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76Y1 -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 Google Patents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76Y1
KR200338276Y1 KR20-2003-0030862U KR20030030862U KR200338276Y1 KR 200338276 Y1 KR200338276 Y1 KR 200338276Y1 KR 20030030862 U KR20030030862 U KR 20030030862U KR 200338276 Y1 KR200338276 Y1 KR 200338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rtar
development
water pipe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0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로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거푸집 설치없이 단순히 콘크리트 몰탈 양생만으로도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배수로를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에 따른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양단부측이 수평을 이루는 대략 U자 형태의 단면으로 된 합성수지재의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외벽(12)과 내벽(11) 사이에는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될 수 있도록 몰탈 채움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을 이루는 양단부측에는 상기 몰탈 채움공간부(13)와 연이어 통하는 몰탈주입공(15)이 형성된 수로관체부(1)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에 따른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The waterway device by land development}
본 고안은 배수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거푸집 설치없이 단순히 콘크리트 몰탈 양생만으로도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배수로를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에 따른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토지를 대상으로 도로 건설 등의 공공 시설 정비를 하여 택지를 조성하는 경우에는 급배수로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경우 U자형 콘크리트 단면으로 된 수로관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지면에 매설하는 식으로 설치되었으나, 강도가 낮은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에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철근을 조립한 후 시멘트 몰탈로 양생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수로관 설치방법은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수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택지 개발에 있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배수로의 특성상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배수로를 가설하여 사용한 후, 후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이 또한 가설된 배수로의 철거 및 재시공에 따른 번거로움과 시공의 비효율성 그리고 막대한 비용낭비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거푸집 설치없이 단순히 콘크리트 몰탈 양생만으로도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배수로를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에 따른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관체부를 신축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설계 변경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는 배수로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임시로 가설된 배수로관을 철수없이 보완하여 그대로 새로 조성된 택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 및 시공성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단부측이 수평을 이루는 대략 U자 형태의 단면으로 된 합성수지재의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될 수 있도록 몰탈 채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을 이루는 양단부측에는 상기 몰탈 채움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몰탈주입공이 형성된 수로관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체부의 내벽과 외벽에 각각 주름형태의 신축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로관체부의 양단부측 전·후방에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에 대응되는 연결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수로관체부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상부측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부 내벽에 하부지지턱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안착되는 상부덮개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게 구성한 연결블록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수로관체부
11:내벽 12:외벽
13:몰탈 채움공간부 14:연결홈부
15:몰탈주입공 16:신축부
17:하부측 기밀홈부
2:연결블록
21,21A:연결플레이트 22,22A:지지대
23:연결돌기부 24:하부지지턱
25:하부측 기밀홈부
3:기밀용 와이어 4:상부덮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단부측이 수평면을 이루는 대략 U자 형태의 단면으로 된 합성수지 재질로 수로관체부(1)를 구성하고, 상기 수로관체부(1)는 내벽(11)과 외벽(12)으로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11)과 외벽(12) 사이에는 콘크리트 몰탈이 주입되어 양생되는 몰탈 채움공간부(13)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콘크리트 몰탈 주입을 위해 수평면을 이루는 수로관체부(1)의 양단부측에 상기 몰탈 채움공간부(13)와 통하는 몰탈 주입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로관체부(1)의 내벽(11)과 외벽(12)에는 각각 주름형태로 신축부(16)를 형성하여 설계변경에 따라 달라지는 직경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신축부(16)는 수로관체부(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하면 무방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1)과 외벽(12) 각각의 양측으로 형성하는 것이 원활한 신축을 위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여러 개의 수로관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부로서, 이는 후술되어질 도 2에 대한 설명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면의 관로 매설위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한 후, 수평면을 이루는 수로관체부(1)의 몰탈주입공(15)을 통해 내벽(11)과 외벽(12) 사이의 몰탈 채움공간부(13)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것에 의해 시공되는 것으로서, 이 주입된 콘크리트 몰탈의 결합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수로관체부(1)에 대한 연결 및 기밀이 이루어져 공사 현장의 임시로 가설되는 배수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로관체부(1)의 연결에 의해 임시 배수로를 형성한 후에 철수하지 않도록 기술적인 부가 및 보완에 의해 그대로 새로 조성된 택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수평면을 이루는 수로관체부(1)의 양단부 전.후로 연결홈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홈부(14)에 결합되어 수로관체부(1)를 따라 연속되게 연이어 설치되면서 상기 수로관체부(1) 간의 연결을 이루며, 상부측에는 그레이팅, 즉 빗살형태의 상부덮개(4)가 안착되는 콘크리트 연결블록(2)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연결블록(2)은 수로관체부(1)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횡방향의한 쌍으로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21)(21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1)(21A) 사이의 상부측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에 설치되는 지지대(22)(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들 사이에 공간부 측벽부에는 하부지지턱(24)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지턱(24) 상에 상부덮개(4)가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1)(21A)의 밑면부 전.후방측에는 수로관체부(1)의 연결홈부(14)에 대응되는 연결돌기부(23)가 하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로관체부(1)의 양단부 내측과 연결플레이트(21)(21A)의 하부 내측에는 각각 반원형태의 상부측 기밀홈부(25)와 하부측 기밀홈부(17)가 서로 마주보는 식으로 대향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수팽창 고무 재질로 형성된 기밀용 와이어(3)가 내재되어 수로관체부(1)와 연결블록(2) 간의 기밀을 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연결블록(2)의 연결돌기부(23)를 수로관체부(1)에 형성된 연결홈부(1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데, 이때 연결블록(2)의 전방측 연결돌기부(23)는 수로관체부(1)의 후방측 연결홈부(14)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블록(2)의 후방측 연결돌기부(23)는 수로관체부(1)의 전방측 연결홈부(1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로관체부(1)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로관체부(1)의 상부측 기밀홈부(25)와 연결블록(2)의 하부측 기밀홈부(17) 사이에 수팽창 고무로 된 기밀용 와이어(3)가 내재됨으로써 수로관체부(1)와 연결블록(2) 간의 기밀을 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연결블록(2)의 공간부 내측벽에 형성된 하부지지턱(24)에 빗살형태의 상부덮개(4)를 안착시킴으로써 일련의 배수로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거푸집 설치없이 단순히 콘크리트 몰탈 양생만으로도 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배수로를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에 따른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로관체부를 신축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설계 변경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는 배수로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임시로 가설된 배수로관을 철수없이 보완하여 그대로 새로 조성된 택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 및 시공성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양단부측이 수평을 이루는 대략 U자 형태의 단면으로 된 합성수지재의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외벽(12)과 내벽(11) 사이에는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될 수 있도록 몰탈 채움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을 이루는 양단부측에는 상기 몰탈 채움공간부(13)와 연이어 통하는 몰탈주입공(15)이 형성된 수로관체부(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체부(1)의 내벽(11)과 외벽(12)에 각각 주름형태의 신축부(16)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체부(1)의 양단부측 전.후방에 연결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14)에 대응되는 연결돌기부(23)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21)(21A)가 횡방향으로 수로관체부(1)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1)(21A) 사이의 상부측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대(22)(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플레이트(21)(21A)와 지지대(22)(22A) 사이의 공간부 내벽에 하부지지턱(24)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안착되는 상부덮개(4)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게 구성한 연결블록(2)을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KR20-2003-0030862U 2003-09-30 2003-09-30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KR200338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862U KR200338276Y1 (ko) 2003-09-30 2003-09-30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862U KR200338276Y1 (ko) 2003-09-30 2003-09-30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76Y1 true KR200338276Y1 (ko) 2004-01-13

Family

ID=4942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862U KR200338276Y1 (ko) 2003-09-30 2003-09-30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82B1 (ko) * 2010-08-27 2011-02-15 휘수건설(주) 측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8155B1 (ko) * 2017-09-19 2018-09-12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82B1 (ko) * 2010-08-27 2011-02-15 휘수건설(주) 측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8155B1 (ko) * 2017-09-19 2018-09-12 주식회사 모현씨앤디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수로관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103A (ko) 부분 프리캐스팅 구조의 현장 타설 암거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현장 조립 성형 장치
KR101893487B1 (ko) 지반 굴착용 파일 가이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설치공법
CN212956396U (zh) 一种渠道结构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338276Y1 (ko)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KR101392008B1 (ko) 시공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KR101027078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0428388Y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200472767Y1 (ko)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CN105189875B (zh) 波形中空闭合止水板、利用该波形中空闭合止水板的混凝土暗渠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90094986A (ko) 옹벽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43967B1 (ko) 조립식 암거
KR102263318B1 (ko) 조립 구조가 개선된 pc 아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101068616B1 (ko) 유도 배수형 분할 요철판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 및 관로와 이를 이용한 터널 및 관로 부설공법
KR100891617B1 (ko) 콘크리트 충전형 암거 시공용 강박스
KR20030008604A (ko) 구름수단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설치방법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1511172B1 (ko) Cft 합성기둥과 rc 와이드 보의 접합부 구조
KR100268394B1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KR100951106B1 (ko) 조립식 수로구성용 측구연결부재
KR20070109423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