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720B1 -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720B1
KR101349720B1 KR1020130120377A KR20130120377A KR101349720B1 KR 101349720 B1 KR101349720 B1 KR 101349720B1 KR 1020130120377 A KR1020130120377 A KR 1020130120377A KR 20130120377 A KR20130120377 A KR 20130120377A KR 101349720 B1 KR101349720 B1 KR 10134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age pipe
drain pipe
drain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희
조현모
Original Assignee
현빈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빈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빈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관의 시공 및 교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종배수관의 하중 지지력을 증강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1) 양측에 구성된 방호벽(2)의 하단부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가 유입되어지는 트랜치 배수관(10)과; 상기 트랜치 배수관(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방호벽(2) 하부를 관통하여 교량 슬래브(1) 외측벽으로 노출됨으로서 트랜치 배수관(10)으로 유입된 우수를 1차 안내하는 횡배수관(20)과; 상기 횡배수관(20)을 통해 안내된 우수를 2차 안내하기 위해 교량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횡배수관(20)의 일단부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종배수관(30)과; 상기 종배수관(30)을 지지하기 위해 교량 슬래브(1)의 측벽면에 앵커볼트(45)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DRAINPIPE STRUCTUR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선배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우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배수관의 설치구조 변경을 통하여 배수관의 시공 및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시공성이 개선된 배수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우수 등의 배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관이 설치되는데, 설치 타입에 따라 배수구가 교량 상면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점 형태로 형성되는 점배수관과 연속되는 선형태를 이루는 선배수관으로 구분되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 교량용 선배수관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124694호에서는 교량 내부의 우수를 제1안내부, 제2안내부 및 배수장치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배수장치가 제2안내부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됨으로서 배수장치의 하중이 제2안내부에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2안내부의 변형 내지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장치가 복수개의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른 조립 및 분해작업이 장시간 소요되어 작업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수관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교량 배수관의 시공성이 개선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선배수관은, 교량 슬래브 양측에 구성된 방호벽의 하단부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가 유입되어지는 트랜치 배수관과; 상기 트랜치 배수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방호벽 하부를 관통하여 교량 슬래브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서 트랜치 배수관으로 유입된 우수를 1차 안내하는 횡배수관과; 상기 횡배수관을 통해 안내된 우수를 2차 안내하기 위해 교량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횡배수관의 일단부 하부에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해 교량 슬래브의 측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용 선배수관은, 종배수관의 연결이 별도의 연결조인트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배수관의 시공 및 교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종배수관이 횡배수관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교량 측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고정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하중 지지력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관 시공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교량 배수관 조립 부품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고정브라켓 부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배수관 연결조인트 분리 구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배수관 연결조인트 체결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배수관 연결조인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배수관 연결조인트의 배수관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배수관 설치상태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선배수관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교량 슬래브(1) 양측에 구성된 방호벽(2)의 하단부 내측을 따라 사각형태의 트랜치 배수관(10)이 길이방향의 선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가 유입되어지도록 하고, 트랜치 배수관(10)에 전면에는 트랜치 유입판(11)이 설치되며, 트랜치 배수관(10) 후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횡배수관(20)이 연결 구성되어 유입된 우수가 안내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횡배수관(20)의 외측단 저면에는 우수의 배출을 위한 유출부(21)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횡배수관(20)의 유출부(21)를 통해 배출된 우수를 안내하기 위한 종배수관(30)이 교량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종배수관(30)은 횡배수관(20)과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종배수관(30)을 지지하기 위해 교량 슬래브(1)의 측벽면에는 고정 브라켓(40)이 앵커볼트(45)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교량 슬래브(1) 측벽면과 고정을 위한 앵커홈(41a)이 형성된 앵커고정부(41)와, 종배수관(30)의 지지를 위한 배수관 지지부(42)와, 상기 배수관 지지부(42)와 앵커고정부(41)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지지격벽(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고정부(41)의 폭(D)은 배수관 지지부(42)의 폭(d) 보다 크게 구성시킴으로서 앵커볼트(45)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종배수관(30)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다수개가 연결 설치되어지며, 상기 종배수관(30) 상호간의 연결부위에는 상부가 개방된 "U"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연결조인트(50)가 결합 구비되어지고, 상기 연결조인트(50) 내벽면 양측에는 종배수관(30) 연결부위를 통해 누출된 우수를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차수홈(5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조인트(50) 내벽면 중앙에는 종배수관(30) 연결부위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면접촉부(53)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는 종배수관(30)이 끼워질 수 있는 슬라이딩홈(5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결조인트(50)의 양측 슬라이딩홈(52)에는 종배수관(30)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가압 고정구(60)가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가압고정구(60)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61)와, 슬라이딩홈(52)으로의 삽입을 위한 가압력 전달 및 슬라이딩홈(52)으로 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돌출턱(62)이 테이퍼부 일단에 구비된다.
한편, 횡배수관(20)은 교량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되는 일정 경사형태를 이루어 설치되어지되, 교량 외측벽으로 노출되는 부위에서는 방호벽(2)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교량 슬래브(1)에 배수관 안착홈(1a)을 일정 각도의 경사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횡배수관(20)이 방호벽(2) 외벽면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횡배수관(20)의 교량 외벽면 노출이 방호벽(2) 설치부위에서 이루어지면 방호벽(2)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등의 시설물과 간섭이 발생되어질 수 있으나, 횡배수관(20)의 설치각도 조절을 통해 이러한 문제가 개선되어질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종배수관(30)을 고정브라켓(4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교량용 선배수관의 시공 및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관은 종배수관(3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고정브라켓(40)을 교량 외측벽에 별도로 고정설치함으로서 종배수관(30)의 하중에 따른 변형 또는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고정브라켓(40)의 설치 과정에서 앵커고정부(41)의 폭(D)은 배수관 지지부(42)의 폭(d) 보다 크게 구성시켜서 앵커홈(41a)이 노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앵커볼트(45)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배수관(30)의 연결작업시 연결조인트(50) 및 가압고정구(60)를 이용하여 배수관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연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함과 함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즉, 종배수관(30)과 연결조인트(50) 결합부위의 4개소에 가압고정구(60)를 끼워서 삽입시키게 되면, 테이퍼부(61)에 의해 상호간에 가압력이 전달됨으로서 압착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이러한 연결조인트(50) 및 가압고정구(60)를 이용한 종배수관(30)의 연결작업은 작업효율 향상과 함께 종배수관(30)의 교체를 위한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교량의 시설물 관리효율을 개선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이러한 설치작업을 통해 본 발명의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교량의 우수는 1차적으로 트랜치 유입판(11)을 통해 트랜치 배수관(10)으로 유입되어진 후 횡배수관(20)을 통해 신속하게 종배수관(30)으로 안내되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횡배수관(20)은 일정 경사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우수의 신속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횡배수관(20)의 유출부(21)를 통해 낙하되어진 우수는 종배수관(30)을 통해 안내되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종배수관(30)은 고정브라켓(40)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구조물 및 우수의 하중 작용으로 인한 변형 또는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종배수관(30)의 하중이 횡배수관(2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으로 교량 배수관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배수관(30)을 통해 우수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배수관 연결 부위에는 연결조인트(50)가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누수현상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조인트(50)는 종배수관(30)의 연결부위에 면접촉부(53)가 형성됨으로 종배수관(30) 외벽면과 밀착력을 증대시키며, 면접촉부(53) 양측에는 대칭형태로 차수홈(51)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우수가 누출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압고정구(60)가 상부에서 종배수관(30)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서 종배수관(30)의 외벽면과 연결조인트(50)의 내주면과 더욱 밀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차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용 배수관은 종배수관(30)의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배수관의 시공 또는 교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교량 슬래브 2 : 방호벽
10 : 트랜치 배수관 11 : 트랜치 유입판
20 : 횡배수관 21 : 유출부
30 : 종배수관 31 : 체결볼트
40 : 고정브라켓 41 : 앵커고정부
41a : 앵커홈 42 : 배수관지지부
43 : 지지격벽 45 : 앵커볼트
50 : 연결조인트 51 : 차수홈
52 : 슬라이딩홈 53 : 면접촉부
60 : 가압고정구 61 : 테이퍼부
62 : 돌출턱

Claims (5)

  1. 교량 슬래브(1) 양측에 구성된 방호벽(2)의 하단부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가 유입되어지는 트랜치 배수관(10)과;
    상기 트랜치 배수관(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방호벽(2) 하부를 관통하여 교량 슬래브(1) 외측벽으로 노출됨으로서 트랜치 배수관(10)으로 유입된 우수를 1차 안내하는 횡배수관(20)과;
    상기 횡배수관(20)을 통해 안내된 우수를 2차 안내하기 위해 교량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횡배수관(20)의 일단부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종배수관(30)과;
    상기 종배수관(30)을 지지하기 위해 교량 슬래브(1)의 측벽면에 앵커볼트(45)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40)과;
    상부가 개방된 "U"형태의 단면 구조를 이루어서 상기 종배수관(30) 상호간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며, 내벽면 양측에는 종배수관(30) 연결부위를 통해 누출된 우수를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차수홈(5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벽면 중앙에는 종배수관(30) 연결부위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면접촉부(53)가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는 종배수관(30)이 끼워질 수 있는 슬라이딩홈(52)이 형성된 연결조인트(50)와;
    상기 연결조인트(50)의 양측 슬라이딩홈(52)에 종배수관(30)을 가압 지지하기 위해 끼움 결합되어지되,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테이퍼부(61)와, 슬라이딩홈(52)으로의 삽입을 위한 가압력 전달 및 슬라이딩홈(52)으로 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돌출턱(62)이 테이퍼부 일단에 구비된 가압 고정구(6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교량 슬래브(1) 측벽면과 고정을 위한 앵커홈(41a)이 형성된 앵커고정부(41)와, 종배수관(30)의 지지를 위한 배수관 지지부(42)와, 상기 배수관 지지부(42)와 앵커고정부(41)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지지격벽(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고정부(41)의 폭(D)은 배수관 지지부(42)의 폭(d) 보다 크게 구성시킴으로서 앵커볼트(45)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20)은 교량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되는 일정 경사형태를 이루어 설치되어지되, 교량 외측벽으로 노출되는 부위에서는 방호벽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교량 슬래브(1)에 배수관 안착홈(1a)을 일정 각도의 경사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횡배수관(20)이 방호벽(2) 외벽면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KR1020130120377A 2013-10-10 2013-10-10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KR10134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77A KR101349720B1 (ko) 2013-10-10 2013-10-10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77A KR101349720B1 (ko) 2013-10-10 2013-10-10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720B1 true KR101349720B1 (ko) 2014-01-16

Family

ID=5014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377A KR101349720B1 (ko) 2013-10-10 2013-10-10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7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069A (ko)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701B1 (ko) * 2016-03-23 2017-03-14 이자영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768903B1 (ko)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101939321B1 (ko) 2018-03-23 2019-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용 횡배수관 매설형 선배수 시설의 시공 방법
KR102017871B1 (ko)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270570A (zh) * 2020-03-16 2020-06-1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架空式无土路基结构、路基组件、路基系统及施工方法
KR102360446B1 (ko) * 2021-04-16 2022-02-10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교량 집수관 및 상부 개방 트렌치 오픈 직결 선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20230001769A (ko) 2021-06-29 2023-01-05 이지용 교량 선배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913U (ko) * 1990-03-21 1991-10-28 권수길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913U (ko) * 1990-03-21 1991-10-28 권수길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069A (ko) * 2014-03-11 2015-09-21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024B1 (ko) * 2014-03-11 2016-06-07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선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701B1 (ko) * 2016-03-23 2017-03-14 이자영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768903B1 (ko)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101939321B1 (ko) 2018-03-23 2019-01-16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용 횡배수관 매설형 선배수 시설의 시공 방법
KR102017871B1 (ko) 2018-10-30 2019-09-03 현빈개발 주식회사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270570A (zh) * 2020-03-16 2020-06-1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架空式无土路基结构、路基组件、路基系统及施工方法
KR102360446B1 (ko) * 2021-04-16 2022-02-10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교량 집수관 및 상부 개방 트렌치 오픈 직결 선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20230001769A (ko) 2021-06-29 2023-01-05 이지용 교량 선배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720B1 (ko) 시공성이 개선된 교량용 선배수관
KR100936970B1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CN102939420B (zh) 密封装置
KR101109320B1 (ko)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686993B1 (ko) 암거 보강 공법
AU2018282313A1 (en) Assembled building structure with combination of steel structure an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111907A (ko) 사장교 주탑쪽의 사장 케이블용 새들 구조체
CN103742723B (zh) 一种用于固定水下隧道内石油天然气管道的鞍式支座
KR101349722B1 (ko) 교량용 선배수관 시공방법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CN210032203U (zh) 一种浇注型预制墙板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CN108951642B (zh) 一种上跨既有隧道的防基坑隆起的加固结构及施工方法
CN108842892B (zh) 一种装配式地下管廊污水管道压力井
CN203365760U (zh) 一种光缆沟道
KR101012307B1 (ko)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
KR200453460Y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CN108915768B (zh) 热力盾构隧道内热力管道固定传力支架系统
CN110629792A (zh) 一种波纹钢管廊的拼接施工方法
CN210947337U (zh) 预制楼板加固结构
US20120009024A1 (en) Clip for joining steel ribs used as tunnel liner supports
KR100585284B1 (ko) 터널용 콘크리트 양생판 및 이를 이용한 양생시스템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CN102587938A (zh) 隧道渗、漏水预防性收集系统及其施工制作方法
KR1017427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