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42B1 -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 Google Patents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942B1
KR101425942B1 KR1020130012586A KR20130012586A KR101425942B1 KR 101425942 B1 KR101425942 B1 KR 101425942B1 KR 1020130012586 A KR1020130012586 A KR 1020130012586A KR 20130012586 A KR20130012586 A KR 20130012586A KR 101425942 B1 KR101425942 B1 KR 10142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lange
unit module
plat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훈
정찬우
지장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1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건축물은,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그리고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된다.

Description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MODULAR STRUCTURE FOR LOWERING STORY-HEIGHT}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기둥에 고정된 상부보와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직접 체결하여 층고를 저감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Framing)은 공장에서 제작/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유닛 부품군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건설하는 방법으로서, 유닛 부품에 들어가는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택의 7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은 상자형으로서 공간 유닛 모듈을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 주택을 구성하므로 단독주택, 집합주택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유닛 모듈을 이용하여 건축물(1)을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1154386호 2012.06.15.
본 발명의 목적은 층고를 저감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기둥 및 상부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건축물은,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그리고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된다.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기둥의 외벽과 접하는 상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웨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1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기둥의 내벽과 접하는 상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웨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웨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 웨브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를 지지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웨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웨브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판을 구비하는 지지 앵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수평판 및 상기 상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수평판 및 상기 하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부수직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보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너트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둥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에 의해 지지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판에 의해 고정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수평판 및 상기 상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수직판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기둥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에 의해 지지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판에 의해 고정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웨브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면웨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유닛 모듈의 상기 측면웨브는 상기 상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상부 유닛 모듈의 측면웨브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러 건축물의 층고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기둥 및 상부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층고 저감을 통해 자재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층 구현에 유리하다.
도 1은 유닛 모듈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를 지지판을 통해 고정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부 유닛 모듈의 하부보를 측면보를 통해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러 건축물은 상부 유닛 모듈(10)을 하부 유닛 모듈(80)의 상부에 적층하여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 모듈(10)은 바닥판(30)과 기둥(20), 그리고 바닥판(30)과 기둥(20)을 지지하는 하부보(40)를 포함하며, 하부 유닛 모듈(80)은 천정판(70)과 기둥(60), 그리고 기둥(60)에 연결된 상부보(50)를 포함한다.
종래의 유닛 모듈은 하부보와 상부보가 동일한 크기와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재의 규격화를 유도함으로써 자재의 수급을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부보의 경우, 바닥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나, 상부보의 경우, 하중을 지탱하기보다는 유닛 모듈의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부보의 과설계로 인해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유닛 모듈은 상부 유닛 모듈의 하부보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가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특히, 중첩보의 발생은 층고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유닛 모듈을 통해 고층 건물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보(40)는 바닥판(30) 및 상부기둥(20)을 지지하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41,43)와 하부 웨브(44)를 구비한다. 제1 하부플랜지(41)는 상부기둥을 지지하며, 제2 하부플랜지(43)는 후술하는 상부웨브(54)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부 웨브(44)는 상부 플랜지(52)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41,43)를 서로 연결한다. 하부보(40)는 후술하는 상부보(50)의 상부웨브(54) 상에 안착되며, 상부플랜지(52)는 하부보(4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바닥판(30)은 콘크리트 슬라브(32), 완충재(34), 경량기포콘크리트(36), 그리고 비닐장판(3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32)는 제1 하부플랜지(41)와 제2 하부플랜지(43) 사이에 타설될 수 있다. 너트는 콘크리트 슬라브(32) 내에 매립되며, 볼트는 상부웨브(54)와 제2 하부플랜지(43)를 관통한 후 너트와 체결되어 하부보(50)와 상부보(4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라브(32)가 건식인 경우, 보링 후 너트를 위치시키고 케미컬을 주입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부보(50)는 상부플랜지(52) 및 상부웨브(54)를 구비한다. 상부플랜지(52)는 하부기둥(60)의 외벽과 접하며, 상부웨브(54)는 상부플랜지(52)의 내측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제2 하부플랜지(43)와 하부기둥(60)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웨브(54)는 하부기둥(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기둥(60)을 통해 보강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천정판(70)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스터드(72)를 통해 고정되며, 스터드(72)는 하부기둥(60)에 고정된 벽체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보(40)는 바닥판(30) 및 상부기둥(20)을 지지하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41,43)와 하부 웨브(44)를 구비한다. 제1 하부플랜지(41)는 상부기둥(20)을 지지하며, 제2 하부플랜지(43)는 상부웨브(54)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부 웨브(44)는 상부 플랜지(52)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41,43)를 서로 연결한다. 하부보(40)는 상부보(50)의 상부웨브(54) 상에 안착되며, 상부플랜지(52)는 하부보(4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콘크리트 슬라브(32)는 하부 웨브(44)의 내측에 타설될 수 있다. 너트는 제2 하부플랜지(43)의 상부에 고정되며, 볼트는 상부웨브(54)와 제2 하부플랜지(43)를 관통한 후 너트와 체결되어 하부보(50)와 상부보(40)를 체결할 수 있다.
상부보(50)는 상부플랜지(52) 및 상부웨브(54)를 구비한다. 상부플랜지(52)는 하부기둥(60)의 내벽과 접하며, 상부웨브(54)는 상부플랜지(52)의 내측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제2 하부플랜지(43)와 하부기둥(60)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웨브(54)는 하부기둥(6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기둥(60)을 통해 보강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천정판(70)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스터드(72)를 통해 고정되며, 스터드(72)는 하부기둥(60)에 고정된 벽체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앵글(74)은 'ㄱ'자 형상이며, 수평부와 수직부를 구비한다. 수평부는 상부플랜지(52)의 상단에 위치하여 콘크리트 슬라브(32)를 지지하며, 수직부는 수평부에 연결되어 상부플랜지(52)와 하부웨브(44) 사이에 삽입되고 상부웨브(54)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보(40)는 바닥판(30) 및 상부기둥(20)을 지지하며, 하부수평판(44) 및 하부수직판(42)을 구비한다. 하부수평판(44)은 상부수평판(54)의 상부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슬라브(32) 및 상부기둥(20)을 지지하며, 하부수직판(42)은 하부수평판(44)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슬라브(32)와 상부수직판(52)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보(40)는 후술하는 상부보(50)의 상부수평판(54) 상에 안착되며, 상부수직판(52)은 하부보(4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콘크리트 슬라브(32)는 하부보(40) 내측에 타설될 수 있다. 너트는 콘크리트 슬라브(32) 내에 매립되며, 볼트는 상부수평판(54)과 하부수평판(44)을 관통한 후 너트와 체결되어 하부보(50)와 상부보(4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라브(32)가 건식인 경우, 보링 후 너트를 위치시키고 케미컬을 주입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부보(50)는 상부수직판(52) 및 상부수평판(54)을 구비한다. 상부수직판(52)은 하부수직판(42)의 외측에 접하며, 상부수평판(54)은 상부수직판(52)에 연결되어 하부수평판(54)과 콘크리트 슬라브(32) 사이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볼트는 상부수직판(52)과 하부수직판(42)을 관통한 후 너트와 체결되어 하부보(50)와 상부보(4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러 건축물은 유닛 모듈이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되어 하나의 건축물을 구성하며, 이하에서는 유닛 모듈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은 도 4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부수직판(52)은 하부기둥(6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보(40)는 상부수직판(52)의 내측에 안착된다. 상부기둥(20)은 외측프레임(22)과 내측프레임(24)을 구비하며, 외측프레임(22)은 콘크리트 슬라브(32)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측프레임(24)은 외측프레임(22)의 내측에 연결되어 하부보(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외측프레임(22)의 외측면은 하부기둥(6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유닛 모듈은 외측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며, 유닛 모듈은 인접한 타 인접 모듈과 면 대 면으로 맞닿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를 지지판을 통해 고정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닛 모듈은 인접한 유닛 모듈과 면 대 면으로 맞닿으며,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 모듈(80)의 상부보(50)는 타 하부 유닛 모듈(80')의 상부보(50')와 서로 맞닿으며, 지지판(90)을 통해 상부보(50)와 상부보(50')는 고정연결될 수 있다. 체결구는 지지판(90)과 상부보(50,50')를 체결하며, 이를 통해 하부 유닛 모듈(80)과 하부 유닛 모듈(8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은 도 2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상부보(50)는 도 6에 도시한 상부보(5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부수직판(52)은 하부기둥(6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보(40)는 상부수직판(52)의 내측에 안착된다. 상부기둥(20)은 외측프레임(22)과 내측프레임(24)을 구비하며, 외측프레임(22)은 콘크리트 슬라브(32)의 외측에 배치되며, 내측프레임(24)은 외측프레임(22)의 내측에 연결되어 하부보(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외측프레임(22)의 외측면은 하부기둥(6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유닛 모듈은 외측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며, 유닛 모듈은 인접한 타 인접 모듈과 면 대 면으로 맞닿게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 모듈(80)의 상부보(50)는 타 하부 유닛 모듈(80')의 상부보(50')와 서로 맞닿으며, 지지판(90)을 통해 상부보(50)와 상부보(50')는 고정연결될 수 있다. 체결구는 지지판(90)과 상부보(50,50')를 체결하며, 이를 통해 하부 유닛 모듈(80)과 하부 유닛 모듈(8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부 유닛 모듈의 하부보를 측면보를 통해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부보(40)는 측면 웨브(45)를 구비하며, 측면 웨브(45)는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41,43)와 하부웨브(44)의 양단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부 유닛 모듈(10)의 측면 웨브(45)는 인접한 상부 유닛 모듈(10')의 측면 웨브(45')와 서로 맞닿으며, 체결구를 통해 측면 웨브(45)와 측면 웨브(45')를 체결하여 상부 유닛 모듈(10)과 상부 유닛 모듈(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모듈러 건축물 10 : 상부 유닛 모듈
20 : 상부기둥 30 : 바닥판
32 : 콘크리트 슬라브 40 ; 하부보
41,43 : 하부플랜지 42 : 하부수직판
50 : 상부보 60 : 하부기둥
70 : 천정판 72 : 스터드
80 : 하부 유닛 모듈

Claims (11)

  1. 삭제
  2.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및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기둥의 외벽과 접하는 상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웨브를 구비하는, 모듈러 건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웨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1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하는, 모듈러 건축물.
  4.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및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기둥의 내벽과 접하는 상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웨브를 구비하는, 모듈러 건축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웨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 웨브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하는, 모듈러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를 지지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웨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웨브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판을 구비하는 지지 앵글을 더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7.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및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수평판 및 상기 상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수평판 및 상기 하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부수직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하부보의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비하는, 모듈러 건축물.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너트가 매립되는, 모듈러 건축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둥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에 의해 지지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판에 의해 고정연결되는, 모듈러 건축물.
  10. 천정판 및 하부기둥,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보를 구비하는 하부 유닛 모듈; 및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 및 상부기둥,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하부보를 구비하는 상부 유닛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 및 상기 하부보는 체결구를 통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보와 상기 하부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수평판 및 상기 상부수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는 상기 상부기둥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수직판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하부플랜지 및 상기 제2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하부 웨브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기둥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프레임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보에 의해 지지되는 내측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면 및 상기 외측프레임의 외측면은 상기 하부기둥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유닛 모듈의 상기 상부보는 상기 하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하부 유닛 모듈의 상부보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지지판에 의해 고정연결되는, 모듈러 건축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웨브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면웨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유닛 모듈의 상기 측면웨브는 상기 상부 유닛 모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타 상부 유닛 모듈의 측면웨브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는, 모듈러 건축물.
KR1020130012586A 2013-02-04 2013-02-04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KR10142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586A KR101425942B1 (ko) 2013-02-04 2013-02-04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586A KR101425942B1 (ko) 2013-02-04 2013-02-04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942B1 true KR101425942B1 (ko) 2014-08-04

Family

ID=5174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586A KR101425942B1 (ko) 2013-02-04 2013-02-04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56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50B1 (ko) 2011-12-30 2013-0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50B1 (ko) 2011-12-30 2013-0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56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KR101695378B1 (ko) * 2015-03-20 2017-01-11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유닛 모듈, 모듈러 건축물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070B1 (ko) 대공간형 모듈러 건축물
US8499504B1 (en)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KR101425942B1 (ko)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US10458113B2 (en) Building assembly structure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JP7071802B2 (ja) 耐震シェルター設置構造の調整方法
US20200011053A1 (en) Ground beam for a modular constructed building and a building incorporating same
JP2013204283A (ja) 建物の張出構造
KR101980665B1 (ko)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671548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554227B1 (ko) 블록형 주택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결합 구조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건축방법
JP2018115491A (ja) 建物構造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KR101980664B1 (ko) 샌드위치판넬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JP2012202051A (ja) 混構造式建物および混構造式建物の施工方法
JP6715514B2 (ja) 建物ユニット
JP6697763B2 (ja) 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7054320B2 (ja) 建物
JP6671035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8695A (ja) ユニット式建物
JP6817601B2 (ja) 建物ユニットの施工方法及び吊り部材
JP6556985B2 (ja) 外壁構造
JP2016079630A (ja) 建物
JP5827093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