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095A -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095A
KR20050042095A KR1020050022783A KR20050022783A KR20050042095A KR 20050042095 A KR20050042095 A KR 20050042095A KR 1020050022783 A KR1020050022783 A KR 1020050022783A KR 20050022783 A KR20050022783 A KR 20050022783A KR 20050042095 A KR20050042095 A KR 2005004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body
construction
intermitten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274B1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05002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2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거를 조립이 가능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터파기가 끝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50)은 콘크리트로 기 성형 되어 조립되는 측벽(51)과; 상기 측벽(51)을 일정한 간격(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측벽고정구(53)로 구성하고;
상기 측벽(51)은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운반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높이(H)와 길이(L)를 가지는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측벽바디(55)와; 상기 측벽바디(55)의 양측 수직면(56)에 결합을 위하여 형성하는 요입홈(57)과; 상기 요입홈(57)에 개재되어 인접한 측벽바디(55)와 결합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판(58)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고정구(53)는 측벽바디(55)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단속을 수행하는 길이단속구(60)와; 상기 측벽바디(55)의 폭 방향에 대한 단속을 수행하는 폭단속구(61)로 구성하고; 상기 길이단속구(60)는 측벽바디(55) 성형시 양측 상,하측에 함께 성형하여 이동과 체결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단속고리(62)와; 상기 단속고리(62)를 단속하여 인접한 측벽(51)을 결합시키는 단속수단(65)을 포함하고; 상기 폭단속구(61)는 측벽바디(55)의 수직면(56) 상,하측에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체결홈(66)과; 상기 차수판(58)에 체결홈(66)과 동일한 위치에 차수판(58)의 중간위치까지 형성하는 체결홈(67)과; 상기 체결홈(66,67)에 삽입되어 측벽바디(55)의 폭을 유지하는 버팀바(68)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바(68)의 양측에 형성하는 단속링(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An open cha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수로를 구성하는 개거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개거는 도로의 양측, 특히 절토지역의 법면으로 우수 등이 도로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농수로와 같이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개략 ∪형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상기와 같은 보편적인 개거(1)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보편적인 개거(1)는 설치할 지면을 개거의 높이만큼 터파기를 수행한 후 터파기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을 타설하고, 타설된 바닥면(2)이 양생되도록 기다린다.
상기 바닥면(2)의 양생이 끝난 후에는 바닥면(2)의 양측에 상측이 넓도록 거푸집을 설치하여 측벽(3)을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서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거는 시공하고자 하는 개거 길이의 약 4배에 달하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비가 필요하고, 개거 시공에 따르는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야 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르는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따른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닥면을 타설한 후 양생기간이 경과된 후 다시 측벽을 타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장비 또한 2회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히, 개거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가 경사가 급하고 지대가 높은 절토 된 위치일 경우에는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것은 물론, 장비나 자재를 수급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용이 많아지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개거를 조립이 가능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터파기가 끝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없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원가의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A,B)는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50)은 측벽(51)을 조립 가능하게 구비하여 터파기한 곳에 측벽(51)을 조립한 후 바닥면(52)은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측벽(51)은 콘트리트로 성형되는 측벽(51)과 상기 측벽(51)을 일정한 간격(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측벽고정구(53)로 구성한다.
상기 측벽(51)은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운반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높이(H)와 길이(L)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측벽바디(55)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바디(55)의 양측 수직면(56)에는 결합을 위한 요입홈(57)을 형성한다.
상기 요입홈(57)에는 인접한 측벽바디(55)를 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성형 되는 차수판(58)을 더 개재하도록 한다.
상기 측벽(51)의 형상은 정 사각형상 또는 직사각 형상도 가능할 것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치합 되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지면의 높고 낮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측벽바디(55)의 일측 또는 양측의 수직면(56)의 하측 또는 상측을 지면의 경사를 고려하여 일정각도(α)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서 산마루측구나 성토부의 도수로 또는 일반개구와 같이 어떠한 장소에나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51)의 또다른 예로서는 ⊥또는 +형상으로 합수 또는 분지되는 곳에 적용할 수 있도록 측벽바디(55)의 중간부위를 절곡하여 개략 L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측벽고정구(53)는 연결되는 측벽바디(55)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속을 수행하는 길이단속구(60)와 측벽바디(55)의 폭 방향에 대한 단속을 수행하는 폭단속구(61)로 구성한다.
상기 길이단속구(60)는 측벽바디(55) 성형시 양측 상,하측에 함께 성형하여 이동과 체결을 위하여 구는 단속고리(62)를 구비하고, 상기 단속고리(62)를 단속하여 인접한 측벽(51)을 결합시키는 볼트(63)와 너트(64)로 구성되는 단속수단(65)을 구비한다.
상기 폭단속구(61)는 측벽바디(55)의 수직면(56) 상,하측에 형성하는 반원형상의 체결홈(66)을 단속고리(6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차수판(58)에도 체결홈(66)과 동일한 위치에 차수판(58)의 중간위치까지 연결된 체결홈(67)을 형성하여 버팀바(68)를 삽입하여 측벽바디(55)의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팀바(68)의 양측에는 단속고리(62)를 단속하는 단속수단(65)에 의하여 함께 단속될 수 있도록 단속링(69)을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미리 성형 된 측벽(51)과 측벽고정구(53)를 시공할 위치로 이동시킨 후 터파기가 완료된 지면에 측벽(51)을 조립하고, 조립된 측벽(51) 상간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100)을 형성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측벽(51)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터파기 한 지면에 일정 폭을 유지시킨 체 측벽바디(55)를 위치시킨 후, 인접한 측벽바디(55) 상간에는 차수판(58)을 개재시킨다.
상기 차수판(58)을 개재할 때에는 차수판(58)과 측벽바디(55)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체결홈(66,67)에 버팀바(68)를 삽입시킨 후, 상기 버팀바(68)의 양측에 구비되는 단속링(69)은 측벽바디(55)의 수직면(56)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개거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버팀바(68)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측벽바디(55)에 구비되는 단속고리(62)와 버팀바(68)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속링(69)을 단속수단(65)으로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서 인접한 측벽바디(55)와의 연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측벽바디(55)를 연결하고, 측벽(51)의 연결이 완료되면, 측벽(51)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거의 바닥면(100)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거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개거를 시공하고자 하는 지면의 굴곡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개거 시공에 따르는 인력과 장비를 절감하면서 공기와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개거는 측벽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서 지면의 형태나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데, 지면이 상,하 방향으로 굴곡이 있는 산마루측구나 성토부의 도수로는 물론 일반적인 개구를 시공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없는 등 다양한 장소에나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개거를 조립이 가능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터파기가 끝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 없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원가의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시공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A,B)는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적용되는 측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개거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조립 구조물
51; 측벽
53; 측벽고정구
55; 측벽바디
58; 차수판
60; 길이단속구
61; 폭단속구
62; 단속고리
66,67; 체결홈

Claims (4)

  1.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50)은 콘크리트로 기 성형 되어 조립되는 측벽(51)과;
    상기 측벽(51)을 일정한 간격(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측벽고정구(53)로 구성하고;
    상기 측벽(51)은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운반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높이(H)와 길이(L)를 가지는 판상 형태로 구비하는 측벽바디(55)와;
    상기 측벽바디(55)의 양측 수직면(56)에 결합을 위하여 형성하는 요입홈(57)과;
    상기 요입홈(57)에 개재되어 인접한 측벽바디(55)와 결합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판(58)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고정구(53)는 측벽바디(55)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단속을 수행하는 길이단속구(60)와;
    상기 측벽바디(55)의 폭 방향에 대한 단속을 수행하는 폭단속구(61)로 구성하고;
    상기 길이단속구(60)는 측벽바디(55) 성형시 양측 상,하측에 함께 성형하여 이동과 체결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단속고리(62)와;
    상기 단속고리(62)를 단속하여 인접한 측벽(51)을 결합시키는 단속수단(65)을 포함하고;
    상기 폭단속구(61)는 측벽바디(55)의 수직면(56) 상,하측에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체결홈(66)과;
    상기 차수판(58)에 체결홈(66)과 동일한 위치에 차수판(58)의 중간위치까지 형성하는 체결홈(67)과;
    상기 체결홈(66,67)에 삽입되어 측벽바디(55)의 폭을 유지하는 버팀바(68)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바(68)의 양측에는 단속고리(62)와 함께 단속수단(65)으로 단속될 수 있는 단속링(69)를 더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2. 개거를 시공함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운반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높이(H)와 길이(L)를 가지도록 콘크리트로 판상 형태로 성형 되어 구비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을 일정한 간격(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측벽고정구로 구성되는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시공하고자 하는 지면에 터파기한 곳에 측벽을 조립한 후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형성하여 완전한 개거가 되도록 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거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바디(55)는 지면의 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의 수직면(56)의 하측 또는 상측을 일정각도(α)를 가지게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1)은 합수 또는 분지되는 곳에 적용할 수 있도록 측벽바디(55)의 중간부위를 절곡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KR1020050022783A 2005-03-18 2005-03-18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KR10061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783A KR100616274B1 (ko) 2005-03-18 2005-03-18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783A KR100616274B1 (ko) 2005-03-18 2005-03-18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19U Division KR200384354Y1 (ko) 2005-02-18 2005-02-18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095A true KR20050042095A (ko) 2005-05-04
KR100616274B1 KR100616274B1 (ko) 2006-08-31

Family

ID=3724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783A KR100616274B1 (ko) 2005-03-18 2005-03-18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2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480A (zh) * 2013-10-23 2014-02-19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无焊装配式成品明沟
US10636988B2 (en) 2007-05-21 2020-04-28 Corning Incorporated Mechanically flexible and durable substrates and method of mak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988B2 (en) 2007-05-21 2020-04-28 Corning Incorporated Mechanically flexible and durable substrates and method of making
CN103590480A (zh) * 2013-10-23 2014-02-19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无焊装配式成品明沟
CN103590480B (zh) * 2013-10-23 2015-03-11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无焊装配式成品明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274B1 (ko)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16274B1 (ko)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KR20080004691U (ko) 유형 측구 제조용 거푸집
KR200306432Y1 (ko) 콘크리트 배수로
KR200384354Y1 (ko)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736899B1 (ko) 관거형 측구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JP2007107234A (ja) 排水用側溝装置
JP3599326B2 (ja) 自在連結側溝
EP1526218B1 (en) Concealed gutter with sealing ring
KR101437672B1 (ko) 조립식 피시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S2644688T3 (es) Conjunto para la colocación de hormigón, que incluye una guía de enrasado/junta de control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JP459176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自由勾配側溝
KR200249537Y1 (ko) 조립식 도로 옹벽
KR101984237B1 (ko) 도시침수 예방용 암거 연결용 슬라이드 철골 구조물
KR200483315Y1 (ko) 빗물받이 측구용 거푸집
JP2903207B2 (ja) 可変勾配型水路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US20100276566A1 (en) Reuseable drain installer
KR200263811Y1 (ko)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KR101984238B1 (ko) 도시침수 예방용 암거 연결용 슬라이드 철골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59457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