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444B1 -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 Google Patents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444B1
KR100715444B1 KR1020050115597A KR20050115597A KR100715444B1 KR 100715444 B1 KR100715444 B1 KR 100715444B1 KR 1020050115597 A KR1020050115597 A KR 1020050115597A KR 20050115597 A KR20050115597 A KR 20050115597A KR 100715444 B1 KR100715444 B1 KR 10071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ainwater
inlet
trap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11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옥에서 나오는 오수와 우수를 통합적(상,하분리)으로 받아 이를 도로 측구로부터 연결되는 우수관과 오수관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되, 우수관과 오수관의 매설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독립된 몸체의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고유역할 외에 오수의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찌꺼기가 고이지 않도록 하고, 우수 및 오수받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우수 및 오수받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어 생활오수를 유입하는 직선부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오수의 일부가 체류될 수 있도록 반호형상으로 형성된 트랩 몸체; 및
상기 출구의 양 측단면에 오수의 흐름이 한 곳으로 이루어지도록 흐름차단격벽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출구의 높이(P)는 트랩 몸체 전체 높이(L)보다 낮은 위치에 이르도록 'J'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을 덧 구성한 것이다.
높이조절, 취기방지트랩, 흐름차단격벽

Description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WATER TRAP PREVENTING STENCH BACKWARD}
도 1은 종래 우수 및 오수받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우수 및 오수받이의 역할을 표현하기 위해 배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수 및 오수받이의 역할을 표현하기 위해 배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방지트랩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취기방지트랩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 10a, 10b: 몸체,
11: 패킹부재, 12: 우수 집수통,
13: 우수 방류관, 13a: 편락관
17: 취기방지트랩, 17a: 트랩 몸체,
17b: 흐름차단격벽 17c: 입구,
17d : 출구 18: 측구 우수 유입구,
삭제
19a: 제 1차단망, 19b: 제 2차단망,
19c: 그레이팅, 21: 우수 연결관,
31: 오수 연결관, 40: 높이조절부재,
본 발명은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옥에서 나오는 오수와 우수를 통합적(상,하분리)으로 받아 이를 도로 측구로부터 연결되는 우수관과 오수관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되, 우수관과 오수관의 매설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독립된 몸체의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고유역할 외에 오수의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찌꺼기가 고이지 않도록 하고, 우수 및 오수받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수 관거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단독주택이나 상가에서 나오는 오수와 비가 내리면서 노면에 고이게 되는 우수를 통합적으로 받아 지하에 매설되어 하수처리장으로 흐름을 안내하는 하수관과, 도로의 측구와 연결된 우수관에 각각 연결되도록 통합형 오수 및 우수받이가 해당 단독주택이나 상가 근처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막혀있는 원통형의 몸체(110) 상부에는 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우수 집수통(120)이 구획되고, 그 우수 집수통(120)의 하부로부터 측부를 관통하여 우수관(200)과 연결하기 위한 우수 연결관(210)과 연결되도록 엘보우관 형태의 우수 방류관(130)이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주택이나 상가의 화장실에서 방류되는 분뇨나 주방 및 세탁오수를 오수관(300)으로 바로 배수시키기 위해 옥내 오수관(320)과 오수 연결관(310)에 각각 연결되는 유입구(140) 및 배수구(150)가 일정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주방 및 세탁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옥내 오수관(320)과의 연결은 오수의 악취를 우수 및 오수받이에서 발생되지 않도록 'U'자형 취기방지트랩(170)에 의해 마감되며, 상기 몸체(110)의 최하부에는 유입되는 오수의 배수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곡된 경사면을 갖는 인버트(160)가 배치되며, 하나의 몸체(110)에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과 오수를 관장하는 부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취기방지트랩은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은 달성될 수 있지만, 'U'자 형태로 벤딩된 방취부분이 상대적으로 깊고, 오수가 배출되는 부분은 그 오수가 사방으로 퍼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수의 유속이 그다지 크지 않을 때 오수 찌꺼기의 배출상태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또한 종래의 취기방지트랩은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유입구 상에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육안이나 CCTV를 이용한 내부검사를 하려고 할 때 고정된 취기방지트랩에 가려 오수받이 부분이 보이지 않아 검사가 불가능하여 하부 오수받이부 유지관리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옥에서 나오는 오수와 우수를 통합적(상,하분리)으로 받아 이를 도로 측구로부터 연결되는 우수관과 오수관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되, 우수관과 오수관의 매설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독립된 몸체의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고유역할 외에 오수의 유속을 빠르게 유도하여 찌꺼기가 고이지 않도록 하고, 우수 및 오수받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우수 및 오수받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어 생활오수를 유입하는 직선부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오수의 일부가 체류될 수 있도록 반호형상으로 형성된 트랩 몸체; 및
상기 출구의 양 측단면에 오수의 흐름이 한 곳으로 이루어지도록 흐름차단격벽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출구의 높이(P)는 트랩 몸체 전체 높이(L)보다 낮은 위치에 이르도록 'J'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을 덧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방지트랩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방지트랩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취기방지트랩이 적용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전체구성은,
원통형의 몸체 상부에 우수를 받아낼 수 있는 우수 집수통(12)과, 그 우수 집수통(12)으로부터 엘보우 형태의 우수 방류관(13)이 연결 설치되고 그 우수 방류관(13)을 통한 우수는 최종 우수관(20)으로 합류되는 배관흐름 및 분뇨나 주방, 세탁오수 각각의 흐름을 하나로 통합하여 오수관(30)으로 배수시키도록 형성되며, 또한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10a)와 오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10b)가 서로 동일한 관경을 갖도록 분리하고 현장 매설 깊이에 따라 별도의 높이조절부재(40)를 단독으로, 또는 서로 이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10b) 상단에는 상기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10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결합 연장부(10b-1)를 형성하여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몸체(10a)를 끼워 결합하는 형태를 취한다.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우수관(20)과 새로이 신설되는 오수관(30)과의 배치 간격이 지역 현장여건마다 또는 수리적 조건 및 다른 지하매설물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 다른데, 이러한 상황에서 오수관(30) 및 우수관(20)으로부터 분기되고 우수 및 오수받이와 연 결되는 우수 연결관(21)과 오수 연결관(31)과의 배치 간격 역시 일정하지 않다는 것에 기인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각기 다른 관(21)(31)의 배치간격과 방향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기존 쓰이던 오수관을 해체하고 별도 우수 연결관을 신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추가 비용없이 기존 쓰이던 오수관을 우수 연결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과 오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를 분리하고, 현장 매설 깊이에 따라 별도의 높이조절부재(40)를 적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몸체(10a)의 일측에, 옥내 빗물 측구(T)로부터의 우수의 흐름을 받을 수 있도록 측구 우수 유입구(18)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 유입구(18) 상단에 비교적 큰 협잡물의 침입을 막는 매쉬형태의 제 1차단망(19a)과, 우수 방류관(13)의 입구에 상기 제 1차단망(19a)의 매쉬보다 작은 제 2차단망(19b)을 더 구비되고, 제 1차단망(19a)은 상기 우수 집수통(12) 상에 이탈이 가능하도록 얹혀져 그레이팅(19c)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형태로, 상기 제 2차단망(19b)은 우수 집수통(12)에 정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차단망(19b)의 고정 이유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결여로 인해 고형물이나 음식물 쓰레기를 우수 방류관(13)을 통해 투기시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일측이 우수 집수통(12)으로부터 연결되고 타측은 몸체(10a)에 연결되는 엘보우관 형태의 우수 방류관(13)의 각 연결지점은 부착수단에 의해 완전히 고 정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끼워 구성되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육안이나 CCTV를 이용한 내부검사를 하려고 할 때와 하부의 오수받이부 유지관리시 그 우수 방류관(13)을 탈거시켜 검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수받이 부분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취기가 외기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수 집수통(12)과 몸체(10a) 사이에 패킹부재(11)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우수 방류관(13)과 우수 연결관(21) 사이에, 기존의 오수관을 우수 연결관(21)으로 그대로 적용하여 배관하기 위해 관경조절을 위한 별도의 편락관(13a)을 개재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렇듯 설명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전체구성에서 본 발명 구성의 핵심은 주방 및 세탁 중에 발생되는 생활오수의 흐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옥내 오수관(32)과 연결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유입구(14) 상에 생활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취기방지트랩(17)을 개선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취기방지트랩(17)은 크게 트랩 몸체(17a)와 흐름차단격벽(17b)으로 구성된다.
트랩 몸체(17a)는 일단이 생활오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유입구(14)에 결합되는 것으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유입구(14)와 결합되어 생활오수를 유입하는 직선부의 입구(17c)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입구(17c)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출구(17d)가 형성된다.
이때 입구(17c)와 출구(17d) 사이에는 유입된 오수의 일부가 체류될 수 있도록 반호형상으로 형성하며, 출구(17d) 양 측단면에는 오수의 흐름이 한 곳으로 이루어지도록 흐름차단격벽(17b)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취기방지트랩(17)은 종래의 'U'자형과는 달리 출구(17d)의 높이(P)를 트랩 몸체(17a) 전체높이(L)보다 낮은 위치에 이르도록 'J'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의 형성이유는 방취의 역할은 그대로 유지하되, 반호형상으로 벤딩된 부분에서 주방이나 세탁중에 발생되는 협잡물(찌꺼기)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J'형상의 취기방지트랩(17)의 출구(17d) 상단 양측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흐름차단격벽(17b)은 출구(17d)를 통한 오수의 흐름을 상기 흐름차단격벽(17b)이 없는 전방 한 곳으로 통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유속을 종래에 비해 빠르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흐름은 취기방지트랩(17)의 출구(17d) 높이 폭의 개선과 아울러 효과가 더욱 배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취기방지트랩(17)은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10)의 유입구(14) 상에 트랩 몸체(17a)의 입구(17c)가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유입구(14)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외경을 갖도록 하여, 육안이나 CCTV를 이용한 내부검사를 하려고 할 때와 하부의 오수받이부 즉, 인버트(16)와 배출구(15)의 유지관리시 취기방지트랩(17)을 탈거시켜 검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서, 주방 또는 세탁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트랩수단을 출구의 높이 폭을 트랩 몸체의 전체높이보다 낮게 형성함과 아울러 출구를 통한 종래 오수의 방사흐름을 한 곳으로만 흐르도록 유도하였기 때문에 트랩의 구조개선 및 흐름차단격벽에 의해 오수의 흐름이 빨라지고 그 트랩에 고이는 오수가 적어져 트랩 내에 협잡물이 거의 쌓이지 않아 유지관리가 더욱 원활하고, 또한 본 발명의 취기방지트랩은 유입구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육안이나 CCTV를 이용한 내부검사를 하거나 하부의 오수받이부 즉, 인버트와 배출구의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에 있어서, 생활오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우수 및 오수받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어 생활오수를 유입하는 직선부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오수의 일부가 체류될 수 있도록 반호형상으로 형성된 트랩 몸체; 및
    상기 출구의 양 측단면에 오수의 흐름이 한 곳으로 이루어지도록 흐름차단격벽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출구의 높이(P)는 트랩 몸체 전체 높이(L)보다 낮은 위치에 이르도록 'J'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기방지트랩은 상기 우수 및 오수받이의 유입구 상에 상기 입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는,
    우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상부 몸체와, 오수의 흐름을 관장하는 부분의 하부 몸체를 서로 독립된 몸체로 구성하고, 높이조절부재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로 적층시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결합하고, 이 적층된 갯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전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20050115597A 2005-11-30 2005-11-30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071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597A KR100715444B1 (ko) 2005-11-30 2005-11-30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597A KR100715444B1 (ko) 2005-11-30 2005-11-30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444B1 true KR100715444B1 (ko) 2007-05-07

Family

ID=3826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597A KR100715444B1 (ko) 2005-11-30 2005-11-30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4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99B1 (ko) * 2008-02-15 2011-01-04 한기용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0759B1 (ko) *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기존 우.오수받이용 동결저감장치
KR101130757B1 (ko) *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동결방지용 우.오수받이
KR101185591B1 (ko) 2012-07-03 2012-09-24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2079246B1 (ko) *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4Y1 (ko) * 2004-06-17 2004-08-30 한승희 오수받이장치
KR20050042437A (ko) * 2004-07-06 2005-05-09 (주)엔포텍워터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4Y1 (ko) * 2004-06-17 2004-08-30 한승희 오수받이장치
KR20050042437A (ko) * 2004-07-06 2005-05-09 (주)엔포텍워터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99B1 (ko) * 2008-02-15 2011-01-04 한기용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0759B1 (ko) *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기존 우.오수받이용 동결저감장치
KR101130757B1 (ko) * 2011-05-24 2012-03-28 (주)태성종합기술 동결방지용 우.오수받이
KR101185591B1 (ko) 2012-07-03 2012-09-24 원진테크 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2079246B1 (ko) *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715444B1 (ko)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101100383B1 (ko) 하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
KR101275666B1 (ko) 도로의 우수받이
KR20100033823A (ko)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KR20140081280A (ko) 이물질 수거장치를 갖는 맨홀
JP2016079661A (ja) 汚水桝の逆流防止装置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US7066195B2 (en) Two-way trap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090078080A (ko) 빗물받이 일체형 오수받이
KR101715378B1 (ko)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JP2016204829A (ja) 雨水制御方法及び雨水制御装置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322627Y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