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481Y1 -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 Google Patents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81Y1
KR200356481Y1 KR20-2004-0007960U KR20040007960U KR200356481Y1 KR 200356481 Y1 KR200356481 Y1 KR 200356481Y1 KR 20040007960 U KR20040007960 U KR 20040007960U KR 200356481 Y1 KR200356481 Y1 KR 200356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all
flange
se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무
Original Assignee
안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무 filed Critical 안병무
Priority to KR20-2004-0007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를 통해 흐르는 물을 오수(汚水) 및 우수(雨水)로 구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판체를 소정폭의 상·하단부로 절곡시킨 플랜지와, 그 측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단턱이 형성된 측면 플랜지, 그리고, 연장 및 고정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관통시켜 구비된 원형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블록단위의 벽체로 이루어진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에 의하면 그 구성이 단순함에 따라, 제조공정상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제고 및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A wall separating a sink-hole}
본 고안은 하수구를 통해 흐르는 물을 오수(汚水) 및 우수(雨水)로 구분하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판체를 소정폭의 상·하단부로 절곡시킨 플랜지와, 그 측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단턱이 형성된 측면 플랜지, 그리고, 연장 및 고정을 위해 소정 간격으로 관통시켜 구비된 원형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블록단위의 벽체로 이루어진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 등과 같은 곳의 지하에 통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하수구는 생활하수나 오수 및 우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시켜 정화처리 한 뒤, 이것을 다시 강이나 바다 등 각종 용수원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물의 재활용은 물론, 날로 심각해지는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하수의 종말처리과정은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나날이 더해가는데 비해, 처리장의 일일 정화처리용량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이미 극에 달한 하수의 정화처리기술로부터 요구되는 용수의 공급이 점점 더 어려워짐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분야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요구에 의해 개시된 것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84310호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 등과 같은 것인데, 이것은 하수종말처리장의 일일 정화처리량이 한정적인 것을 감안하여, 하수처리장의 하수 유입과정에서 정화처리가 필요한 것과 필요없는 것으로 분리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일일 정화처리량을 늘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 제1도의 분리사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은 폐비닐을 주재료로 사출성형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부공간에 끼워지며 보강살(2a)을 갖는 보강몸체(2)와, 상기 몸체(1)를 하수구 바닥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멍(3)과, 상기 몸체(1)의 좌우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돌기(4) 및 결합홈(5)과, 상기 몸체(1)의 저면 및 좌우측에 형성된 지수홈(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에 의하면 폐비닐을 이용한 원자재의 재활용성 및 블록단위에 의한 부분적인 보수가 용이한 잇점이 있으나, 복잡한 구성으로 제조공정상 생산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진 재질적 특성상 외부적인 충격으로 파손이 잦아져 하수구의 유지관리비 등에 따른 손실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하수구의 용적비를 감안할때, 상기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의 설치용적율이 소정 비율이상 차지하게 됨으로써, 실제 하수의 유동 공간이 줄어들게되며, 이것은 다시 하수의 유동부하를 과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수의 유동부하는 실질적으로 하수구의 오수 및 우수의 분리효과를제대로 기대하기 어려운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체된 한 몸체의 소정 두께로 형성된 벽체로서, 블록단위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하수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효율을 높일수 있는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일정 두께의 판체에 있어서, 소정폭의 상·하단부를 상이한 두방향으로 절곡시킨 플랜지와, 그 측단에 소정 두께만큼 단턱을 이루는 측면 플랜지 및 연장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구비된 원형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으로, 블록단위의 벽체로 이루어진 것을 체결구로 이어서 연장되게 설치하는 것에 그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벽체 11 : 상단 플랜지
12 : 하단 플랜지 13 : 측면 플랜지
14 : 체결공 30 : 체결구
40 : 패킹 50 : 연장편
51 : 관통공 60 : 보강부재
70 : 하수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사용상태를 도 2에 도시하고, 도 3에서 벽체의 단품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사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판체로서, 소정폭의 상단부를 일측으로 절곡시켜 구비되는 상단 플랜지(11)와, 하단부를 타측으로 절곡시켜 구비된 하단 플랜지(12) 및 일측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단턱을 이루고 있는 측면 플랜지(13) 그리고, 타측단의 면 상은 물론, 상기 플랜지들(11,12,13)의 면 상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된 원형의 체결공(14)을 포함하는 단위블록의 벽체(1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10)를 하수구(70)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견고하게 지탱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상단 플랜지(11)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하단 플랜지(12)의 절곡 폭을 넓게 형성하여, 상기 하수구(70)의 바닥면과 면착되는 폭이 일정 이상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설치를 위해서는 나사식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3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30)는 상기 벽체(10)의 체결공(14)으로 결합되어, 블록단위체인 상기 벽체(10)를 하수 분리벽 설치구간에 맞게 그 길이를 연장하거나, 하수의 유동 수위에 따라 그 높이를 늘일뿐만 아니라, 하수구(70)의 바닥에 상기 벽체(10)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장된 상기 벽체(10)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 및 상기 벽체(10)가 고정된 하수구(70)의 바닥과 하단 플랜지(12) 사이에는 고무재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4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벽체(10)에 의해 분리되어유동하는 하수가 상기 벽체(10)의 이음 경계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부수적인 구성으로써, 상기 벽체(10)의 상단 플랜지(11)에 구비된 체결공(14)으로 상기 체결구(14)에 의해 결합되도록 연장편(50)이 마련된다.
상기 연장편(50)은 상기 벽체(10)와 마찬가지로 일체된 한 몸체로 형성되며, 소정폭에 해당하는 상·하단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시킨 것으로, 그 중앙을 경계로 상·하 및 좌·우 형상이 대칭되고, 그 절곡면 상에는 상기 상단 플랜지(11)면 상의 체결공(14)과 일치하는 관통공(51)을 구비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하수구(70)에 설치된 본 고안에 의한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높이가 상기 하수구(70)의 수위보다 낮을때, 상기 벽체(10)의 상단 플랜지(11)에 구비된 체결공(14)과 상기 관통공(5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0)를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그 높이를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벽체(10)의 상단 플랜지(11)로 상기 연장편(50)을 결합할 때, 상기 상단 플랜지(11)의 상면에 연접하는 상기 연장편(50)의 절곡면 사이에는 상기 패킹(40)을 삽입하여 분리된 하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체(10)에 상기 연장편(50)을 결합하여 그 높이를 높인다거나 상기 하수구(70)의 바닥에 매몰되어 있는 체결구(30)에 상기 하단 플랜지(12)의 체결공(14)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체결구(30)에 걸리는 외부적인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에 대한 강구책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에는 상기 하단 플랜지(12)가 형성된 벽체(10)의 반대편에 소정폭으로 맞닿으며, 그 일측이 절곡되어 상기 하수구(70)의 바닥에 매몰된 체결구(30)로 고정되는 보강부재(6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60)는 유동하는 하수의 유체압력으로부터 유발되는 상기 벽체(10)의 변형은 물론, 상기 벽체(10) 및 상기 연장편(50)의 자중에 의한 변형을 완화시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시공순서에 맞춰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블록단위의 일체형 몸체로 이루어진 판체로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 하수구(70)의 폭을 고려할때, 한쪽 방향으로만 생활오수 및 공업용 오수 등이 유입되는 곳에는 중앙 분리벽으로 설치함은 물론, 양방향으로 각종 오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분리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에 의해 상기 하수구(70) 안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을 종래 하수구(70)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하수구(70)의 폭과 오수유입형태 등을 파악하여 설치계획을수립하여야 하며, 수립된 계획에 따라 상기 하수구(70)의 바닥청소와 더불어 하수구(70)의 바닥면에 분리벽을 고정하는 체결구(30) 즉, 볼트 등을 매몰시켜 고정하고, 동시에 바닥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작업 이후에 본격적인 본 고안에 의한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의 설치가 이루어지는데, 평탄하게 정리된 상기 하수구(70)의 분리벽 설치면에 상기 패킹(40)을 덮은 후, 선행작업으로 고정된 상기 체결구(30)로 상기 하단 플랜지(12)의 체결공(14)을 결합하고, 볼트와 짝을 이루는 너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하수구(70)의 내부 공간을 상기 벽체(10)로 간편하게 이등분 또는 삼등분으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10)의 횡방향 길이를 상기 하수구(70) 내의 분리벽 설치구간만큼 늘이기 위해서는, 상기 벽체(10)의 측면 플랜지(13)와 또다른 벽체(10)의 타측단 사이에 상기 패킹(40)을 삽입하고,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연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수구(70)의 오수 및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벽체(10)의 상단 플랜지(13)와 상기 연장편(50)의 절곡면 사이에 상기 패킹(40)을 삽입한 후, 양면에 형성된 체결공(14) 및 관통공(51)을 일치시켜 상기 체결구(30)로 결합함으로써, 그 높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벽체(10)의 하단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측으로 일측이 절곡된 "ㄴ"자형 보강부재(60)를 상기 하수구(70)의 바닥에 매몰된 체결구(30)로 결합 고정하여, 상기 벽체(10)에 부가적인 지지력이 인가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으로 내부 공간이 분리된 하수구(70)는 오수 및 우수를 각각 따로 나눠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게 됨으로, 하수처리과정에서 과중되는 하수처리용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상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이 제고됨은 물론,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간편한 시공으로 공기(工期)를 단축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하수구의 유지관리비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판체로서, 소정폭의 상단부를 일측으로 절곡시켜 구비된 상단 플랜지(11), 소정폭의 하단부를 타측으로 절곡시켜 구비된 하단 플랜지(12) 및 일측단에 소정의 두께만큼 단턱을 이루고 있는 측면 플랜지(13) 그리고, 타측단과 상기 플랜지들(11,12,13)의 면 상에 소정 간격으로 관통된 원형의 체결공(14)을 포함하는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체결공(14)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0)를 하수구(70) 바닥에 고정시키거나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체결하는 체결구(30)와;
    상기 벽체(10)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어 누수로 인한 분리된 하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패킹(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0)와 마찬가지로 일체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정폭의 상·하단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시켜 중앙을 경계로 대칭되게 형성하되, 그 절곡면 상에는 상기 체결공(14)과 일치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된 연장편(50)이 구비되어, 상기 하수구(70)의 유량에 따라 상기 벽체(10)의 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0)의 하단 플랜지(12)가 형성된 반대편에 소정폭으로 면착되며, 일측이 절곡되어 상기 하수구(70)의 바닥에 고정된 보강부재(60)를 더 구성하여 상기 벽체(10)의 높이에 따른 지지력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KR20-2004-0007960U 2004-03-23 2004-03-23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KR200356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960U KR200356481Y1 (ko) 2004-03-23 2004-03-23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960U KR200356481Y1 (ko) 2004-03-23 2004-03-23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524A Division KR100646039B1 (ko) 2004-03-23 2004-03-23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481Y1 true KR200356481Y1 (ko) 2004-07-15

Family

ID=4943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960U KR200356481Y1 (ko) 2004-03-23 2004-03-23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38B1 (ko) * 2016-10-25 2018-05-17 김현숙 오우수 분리벽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38B1 (ko) * 2016-10-25 2018-05-17 김현숙 오우수 분리벽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903B1 (ko)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20060126132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0651635B1 (ko) 프리 캐스트 박스 암거
KR100810424B1 (ko) 상단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200356481Y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KR100646039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KR20140136687A (ko) 조립식 하수관
KR200272596Y1 (ko) 조립식 암거블럭
KR100810425B1 (ko) 측면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KR200302234Y1 (ko) 배수관용 슬리브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0389373Y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101012226B1 (ko) 하수관거의 오수 및 우수 분리벽 어셈블리
KR100637478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구
KR200461040Y1 (ko) 이종소재의 접속관이 일체로 성형된 맨홀
KR20050021422A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02141Y1 (ko) 맨홀 뚜껑 구조물
JP5041921B2 (ja) 排水ポンプ装置
KR200284854Y1 (ko) 오수차단블럭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950010335Y1 (ko) 배수구용 에프.아르.피.(f.r.p.) 경사문틀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