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78B1 -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78B1
KR101027078B1 KR1020100074029A KR20100074029A KR101027078B1 KR 101027078 B1 KR101027078 B1 KR 101027078B1 KR 1020100074029 A KR1020100074029 A KR 1020100074029A KR 20100074029 A KR20100074029 A KR 20100074029A KR 101027078 B1 KR101027078 B1 KR 10102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culvert
connection
prefabricated
concre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오종환
김정회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따르면, 기양산된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강선과 함께 전단연결재를 이용해 연결함으로써, 좀더 쉽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암거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키고 아울러 프리스트레스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이들 사이의 접합력을 높이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면을 따라 충진홈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지수재를 충진하도록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전단키와 키홈을 형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의 연결 과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한 지수재와 함께 상호 결속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ASSEMBLY TYPE PRECAST CONCRETE CLOSED CONDUIT}
본 발명은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암거들의 연결부를 통한 유체의 누출 및 토사 유입 현상과 수직이동으로 인한 연결 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암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터널 형상으로 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수관, 취수관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암거는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로 대량 생산되어 현장으로 옮겨져 서로 연결된 후 매설된다.
상기한 암거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이하, 암거 시공이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암거 시공 후 연결부분을 통해서 상수 또는 하수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암거 외부의 지하수 또는 토사가 암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막을 수 있도록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만일, 암거 연결 부분의 수밀성이 완벽하지 못하여 연결부를 통해 상수가 누출될 경우에는 상수의 손실이 크며 반대로 하수가 누출되면 토질 및 지하수를 오염 시키게 되거나 또는 암거 외부의 토사가 유입되면 암거의 수로를 막음과 함께 상수의 오염을 유발 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거 시공의 조건인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수밀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 수밀 방식으로는 암거의 연결부 중앙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수팽창 지수재를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지수재 주입 방식은 공간에 주입된 수팽창 지수재가 팽창하면서 암거의 연결부분 틈새로 튀어 나오기 때문에 밀착된 연결부분을 이간시킴과 아울러 수팽창 지수재와 암거간의 부착력을 저하시켜 암거와 수팽창 지수재의 경계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 암거 시공방식은 암거들의 연결부분으로의 유체 누출을 완벽하게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암거는 시공 후 지반침하 등에 의한 암거의 수직이동(부등침하 등)이 방지 되어야 하는데 현재에는 암거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거의 연결부분을 계단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암거의 수직이동방지 구조는 일측 암거의 경사면이 타측 암거의 계단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형태이므로 지반 변화에 의해 어느 하나의 암거가 수직 이동 할 경우 상측 또는 하측의 연결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현상은 연결부분의 이간을 초래하여 수밀성 상실은 물론 암거들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암거의 연결면 둘레에 수밀구조를 구현하고 암거 상부 및 양 측면에 전단연결재을 사용하여 수직응력의 대응구조를 형성하여, 암거들의 연결부를 통한 유체의 누출현상 혹은 토사 유입현상과 수직이동으로 인한 연결 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피시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 부재;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하측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당겨 서로 연결하는 강선;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측부에서 연결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잡아 고정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밀폐시키는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 일측에서 중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체결면부를 이루고 양측 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부 중심부에 체결볼트부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 육각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고정브래킷의 체결면부와 마주하는 양측 측벽면부에 상기 체결볼트부가 관통하도록 끼워지게 삽입홈이 형성되는 전단연결구; 및 상기 전단연결구의 내측에서 상기 삽입홈을 통해 끼워진 상기 체결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체결면부와 상기 전단연결구의 측벽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연결재의 상기 체결볼트부 상에서 상기 조절너트와 상기 전단연결재의 측벽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상측 연결부 일측에 상기 전단연결재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지수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수재는 고강도 에폭시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 연결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단키가 돌출 형성되고, 타 일측 연결면에는 상기 전단키에 대응되게 키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선은 프리스트레스(PS; PRESTRESS)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따르면, 기양산된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강선과 함께 전단연결재를 이용해 연결함으로써, 좀더 쉽고 견고하게 암거 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암거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키고 아울러 프리스트레스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이들 사이의 접합력을 극대화시킬 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면을 따라 충진홈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지수재를 충진하도록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전단키와 키홈을 형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의 연결 과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한 지수재와 함께 상호 결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대한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단연결재에 의한 채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의 전단연결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단연결재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에 대한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 강선(200), 전단연결재(300), 및 지수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는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도관, 배수관, 농업용수관 및 취수관 등을 이루도록 중공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양측 단부에는 인접하는 설치되는 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와의 수밀성을 갖도록 서로 맞대어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0)를 갖는다.
그리고, 서로 맞대어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일측 연결부(110)의 측벽면(이하, 연결면이라 한고, 상기 연결부와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다.)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단키(130; SHEAR KEY)가 돌출 형성되고, 타 일측 연결면(110)에는 상기 전단키(130)에 대응되게 키홈(13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는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전단키(130) 및 키홈(131)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사각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는 원형을 포함해 좀더 다양한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전단키(130)에 의한 결속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좌, 우 대칭을 이루며 둘레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면(110)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전단키와 키홈을 형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의 연결 과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후술하는 지수재(400)와 함께 이들의 상호 결속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강선(200)은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하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를 당겨 서로 연결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강선(200)은 프리스트레스(PS; PRESTRESS) 강선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하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를 기양산시 상기한 강선(20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강선 통공(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강성 통공(150)은 사각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하부 양측 모서리부, 좀더 상세하게는 전단키(130) 및 키홈(131)이 형성된 모서리부의 내측에 형성된 필렛 보강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강선(200)은 전단키(130)에 의해 가이드 되며 서로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하측부을 잡아 당겨 서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전단연결재(300)는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상측부에서 연결부(110)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단연결재(3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상면부에 2개와 양쪽 측면부에 각각 1개씩이 설치되어, 강선에 의해 하측부가 고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상측부를 잡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4는 도 1의 전단연결재에 의한 채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5의 전단연결재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전단연결재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전단연결재(300)는 고정브래킷(320), 전단연결구(310), 조절너트(340), 보강플레이트들(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브래킷(320)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연결부(110)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홈부(120) 내에서 중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체결면부(321)을 이루도록 양측 단부(322, 323)가 고정 설치되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면부(321)의 중심부에 전단연결재(310)를 끼워 조절너트(340)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부(324)가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볼트부(324)가 고정브래킷(320)의 체결면부(321)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나사가 고정브래킷(320)과 분리된 독립 부재로 이루어져 고정브래킷(320)의 체결면부(321)를 관통하며 끼워져 결합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고정브래킷(320)은 상기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를 미리 양산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수용홈부(120) 내에 수용되며 양측 단부가 매립되어 고정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전단연결구(310)는 육각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고정브래킷(320)의 체결면부(321)와 마주하는 양측 측벽면부(311)에 체결볼트부(324)가 관통하며 끼워지게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312)이 형성된다.
또한, 허니컴 형상의 전단연결구(310) 중심부에는 양측 측벽면부(31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는 보강판부(313)가 구비되며, 이 보강판부(313)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조절너트(340)를 고정브래킷(20)의 체결볼트부(324)에 끼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조작 공간을 제공한다.
조절너트(340)는 전단연결구(310)의 내측에서 삽입홈(312)을 통해 끼워진 체결볼트부(325)의 단부에 끼워져 체결되고, 고정브래킷(320)의 체결면부(321)와 전단연결구(310)의 측벽면부(3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고정브래킷(320)이 체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의 긴장력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강플레이트(330)는 고정브래킷(320)의 체결볼트부(324) 상에서 조절너트(340)와 전단연결재(310)의 측벽면부(311) 사이에 위치하도록 끼워져 고정되게 관통공(331)이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플레이트(330)는 체결볼트부(324) 상에 조절너트(340)를 조여 고정브래킷(320)들 사이에 전단연결구(310)를 체결하거나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 200)간 긴장력을 조절시, 조절너트(40)에 의해 작용하는 체결 하중이 전단연결재의 삽입홈 주위에 일부 집중되어 국부적으로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한다.
따라서, 전단연결재(300)는 상기한 강선(200)과 함께 기양산된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암거 시공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좀더 쉽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암거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키고 아울러 프리스트레스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이들 사이의 접합력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수재(4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면(110) 사이에 개재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면(110)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지수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진홈(14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수재(400)는 수팽창 지수재에 의한 부재간 틈새가 발생하여 수밀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에폭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지수재인 고강도 에폭시 콘크리트(400)는 강선(200)과 전단연결재(300)를 이용해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면(110)에 형성된 충진홈(140)을 채우며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성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전단키와 함께 이들 상호 결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1)에 대한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을 굴착된 지중에 연속하게 배치시킨 후, 인접하는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전단키(130)를 타 일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키홈에(131) 끼워 이후 강선(200) 및 전단연결재(300)를 이용해 연결 작업이 좀더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전단키(130)에 의해 예비 연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강성 통공(150)을 통해 끼워지는 강선(200)을 이용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하측부를 당겨 서로 연결한다.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의 수용홈부(12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전단연결재(300)의 고정브래킷(320)들 사이에 전단연결구(310)를 끼워 고정한 후, 조절 볼트(340)를 조여 전단연결재(300)에 의해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상단부를 잡아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단연결재(300)를 이용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를 체결 고정한 후, 전단연결구재(300)가 수용된 수용홈부(120)에 콘크리트를 채워 자리 메움을 수행한다.
그 다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면(110)을 형성된 충진홈(140)에 지수재(400)를 충진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의 연결부(110)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1)는 기양산된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를 강선(200)과 함께 전단연결재(300)를 이용해 연결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좀더 쉽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암거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키고 아울러 프리스트레스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이들 사이의 접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00)들 사이의 수밀성을 높여 연결부를 통한 유체의 누출현상 혹은 토사 유입현상과 수직이동으로 인한 연결 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10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110: 연결부(연결면) 120: 수용홈부
130: 전단키 131: 키홈
140: 충진홈 150: 강선 통공
200: 강선 300: 전단연결재
310: 전단연결구 311: 측벽면부
312: 삽입홈 320: 고정브래킷
321: 체결면부 324: 체결볼트부
330: 보강플레이트 331: 관통공
340: 조절너트 345: 고정너트
400: 지수재

Claims (8)

  1.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통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하측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당겨 서로 연결하는 강선;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상측부에서 연결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잡아 고정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의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사이를 밀폐시키는 지수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부 일측에서 중심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체결면부를 이루고 양측 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부 중심부에 체결볼트부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
    육각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허니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고정브래킷의 체결면부와 마주하는 양측 측벽면부에 상기 체결볼트부가 관통하도록 끼워지게 삽입홈이 형성되는 전단연결구; 및
    상기 전단연결구의 내측에서 상기 삽입홈을 통해 끼워진 상기 체결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체결면부와 상기 전단연결구의 측벽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전단연결재의 상기 체결볼트부 상에서 상기 조절너트와 상기 전단연결재의 측벽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4. 제1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상측 연결부 일측에 상기 전단연결재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5. 제1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지수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진홈이 형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6. 제5항에서,
    상기 지수재는 고강도 에폭시 콘크리트인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7. 제1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측 연결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단키가 돌출 형성되고,
    타 일측 연결면에는 상기 전단키에 대응되게 키홈이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8. 제1항에서,
    상기 강선은 프리스트레스 강선인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20100074029A 2010-07-30 2010-07-30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02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29A KR101027078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29A KR101027078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078B1 true KR101027078B1 (ko) 2011-04-05

Family

ID=4404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029A KR101027078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30B1 (ko) * 2013-07-02 2014-02-11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1740341B1 (ko) * 2015-04-14 2017-05-26 세일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메탈터치 접합판을 이용한 암거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865818B1 (ko) 2017-04-13 2018-06-08 (주)에코이노텍 프리캐스트 2단 측면 벽체
KR102324930B1 (ko) * 2020-08-31 2021-11-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69B1 (ko) * 2005-06-16 2005-12-16 삼호콘크리트(주)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100923565B1 (ko) *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69B1 (ko) * 2005-06-16 2005-12-16 삼호콘크리트(주)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100923565B1 (ko) * 2009-03-24 2009-10-27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30B1 (ko) * 2013-07-02 2014-02-11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KR101740341B1 (ko) * 2015-04-14 2017-05-26 세일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메탈터치 접합판을 이용한 암거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865818B1 (ko) 2017-04-13 2018-06-08 (주)에코이노텍 프리캐스트 2단 측면 벽체
KR102324930B1 (ko) * 2020-08-31 2021-11-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09320B1 (ko)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088158B1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101027078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775757B1 (ko) 종방향의 관 부재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의한 부등침하 저항방식의 암거 세그먼트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0411659B1 (ko)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101460760B1 (ko) 전단면-연결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구조물 및 그 결합방법
KR10119405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이 시공방법
KR100536069B1 (ko)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72767Y1 (ko)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070106410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101133158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변화구간 연결구조
KR100297823B1 (ko) 암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100891617B1 (ko) 콘크리트 충전형 암거 시공용 강박스
KR200203448Y1 (ko) 조립식 옹벽
KR101511172B1 (ko) Cft 합성기둥과 rc 와이드 보의 접합부 구조
KR20050112893A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387868Y1 (ko)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421737Y1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