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017B1 -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017B1
KR100625017B1 KR1020060046723A KR20060046723A KR100625017B1 KR 100625017 B1 KR100625017 B1 KR 100625017B1 KR 1020060046723 A KR1020060046723 A KR 1020060046723A KR 20060046723 A KR20060046723 A KR 20060046723A KR 100625017 B1 KR100625017 B1 KR 10062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unting plate
dirt
collecting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서연
이재준
이창근
김대봉
배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4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그레이팅을 지나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 일측에 간편하게 포집되어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동시에 집중호우 등으로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오물거름장치는 상단에 그레이팅이 구비되는 도로의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려내는 오물거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내부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을 갖는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출방지판을 갖는 오물포집부와; 상기 집수정의 내부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하는 오물을 하부판으로 유도하면서 동시에 상기 집수정의 월류시에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유도판을 갖는 오물유도부를; 포함한다.
도로, 집수정, 우수받이, 오물, 거름, 여과

Description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wastes of a road catchment well}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종단면도,
도 3은 평상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우천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집중호우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물포집부
11 : 설치판 12 : 포집판
13 : 배출방지판 14 : 걸림고리
15 : 걸림봉
20 : 오물유도부
21 : 장착판 22 : 유도판
30 : 오물이탈방지부
31 : 고정판 32 : 이탈방지판
33 : 보조고정판 34 : 보조이탈방지판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정에 설치되어 그레이팅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내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그레이팅을 지나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 일측에 간편하게 포집되어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동시에 집중호우 등으로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측구에는 우수 등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집수정이 설치된다. 이러한 집수정은 사람과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하도록 노면상의 양측면에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에 집수정에 설치되는 오물거름장치는 지극히 단순한 구조의 망체를 그레이팅의 하부로 집수정의 내부에 설치하여 우천 시에 우수가 집수정으로 유입되면서 그레이팅을 통과한 도로나 인도 위의 오물이 망체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오물거름장치인 망체가 집수정의 내부로 전체적으로 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망체에 낙엽 등의 오물이 쌓이면 상기 망체가 손쉽게 막히게 되고, 그에 따라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오물거름장치는 장마 또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집수정의 내 부의 우수가 외부로 월류하게 되면 망체에 걸려있던 오물이 그레이팅을 다시 통과하여 도로의 상면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우수의 월류에 의해 집수정에서 이탈되어 도로에 적재되는 오물은 도로 주변의 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거작업이 필요하여 집수정의 유지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그레이팅을 지나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 일측에 간편하게 포집되어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면서 동시에 집중호우 등으로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로 이탈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주요 부품의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집수정의 월류시에 회전되면서 집수정을 폐쇄하여 오물의 이탈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따른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는 상단에 그레이팅이 구비되는 도로의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려내는 오물거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내부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을 갖는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출방지판을 갖는 오물포집부와; 상기 집수정의 내부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하는 오물을 하부판으로 유도하면서 동시에 상기 집수정의 월류시에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유도판을 갖는 오물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포집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의 월류시에 상기 포집판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물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는, 상기 설치판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상기 포집판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판은, 상기 고정판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설치판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설치판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판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판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방지판 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고정판과, 상기 보조고정판의 하단에서 상기 포집판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방지판은, 상기 보조고정판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방지판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판은, 상기 방지판고리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보조고정판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보조판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포집부는, 상기 설치판의 상부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정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판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판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설치판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착판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유도부는, 상기 장착판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정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장착판고리와, 상기 장착판고리에 걸리도록 상기 장착판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장착판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는 상단에 그레이팅(G)을 갖는 집수정(W)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그레이팅(G)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정(W)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을 포집하는 오물포집부(10)와, 상기 오물포집부(10)로 낙하하는 오물을 유도하는 오물유도부(20)와, 상기 오물포집부(10)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오물이탈방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오물포집부(10)는 집수정(W)의 내부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11)과, 상기 설치판(11)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121)을 갖는 포집판(12)과, 상기 포집판(12)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출방지판(1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판(11)은 집수정(W)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포집판(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포집판(12)은 상면에 낙하되는 오물이 걸리면서 우수는 배수공(121)을 통해 집수정(W)으로 빠짐으로써 오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포집판(12)은 설치판(11)의 일단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상면에 포집되는 오물이 상기 설치판(11)과 연결된 부위 즉 가장 낮은 부위로 이동되면서 오물이 상면 일측에 집중된 상태로 포집된다.
상기 배출방지판(13)은 포집판(12)의 상면에 포집된 오물이 상기 포집판(12)의 끝단에서 이탈되어 집수정(W)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물포집부(10)는 설치판(11)의 상부 양단에 대응하여 집수정(W)의 내 측면에 장착되는 걸림고리(14)와, 상기 걸림고리(14)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판(1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봉(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고리(14)는 걸림봉(15)이 이탈 가능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판(11)이 집수정(W)의 내측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설치판(11)을 상기 집수정(W)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을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물유도부(20)는 집수정(W)의 내부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21)과, 상기 장착판(21)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하는 오물을 하부판으로 유도하면서 동시에 상기 집수정(W)의 월류시에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유도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21)은 유도판(22)이 집수정(W)의 내측면에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유도판(22)은 그레이팅(G)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정(W)의 내부로 하향하는 오물을 슬라이딩시켜 포집판(12)의 내측으로 유도하여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물유도부(20)는 장착판(21)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집수정(W)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장착판고리(23)와, 상기 장착판고리(23)에 걸리도록 상기 장착판(2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장착판걸림턱(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걸림턱(24)과 장착판고리(23)에 의해 집수정(W)의 내측면으로 장착판(21)이 분리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집수정(W)의 내부로 물의 월류시에 상기 장착판(21)이 견고히 지지되면서 고정되어 물의 월류와 함께 부유되는 오물을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포집한 상태로 유지시켜 오물이 월류되는 물과 함께 상기 집수정(W)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30)는 오물포집부(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집수정(W)의 월류시에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30)는 설치판(11)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하단에서 상기 포집판(12)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탈방지판(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31)은 이탈방지판(32)이 설치판(11)의 내측에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이탈방지판(32)은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이 물의 월류에 의해 부유될 때 그 하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오물포집부(10)에 포집된 오물이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판(11)은 고정판(31)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설치판고리(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설치판고리(11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고정판(3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판걸림턱(3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판고리(111)와 고정판걸림턱(311)에 의해 상기 고정판(31)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집수정(W)의 월류시에 상기 고정판(31)이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회전되어 포집판(12)의 상면을 보다 원활히 가림으로써 포집된 오물의 차단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오물이탈방지부(30)는 이탈방지판(32)에 대응하여 배출방지판(13)의 내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고정판(33)과, 상기 보조고정판(33)의 하단에서 포집판(12)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이탈방지판(3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고정판(33)은 보조이탈방지판(34)이 배출방지판(13)의 내측에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보조이탈방지판(34)은 이탈방지판(32)에 대응하여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이 물의 월류에 의해 부유될 때 그 하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오물포집부(10)에 포집된 오물이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방지판(13)은 보조고정판(33)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방지판고리(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판(33)은, 상기 방지판고리(13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보조고정판(33)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보조판걸림턱(3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지판고리(131)와 보조판걸림턱(331)에 의해 상기 보조고정판(33)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집수정(W)의 월류시에 상기 보조고정판(33)이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회전되어 포집판(12)의 상면을 보다 원활히 가림으로써 포집된 오물의 차단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설치판(11)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설치판손잡이(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21)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착판손잡이(2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판손잡이(112)와 장착판손잡이(211)는 설치판(11)과 장착판(21)이 사용자에 의해 원활히 파지되어 집수정(W)의 외부로 분리되어 이탈되거나 상기 집수정(W)의 내부로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평상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G)을 통과하여 집수정(W)의 내부로 유입된 오물을 유도판(22)의 상면에 의해 유도되어 포집판(12)으로 유입되거나, 이탈방지판(32) 및 보조이탈방지판(34)의 상면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에 떨어진 오물은 걸리면서 물을 배수공(121)를 통해 하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에 걸린 오물을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포집판(12)의 일측에 집중적으로 포집된다.
도 4는 우천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시에 도로 및 그 주변의 물이 그레이팅(G)을 통해 집수정(W)으로 유입되면 상기 집수정(W)이 물을 원활히 배수시키지 못하여 상기 집수정(W) 내부의 수위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W)의 물이 월류되면서 포집판(1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채워지면 상기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이 물과 함께 부유된다.
이때, 상기 포집판(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판(32)과 보조이탈방지판(34)이 월류된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회전되어 포집판(12)의 상면을 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5는 집중호우시에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시에 대량의 물이 집수정(W)으로 유입되면 단시간에 상기 집수정(W)이 우수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집수정(W)에 설치된 포집판(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탈방지판(32)과 보조이탈방지판(34)이 월류된 물에 의해 부유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을 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집판(12)의 상면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W)의 월류되더라도 유도판(22)이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집수정(W)의 내부에 있던 오물이 상기 유도판(22)의 하면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집수정(W)의 외부로 물이 역류를 하게 되더라고 상기 집수정(W)에 있던 오물의 외부 이탈이 원활히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그레이팅을 지나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 일측에 간편하게 포집되어 우수의 배출이 원활해지고, 동시에 집중호우 등으로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이 방지되며, 그에 따라 집수정의 내부로 오물의 포집이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월류시에 오물의 이탈에 의한 도로 주변환경의 오염이 미연에 방지되어 도로의 유지관리가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의 월류시에 포집된 오물이 집수정의 내부로 이탈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물이 빠진 후에 오물 이 포집된 상태로 유지되어 월류에도 불구하고 오물의 포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오물의 이탈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이 원활히 방지되고 배수관의 막힘으로 인한 유지관리 비용의 증대가 원활히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주요 부품의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집수정의 월류시에 회전되면서 집수정을 폐쇄하여 오물의 이탈이 원활히 방지되며, 그에 따라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상단에 그레이팅이 구비되는 도로의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려내는 오물거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내부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11)과, 상기 설치판(11)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수의 배수공(121)을 갖는 포집판(12)과, 상기 포집판(12)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출방지판(13)을 갖는 오물포집부(10)와;
    상기 집수정의 내부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21)과, 상기 장착판(21)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하는 오물을 하부판으로 유도하면서 동시에 상기 집수정의 월류시에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유도판(22)을 갖는 오물유도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포집부(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의 월류시에 상기 포집판(12)에 포집된 오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오물이탈방지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30)는,
    상기 설치판(11)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하단에서 상기 포집판(12)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탈방지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11)은, 상기 고정판(31)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설치판고리(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설치판고리(11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고정판(3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판걸림턱(3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이탈방지부(30)는,
    상기 이탈방지판(32)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방지판(13)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고정판(33)과,
    상기 보조고정판(33)의 하단에서 상기 포집판(12)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이탈방지판(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지판(13)은, 상기 보조고정판(33)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방지판고리(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판(33)은, 상기 방지판고리(131)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상기 보조고정판(33)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보조판걸림턱(3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포집부(10)는,
    상기 설치판(11)의 상부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정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걸림고리(14)와,
    상기 걸림고리(14)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판(1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봉(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11)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설치판손잡이(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판(21)은, 그 상단 중앙에 부착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착판손잡이(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유도부(20)는,
    상기 장착판(21)의 상단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정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장착판고리(23)와,
    상기 장착판고리(23)에 걸리도록 상기 장착판(21)의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장착판걸림턱(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1020060046723A 2006-05-24 2006-05-24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10062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23A KR100625017B1 (ko) 2006-05-24 2006-05-24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23A KR100625017B1 (ko) 2006-05-24 2006-05-24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017B1 true KR100625017B1 (ko) 2006-09-18

Family

ID=3763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723A KR100625017B1 (ko) 2006-05-24 2006-05-24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0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1054A (zh) * 2018-05-03 2018-09-25 四川大学 一种雨水口过滤净化装置
CN111501968A (zh) * 2020-04-20 2020-08-07 常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线性防堵排水沟
KR102158955B1 (ko) * 2020-05-04 2020-09-22 김무송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집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1054A (zh) * 2018-05-03 2018-09-25 四川大学 一种雨水口过滤净化装置
CN111501968A (zh) * 2020-04-20 2020-08-07 常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线性防堵排水沟
CN111501968B (zh) * 2020-04-20 2021-09-24 王鸿儒 线性防堵排水沟
KR102158955B1 (ko) * 2020-05-04 2020-09-22 김무송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663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625017B1 (ko)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1232122B1 (ko) 집수정 걸름망장치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JP2012241508A (ja) 縦排水路のごみ取り装置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JP6057414B2 (ja) 集水桝の土砂、ゴミ除去装置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101172023B1 (ko) 여과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101293048B1 (ko)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100846069B1 (ko)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