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044B1 -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044B1
KR101153044B1 KR1020090064497A KR20090064497A KR101153044B1 KR 101153044 B1 KR101153044 B1 KR 101153044B1 KR 1020090064497 A KR1020090064497 A KR 1020090064497A KR 20090064497 A KR20090064497 A KR 20090064497A KR 101153044 B1 KR101153044 B1 KR 10115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waterway
concrete
water pipe
waterwa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82A (ko
Inventor
박병옥
Original Assignee
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옥 filed Critical 박병옥
Priority to KR102009006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0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형의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연결단부에 끼움 결합부가 형성되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되어 있는 콘크리트 수로관에서 곡선형으로 연결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양측 연결단부 사이에 곡선형을 이루는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되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수로관본체의 성형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를 상호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각도로 수로관본체를 양측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구획하는 형태로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칸막이부재 내부에 위치한 결합틈새 및 하부 결합틈새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을 성형 단계와, 상기 성형 된 곡면수로관을 양생한 다음 칸막이부재를 탈형하는 단계를 거쳐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수로관본체, 곡면수로관, 칸막이부재, 결합틈새

Description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waterway }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형의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되어 있는 콘크리트 수로관에서 곡선형으로 연결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수로관은 상향개구된 형태 또는 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크기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수로관의 폭이 대략 3~4m 이상의 수로를 이루는 대형의 콘크리트 수로관을 일직선상으로 연결설치할 때는 연결단부의 결합부를 통해 상호 끼움결합하는 수단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 수로관을 이용하여 곡선형을 설치하기 위해 직선상의 수 로관 양측 연결단부를 각을 이루는 형태로 틀어지게 배치하는 경우에 폭이 넓은 수로관에서는 그 결합틈새가 방사상으로 크게 벌어진 상태이므로 그 결합틈새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결합틈새에 곡면으로 성형 된 곡면수로관을 결합하여 곡선부위를 이루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대형 수로관을 설치할 때 그 설치장소에 따라 곡선형을 이루는 연결각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감안하여 다수의 곡면수로관을 구비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다수의 금형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제조비용도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수로관의 양측 연결단부 사이에 곡선형을 이루는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되 일직선을 이루는 수로관본체를 성형하고, 상기 수로관본체를 상호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각도로 수로관본체를 배치하고, 상기 수로관본체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 또는 측부면을 포함하는 상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지지판으로 된 칸막이부재로 구획되게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 내부에 위치한 결합틈새 및 하부 결합틈새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을 성형하고 이를 양생한 다음 칸막이부재를 탈형하는 수단에 의해 곡면수로관이 구비된 콘크리트 수로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양측 연결단부 사이에 곡선형을 이루는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되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수로관본체의 성형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를 상호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각도로 수로관본체를 양측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구획하는 형태로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칸막이부재 내부에 위치한 결합틈새 및 하부 결합틈새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을 성형 단계와, 상기 성형 된 곡면수로 관을 양생한 다음 칸막이부재를 탈형하는 단계를 거쳐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은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 된 대형의 콘크리트 수로관 본체를 상호 연결하면서 수로관을 설치하되 곡선형을 이루는 각도로 곡면수로관을 제조하게 될 때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곡면수로관을 성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곡면수로관을 임의의 곡면각도로 설정하여 성형할 수 있고 수로관의 설치장소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곡면수로관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크게 줄이면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양측 연결단부 사이에 곡선형을 이루는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되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수로관본체의 성형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를 상호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각도로 수로관본체를 양측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 또는 측부면을 포함하는 상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지지판으로 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칸막이부재 내부에 위치한 결합틈새 및 하부 결합틈새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 된 곡면수로관을 양생한 다음 칸막이부재를 탈형하는 단계 를 거쳐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수로관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을 포함하는 상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지지판으로 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수단과, 상기 결합틈새에 매설하는 철근은 수로관의 연결단부에 지지되게 배치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칸막이부재는 수로관본체의 양측 사이에 위치한 결합틈새를 상호 대향 된 지지판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상기 대향 된 지지판을 고정볼트로 관통하고 이를 체결하여 고정설치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로관은 폭이 대략 3~4m 이상의 수로를 이루고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 된 대형의 콘크리트 수로관본체(10)를 상호 연결하면서 곡선형을 이루는 각도로 곡면수로관(20)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로관본체(10)는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12)에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걸림단부와 걸림단턱으로 이루어진 끼움결합부(12a)가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금형에 의해 규격화된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 된 양측의 수로관본체(10)를 상호 연결하면서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곡면수로관(2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양측 수로관본체(10)를 곡선형의 연결각도로 배치하여 그 사이에 곡면수로관(20)을 형성할 수 있는 결합틈새(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향개구된 형태의 수로관에서는 상기 양측 수로관본체(10)의 상호 연결단부(12)에 위치한 측부면(14)에 형성된 곡선형 결합틈새(30)를 구획하는 형태로 칸막이부재(40)를 설치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또는 통형으로 된 수로관에서는 측부면(14)을 포함한 상부면(16)에 형성된 곡선형 결합틈새(30)를 구획하는 형태로 칸막이부재(40)를 설치하되 상부면(16)의 결합틈새(30)에 설치되는 칸막이부재(40)는 하부에 지지판(42)을 배치하고 상부는 지지막대(42a)를 설치하여 고정볼트(46)를 체결할 수 있고 상부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칸막이부재(40)는 수로관본체(10)의 양측 사이에 위치한 결합틈새(30) 를 상호 대향 된 지지판(42)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상기 대향 된 지지판(42)을 고정볼트(46)로 관통하고 이를 체결하여 고정설치하게 되며, 상기 지지판(42)은 보강대(44)가 구비되어 사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칸막이부재(40)가 설치된 후 칸막이부재(40)에 의해 구획된 내부에 위치하는 결합틈새(30) 및 하부 결합틈새(30)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20)을 성형하게 되며, 이때 하부 결합틈새(30)는 양측의 수로관본체(10)가 칸막이 역할을 수행하므로 곧바로 몰탈을 투입하여 수로관본체(10)의 바닥면(18) 높이와 같이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성형 된 곡면수로관(20)이 양생 된 후 칸막이부재(40)를 탈형하되 지지판(42)을 고정설치하는 고정볼트(46)는 콘크리트 몰탈에 매설된 상태이므로 탈형된 상태의 곡면수로관(20)에 돌출된 고정볼트(46)의 돌출부만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형태로 곡면수로관(20)를 제조하게 되므로 이러한 곡면수로관(20)은 일직선상을 이루는 수로관본체(10) 사이에서 곡선상의 연결각도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곡면수로관(20)을 제조하는 수단에 의해 다양한 연결각도의 수로관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수로관(20)의 성형단계에서 칸막이부재(40)가 설치된 후 칸막이부재(40)에 의해 구획된 내부에 위치하는 결합틈새(30) 및 하부 결합틈새(30) 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게 될 때 철근(50)을 수로관본체(10)의 연결단부(12)에 지지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수로관본체(10)와 곡면수로관(20)이 일체로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은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금형에 의해 규격화된 형태로 성형하여서 된 대형의 콘크리트 수로관본체(10) 제품을 상호 연결하면서 수로관을 설치하되 이러한 대형 수로관을 이용하여 곡선형을 설치하기 위해 직선상의 수로관본체(10) 양측 연결단부(12)를 각을 이루는 형태로 틀어지게 배치하되 자유로운 연결각도로 배치한 다음 칸막이부재(40)에 의해 곡면수로관(20)을 성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일직선상을 이루는 수로관본체(10) 사이에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곡면수로관(20)을 성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곡면수로관(20)을 임의의 곡면각도로 설정하여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되므로 수로관의 설치장소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곡면수로관(2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측 수로관본체 사이에 곡면수로관을 성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측 수로관본체 사이에 곡면수로관을 성형하기 위한 칸막이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측 수로관본체 사이에 곡면수로관의 성형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가"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로관본체에 곡면수로관이 성형되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로관본체와 곡면수로관의 연결에 의한 수로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로관본체가 통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구성에 따른 상부면에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단면예시도.
도 10은 상기 도 8의 구성에 따른 칸막이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로관본체 12 : 연결단부
12a : 끼움결합부 14 : 측부면
16 : 상부면 18 : 바닥면
20 : 곡면수로관 30 : 결합틈새
40 : 칸막이부재 42 : 지지판
42a : 지지막대 44 : 보강대
46: 고정볼트 50 : 철근

Claims (4)

  1. 콘크리트 수로관의 양측 연결단부 사이에 곡선형을 이루는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되
    일직선을 이루고 양측 연결단부에 끼움결합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수로관본체의 성형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를 상호 곡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각도로 수로관본체를 양측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관본체의 양측단부에 위치한 측부면 및 상부면에 곡선형 결합틈새를 상호 대향된 지지판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상기 대향 된 지지판을 고정볼트로 관통하고 이를 체결하여 칸막이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칸막이부재 내부에 위치한 결합틈새 및 하부 결합틈새에 철근을 매설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곡면수로관을 성형 단계와,
    상기 성형 된 곡면수로관을 양생한 다음 칸막이부재를 탈형하는 단계를 거쳐 곡면수로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64497A 2009-07-15 2009-07-15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115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97A KR101153044B1 (ko) 2009-07-15 2009-07-15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97A KR101153044B1 (ko) 2009-07-15 2009-07-15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2A KR20110006882A (ko) 2011-01-21
KR101153044B1 true KR101153044B1 (ko) 2012-06-04

Family

ID=4361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497A KR101153044B1 (ko) 2009-07-15 2009-07-15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767A (ko) 2015-08-12 2017-02-22 강일형 수로관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6A (en) 1980-06-06 1982-01-0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ormwork device for aqueduct
JP2005113474A (ja) * 2003-10-07 2005-04-28 Akira Kato 水路構築用の型枠組固め工法
JP2006051744A (ja) 2004-08-13 2006-02-23 Takashi Iwasa 門形ブロック製造用型枠とそれにより作られた門形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6A (en) 1980-06-06 1982-01-0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ormwork device for aqueduct
JP2005113474A (ja) * 2003-10-07 2005-04-28 Akira Kato 水路構築用の型枠組固め工法
JP2006051744A (ja) 2004-08-13 2006-02-23 Takashi Iwasa 門形ブロック製造用型枠とそれにより作られた門形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767A (ko) 2015-08-12 2017-02-22 강일형 수로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82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US8966862B2 (en)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545936B1 (ko)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186053B1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101153044B1 (ko)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CN211221215U (zh) 一种房屋窗板预制模具
CN204626956U (zh) 一种组合定型钢模板
CN108894255B (zh) 地下混凝土结构变形缝的止水方法
KR101028586B1 (ko)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WO2005106136A1 (en) Fabricated breast walls in which a pre-stress is induced in steel strands installed in a bod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591155A (zh) 一种被动式超低能耗建筑外墙结构保温墙板的制作方法
KR20170090536A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c형 고정구와 이를 포함하는 벽체용 에코 거푸집
KR101158034B1 (ko)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17368Y1 (ko) 철근 및 배관 부착 형 거푸집
KR100926137B1 (ko) 가로지지보가 형성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합성거더 제작방법
CN216181470U (zh) 预制梁的可重复利用模具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KR101338691B1 (ko) 마감재 설치구조
CN203636955U (zh) 一种轻质复合保温板材成组成型模车
KR100838469B1 (ko) 양돈장 임신스톨의 제조방법
CN221031639U (zh) 一种建筑用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