 스티프너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의 최하단은 상기 바닥판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기둥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기둥 최상단의 단차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 최하단의 단차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은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를 구비하는 유닛 모듈을 서로 적층하여 건축물을 형성하되, 상기 기둥의 최하단은 상기 바닥판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기둥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 지지대가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기둥 사이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적층되는 상기 유닛 모듈에서 상기 기둥의 최상단에 밸런스 빔이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킨 후 적층되는 상기 유닛 모듈을 기중기로 양중시켜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에 적층시킨 후 상기 밸런스 빔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은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 및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를 구비하는 유닛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에 밸런스 빔이 일체화되도록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밸런스 빔이 일체화된 상기 유닛 모듈을 양중하여 하부에 설치된 상기 유닛 모듈 위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밸런스 빔을 상기 기둥 단부에 직접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둥의 최하단은 상기 바닥판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기둥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유닛 모듈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없애는 대신 크기 및 두께가 얇은 상부 지지대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의 과설계로 인한 자재비용 및 인건비 상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화된 유닛 모듈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제작함으로써 건축물을 짓는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닛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유닛 모듈이 다른 유닛 모듈에 적층되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순서도에 따른 작업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닛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10)은 바닥판(110)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100)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200); 및 기둥(200)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지지대(300)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100)은 유닛 모듈(1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며, 유닛 모듈(10)의 전체적인 하중을 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00)은 강성을 가지는 각형강관, ㄷ형강 또는 H빔 등의 철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하부 프레임(100)이 'ㅁ'자 형상을 가지는 강관(101)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하부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판(110)은 유닛 모듈(10)이 형성하는 실내공간의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바닥판(110)은 공장에서 미리 하부 프레임(100)과 일체화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닥판(110)은 하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111)와, 데크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112)와, 콘크리트 슬래브(112)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재(113)와, 완충재(113)의 상부에 적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114)와, 경량기포 콘크리트(114)의 상부에 적층되는 시멘트 몰탈(115)과, 시멘트 몰탈(115)의 상부에 적층되는 장판(116)을 구비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111)가 하부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112)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12)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에서는 하부 프레임(100)이 사각 강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는데, 하부 프레임(100)이 사각 강관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데크 플레이트(111)를 하부 프레임(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데크 플레이트 고정철물(120)이 사용될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 고정철물(120)은 'ㄴ'자 형상을 가져 일측면은 하부 프레임(1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데크 플레이트(111)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래브(112)의 상부에는 완충재(113)가 적층된다. 완충재(113)는 건축물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완충재(113)의 상부에 적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114)는 단열성능 및 완충성능이 뛰어나다. 경량기포 콘크리트(114)의 상부에는 시멘트 몰탈(115)이 적층된다. 시멘트 몰탈(115)은 온수 파이프(미도시)가 매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멘트 몰탈(115)의 상부에 장판(116)이 적층되어 바닥판(110)을 완성하게 된다. 물론 장판(116) 대신에 강화 마루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 프레임(100)의 모서리에는 하부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200)이 결합된다. 기둥(200)은 하나의 유닛 모듈(10)의 하중을 아래쪽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각형강관, ㄷ형강 또는 H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기둥(200)의 상단은 상부 지지대(3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부 지지대(300)는 종래 유닛 모듈에서 사용되는 상부 프레임과는 달리 최소한의 두께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종래 유닛 모듈에 사용되는 상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동일한 두께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상부 유닛 모듈의 하부보가 서로 중첩되는 현상을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층고 상승 및 비용 증가라는 문제점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부 지지대(300)는 기둥(200)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310) 및 스터드(3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320)을 구비한다.
스터드(310)는 기존 상부 프레임의 사용되는 형강에 비해 두께가 훨씬 얇은 채널(channe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벽(130) 또는 창(140)이 하부 프레임(100)과 상부 지지대(300) 사이에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둥(200)은 각형강관, ㄷ형강 또는 H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200)은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결합되는 플랜지(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둥(200)의 상단에는 상부 스티프너(230)가 구비되고, 기둥(200)의 하단에는 하부 스티프너(2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기둥(200)의 상단 및 하단에 스티프너(230,240)가 구비됨으로써 기둥(200)의 강도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둥(200)의 최하단은 바닥판(110)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부 지지대(300)의 최상단은 기둥(200)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대(300)와 기둥(200) 최상단의 단차는 바닥판(110)과 기둥(200) 최하단의 단차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유닛 모듈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의 단면도이며,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은 하부 프레임(100)이 'ㄷ'자 형상의 형강(102)이 사용된 것을 보였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00)에 'ㄷ'자 형상의 형강(102)이 사용될 경우, 데크 플레이트(111)를 'ㄷ'자 형상의 형강(102)의 하부 플랜지(102a)에 결합할 수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10)에서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111)를 결합하기 위한 데크 플레이트 고정철물(120)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유닛 모듈이 다른 유닛 모듈에 적층되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유닛 모듈(10)이 서로 결합되어 건축된 모듈러 건축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은 바닥판(110)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00)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200)과, 기둥(200)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310) 및 스터드(3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320)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300)를 구비하는 유닛 모듈(10)을 서로 적층하여 건축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술하였듯이, 기둥(200)의 최하단은 바닥판(100)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부 지지대(300)의 최상단은 기둥(200)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부 지지대(300)와 기둥(200) 최상단의 단차는 바닥판(110)과 기둥(200) 최하단의 단차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의 상부 지지대(300)가 상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의 기둥(200)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이 하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대(300)의 일부가 상부 유닛 모듈(10)의 기둥 사이(200)에 삽입되며 결합되기 때문에 중첩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층고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유닛 모듈(10)의 상부 스티프너(230)와 상부 유닛 모듈(10)의 하부 스티프너(240)를 서로 볼트 결합함으로써 상부 유닛 모듈(10)과 하부 유닛 모듈(1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부 프레임(100)과 기둥(200)이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시 'ㄷ'자 형상의 내부가 특정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ㄷ'자 형상의 하부 프레임(100)과 기둥(200)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다양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유닛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순서도에 따른 작업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 제조방법은 바닥판(110)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00)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200)과, 기둥(200)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310) 및 스터드(3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320)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300)를 구비하는 유닛 모듈(10)을 제작하는 단계(S110)와, 유닛 모듈(10)의 상부에 밸런스 빔(20)이 일체화되도록 결합하는 단계(S120)와, 밸런스 빔(20)이 일체화된 유닛 모듈(10)을 양중하여 하부에 설치된 유닛 모듈(10) 위로 적층하는 단계(S130)와, 밸런스 빔(20)을 기둥(200) 단부에 직접 체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유닛 모듈(10)을 제작하는 단계(S110)에서 기둥(200)의 최하단은 바닥판(110)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지지대(300)의 최상단은 기둥(200)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이 하부에 설치되는 유닛 모듈(10)에 쉽게 안착될 수 있으며, 중첩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층고를 낮출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10)은 종래의 유닛 모듈과는 달리 하부 프레임(100)과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상부 프레임을 없애는 대신 크기 및 두께가 얇은 상부 지지대(300)를 사용하였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유닛 모듈(10)을 양중할 때 상부 지지대(300)에 로프를 연결하여 양중을 하게 되면 상부 지지대(3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대(3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닛 모듈(10)을 양중하기에 앞서 유닛 모듈(10)의 상부에 밸런스 빔(20: balance beam)이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밸런스 빔(20)을 유닛 모듈(10)의 기둥(200)의 최상단에 구비된 상부 스티프너(230)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닛 모듈(10)을 양중하기에 앞서 밸런스 빔(20)을 일체화시킨 후 유닛 모듈(10)을 양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유닛 모듈(10)의 상부 지지대(3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닛 모듈(10)의 균형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다.
밸런스 빔(20)이 일체화된 유닛 모듈(10)을 양중하여 하부에 설치된 유닛 모듈(10) 위로 적층한 후에, 밸런스 빔(20)을 기둥(200) 단부에 직접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유닛 모듈(10)을 반복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건축물의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층고를 낮출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유닛 모듈 100: 하부 프레임
110: 바닥판 200: 기둥
230: 상부 스티프너 240: 하부 스티프너
300: 상부 지지대

Claims (9)

  1.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시멘트 몰탈과,
    상기 시멘트 몰탈의 상부에 적층되는 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ㅁ'자 형상을 가지는 강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에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ㄴ'자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은 상기 강관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데크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철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각형강관, ㄷ형강 또는 H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상부 스티프너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는 하부 스티프너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의 최하단은 상기 바닥판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기둥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기둥 최상단의 단차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기둥 최하단의 단차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모듈.
  6. 바닥판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과 결합되어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스터드 및 스터드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러너를 구비하는 상부 지지대를 구비하는 유닛 모듈을 서로 적층하여 건축물을 형성하되,
    상기 기둥의 최하단은 상기 바닥판의 최하단보다 낮아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의 최상단은 상기 기둥의 최상단보다 높아 단차지게 형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 지지대가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기둥 사이에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적층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유닛 모듈을 양중할 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의 단부에 밸런스 빔이 체결되고,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에 체결된 상기 밸런스 빔을 기중기로 양중시켜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닛 모듈의 상부에 적층시킨 후 상기 밸런스 빔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38771A 2015-03-20 2015-03-20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KR10169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71A KR101695378B1 (ko) 2015-03-20 2015-03-20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771A KR101695378B1 (ko) 2015-03-20 2015-03-20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56A KR20160112656A (ko) 2016-09-28
KR101695378B1 true KR101695378B1 (ko) 2017-01-11

Family

ID=5710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771A KR101695378B1 (ko) 2015-03-20 2015-03-20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052B1 (ko) * 2017-06-14 2019-11-11 한림기업(유) 보 브라켓 및 패널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99B1 (ko) * 2010-12-03 2011-04-29 (주)이에스연구소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222550B1 (ko) * 2011-12-30 2013-0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KR101425942B1 (ko) * 2013-02-04 2014-08-04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97B1 (ko) * 2004-12-23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모듈러 건축물의 보와 기둥 접합 구조
KR101154386B1 (ko) 2011-12-30 2012-06-15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모듈유닛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99B1 (ko) * 2010-12-03 2011-04-29 (주)이에스연구소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222550B1 (ko) * 2011-12-30 2013-0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KR101425942B1 (ko) * 2013-02-04 2014-08-04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56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656039B1 (ko) 내화구조의 바닥 슬라브를 갖는 건축용 컨테이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KR10119417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02018A (ja) 建物ユニットと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101844344B1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JP2020037775A (ja) ノンブレース鉄骨造建物その構築方法および柱脚ユニット
JP200924990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梁部材及び積層梁
JP200622605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1372300B1 (ko) 증축용 유닛 모듈러 구조체
KR101695378B1 (ko)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KR10140750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1294909B1 (ko)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1050167B1 (ko)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WO2007131115A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KR101862567B1 (ko) 조립형 매트기초 표준 하우스시스템
JP500189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5207078B2 (ja) 制震間柱の施工方法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648154B2 (ja) 建築物の増築方法及び増築建築物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39256B1 (ko)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JP2001115559A (ja) コンテナハウス用コンテナ及びコンテナハウス
KR101139762B1 (ko) 건축물용 보강 벽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