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026A -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026A
KR20060018026A KR1020040066349A KR20040066349A KR20060018026A KR 20060018026 A KR20060018026 A KR 20060018026A KR 1020040066349 A KR1020040066349 A KR 1020040066349A KR 20040066349 A KR20040066349 A KR 20040066349A KR 20060018026 A KR20060018026 A KR 2006001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wage
drainage
od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숙
강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시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시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6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026A/ko
Publication of KR2006001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 하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각 방향에 천공되어진 다수의 배수부; 하수구로부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각 방향에서 상기 배수부를 차폐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는 각 방향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들 배수공을 차단막으로 차폐한 구조를 제공하여 하수구 내부의 냄새가 도로상으로 역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공의 위치와 이들 간에 크기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는 각종 하수로부터 슬러지 및 토사 등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직포나 기름 유포지와 같은 흡착수단을 내장하여 하수 속의 슬러지나 토사에 함유된 각종 기름성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성이 더욱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 작동 불능과 같은 장해를 일으킬 만한 구성이 전혀 없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수, 배수, 냄새, 악취, 역류 방지, 슬러지, 토사, 기름 제거

Description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Drain apparatus for removing sullages from sewage and preventing upstream outflowing of odor}
도 1은 종래 악취차단 및 토사 유입방지 배수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관한 일 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관한 또다른 일 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상태로부터 이를 인출해내는 단계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관한 다른 일 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관한 또다른 일 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걸림부
102,103,202,203 : 배수공 103 : 개방부
104 : 지지돌기 106 : 손잡이 연결구'
110,111 : 차단막 120,210 : 흡착수단
130,220 : 커버재 131 : 통공
200 : 부속체 201 : 걸림턱
205 : 손잡이 W : 하수
M : 하수구 냄새
본 발명은 도로상의 맨홀 등과 같이 하수 유입구에 설치하는 하수처리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속에 포함된 슬러지와 토사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수구 내부의 냄새가 도로상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에는 각종 오·폐수의 배출을 위해 하수구와 이어진 맨홀이 위치되며, 이 맨홀의 입구는 맨홀 뚜껑으로 덮여진다. 맨홀 뚜껑은 통상 상하 관통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토사를 포함한 도로상의 각종 이물질들이 쓸려들어가 하수구를 막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수구 내부에는 장시간 누적된 각종 슬러지의 부패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이러한 냄새가 맨홀을 통해 여과없이 도로상으로 유출되어 길을 지나는 행인들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현장에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고려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적절한 개선책으로 아래에 설명되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463호(명칭: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배수구)의 기술이 실제로 적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례로서, 상술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463호의 기술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배수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긴 사각의 수조 본체를 칸막이격벽(3)으로 양분하여 일차빗물유입수조(1)와 이차빗물배수조(2)가 제공되고, 칸막이격벽(3) 중앙부에는 수문(4)이 설치된 형태의 배수구이다.
수문(4)은 빗물의 유속과 물리적인 무게에 의해 이차빗물배수조(2)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수문(4)의 아래 부분에 무게부(6)를 두어 빗물의 유량이 없으면 자연히 밀폐되도록 힌지(5)를 수문(4)의 중심보다 높게 설치하여 매달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관통된 칸막이 격벽(3)과 수문(4)의 양단 접지면은 45°경사면(15)을 이루며 밀폐시 이물질에 의한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하구관로(13)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일차빗물유입수조(1)의 바닥에는 분리형 토사수집통(7)을 설치하여 수조 본체부의 상단 입구 단턱부(11)에 설치된 빗물받이(12)를 통해 유입되는 토사를 분리수집하도록 하였으며, 이차빗물배수조(2) 바닥측벽에 있는 배출구(10)는 하수관로(13)에 연결되어진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도 1의 종래 하수 배수구는 빗물의 유속에 의한 자연 물리적인 힘으로 수문이 열리고 빗물의 유속이 없으면 자연히 무게부에 의해 수문이 닫히면서 하수관로에서 발생된 악취가 차단된다.
또한, 도 1의 종래 하수 배수구는 분리형 토사수집통에 의해 배치 빗물과 함께 내려온 잔류토사가 수거되면서 빗물은 칸막이격벽 중심부에 설치된 수문을 통과하여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1의 구성에서는 토사수집통이 배수구의 깊숙이 자리하고 있어 토사 제거시 이의 인출이 쉽지 않고, 구성 또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문이 힌지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수의 유입과정에서 상기 힌지 부분에 슬러지가 누적될 위험이 있고, 그로부터 수문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표면에 차단막을 구비하여 하수구 내부의 냄새가 도로상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은 물론, 하수구로 배출되는 각종 하수로부터 슬러지와 토사 등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는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소화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에도 작동 불능과 같은 장해 요소가 전혀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맨홀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 하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각 방향에 천공되어진 다수의 배수부; 하수구로부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각 방향에서 상기 배수부를 차폐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본체는 그 상단에, 맨홀 상단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도록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부를 가지며, 배수부는 본체의 측면 각 방향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배수공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배수공,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3 배수공을 포함하되, 제1 배수공은 본체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일차적으로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해 제2·3 배수공보다 큰 구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기름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소정의 흡착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흡착수단의 상부에는 소정의 인화성 물질로 인한 발화를 방지하도록 불연재인 커버판을 설치하되, 이 커버판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형상을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구성하고 그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부속체를 더 구비하며, 부속체의 외측 상단에는 본체의 내측 하단 개방부에 걸림 상태로 지지되도록 부속체의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의 둘레단에는 걸림턱에 대응하여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돌기를 구비하되, 본체의 측면 각 방향에 대구경인 다수의 제1 배수공과, 부속체의 측면 각 방향에 다수의 제2 배수공, 및 상기 부속체의 바닥면에 다수의 제3 배수공이 각각 형성되고, 제1·2 배수공을 차폐하도록 본체의 하방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의 차단수단을 더 구비하며, 차단수단의 일 끝단이 본체의 각 방향 단부에 부착·고정되어서 상기 제1·2 배수공을 커버하되, 하수 배출시 상기 제1·2 배수공을 개방하도록 그 재질을 플렉시블한 가요성 소재 및 냄새 차단을 위한 방취성 소재로 구성하며, 상기 부속체는 하수에 포함된 각종 기름 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흡착수단과, 소정의 인화성 물질로 인한 발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흡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불연재인 커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커버판은 그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배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는 각 방향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들 배수공을 차단막으로 차폐한 구조를 제공하여 하수구 내부의 냄새가 도로상으로 역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공의 위치와 이들 간에 크기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는 각종 하수로부터 슬러지 및 토사 등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직포나 기름 유포지와 같은 흡착수단을 내장하여 하수 속의 슬러지나 토사에 함유된 각종 기름성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로상에서 하수구로 흘러드는 각종 슬러지들을 여과하는 한편, 하수구로부터 냄새, 즉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도로변의 맨홀 상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이하 '본 발명 장치' 라 한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태의 본체(100)를 갖는다.
상기 본체(100)는 이의 상단에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부(101)가 구비되는 바, 맨홀 뚜껑(11; 도 3 참조)이 놓여지는 맨홀(10; 도 3 참조) 입구의 단턱(12)에 상기 걸림부(101)가 지지된 상태로 본 발명 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 장치는 도로상으로부터 흘러드는 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본체(100) 의 측면 각 방향과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공(102)(103)(104)이 구비된다. 이들 배수공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2의 경우 본체(100)의 각 방향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배수공(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배수공(103), 그리고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3 배수공(104; 도 3 참조) 으로 구성된다. 제1 배수공(102)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일차적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제2·3 배수공(103)(104)에 비해 대구경(大口徑)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하수구로부터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각 방향 외측면에 차단막(110)을 설치한다. 차단막(110)은 본체(100)의 각 방향 상단에 부착되어서 상기 제1·2 배수공(102)(103)을 차단하도록 본체(100)의 하단까지 연장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차단막(110)은 하수 배출시 상기 제1·2 배수공(102)(103)을 개방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되,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방취(防臭) 능력이 있는 것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막(110)의 예로 러버재(rubber)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장치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기름 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 소정의 흡착수단(120; 도 3 참조)을 설치한다. 이러한 흡착수단(120)은 부직포나 기름 유포지(油布紙)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본체의 바닥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흡착수단(120)의 상부에는 맨홀(10) 안으로 버려지는 담배꽁초나 성냥불 등으로부터 흡착수단(120)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판상의 커버재(130; 도 3 참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커버재(13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기타 비금속이 불연재로 구성한다. 커버재(130)는 하수의 배출을 위해 그 표면에 다수의 통공(131; 도 3 참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미설명된 부호 "106"은 '손잡이 연결구'로서, 맨홀(10)에 대한 본 발명 장치의 설치, 제거 및 운반을 위해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따른 본 발명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관한 각각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장치는 맨홀(10) 입구의 단턱(12)에 본체(100)의 걸림부(101)가 걸림·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걸림부(101) 상면에 맨홀 뚜껑(11)이 놓여져 그 하중으로 본 발명 장치의 본체(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 장치는 눈·비로 인한 오수나 각종 생활 하수 등이 맨홀(10) 안으로 유입되는 동안 이들 하수(W) 속에 섞여 있는 각종 슬러지, 토사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맨홀 뚜껑(11)을 거쳐 본 발명 장치 안으로 유입된 각종 하수(W)는 본체(100)의 각 방향 측면에 형성된 제1,2,3 배수공(102)(103)(104)을 통해 하수구(20) 안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본체(100) 상단에 고정된 차단막(110)은 하수(W)의 배출 유량에 의해 본체(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벌어지면서 제1,2 배수공(102)(103)을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 장치를 통한 배출 하수(W)의 대부분은 대구경인 상기 제1 배수공(102)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어 하수의 신속한 배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하수(W) 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슬러지(s; 도 5 참조)와 토사(g; 도 5 참조)는 본 발명 장치 안에 가라앉거나, 또는 각각의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본체(100) 내부에 걸림상태로 잔류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제2 배수공(103)의 직경을 상기 제1 배수공(102)보다 작게 형성하여 하수의 배수 과정에서 슬러지(s)의 제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은 슬러지와 토사 누적으로 인한 하수구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 내에 잔류된 토사(g)와 슬러지(s)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 내에 구비된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재(130) 상면에 누적되는데, 반복되는 하수(W)의 배출 과정에서 통상 하중이 큰 토사(g)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슬러지(s)는 토사(g)의 상부에 적층된다(도 5 참조). 한편, 커버재(130) 상부의 토사 또는 슬러지에 함침(含浸)된 각종 기름 성분은 커버재(130) 표면의 통공(131)을 통해 흡착수단(120)에 흡착되어 제거되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장치는 각종 기름 성분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따르면, 하수구(20) 내부의 냄새(M)는 본체(100)의 외측면에 부착된 차단막(110)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100)를 통한 맨홀(10) 상부로의 역류가 방지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설치 해제를 통한 각종 슬러지 및 토사의 제거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 장치는 본체(100) 상단에 형성된 연결구(106)에 별도로 구비된 손잡이(107)를 연결하여 맨홀(10) 내부로부터 꺼집어낸 다음, 본체(100) 내부에 채워진 슬러지(s)와 토사(g)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부속체(2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상단에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부(101)가 구비되는 바, 맨홀 뚜껑(11)이 놓여지는 맨홀(10) 입구의 단턱(12)에 상기 걸림부(101)가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본체(100)의 측면 각 방향에는 도로상으로부터 흘러드는 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배수공(102)이 형성된다.
부속체(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단에 천공된 개방부(103)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개방부(103)의 둘레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지지돌기(104)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부속체(200)의 외측 상단에는 상기 지지돌기(104)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는 걸림턱(20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속체(200)는 걸림턱(201)이 지지돌기(104)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개방부(103)를 통해 본체(100)의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설치된다.
부속체(200)의 측면 각 방향 상부에는, 상기 제1 배수공(102)과 마찬가지로, 도로상에서 흘러드는 하수(W; 도 3 참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배수공(20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제3 배수공(203)이 형성된다.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제1 배수공(102)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하수의 대용량을 순간적으로 배출시켜 하수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제1 배수공(102)은 제2·3 배수공(202)(203)보다 큰 대구경(大口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의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본체(100)와 부속체(200)의 각 방향 외측면에는 하수구(20)로부터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막(110)(111)이 구비된다. 이들 차단막(110)(111)은 본체(100)의 각 방향 상단 및 하단에 부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2 배수공(102)(202)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본체(100)와 부속체(200)의 하단까지 각각 연장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차단막(110)(111)은 하수 배출시 상기 제1·2 배수공(102)(202)을 개방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하되,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방취(防臭) 능력이 있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차단막(110)(111)의 예로 러버재(rubber)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부속체(2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기름 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해 소정의 흡착수단(210)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흡착수 단(210)은 부직포나 기름 유포지(油布紙)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본체의 바닥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흡착수단(210)의 상부에는 맨홀(10) 안으로 버려지는 담배꽁초나 성냥불 등으로부터 흡착수단(210)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판상의 커버재(2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커버재(2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기타 비금속이 불연재로 구성한다. 커버재(220)는 하수의 배출을 위해 그 표면에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의 미설명된 부호 "205"는 '손잡이'로서, 본체(100)에 대한 상기 부속체(200)의 설치, 제거 및 운반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손잡이(205)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부속체(20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은 상기 도 6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설치 및 사용 상태에 관한 각각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맨홀 뚜껑(11)을 거쳐 본 발명 장치 안으로 유입된 각종 하수(W)는 본체(100)의 측면 각 방향에 형성된 제1 배수공(102)과 부속체(200)의 측면 각 방향 및 바닥면에 형성된 제2,3 배수공(202)(203)을 통해 하수구(20) 안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본체(100)의 상·하단에 고정된 차단막(110)(111)은 하수의 배출유량에 의해 본체의 외표면으로부터 벌어지면서 제1,2 배수구(102)(202)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 장치를 통한 배출 하수(W)의 대부분은 대구경인 상기 제1 배수공(102)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어 하수의 신속한 배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하수(W) 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슬러지(s)와 토사(g)는 본 발명 장치 안에 가라앉거나, 또는 각각의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부속체(200) 내부에 걸림상태로 잔류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제2 배수공(202)의 직경을 상기 제1 배수공(102)보다 작게 형성하여 하수의 배수과정에서 슬러지(s; 도 5 참조)의 제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은 슬러지와 토사 누적으로 인한 하수구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따르면, 하수구(20) 내부로부터 역류하게 되는 냄새(M), 즉 악취가 본 발명 장치의 본체(100)에 구비된 차단막(110)(111)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100) 및 부속체(200)를 통한 맨홀(10) 상부로의 유출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속체(200) 내에 잔류된 토사(g)와 슬러지(s)는 부속체(200) 내에 구비된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재(220) 상면에 누적되는데, 반복되는 하수의 배출 과정에서 통상 하중이 큰 토사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슬러지는 토사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도 5를 참조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커버재 상부의 토사(g) 또는 슬러지(s)에 함침(含浸)된 각종 기름 성분이 커버재(220) 표면의 통공(231)을 통해 흡착수단에 흡착되어 제거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부속체(200)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205)를 이용하여 맨홀(10) 내부로부터 꺼집어낸 후 상기 부속체(200) 내부에 채워진 슬러지와 토사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 장치는 사 용이나 설치 조건에 따라 본체(100)와 부속체(200)의 형상을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 배수공(102)과 제2 배수공(202)이 각각 본체(100)와 부속체(200)에 나누어 형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상기 제1 배수공(102)과 제2 배수공(202)을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장치에서 제2 배수공(202)의 하단을 절단하여 본체와 부속체를 나누는 것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 경우 하수구 내부로부터의 냄새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배수공(102)(202) 차폐용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100)의 각 방향 상단에 부착·고정된 차단막(11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차단막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부속체(200)의 하단까지 연장되어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는 각 방향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들 배수공을 차단막으로 차폐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하수구 내부의 냄새가 도로상으로 역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가가 있다. 본 발명은 배수공의 위치와 이들 간에 크기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하수구로 배출되는 각종 하수로부터 슬러지 및 토사 등을 용이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직포나 기름 유포지와 같은 흡착수단을 내장하여 하수 속의 슬러지나 토사에 함유된 각종 기름성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성이 더욱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 작동 불능과 같은 장해를 일으킬 만한 구성이 전혀 없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맨홀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
    하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각 방향에 천공되어진 다수의 배수부;
    하수구로부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각 방향에서 상기 배수부를 차폐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맨홀 상단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도록, 이의 상단에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본체의 측면 각 방향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배수공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배수공,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3 배수공을 포함하되, 제1 배수공은 본체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일차적으로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해 제2·3 배수공보다 큰 구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기름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흡착수단과, 소정의 인화성 물질로 인한 발화를 방지 하도록 상기 흡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불연재인 커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커버판은 그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의 상단에 손잡이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서 그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부속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본체의 내측 하단 개방부에 걸림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부속체의 외측 상단에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둘레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내측방향으로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본체의 측면 각 방향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배수공, 상기 부속체의 측면 각 방향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배수공 및 바닥면에 형성된 제3 배수공을 포함하되, 제1 배수공은 본체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일차적으로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해 제2·3 배수공보다 큰 구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8.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제1·2 배수공을 차폐하도록 본체의 하방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 끝단이 본체의 각 방향 단부에 부착·고정되어서 상기 제1·2 배수공을 커버하되, 하수 배출시 상기 제1·2 배수공을 개방하도록 그 재질을 플렉시블한 가요성 소재 및 냄새 차단을 위한 방취성 소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러버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체는 하수에 포함된 각종 기름 성분을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흡착수단과, 소정의 인화성 물질로 인한 발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흡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불연재인 커버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커버판은 그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체는 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KR1020040066349A 2004-08-23 2004-08-23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60018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49A KR20060018026A (ko) 2004-08-23 2004-08-23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49A KR20060018026A (ko) 2004-08-23 2004-08-23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072U Division KR200367717Y1 (ko) 2004-08-23 2004-08-23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026A true KR20060018026A (ko) 2006-02-28

Family

ID=3712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349A KR20060018026A (ko) 2004-08-23 2004-08-23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0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09Y1 (ko) * 2008-12-02 2012-06-11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KR101232122B1 (ko) * 2012-07-17 2013-02-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집수정 걸름망장치
CN112064768A (zh) * 2020-09-26 2020-12-11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防堵排水运气复合型地漏
KR102376643B1 (ko) * 2021-09-24 2022-03-23 (주) 자연과환경 하수의 역류와 악취 방지용 슬러지 제거를 위한 배수시스템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09Y1 (ko) * 2008-12-02 2012-06-11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KR101232122B1 (ko) * 2012-07-17 2013-02-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집수정 걸름망장치
CN112064768A (zh) * 2020-09-26 2020-12-11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防堵排水运气复合型地漏
CN112064768B (zh) * 2020-09-26 2021-11-05 深圳千里马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屋面防堵排水运气复合型地漏
KR102376643B1 (ko) * 2021-09-24 2022-03-23 (주) 자연과환경 하수의 역류와 악취 방지용 슬러지 제거를 위한 배수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633B2 (en) Sewer eco-collar for sump application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6908549B2 (en) Reusable storm water sampler and pollutant filter insert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200367717Y1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60018026A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60081275A (ko)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및 기름 제거방법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20180034011A (ko) 빗물 배수시설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102035118B1 (ko)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