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32B1 - 교량 선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선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32B1
KR101994832B1 KR1020180103986A KR20180103986A KR101994832B1 KR 101994832 B1 KR101994832 B1 KR 101994832B1 KR 1020180103986 A KR1020180103986 A KR 1020180103986A KR 20180103986 A KR20180103986 A KR 20180103986A KR 101994832 B1 KR101994832 B1 KR 10199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elete delete
water collecting
pip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용 filed Critical 이지용
Priority to KR102018010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 상판의 방호벽에 매립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전면이 상기 방호벽 표면과 일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집수유로가 형성된 선 배수 집수부, 상기 방호벽 내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일측이 상기 선 배수 집수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방호벽 외부로 노출된 횡배수부 및 상기 횡배수부 타측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 상판 측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교량 상판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는 종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 배수 집수부는, 전면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 상기 종배수부가 연결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몸체, 상기 집수몸체 상면과 하면에서 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호벽 내부에 걸리는 이탈방지편 및 상기 이탈방지편에 체결되어 상기 방호벽의 철근과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 선 배수 장치{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본 발명은 교량 선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는 상판, 상판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방호벽 및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 또는 방호벽에는 우수, 오물 따위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장치는 상판의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 집수부, 상판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집수부들을 연결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판의 우수는 집수부로 유입되어 배수관을 통해 교량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낙엽, 쓰레기, 모래 따위의 오물이 배수관 내부에 쌓이게 되면서 배수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했다. 이때 배수관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에, 상판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집수관, 상판 측면에 배치된 배수관 및 집수관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선 배수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판의 우수는 집수관으로 유입되어 연결관을 통해 배수관에 유입되어 배수관을 통해 교량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관이 경우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청소가 용이하다. 그러나 자동차 등이 주행하면서 상판에 가해지는 진동이 배수관에 전달되면서 배수관이 상판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집수관 또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상판에서 들떠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등록특허 제10-1088163호 (2011.11.23.) 등록특허 제10-0889995호 (2009.03.16.)
본 발명은 교량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교량 상판에 가해지는 진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교량 선 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는, 교량 상판의 방호벽에 매립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전면이 상기 방호벽 표면과 일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집수유로가 형성된 선 배수 집수부, 상기 방호벽 내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일측이 상기 선 배수 집수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방호벽 외부로 노출된 횡배수부 및 상기 횡배수부 타측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 상판 측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교량 상판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는 종배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 배수 집수부는, 전면 상부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 상기 종배수부가 연결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몸체, 상기 집수몸체 상면과 하면에서 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호벽 내부에 걸리는 이탈방지편 및 상기 이탈방지편에 체결되어 상기 방호벽의 철근과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몸체의 전면 하부측과 하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는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은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배면 하부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집수몸체 하면은 이웃한 배수홀 사이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배수홀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선 배수 집수부는, 상기 집수몸체의 개방된 전면에 배치된 그레이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그레이팅이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그레이팅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그레이팅이 상기 집수유로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부는, 상기 상판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들 두고 복수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현수 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횡배수부 타측 아래에 위치한 종배수몸체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판의 진동이 상기 종배수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고무일 수 있다.
상기 종배수몸체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측면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바닥측면 연결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된 현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수부재는, 하부에 상기 측면부재 상부측이 삽입되는 측면 상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수부재 상부는 반원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걸림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 측면과 접하여 고정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부 부식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로드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횡배수부는, 이웃한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 배수 집수부와 상기 종배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횡배수부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수몸체 배면에서 상기 배수홀과 연결된 연결관 및 일단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상판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배수부와 연결된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과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방호벽 내부에서 상기 상판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부는, 상기 배수홀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몸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일측이 상기 방호벽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 상부는 상기 방호벽에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상판에 위치한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 타측과 상기 종배수부를 연결하며 구부러져 있는 외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종배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부 직경은 넓어질 수 있다.
상기 교량 선 배수 장치는, 상기 종배수부 일단과 타단을 막는 막음부재 및 상기 종배수부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종배수부의 우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지면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배수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교량 선 배수 장치는, 상기 선 배수 집수부의 집수유로, 상기 종배수부의 배수유로에 이동할 수 있게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유로의 둘레와 상기 배수유로의 둘레를 긁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손잡이가 형성된 스크래퍼 몸체 및 상기 스크래퍼 몸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둘레와 접할 수 있으며 이동 시 휘어질 수 있는 긁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 배수 집수부는 이탈방지편이 방호벽 내부에 걸려 있고 결속부재가 철근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방호벽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판을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 방호벽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교량 선 배수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몸체의 하면이 전후방향과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집수유로로 유입된 우수는 집수유로에 고이지 않고 배수홀을 통해 횡배수부로 완전하게 배수될 수 있다. 이에 우수가 집수유로에 고이면서 발생하는 악취 발생, 해충 서식 따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의 내부둘레 지름은 집수몸체에서 종배수부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배출관의 배출부위 내부둘레 지름이 유입부위 내부둘레 지름보다 커 배출관으로 유입된 우수의 배출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은 로드의 절단면인 타단에 결합되어 있어 우수가 절단면과 접하지 않는다. 이에 타단이 우수 따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은 로드 내부로 먼지, 모래 따위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로드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흡수부재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진동흡수부재는 상판에서 진동, 충격 등이 종배수몸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종배수몸체가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지지부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배수부의 확장관은 하부 수직관으로 유입된 우수가 지면에 수직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에 의해 지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교각 주변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래퍼에 의해 집수유로의 둘레 및 배수유로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우수의 배수 효율이 증가하여 교량 선 배수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교량 선 배수 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배수 집수부 확대도.
도 4는 도 2 배수 집수부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6는 도 2의 종배수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종배수몸체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지면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량 선 배수 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수 집수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 배수 집수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는 도 2의 종배수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종배수몸체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2의 지면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 배수 장치(100)는, 교량(1)의 방호벽(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판(1a)의 우수를 교량(1) 외부로 배수한다. 교량 선 배수 장치(100)는 선 배수 집수부(10), 횡배수부(20), 종배수부(30), 막음부재(40) 및 지면배수부(50)를 포함하며 교량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교량 상판에 가해지는 진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선 배수 집수부(10)는 방호벽(2) 내부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판(1a)의 우수는 선 배수 집수부(10)로 유입될 수 있다. 횡배수부(20)는 방호벽(2)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횡배수부(20)의 일측은 선 배수 집수부(1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판(1a)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선 배수 집수부(10)로 유입된 우수는 횡배수부(20)로 유입되어 교량(1) 외부로 배수된다. 종배수부(30)는 상판(1a) 측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횡배수부(20)에서 배수되는 우수가 유입된다. 종배수부(30)는 유입된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한다. 막음부재(40)는 종배수부(30) 일단을 막고 있다. 지면배수부(50)는 종배수부(30)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종배수부(30)의 우수가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막음부재(40)와 지면배수부(50)는 생략될 수 있다.
선 배수 집수부(10)는 집수몸체(11), 이탈방지편(12) 및 결속부재(13)를 포함한다.
집수몸체(11)는 복수의 면을 가지며 방호벽(2)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집수몸체(11) 전면은 상판(1a)의 포장면(1b)과 연결된 방호벽(2)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집수몸체 전면(11a) 상부측에는 그레이팅(14)이 설치되는 개방홀(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1a)의 우수는 그레이팅(14)의 유입홀(14a)을 통해 집수몸체(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집수몸체(11) 내부에는 유입된 우수가 유동하는 집수유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레이팅(14)에 의해 낙엽, 쓰레기 따위의 부피가 큰 오물이 집수유로(111)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포장면(1b)과 일치하는 집수몸체(11)의 개방홀(11b) 하부둘레에는 그레이팅(14)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집수몸체(11)의 개방홀(11b) 상부둘레에는 그레이팅(14)의 상부 내측을 지지하는 밀림방지편(114)이 하부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레이팅(14) 상부 내측과 밀림방지편(114)이 접한 상태에서 체결수단(14b)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레이팅(14)의 하부가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있고 상부가 밀림방지편(11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레이팅(14)은 집수유로(111)로 밀리지 않는다.
집수몸체(11)의 배면(11d)에는 집수유로(111)로 유입된 우수가 배수되는 배수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홀(112)은 집수몸체(11)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집수몸체(11)의 전면(11a)과 하면(11c)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곡면부(11e)로 형성되어 있다. 집수몸체(11)의 하면(11c)은 곡면부(11e)에서 배면(11d)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하면(11c)은 이웃한 배수홀(112) 사이의 중심(111c)을 기준으로 배수홀(11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집수몸체(11)의 하면은 전후방향과 중심(111c)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진 하면(11c)에 의해 집수유로(111)로 유입된 우수는 집수유로(111)에 고이지 않고 배수홀(112)을 통해 횡배수부(20)로 완전하게 배수될 수 있다. 우수가 집수유로(111)에 고이면서 발생하는 악취 발생, 해충 서식 따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편(12)은 집수몸체(11)의 배면(11d) 상하부측에서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탈방지편(12)이 방호벽(2) 내부에 걸려 있어 집수몸체(11)는 방호벽(2) 내부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결속부재(13)는 이탈방지편(12)에 각각 결합되어 방호벽(2)을 보강하는 철근(2a)과 연결되어 있다. 결속부재(13)와 철근(2a)은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결속끈 따위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 배수 집수부(10)는 이탈방지편(12)이 방호벽(2) 내부에 걸려 있고 결속부재(13)가 철근(2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방호벽(2)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상판(1a)을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 방호벽(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교량 선 배수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아진다.
횡배수부(20)는, 연결관(21), 완충부재(23) 및 배출관(22)을 포함하며 선 배수 집수부(10)에 집수된 오수를 상판(1a) 외부 즉, 집수몸체(11) 외부로 배출한다.
연결관(21)은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으며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21)의 내부는 배수홀(112)과 연결되며 플랜지(211)는 집수몸체(11) 배면 외측과 접하고 있다. 플랜지(211)와 집수몸체(11)는 체결수단(211a)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연결관(21)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판(1a) 측면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연결관(21)의 타측은 방호벽(2) 내에 위치한다.
완충부재(23)는 플랜지(211)와 집수몸체(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23)는 체결수단(211a)의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211)와 집수몸체(11)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완충부재(23)는 집수몸체(11)와 플랜지(211)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 오수가 집수몸체(11)와 플랜지(21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완충부재(23)는 상판(1a)에서 전달되는 진동, 충격 따위를 흡수하여 횡배수부(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배출관(22)은 내부관(221) 및 외부관(222)을 포함한다.
내부관(22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내부관(221)의 일측은 연결관(21)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판(1a)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내부관(221)의 내부는 연결관(21) 내부를 통해 배수홀(112)과 연결되어 있다. 집수유로(111)의 오수는 배수홀(112) 및 연결관(21) 내부를 통해 내부관(2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내부관(221)으로 유입된 오수가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내부관(221)은 경사져 있다. 이에 내부관(221) 일측은 연결관(21)과 연결된 상태에서 방호벽(2)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타측은 기설정된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측은 방호벽(2)에 위치하고 하부측은 상판(1a)에 위치한다.
외부관(222)은 내부관(221)의 길이를 연장하면서 지면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외부관(222)의 일측은 내부관(221)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구부러져 있다. 외부관(222)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관(221)으로 유입된 우수는 외부관(222) 내부를 통해 배수된다.
연결관(21)과 내부관(221), 내부관(221)과 외부관(2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중첩되어 있다. 중첩된 부분에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체결되어 연결관(21)과 내부관(221)이 결합되고, 내부관(221)와 외부관(222)이 상판(1a)에서 전달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배출관(22)의 내부둘레 지름은 집수몸체(11)에서 종배수부(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배출관(22)의 배출부위 내부둘레 지름이 유입부위 내부둘레 지름보다 커 배출관(22)으로 유입된 우수의 배출효율이 향상된다.
종배수부(30)는 지지부(31), 종배수몸체(33), 결합부재(32) 및 진동흡수부재(335)를 포함하며, 외부관(222) 아래에 위치하여 상판(1a)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종배수부(30)는 상판(1a)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외부관(222)에서 배수되는 우수가 유입된다. 이에 상판(1a)의 우수가 유입홀(14a)을 통해 집수유로(111)로 유입된 후 횡배수부(20)들을 통해 상판(1a) 외부로 배수되어 종배수부(30)에 모인다.
지지부(31)는 플레이트(311), 로드(312) 및 캡(313)을 포함하며, 이웃한 횡배수부(20) 타측 사이에 위치한다.
플레이트(311)는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볼트 따위의 체결수단으로 상판(1a)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311)와 상판(1a) 측면 사이에는 상판(1a)에서 전달되는 진동, 충격 따위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로드(3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일단이 플레이트(311)와 결합되어 있다. 로드(312)와 플레이트(311)는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로드(31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결합홀(312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312a)은 로드(312)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결합홀(312a)은 로드(312)의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캡(313)은 플라스틱,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313)은 로드(312) 타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우수 따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313)는 로드(312) 내부로 먼지, 모래 따위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결합부재(3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한다. 볼트는 로드(312) 아래에서 결합홀(312a)을 관통하며 그 단부가 로드(312)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볼트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있다. 너트는 로드(312) 상면에 접하고 있으며 볼트 체결 정도에 따라 볼트 머리와 로드 하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종배수몸체(33)는 바닥부재(331), 측면부재(332), 바닥측면 연결부재(333) 및 현수부재(334)를 포함하며 횡배수부(20)에서 배수되는 우수가 모이는 배수유로(33a)를 형성한다.
바닥부재(331), 측면부재(332), 바닥측면 연결부재(333) 및 현수부재(334)는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바닥부재(331), 측면부재(332), 바닥측면 연결부재(333) 및 현수부재(334) 사이에는 우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바닥부재(331)는 배수유로(33a)의 바닥을 이루며 기설정된 길이와 넓이를 갖는다. 측면부재(332)는 배수유로(33a)의 측면을 이루며 기설정된 길이와 넓이를 갖는다. 측면부재(332)는 바닥부재(331)와 분리되어 있다. 바닥부재(331)의 넓이와 측면부재(332)의 넓이는 우수 처리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교량 선 배수 장치(100)가 설치되는 교량에 따라 바닥부재(331)와 측면부재(332)의 넓이는 달라질 수 있다. 바닥부재(331)의 넓이에 따라 결합홀(312a)에 위치한 결합부재(32)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바닥부재(331)의 넓이가 넓어질수록 한 쌍의 결합부재(32) 간격은 벌어지고, 넓이가 줄어들수록 한 쌍의 결합부재(32) 간격은 좁혀질 수 있다.
바닥측면 연결부재(333)는 바닥부재(331)와 측면부재(332)를 연결한다. 바닥측면 연결부재(333)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바닥측면 연결부재(333)의 일측은 배수유로(33a)의 바닥 가장자리를 이루며 타측은 배수유로(33a)의 측면 하부를 이룬다.
바닥측면 연결부재(333) 일측에는 바닥부재(331)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바닥 삽입홈(3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측면부재(332) 하부측이 삽입되는 측면 하부 삽입홈(333b)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측면 연결부재(333)는 바닥 삽입홈(333a)과 측면 하부 삽입홈(333b)을 이루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외측면의 길이는 내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 삽입홈(333a)을 이루는 외측면은 바닥부재 하면을 지지하며, 내측면은 바닥부재 상면을 지지한다.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닥부재(331)는 바닥 삽입홈(333a)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기밀부재는 바닥 삽입홈(333a)의 둘레와 측면 하부 삽입홈(333b) 둘레에 위치한다.
현수부재(334)는 측면부재(332) 상부측과 결합되어 결합부재(32)와 연결되어 있다. 현수부재(334)의 하부에는 측면부재(332) 상부측이 삽입 고정되는 측면 상부 삽입홈(334a)이 형성되어 있다.
현수부재(334)는 측면 상부 삽입홈(334a)을 이루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내측면의 길이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현수부재의 내측면은 측면부재의 내측면 상부를 지지하며 외측면은 측면부재의 외측면 상부를 지지한다. 측면부재는 현수부재(334)의 내측면과 바닥측면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측면 상부 삽입홈(334a) 둘레에 기밀부재가 위치한다.
현수부재(334) 상부는 반원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부(334b)를 이룬다. 결합부재(32)의 머리는 걸림부(334b) 내부에 위치한다. 결합부재(32)는 걸림부(334b)를 관통하여 결합홀(312a)로 삽입된다.
진동흡수부재(335)는 걸림부(334b) 내부에 위치하여 걸림부(334b)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진동흡수부재(335) 걸림부(334b)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걸림부(334b) 내부둘레와 접하고 있다. 결합부재(32)는 진동흡수부재(335)를 관통한다. 결합부재(32)의 머리는 진동흡수부재(335) 하부에 걸려 있다. 그러나 진동흡수부재(335)는 걸림부(334b) 외부와 로드(312)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335)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335)는 상판(1a)에서 전달되는 진동, 충격 등이 종배수몸체(3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진동, 충격 등에 의해 지지부(31)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진동흡수부재(335)를 고무로 하였으나, 진동흡수부재(335)는 스프링 따위로 형성되어 진동, 충격 따위를 흡수하여 종배수몸체(3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종배수부(30)의 종배수몸체(33)는 결합부재(32)의 조절로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배수유로(33a)로 유입된 오수는 종배수몸체(33) 타단으로 흐를 수 있다.
막음부재(4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막음부재(40)는 종배수부(30)의 종배수몸체(33)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어 종배수몸체(33)의 양 단부를 막는다.
지면배수부(50)는 상부 수직관(51), 경사관(52), 하부 수직관(53) 및 확장관(54)을 포함하며 배수유로(33a)의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한다.
상부 수직관(51)은 종배수몸체(33)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부 수직관(51)의 내부가 배수유로(33a)와 연결되어 있어 배수유로(33a)의 우수는 상부 수직관(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경사관(52)은 상부 수직관(51)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부 수직관(51)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경사관(52)은 상부 수직관(51)의 가상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다. 경사관(52)은 상부 수직관(51)의 우수가 지면에 바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경사관(52)의 각도는 교량에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경사관(52)은 교량의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하부 수직관(53)은 경사관(52)과 연결되어 있다. 하부 수직관(53)은 교량(1)의 교각에 고정되어 있다. 경사관(52)이 생략된 경우 하부 수직관(53)은 상부 수직관(51)과 바로 연결될 수 있다.
경사관(52)과 상부 수직관(51)을 연결하는 곡관과, 경사관(52)과 하부 수직관(53)을 연결하는 곡관의 일부분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장관(54)은 하부 수직관(53)과 결합되어 있다. 확장관(54)의 내부둘레는 지름은 하부 수직관(53)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확장관(54)은 하부 수직관(53)으로 유입된 우수가 지면에 수직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에 의해 지면이 파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스크래퍼를 더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스크래퍼(60a, 60b)는 선 배수 집수부(10)의 집수유로(111) 및 종배수부(30)의 배수유로(33a)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스크래퍼(60a, 60b)는 집수유로(111) 및 배수유로(33a)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집수유로(111)의 둘레와 배수유로(33a)의 둘레를 긁어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스크래퍼(60a, 60b)는 스크래퍼 몸체(61a, 61b) 및 긁음부재(63a, 63b)를 포함한다.
스크래퍼 몸체(61a, 61b)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각 둘레의 넓이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스크래퍼 몸체(61a, 61b)는 금속, 플라스틱 따위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래퍼 몸체(61a, 61b)에는 손잡이(62a, 62b)가 형성되어 있다. 집수유로(111)에 위치하는 스크래퍼(60a)의 손잡이(62a)는 집수몸체(11)의 개방홀(11b)을 통해 집수몸체(1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손잡이(62a, 62b)를 잡고 스크래퍼 몸체(61a, 61b)를 유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긁음부재(63a, 63b)는 스크래퍼 몸체(61a, 61b)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각 둘레와 접하고 있다. 긁음부재(63a, 63b)는 스크래퍼 몸체(61a, 61b) 이동 시 스크래퍼 몸체(61a, 61b) 이동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스크래퍼 몸체(61a, 61b) 이동으로 긁음부재(63a, 63b)는 각 둘레를 긁으며 둘레에 흡착된 이물을 긁어낸다. 집수유로(111)의 이물질은 배수홀을 통해 횡배수부(20)로 유입되어 종배수부(30)로 배출된다. 배수유로(33a)의 이물질은 스크래퍼(60b)에 의해 종배수몸체(33) 타단으로 이동하여 지면배수부(50)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에 의해 집수유로(111)의 둘레 및 배수유로(33a) 둘레에 흡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우수의 배수 효율이 증가하여 교량 선 배수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교량 1a: 상판
1b: 포장면 2: 방호벽
2a: 철근
100: 교량 선 배수 장치 10: 선 배수 집수부
11: 집수몸체 11a: 전면
11b: 개방홀 11c: 하면
11d: 배면 11e: 곡면부
111: 집수유로 111c: 중심
112: 배수홀 113: 삽입홈
114: 밀림방지편 12: 이탈방지편
13: 결속부재 14: 그레이팅
14a: 유입홀 14b: 체결수단
20: 횡배수부 21: 연결관
211: 플랜지 211a: 체결수단
22: 배출관 221: 내부관
222: 외부관 23: 완충부재
30: 종배수부 31: 지지부
311: 플레이트 312: 로드
312a: 결합홀 313: 캡
32: 결합부재 33: 종배수몸체
33a: 배수유로 331: 바닥부재
332: 측면부재 333: 바닥측면 연결부재
333a: 바닥 삽입홈 333b: 측면 하부 삽입홈
334: 현수부재 334a: 측면 상부 삽입홈
334b: 걸림부 335: 진동흡수부재
40: 막음부재 50: 지면배수부
51: 상부 수직관 52: 경사관
53: 하부 수직관 54: 확장관
60a, 60b: 스크래퍼 61a, 61b: 스크래퍼 몸체
62a, 62b: 손잡이 63a, 63b: 긁음부재

Claims (16)

  1. 교량 상판의 방호벽에 매립되어 상기 방호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전면이 상기 방호벽의 표면과 일치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집수유로가 형성된 선 배수 집수부, 상기 방호벽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방호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일측은 상기 선 배수 집수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방호벽의 외부로 노출된 횡배수부, 상기 횡배수부의 타측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교량 상판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는 종배수부, 상기 종배수부의 일단과 타단을 막는 막음부재, 상기 종배수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종배수부의 우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지면배수부 및 상기 선 배수 집수부의 집수유로, 상기 종배수부의 배수유로에 이동할 수 있게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유로의 둘레와 상기 배수유로의 둘레를 긁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선 배수 집수부는, 전면 상부측이 개방되어 상기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 상기 횡배수부가 연결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집수몸체, 상기 집수몸체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호벽 내부에 걸리는 이탈방지편(12) 및 상기 이탈방지편(12)에 체결되어 상기 방호벽의 철근과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몸체의 전면(11a) 하부측과 하면(11c)을 연결하는 모서리는 곡면부(11e)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면(11c)은 상기 곡면부(11e)에서 상기 배면의 하부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집수몸체의 하면(11c)은 이웃한 배수홀(112) 사이 중심(111c)을 기준으로 상기 배수홀(112)을 향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횡배수부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수몸체의 배면에서 상기 배수홀과 연결된 연결관, 상기 배수홀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몸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완충부재, 상기 집수몸체의 배면, 상기 완충부재,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수단 및 일단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상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배수부와 연결된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집수몸체 사이에서 압착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방호벽 내부에서 상기 상판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관의 내부 직경은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종배수부의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상기 종배수부는, 상기 상판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들 두고 복수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현수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횡배수부의 타측 아래에 위치한 종배수몸체 및 고무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판의 진동이 상기 종배수몸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몸체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측면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면부재를 연결하는 바닥측면 연결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된 현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부재는, 하부에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측이 삽입되는 측면 상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현수부재 상부는 반원 형태로 구부러져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걸림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측면과 접하여 고정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부식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로드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은, 일측이 상기 방호벽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 상부는 상기 방호벽에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상판에 위치한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타측과 상기 종배수부를 연결하며 구부러져 있는 외부관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는 손잡이가 형성된 스크래퍼 몸체 및 상기 스크래퍼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둘레와 접할 수 있으며 이동 시 휘어질 수 있는 긁음부재를 포함하는
    교량 선 배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103986A 2018-08-31 2018-08-31 교량 선 배수 장치 KR10199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86A KR101994832B1 (ko) 2018-08-31 2018-08-31 교량 선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86A KR101994832B1 (ko) 2018-08-31 2018-08-31 교량 선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32B1 true KR101994832B1 (ko) 2019-07-01

Family

ID=6725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86A KR101994832B1 (ko) 2018-08-31 2018-08-31 교량 선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916B1 (ko) * 2021-06-15 2021-12-09 진효순 교량용 배수시설
KR102346723B1 (ko) *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KR102348400B1 (ko) * 2020-09-28 2022-01-07 그린로드(주)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KR20220022607A (ko) 2020-08-19 2022-02-28 김정년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220040619A (ko) * 2020-09-24 2022-03-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KR102390199B1 (ko) * 2021-08-26 2022-04-25 이지용 교량 배수 시스템
KR102640239B1 (ko) * 2022-11-16 2024-02-2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집수구 3단 분리형 교량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676271B1 (ko) * 2022-07-25 2024-06-19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선배수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5B1 (ko) 2008-09-05 2009-03-25 (주)신승이앤씨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088163B1 (ko)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124694B1 (ko) *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001B1 (ko)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533930B1 (ko) * 2014-07-02 2015-07-03 고재용 교량용 선배수 시스템
KR20150106069A (ko)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68903B1 (ko) *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5B1 (ko) 2008-09-05 2009-03-25 (주)신승이앤씨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088163B1 (ko)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124694B1 (ko) *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001B1 (ko) *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20150106069A (ko)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33930B1 (ko) * 2014-07-02 2015-07-03 고재용 교량용 선배수 시스템
KR101768903B1 (ko) *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607A (ko) 2020-08-19 2022-02-28 김정년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220040619A (ko) * 2020-09-24 2022-03-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KR102561226B1 (ko) * 2020-09-24 2023-07-31 삼우엠텍(주) 교량 선배수 시스템
KR102348400B1 (ko) * 2020-09-28 2022-01-07 그린로드(주)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KR102346723B1 (ko) *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KR102337916B1 (ko) * 2021-06-15 2021-12-09 진효순 교량용 배수시설
KR102390199B1 (ko) * 2021-08-26 2022-04-25 이지용 교량 배수 시스템
KR102676271B1 (ko) * 2022-07-25 2024-06-19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선배수 장치
KR102640239B1 (ko) * 2022-11-16 2024-02-2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집수구 3단 분리형 교량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32B1 (ko) 교량 선 배수 장치
KR10099440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544754B1 (ko) 도로 집진 배수구
KR102027469B1 (ko)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1263000B1 (ko)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US20180304177A1 (en) Connector pipe screen
JP5537530B2 (ja) 道路集水桝用蓋板
KR101337024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10073328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배수로 구조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KR20140081280A (ko) 이물질 수거장치를 갖는 맨홀
KR100715444B1 (ko)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2093866B1 (ko)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KR200348194Y1 (ko) 우, 오수받이용 뚜껑
JP6257014B1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部品
KR20110077134A (ko) 도로용 빗물받이
JP2005307473A (ja) 排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