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122B1 - 집수정 걸름망장치 - Google Patents

집수정 걸름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122B1
KR101232122B1 KR1020120077660A KR20120077660A KR101232122B1 KR 101232122 B1 KR101232122 B1 KR 101232122B1 KR 1020120077660 A KR1020120077660 A KR 1020120077660A KR 20120077660 A KR20120077660 A KR 20120077660A KR 101232122 B1 KR101232122 B1 KR 10123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guide plate
strainer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영
송제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최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최낙영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걸름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수정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를 통해 상기 집수정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도로변의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가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막힐 우려가 없고, 나아가, 특히 상기 걸름망부재가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망부재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수정 걸름망장치{FILTER FOR DRAIN BOX}
본 발명은 집수정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를 통해 상기 집수정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도로변의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가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막힐 우려가 없고, 나아가, 특히 상기 걸름망부재가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망부재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집수정 걸름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지하에는 강우시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도로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집수정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집수정내에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걸르는 걸름망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걸름망장치내에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빗물은 상기 걸름망장치내에서 오버플로우되어 도로변 지하의 상기 배수구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배수구를 따라 흐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름망장치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 상기 걸름망장치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도로변 지하의 상기 배수구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집수정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를 통해 상기 집수정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도로변의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가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막힐 우려가 없고, 나아가, 특히 상기 걸름망부재가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망부재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집수정 걸름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도로변 지하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집수정의 상측에 상부가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걸름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집수정의 상부 전측과 상기 집수정의 상부 후측에 각각 안착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부재는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름망부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 및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걸름망부재의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걸름망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집수정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를 통해 상기 집수정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도로변의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가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막힐 우려가 없고, 나아가, 특히 상기 걸름망부재가 가이드판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망부재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상기 걸름망부재와 상기 집수정의 내주면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수정 걸름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집수정에서 프레임과 걸름망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집수정 내부에 걸름망부재가 구비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집수정 내부에 걸름망부재가 구비된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걸름망부재에서 도로변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로 오버플로우되는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연결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수정 걸름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집수정(7)에서 프레임(10)과 걸름망부재(3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집수정 걸름망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가이드판(20) 및 걸름망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도로변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도 2, 도 3의 5)와 연통되도록 도로변 지하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된 집수정(7)의 상측에 작업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름망부재(30)는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및 연결프레임(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집수정(7)의 상부 전측과 상기 집수정(7)의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판(20)이 각각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집수정(7)의 상부 전측에 각각 수평안착되는 장방형의 상부전측판(111)과; 상기 집수정(7)의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안착되는 장방형의 상부후측판(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작업자에 의해 공지된 그레이팅(3)이 분리가능하게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은 상기 상부전측판(111)의 일측과 상기 상부후측판(112)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되는 일측가이드판(210)과; 상기 상부전측판(111)의 타측과 상기 상부후측판(112)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되는 타측가이드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하부전측판(121), 하부후측판(122), 하부일측판(123) 및 하부타측판(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판(121)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전측판(111)의 하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판(121)의 단면형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판(122)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후측판(112)의 하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후측판(122)의 단면형상은 상기 하부전측판(121)과 대칭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판(123)은 상기 하부전측판(121)의 일측과 상기 하부후측판(122)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판(123)의 단면 형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타측판(124)은 상기 하부전측판(121)의 타측과 상기 하부후측판(122)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타측판(124)의 단면형상은 상기 하부일측판(123)과 대칭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을 상호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제 1전측연결판(131), 제 2전측연결판(132), 제 1후측연결판(133) 및 제 2후측연결판(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연결판(131)의 단면 형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연결판(132)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 1전측연결판(131)과 대칭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연결판(133)의 단면형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연결판(134)의 단면형상은 상기 제 1후측연결판(133)과 대칭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연결판(131)의 하측과 상기 제 2전측연결판(132)의 하측 및 상기 제 1후측연결판(133)의 하측 및 상기 제 2후측연결판(134)의 하측은 각각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측 각 모서리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판(2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1전측연결판(131)의 상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전측판(111)의 하부면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판(2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2전측연결판(132)의 상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전측판(111)의 하부면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판(2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1후측연결판(133)의 상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후측판(112)의 하부면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판(2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2후측연결판(134)의 상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후측판(112)의 하부면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집수정(7) 내부에 걸름망부재(30)가 구비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집수정(7) 내부에 걸름망부재(30)가 구비된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걸름망부재(3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D)로 이격된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름망부재(30)는 바닥판(310)과 측판(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1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320)은 전측판(321), 후측판(322), 일측판(323) 및 타측판(3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321)은 상기 바닥판(310)의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322)은 상기 바닥판(310)의 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323)은 상기 바닥판(3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324)은 상기 바닥판(3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걸름망부재(30)를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켜 상기 하부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걸름망부재(3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름망부재(30)의 상측에는 손잡이부(4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전측연결판(410), 후측연결판(420) 및 손잡이바(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판(410)은 상기 걸름망부재(30)의 전측판(321)의 중간부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판(420)은 상기 걸름망부재(30)의 후측판(322)의 중간부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바(430)는 상기 전측연결판(410)과 상기 후측연결판(420)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빗물이 상기 가이드판(20)의 하부방향 및 상기 걸름망부재(30)의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20)의 표면과 상기 걸름망부재(30)의 표면에는 복수의 배수공(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걸름망부재(30)에서 도로변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5)로 오버플로우되는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20)의 일측가이드판(210)과 타측가이드판(220)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방향 즉, 상기 프레임(10)의 연결프레임(13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겠으나,
빗물과 함께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판(20)을 보다 용이하게 지나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20)의 일측가이드판(210)과 타측가이드판(2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10)의 일측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10)의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가이드판(210)은 일측판(211)과 일측경사판(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2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전측판(111)의 일측과 상부 후측판(112)의 일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판(212)은 상기 일측판(211)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판(211)의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판(21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판(220)은 타측판(221)과 타측경사판(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221)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전측판(111)의 타측과 상부후측판(112)의 타측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판(222)은 상기 타측판(221)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판(22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빗물과 함께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내부로 낙하한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은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내부에 퇴적되고,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내부로 낙하한 빗물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걸름망부재(30) 사이 및 상기 가이드판(20)과 상기 걸름망부재(30)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장방형의 오버플로우공간(S)을 통과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내부에서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5)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된다.
도 6은 보조연결프레임(1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집수정(7)의 상하깊이에 따라 상기 걸름망부재(30)의 높낮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 사이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연결프레임(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은 상기 연결프레임(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하측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측 각 모서리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상측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내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제 1전측연결판(131)의 내측 및 상기 제 1후측연결판(133)의 내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일측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제 2전측연결판(132)의 내측 및 상기 제 2후측연결판(134)의 내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타측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슬릿(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을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60)는 고정볼트(161)와 너트(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161)는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슬릿(150) 및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하측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162)는 상기 고정볼트(161)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3), 상기 프레임(10), 가이드판(20) 및 걸름망부재(3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기 그레이팅(3), 프레임(10), 가이드판(20) 및 걸름망부재(30)는 아연도금처리된 금속 등을 포함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3), 상기 프레임(10), 가이드판(20) 및 걸름망부재(30)의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경량화를 위해 상기 그레이팅(3), 프레임(10), 가이드판(20) 및 걸름망부재(30)는 스테인레스 등을 포함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집수정(7)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걸름망부재(30)를 통해 상기 집수정(7)의 내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빗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도로변의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5)가 낙엽, 담배꽁초 및 종이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막힐 우려가 없고,
나아가, 특히 상기 걸름망부재(30)가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부재(30)와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D)를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망부재(30)내에서 오버플로우된 빗물이 상기 걸름망부재(30)와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로변 지하의 배수구(5)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가이드판,
30; 걸름망부재.

Claims (6)

  1. 도로변 지하에 형성된 배수구(5)와 연통되도록 도로변 지하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집수정(7)의 상측에 상부가 안착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판(20)과;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름망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집수정(7)의 상부 전측과 상기 집수정(7)의 상부 후측에 각각 안착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가이드판(20)이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부재(30)는 상기 집수정(7)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걸름망부재(30) 사이 및 상기 가이드판(20)과 상기 걸름망부재(30) 사이에 장방형의 오버플로우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부재(30)는 바닥판(310)과;
    상기 바닥판(210)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210)의 타측 및 상기 바닥판(210)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220)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측판(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부재(30)의 상측에 손잡이부(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0)과 상기 걸름망부재(30)의 표면에 복수의 배수공(5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연결프레임(13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 사이에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부재(16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보조연결프레임(14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하측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측 각 모서리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상측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내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걸름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150)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160)는 상기 보조연결프레임(140)의 슬릿(150) 및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하측을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161)와;
    상기 고정볼트(16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1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걸름망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77660A 2012-07-17 2012-07-17 집수정 걸름망장치 KR10123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60A KR101232122B1 (ko) 2012-07-17 2012-07-17 집수정 걸름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60A KR101232122B1 (ko) 2012-07-17 2012-07-17 집수정 걸름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122B1 true KR101232122B1 (ko) 2013-02-12

Family

ID=4789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660A KR101232122B1 (ko) 2012-07-17 2012-07-17 집수정 걸름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04A (ko) 2015-02-10 2016-08-18 황규석 집수정의 거름망
KR101804538B1 (ko) 2017-07-14 2018-01-10 주식회사 케이앤씨서울 도로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맨홀용 초기우수처리장치
EP4086398A1 (en) * 2021-05-07 2022-11-09 Urban Innovations P.C. Sewage mea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62A (ko) * 2003-04-08 2003-05-09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60018026A (ko) * 2004-08-23 2006-02-28 (주)시아테크놀로지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JP2007063785A (ja) 2005-08-30 2007-03-15 Kubota Ci Kk 雨水浸透ます
KR20080105855A (ko) * 2007-06-01 2008-12-04 전종천 쓰레기 걸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62A (ko) * 2003-04-08 2003-05-09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60018026A (ko) * 2004-08-23 2006-02-28 (주)시아테크놀로지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JP2007063785A (ja) 2005-08-30 2007-03-15 Kubota Ci Kk 雨水浸透ます
KR20080105855A (ko) * 2007-06-01 2008-12-04 전종천 쓰레기 걸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04A (ko) 2015-02-10 2016-08-18 황규석 집수정의 거름망
KR101804538B1 (ko) 2017-07-14 2018-01-10 주식회사 케이앤씨서울 도로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맨홀용 초기우수처리장치
EP4086398A1 (en) * 2021-05-07 2022-11-09 Urban Innovations P.C. Sewage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663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KR20140000178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KR101652055B1 (ko) 우수받이
KR101232122B1 (ko) 집수정 걸름망장치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1948479B1 (ko) 도로용 빗물 배수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JP2012241508A (ja) 縦排水路のごみ取り装置
KR100625017B1 (ko)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101126280B1 (ko) 우수받이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102439694B1 (ko) 채수방지용 집수구
KR102563950B1 (ko) 하수구 그레이팅 막힘 방지 장치
KR102220794B1 (ko) 미관이 우수한 그레이팅
KR200492849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1229485B1 (ko) 경계석 측면 설치를 위한 연결용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