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685Y1 -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685Y1
KR200374685Y1 KR20-2004-0030680U KR20040030680U KR200374685Y1 KR 200374685 Y1 KR200374685 Y1 KR 200374685Y1 KR 20040030680 U KR20040030680 U KR 20040030680U KR 200374685 Y1 KR200374685 Y1 KR 200374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plate
support piece
piece
suppor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2004-0030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면서 조립구조가 견고하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후 요철형으로 구성된 지지편을 분리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물의 비틀림방지를 위한 보조수단(다이웰바)이 필요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수판(100)의 본체(110) 중앙에 구성된 중공체(120) 양측부에 걸림돌편(121)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돌편(121)이 지지편(200) 일측 단부에 구성된 걸림구(220)의 걸림홈에 끼워져 조립되게 하고, 상기 지지편(200)의 단부가 거푸집(300) 내측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board keeping off water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고안은 수로나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서 사용되는 지수판 조립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면서 조립구조가 견고하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후 지수판 지지를 위한 지지편을 분리제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물의 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다이웰바)이 필요없도록 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에 대하여서는 본 고안 출원인이 선출원한 것들이 있다.
즉 도 17에서와 같이 지수판(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요철부(21)가 형성된 본체(22) 중앙에 타원형 중공체(23)를 구성하고, 상기 중공체(23)의 양측단부에 지지판(24)을 수직방향으로 돌출구성하므로서 지수판(20)의 사용시 지지판(24)을 이용하여 지수판(20)이 거푸집(40)상에 고정되게 하고, 동시에 완충고무편(50)이 지수판(20) 일측에 접착되게 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판(2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지수판(20)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판(20)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항상 정위치에 고정되게 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지수판 일측에 완충고무편을 고정하기 위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어 누수와 함께 녹물이 외벽으로 흘러내리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지수판(20)을 거푸집(40)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수단이 지수판(20) 양측에 돌출구성된 지지판(24)의 단부가 거푸집(40)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별도의 지지목(41)으로 고정되게 한 구성이기 때문에 지지판(24)이 위치하는 부분의 거푸집(40)을 절단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지수판(20) 양측에 지지판(24)이 일체형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어 휴대와 보관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고, 또한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두께에 따라 지지판(24)의 길이가 다른 지수판(20)을 준비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것이었다.
이를 개량한 것으로서 역시 본 고안의 출원인이 도 18에서와 같이 조립되게 한 지수판을 출원한 것이있다.
즉 지수판(10)을 구성하는 본체(11) 중앙 양측에 중공체(12) 및 결합홈(13)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13)에 고정편(14)이 형성된 지지판(15)이 분리가능케 조립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지수판(10)은 지수판(10) 지지를 위한 지지판(15)이 지수판(10)과 분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거푸집 내측에 고정못으로 고정되게 하여 거푸집 절단없이 사용가능케 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두께에 따라 지지판만 교체하면 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틀림방지를 위한 철근 및 파이프로된 보조수단(다이웰바)의 시공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거푸집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몰탈의 압력에 의해 지수판(10)의 결합홈(13)에 끼워진 지지판(15)이 결합홈(13)으로부터 이탈하여 지수판(10)의 위치가 틀어지게 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과 함께 지지판(15)이 일체로 양생 고정되므로 재사용이 곤란하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틀림방지를 위한 철근(17)과 파이프(18)로 된 보조수단(다이웰바)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 시공구조가 다소 복잡한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시공이 간편하면서 조립구조가 견고하고, 또한 지수판 지지를 위한 지지편의 재사용이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지수판 중앙에 구성된 중공체의 늘어남이 원활하도록 하고,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틀림방지를 위한 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구조물의 틀림이 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수판 중앙에 구성된 중공체 일측 본체 상에 걸림돌편을 구성하고, 지수판을 지지하는 지지편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돌편이 끼워지는 걸림홈을 구성하며, 상기 지지편의 본체에는 요철형 절곡부를 구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에 요철이 형성되게 하며, 지지편의 외측 단부는 거푸집 내측에 고정설치된 고정편의 지지홈에 끼워져 조립되게 하되, 지지편 외면에는 콘크리트 타설후 지지편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형상이 지지편의 본체 형상과 동일하게 양생되도록 하기 위한 비닐을 씌워 구성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시공상태 평면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지지편 외면에 비닐을 씌운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지지편을 제거한 상태도.
도 6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편의 타실시예시도.
도 7 :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지지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9 :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0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11 : 도 10의 사용상태도.
도 12 : 본 고안 지지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13 : 본 고안 지지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14 : 본 고안 거푸집 내측에 구성되는 고정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15 : 본 고안 거푸집 내측에 구성되는 고정편의 타실시 예시도.
도 16 : 본 고안 지수판 일측에 완충고무편을 설치한 상태도.
도 17 : 종래 지수판의 사용상태도.
도 18 : 종래 지수판의 또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수판 (110)--본체
(111)--통공 (112)--돌편
(120)--중공체 (121)--걸림편
(200)--지지편 (210)--본체
(220)--걸림구 (221)--걸림홈
(230)--절곡부 (300)--거푸집
(310)--고정편 (320)--삽입홈
(330)--콘크리트 몰탈 (340)--비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지수판(100)과, 지수판(100) 지지를 위한 지지편(200) 및 지지편(200)을 거푸집(300)에 조립고정하기 위한 고정편(310) 부분의 분해사시도로서 아래에서 이들의 구성 및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수판(100)의 본체(110) 중앙에 중공체(120)를 구성하고, 상기 중공체(120)일측에 구성된 본체(110) 양측부에 걸림돌편(121)을 돌출구성하고, 본체(110) 양측 단부에는 등간격으로 통공(111)이 뚫린 돌편(112)을 구성한다.
상기 지수판(100) 지지를 위한 지지편(200)은 철판이나 알미늄판과 같이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되, 지지편(200)의 본체(210) 일측 단부에 걸림홈(221)이 형성된 걸림구(220)를 구성하고, 본체(210)에는 요철형 절곡부(230)가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지수판(100)과 지지편(20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지수판(100)의 본체(110) 양측부에 구성된 걸림돌편(121)에 지지편(200) 일측 단부에 구성된 걸림구(220)의 걸림홈(221)을 위치시킨 다음 밀어넣으면 지수판(100)의 걸림돌편(121)이 지지편(200)의 걸림홈(221)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때 지지편(200)을 구성하는 본체(110)의 절곡부는 지수판(100)의 중앙의 중공체(120) 외면과 접하게 하므로서,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경계부가 지수판(100)의 중공체(120) 중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편(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편(200)의 본체(210) 단부에 걸림돌편(211)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사용하게된다.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수판(100)을 지지하는 지지편(200)의 본체(210)는 도 8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지수판(100)과의 조립은 도 9에서와 같이 본체(110)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돌편(121)에 지지편(200)의 걸림구(220)에 형성된 걸림홈(221)이 끼워지게 하고, 이때 지지편(200)의 본체(210) 절곡부는 지수판(100)의 중공체(120) 측부와 접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편(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지지편(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에 걸림구(220)를 구성하지 않고 양측 단부가 판형으로 구성하되, 본체(210)에만 요철형 절곡부(230)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된다.
즉 지수판(100)의 중앙에 구성된 중공체(120) 일측에 지지돌편(140)을 구성하여 중공체(120)와 지지돌편(140) 사이에 지지홈(14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홈(141)에 지지편(200)의 일측단부가 끼워지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지지편(200)의 본체(210) 절곡부가 지수판(100)의 중공체(120) 측부와 접하게 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지지편(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12 및 도13에서와 같이 지지편(200)의 본체(210)일측에 절곡부를 구성하지 않고 다수개의 보강편(217)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지수판(100)을 거푸집에 조립하기 위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지수판(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의 거푸집(300) 내측에 "ㄱ"형 앵글과 같은 형태의 고정편(310)을 나란히 대향되게 설치하여 그 사이에 삽입홈(320)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삽입홈(320)에 지수판(100)의 걸림돌편(121)에 끼워진 지지편(200)의 단부가 끼워지게 조립구성한다.
이때 거푸집(300)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편(310)의 형태는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삼각형상의 고정편(310)을 이용하거나 4각형상의 고정편(3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편(200) 단부에 걸림돌편(211)을 구성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지지편(200)의 걸림돌편(211)을 거푸집(300) 내측에 접하게 한 다음 머리부가 큰 고정못(212)을 박아 고정못(212)의 머리부에 의해 지지편(200)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편(200)의 일측 단부는 지수판(100)의 걸림편(121)에 끼워져 조립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못(212)의 머리부에 의해 지지고정되므로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거푸집(300)으로부터 지지편(200)이 분리될 우려가 없고, 콘크리트 몰탈 타설후 지지편(20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간단하게 분리제거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지수판(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16에서와 같이 지수판(100) 지지를 위한 지지편(200)을 직선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지지편(200) 일측에 완충고무편(400)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거푸집(300)내에 지지편(200)을 이용하여 지수판(100)을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300)내에 콘크리트 몰탈(330)을 타설하고자 할때에는 다음과 같이 하게 된다.
먼저 콘크리트 타설후 거푸집(300) 및 지수판(100)으로부터 지지편(200)을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지지편(200) 양측 전면에 비닐(340)을 씌운다.
이때 지수판(100)의 본체(110) 양측 단부에 구성된 돌편(112)의 통공(111)에 철사등을 끼워 거푸집내에 설치된 보강용 철근과 연결하여 주면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판(100)의 본체(110) 양측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지지편(200)의 양측부에 비닐(340)의 씌우기가 완료되면 거푸집내에 콘크리트 몰탈(330)을 주입하게 된다.
거푸집(300)내에 콘크리트 몰탈(330)을 주입하게 되면, 콘크리트 몰탈(330)의 압력에 의해 비닐(340)은 지지편(200)의 요철형상과 동일하게 성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330)이 양생되기 전에 지지편(200)을 윗쪽으로 당겨올려 분리제거 하면, 비닐(340)에 의해 지지편(200)이 쉽게 분리되고, 지지편(200)에 의해 양생된 콘크리트 몰탈(330)은 도 5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요철부를 형성하게 되면서 서로 맞물리게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틀림방지를 위한 철근과 파이프와 같은 지지수단(다이웰바)을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지수판(100)의 중공체(120)를 기준으로 지지편(200)을 제거한 위치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측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므로 지수판(100)에 구성된 중공체(120)의 신축기능 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지수판 조립구조는 지지편(200)과 지수판(100)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거푸집(300)내에 고정설치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즉 지수판(100)과 지지편(200)의 조립수단으로서 지수판(100)의 본체(110) 양측에 돌출구성된 걸림돌편(121)이 지지편(200)의 걸림구(220)에 형성된 걸림홈(221)에 끼워지게 되므로 지지편(200)을 윗쪽으로 당기지 않는 한 지수판(100)으로부터 지지편(200)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견고하다.
또한 지지편(200)을 거푸집(3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종래와 같이 지지편(200)을 고정못등으로 직접 박아 고정하는 수단이 아니고 거푸집(300)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편(310) 사이의 지지홈(320)에 지지편(200)의 단부가 끼워지게 하면 되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지수판(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16에서와 같이 직선형 지지편(200) 일측에 완충고무편(400)을 위치시킬 경우에는 구조물의 신축에 따른 완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로나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 사용되는 지수판을 구성하되, 지수판의 본체 양측부에 걸림돌편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걸림돌편에 지수판 지지를 위한 지지편의 걸림부가 윗쪽에서 끼워져 조립되게 하므로서 지수판과 지지편의 조립이 매우 견고하고, 또한 지지편을 거푸집에고정하기 위한 수단도 거푸집 내측에 고정된 고정편사이의 지지홈에 끼워져 조립되므로 조립이 간편하며, 거푸집사이에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지지편 양측면에 비닐을 씌운 다음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토록하고 콘크리트 몰탈 타설후 지지편을 윗쪽으로 당겨올려 쉽게 분리시킬수 있게 되므로 지지편의 재활용으로 자재비용을 절감케 하며, 또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가 지그재그 요철형태로 시공되므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수로나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사용하는 지수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수판(100)의 중공체(120) 일측 본체(110)상에 걸림돌편(121)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걸림돌편(121)이 지지편(200) 일측 단부에 구성된 걸림구(220)의 걸림홈(221)에 끼워져 조립되게 하고, 상기 지지편(200)의 타측 단부가 거푸집(300) 내측에 결합고정되게 하므로서 지수판(100)이 거푸집내에 지지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지수판(100) 고정을 위한 지지편(200)의 본체(210)에는 요철형 절곡부(230)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지수판(100) 지지를 위한 지지편(200)의 외측 단부에 걸림돌편(121)이 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지수판(100) 고정을 위한 지지편(200) 외면에 비닐(340)을 씌운 다음 거푸집(300)내에 콘크리트 몰탈(330)을 타설하므로서 콘크리트 몰탈(330) 타설후 지지편(200)을 분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2004-0030680U 2004-10-29 2004-10-29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374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80U KR200374685Y1 (ko) 2004-10-29 2004-10-29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80U KR200374685Y1 (ko) 2004-10-29 2004-10-29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080A Division KR100684059B1 (ko) 2005-10-31 2005-10-31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685Y1 true KR200374685Y1 (ko) 2005-02-02

Family

ID=4935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80U KR200374685Y1 (ko) 2004-10-29 2004-10-29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6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1006840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374685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101573523B1 (ko) 조립식 하수관
KR1006840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43226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KR200447273Y1 (ko)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KR10053892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KR100616274B1 (ko)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JP4530978B2 (ja) 補修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水路構造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398174Y1 (ko)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KR100453717B1 (ko)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377451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101691624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20033003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JP4866271B2 (ja) 排水溝成形型枠兼目地材
KR1019151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
KR100432862B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JPH0346027Y2 (ko)
KR200226634Y1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JP4233737B2 (ja) コンクリート基板に取り付ける埋込材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KR200246054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