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58Y1 - 공동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58Y1
KR200224158Y1 KR2020000032436U KR20000032436U KR200224158Y1 KR 200224158 Y1 KR200224158 Y1 KR 200224158Y1 KR 2020000032436 U KR2020000032436 U KR 2020000032436U KR 20000032436 U KR20000032436 U KR 20000032436U KR 200224158 Y1 KR200224158 Y1 KR 200224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drainage
water
drain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명수
Original Assignee
함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명수 filed Critical 함명수
Priority to KR2020000032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58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동의 저부면에는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차단하는 다공질의 배수지연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공동 내부로 유입된 물을 지하로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구조물{culvert structure}
본 고안은, 공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으로 유입된 물을 지하로 배출시킬수 있는 공동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구조물로서는 침사지, 맨홀, 우수받이 등 다양하다.
침사지는 계곡의 계곡수와 함께 유입되는 토사 및 이물질 등이 하수관거내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수관거에 유입되기 전에 설치되고, 맨홀은 지하매설물의 청소, 환기, 점검 및 조사 등을 위한 시설로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며, 우수받이는 도로측구 또는 가옥으로부터 유입하는 우수를 모아서 하수관거에 유입시키기 전에 설치된다.
맨홀의 경우 맨홀뚜껑의 틈새를 통해 맨홀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맨홀의 저부면에 고이게 되어 부패하게 되고, 물과 전기통신용 케이블과 접촉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우수받이의 경우 역시 우수받이의 저부면과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이 위치한 높이의 차이로 인해 수위가 유출관이 위치한 높이보다 낮아지면 유출관으로 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저부면에 고이게 되어 부패하게 된다.
또한, 침사지는 일측에 빗물 또는 계곡수가 침사지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과, 유입구와 대향하는 타측에 침사지내부로 유입된 물을 하수관거로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침사지의 저부면과 유출구가 위치한 높이의 차이로 인해 수위가 유출구보다 낮아지면 물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지 못하고 침사지 저부면에 퇴적된 토사와 함께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공동구조물의 저부면에 각종 이물질 및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고 또한, 각종 해충의 서식지가 되어 비위생적이 환경이 조성되며, 더욱이 이로 인한 해충의 제거를 위한 막대한 방역경비가 소비되고 고인 물과 퇴적된 토사 및 이물질을 퍼내기 위해 인력과 각종 장비를 동원해야 하므로 공동구조물의 설치 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많은 경비가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동 내부로 유입된 물을 지하로 배출할 수 있는 공동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가 형성된 침사지의 설치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절취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절취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가 형성된 우수받이의 설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7 : 지반 2 : 침사지
3,6,9 : 배수층 5 : 맨홀암거
8 : 우수받이 23,55,83 : 저부면
27,60,87 : 자갈 26,59,85 : 배수구
90 : 망상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저부면에는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차단하는 다공질의 배수지연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지연부재는 자갈, 토목섬유, 망상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로 마련됨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유출되지 않고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구조물 중에서 침사지, 맨홀, 우수받이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가 형성된 침사지의 설치단면도이다.
공동구조설비는 지반(1)과, 공동구조물인 침사지(2)와, 지반(1)과 침사지(2) 사이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27)로 마련된 배수층(3)을 갖는다.
지반(1)은 침사지(2)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흙을 다져서 마련된다.
침사지(2)는 공동(20)을 형성하는 본체(21)와, 본체(21)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커버(22)를 갖는다.
커버(22)는 망상의 스틸로서 본체(21)의 상부영역에 안착되어 본체(21)의 상부를 차단한다.
본체(21)는 내부에 공동(20)이 형성되도록 저부면(23)와, 측벽(24)이 상호 일체로 형성되며, 저부면(23)에 설치된 월류벽(25)에 의해 공동(20)이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본체(21)의 측벽(24) 중 일측벽(24)에는 본체(21)내부로 계곡수 또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8)가 저부면(23)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28)에 대향하는 타측벽(24)의 일영역에는 본체(21)내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29)가 유입구(28)와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월류벽(25)은 유출구(29)로 토사(31)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를 갖고, 유입구(28)와 유출구(29) 사이에 저부면(23)으로부터 기립되어 있으며, 일영역에는 유입구(28)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형성한 통과구(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부면(23)에는 판면을 관통형성한 복수의 배수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26)는 깔대기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배수구(26)의 내부에는 본체(21)내부로 유입되어 저부면(23)에 고인 물이 배수층(3)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지연부재인 자갈(27)이 충진되어 있다.
배수층(3)은 배수구(26)를 통과한 물이 지반(1)으로 서서히 흡수되도록 다져진 지반(1)위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27)을 적층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입구(28)를 통해 계곡수 또는 빗물과 토사(31) 또는 이물질과 함께 침사지(2) 내부로 유입되면 월류벽(25)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공동(20)의 좌측 저부면(23)에 토사(31) 또는 이물질이 퇴적되고 커버(22)를 통해 유입된 토사 또는 이물질도 좌우측 공동(20)의 저부면에 퇴적되며, 물은 월류벽(25)의 통과구(30) 통해 공동(20)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유출구(29)를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배수구(26)로도 서서히 배출된다. 유출구(29)와 배수구(26)를 통해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고 이에 수위가 유출구(29)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아져 저부면(23)에 고이게 되는 물은 배수구(26)를 통해 배수층(3)으로 유입되고 배수층(3)에서 지반(1)으로 흡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절취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단면도이다.
공동구조설비는 지반(4)과, 공동구조물인 맨홀암거(5)와, 지반(4)과 맨홀암거(5) 사이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60)로 마련된 배수층(6)을 갖는다.
지반(4)은 맨홀암거(5)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흙을 다져서 마련된다.
맨홀암거(5)는 공동(50)을 형성하는 본체(51)와, 본체(51)의 상부영역에 안착되어 공동(50)을 막음하여 마무리짓는 커버부재(52)와, 커버부재(52)의 상부면을 관통형성한 맨홀입구(56)를 차단하는 맨홀뚜껑(53)을 갖는다.
커버부재(52)는 본체(51)의 상부영역에 안착되어 공동(50)을 차단하며, 상부면의 일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형성한 원형상의 맨홀입구(56)가 형성되어 있고, 맨홀입구(56)는 맨홀뚜껑(55)에 의해 개폐된다.
본체(51)는 내부에 공동(50)이 형성되도록 저부면(55)와, 측벽(54)이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51)의 측벽(54)에는 저부면(55)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판면을 관통형성한 관로(57)의 접속관구(58)가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관구(58)에는 관로(57)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저부면(55)에는 판면을 관통형성한 복수의 배수구(59)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59)는 계단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배수구(59)의 내부에는 본체(51) 내부로 유입되어 저부면(55)에 고인 물이 배수층(6)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지연부재인 자갈(60)이 충진되어 있다.
배수층(6)은 배수구(59)를 통과한 물이 지반(4)으로 서서히 흡수되도록 다져진 지반(4)위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60)을 적층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맨홀암거(5)내부로 유입되어 저부면(55)에 고이게 되는 물은 배수구(59)를 통해 배수층(6)으로 유입되고 배수층(6)에서 지반(4)으로 흡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암거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절취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하고 제1실시예와 상이한 배수지연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는 한편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부면(55)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구(59)의 입구영역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을 갖는 망상체(9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망상체(90)의 설치방법은 배수구(59) 내부에 단턱을 설치하고 단턱위에 착탈가능하도록 망상체(90)를 배치하거나, 망상체(90)를 배수구(59)의 내벽에 매입하거나, 배수구(59)의 둘레연부에 망상체(90)의 단부를 볼트체결 시키는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배수지연부재인 망상체(90)를 맨홀암거(5)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침사지, 우수받이 등에도 배수구에 망상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가 형성된 우수받이의 설치단면도이다.
공동구조설비는 지반(7)과, 공동구조물인 우수받이(8), 지반(7)과 우수받이(8) 사이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87)로 마련된 배수층(9)을 갖는다.
지반(7)은 우수받이(8)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흙을 다져서 마련된다.
우수받이(8)는 내부에 공동(80)을 형성하는 본체(81)와, 본체(81)의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82)를 갖는다.
커버(82)는 망상의 스틸로서 본체(81)의 상부영역에 안착되어 본체(81)의 상부를 차단한다.
본체(81)는 내부에 공동(80)이 형성되도록 저부면(83)와, 측벽(84)이 상호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81)의 측벽(84) 중 일측벽(84)에는 망상의 커버(82)를 통해 본체(81)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유출되는 유출구(8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부면(83)에는 판면을 관통형성한 복수의 배수구(85)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85)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본체(81)내부로 유입되어 저부면(83)에 고인 물이 배수층(9)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지연부재인 자갈(87)이 충진되어 있다.
배수층(9)은 배수구(85)를 통과한 물이 지반(7)으로 서서히 흡수되도록 다져진 지반(7)위에 배수지연부재인 자갈(87)을 적층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우수받이(8) 내부로 유입된 물은 유출구(86)를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배수구(85)로도 서서히 배출된다. 유출구(86)와 배수구(85)를 통해 일정량 배출되고 이에 수위가 유출구(86)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아져 저부면(83)에 고이게 되는 물은 배수구(85)를 통해 배수층(9)으로 유입되고 배수층(9)에서 지반(7)으로 흡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사각형상의 침사지, 맨홀, 우수받이와 같은 공동구조물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공동을 형성하며 지하에 매입되는 공동구조물이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인 침사지, 맨홀, 우수받이 의 형상 또한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배수구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외에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공동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수구가 복수로 마련되었으나 공동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수지연부재로 자갈, 망상체를 사용하였으나, 배수구의 입구영역 및 배수층에 토목섬유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배수지연부재는 다공질로서 투수성이 있으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수층 위에 바로 공동구조물이 설치되었으나 배수층위에 공동구조물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공동구조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동구조물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지하로 배출함으로써, 고인 물의 부패로 인한 공동구조물의 시설유지관리비를 절감시키고, 더욱이 지하수 부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수원으로의 과다방출로 인한 홍수를 예방 할 수도 있다.

Claims (2)

  1.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저부면에는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차단하는 다공질의 배수지연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연부재는 자갈, 토목섬유, 망상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조물.
KR2020000032436U 2000-11-20 2000-11-20 공동구조물 KR200224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36U KR200224158Y1 (ko) 2000-11-20 2000-11-20 공동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36U KR200224158Y1 (ko) 2000-11-20 2000-11-20 공동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58Y1 true KR200224158Y1 (ko) 2001-05-15

Family

ID=7309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436U KR200224158Y1 (ko) 2000-11-20 2000-11-20 공동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30B1 (ko) * 2008-10-07 2012-07-06 주식회사 천수본사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2087364B1 (ko) * 2019-05-03 2020-03-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한 공동구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30B1 (ko) * 2008-10-07 2012-07-06 주식회사 천수본사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2087364B1 (ko) * 2019-05-03 2020-03-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한 공동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1009A (en) Combined leaching and sump catch-basin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GB2452108A (en) A storm water management system
US5595457A (en) Storm drainage underflow dam unit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3273035B2 (ja) 木造家屋の排水配管構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US10060117B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50036221A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KR101415715B1 (ko) 범람방지부를 구비한 방류 시설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