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771A - 무타공 집수구 - Google Patents

무타공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771A
KR20190096771A KR1020180016592A KR20180016592A KR20190096771A KR 20190096771 A KR20190096771 A KR 20190096771A KR 1020180016592 A KR1020180016592 A KR 1020180016592A KR 20180016592 A KR20180016592 A KR 20180016592A KR 20190096771 A KR20190096771 A KR 2019009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tchment
position fixing
side wall
lev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383B1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102018001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설치되는 무타공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과 위치고정용 걸림부(33)의 결합을 통하여 집수구 몸체(30)와 매입 프레임(40)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집수구(1)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관(7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수관(70)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무타공 집수구{non-perforating construction type catch basin}
본 발명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시키지 않고도 집수구를 설치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집수구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하여 교량 등에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집수구 시공과정은, 교량의 거푸집 상에 골조를 이루는 철근을 설치한 후에 이러한 철근 사이에 집수구를 끼워 넣어 고정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에 집수구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집수구는 상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집수구의 상하 길이가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보다 클 경우, 집수구를 철근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집수구의 윗단을 추후 타설될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맞추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의 밑에 있는 거푸집을 타공하여 집수구의 밑 부분인 배수부가 거푸집의 밑으로 관통하여 빠져 나오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설치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집수구를 설치하는 초기 과정에서 거푸집을 타공할 필요가 없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3956호(2016.08.09.공개)에서와 같이 상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길이 가변 집수구는 스프링의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여 길이를 맞추기 때문에 길이를 맞추는 작업과정에서 상당한 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집수구의 밑 부분인 배수부에 배수관을 연결할 때 볼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배수관의 체결과정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3956호(2016.08.09.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길이 가변이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후단에 설치되는 배수관과의 연결에 볼트가 이용되지 않음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타공 집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집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며 밑 부분에 호퍼(hopper)부가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밑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배수부로 구분되며,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고정용 걸림부가 형성되는 집수구 몸체;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는 커버;
상하로 개방되되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상기 상부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매입 프레임;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매입 프레임이 상기 배수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용 탄성편;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부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은,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서 상기 매입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 및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세로부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락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와 상기 세로부의 윗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ㄱ'자 형태를 하고 상기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이 끼워져 상기 가로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는 상기 레버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로핀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과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집수구 몸체와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상기 배수관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매입 프레임(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매입 프레임(3)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매입 프레임(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매입 프레임(3)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1)는 커버(10), 모래받이(20), 집수구 몸체(30), 매입 프레임(40), 및 배수관(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집수구 몸체(30)는 집수부(31)와 배수부(32)로 구분된다. 집수부(31)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도록 상하로 개방되며 밑 부분에는 호퍼(hopper)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부(32)는 집수부(31)에서 밑으로 연장된 관 형태를 한다. 따라서 집수구 몸체(3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상을 한다.
배수부(32)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고정용 걸림부(33)가 설치된다. 위치고정용 걸림부(33)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산볼트가 배수부(32)의 외측면에 일부 매립되게 결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산볼트의 나사산 부분이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모래받이(20)는 집수부(31) 내에 위에서 밑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모래받이(20)는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 사이에는 빗물과 함께 휩쓸려 유입되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밑이 막힌 고랑(23)이 형성된다. 내측 테두리(22)로 둘러진 가운데 부분에는 물이 밑으로 빠져나가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다.
커버(10)는 모래받이(20)를 위에서 덮도록 설치된다. 커버(10)의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 12)이 형성된다.
커버(10)와 모래받이(20)가 견고하게 교합되도록 모래받이(20)의 외측 테두리(21)와 내측 테두리(22)에 위에서 밑으로 체결홈(21a, 22a)을 형성하고, 커버(1)의 그레이팅(12)이 체결홈(21a, 22a)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0)가 모래받이(20)를 완전히 뒤덮도록 모래받이(20)보다 커버(10)의 크기가 커서 커버(10)의 테두리가 모래받이(20)의 외측 테두리(21) 바깥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부(31)가 호퍼 형상을 하기 때문에 모래받이(20)가 집수부(31)에 끼워질 때 모래받이(20)는 집수부(31)의 호퍼 경사면에 걸터앉게 설치된다.
집수부(30)의 측벽 내측에는 커버(10)의 테두리 밑단이 받쳐지거나 또는 모래받이(20)가 받쳐지도록 단턱부(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커버(10)의 테두리 밑단이 받쳐지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단턱부(34)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면 커버(10)나 모래받이(20)가 수평인 상태로 안정적으로 밑에서 받쳐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매입 프레임(40)은 상하로 개방된 형태를 하는데, 이 때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40a)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32)는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매입 프레임(4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매입 프레임(40)의 상부 개방부를 좁게 하고 하부 개방부를 넓게 하는 이유는 집수구(1)의 시공 과정에서 매입 프레임(40)과 배수부(32)의 결합 틈새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와 배수부(32) 사이에 배수관(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을 부여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리벳(51) 등을 통하여 매립 프레임(40)의 측벽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두께가 너무 얇으면 탄성력이 너무 약하고 너무 두꺼우면 탄성력이 없게 되므로 재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은 매입 프레임(40)에 결합되는 결합부(50a)와, 결합부(50a)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50b)와, 세로부(50b)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5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로부(50c)가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걸리게 된다.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 상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매입 프레임(40)을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면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를 덜컥거리면서 넘어가게 되고, 이 때 원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멈추면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걸린 채로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물론, 슬라이딩 시에는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서 벗어나도록 옆으로 위치시켰다가 원한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멈춘 후에는 매입 프레임(40)을 회전시켜 위치고정용 탄성편(50)이 위치고정용 걸림부(33)에 끼워지도록 하여도 좋다.
배수관(70)은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배수부(32)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배수관(70)과 매입 프레임(40)의 체결을 위해서 배수관(70)의 측벽에는 결합공(71)이 형성되며, 매입 프레임(40)의 측벽 내측에는 결합공(71)에 끼워지도록 레버락(60)이 설치된다.
레버락(60)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60b)와, 세로부(60b)의 윗단에서 안쪽을 절곡되는 가로부(60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하고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62)이 끼워져 가로핀(6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매입 프레임(40)의 측벽 내측에는 레버락(60)을 사이에 두고 가로핀(62)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안쪽으로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61)이 설치된다.
배수관(70)은 매입 프레임(4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밑에서 위로 끼워지는데, 이 때 레버락(60)은 배수관(70)에 의해 밀려 가로핀(62)을 축으로 위로 회전하여 들어 올려지다가 가로부(60a)가 살짝 들어 올려진 채로 결합공(71)에 약간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관(70)을 약간 밑으로 내리면 가로부(60a)가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내려오면서 숙여져 배수관(70)의 결합공(71)에 깊숙이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세로부(60b)가 매입 프레임(40)의 벽 쪽에 부딪힘으로써 가로부(60a)가 수평하게 뻗어질 때까지만 내려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71)이 레버락(60)이 있는 위치에 오면 결합공(71)에 끼워지게 된다.
배수관(70)을 빼는 과정은, 배수관(70)을 위로 밀어 올리면 레버락(60)이 가로핀(62)을 축으로 위로 회전하여 들어 올려지면서 결합공(71)에서 빠지게 되고 이렇게 레버락(60)이 빠진 상태에서 결함공(71)이 레버락(60)에 걸리지 않도록 배수관(70)을 회전시켜 빼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에 휩쓸려 집수구(1)로 유입되는 모래와 같은 작은 이물질이 모래받이(20)에 수집되어 걸러지기 때문에 후단의 배수관(70)이 절곡 부위에서 막히거나 많은 이물질이 그대로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용 탄성편(50)과 위치고정용 걸림부(33)의 결합을 통하여 집수구 몸체(30)와 매입 프레임(40)의 합산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도 집수구(1)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 조절이 종래와 같은 스프링의 인장이나 압축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관(70)의 연결을 위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배수관(70)을 손쉽게 조립 분해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10: 커버 12: 그레이팅
20: 모래받이 21: 외측 테두리
21a, 22a: 체결홈 22: 내측 테두리
23: 고랑 30: 집수구 몸체
31: 집수부 32: 배수부
33: 위치고정용 걸림부 34: 단턱부
40: 매입 프레임 40a: 측벽상단
50: 위치고정용 탄성편 50a: 결합부
50b: 세로부 50c: 가로부
51: 리벳 60: 레버락
60a: 가로부 60b: 세로부
61: 레버락 체결편 62: 가로핀
70: 배수관 71: 결합공

Claims (4)

  1.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며 밑 부분에 호퍼(hopper)부가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밑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의 배수부로 구분되며, 상기 배수부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고정용 걸림부가 형성되는 집수구 몸체;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테두리로 둘러진 가운데 중공 부분에는 큰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는 커버;
    상하로 개방되되 상부 개방부가 하부 개방부보다 좁도록 측벽의 상단이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상기 상부 개방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매입 프레임;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매입 프레임이 상기 배수부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용 탄성편;
    상기 매입 프레임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부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결합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이,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외측에서 상기 매입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위쪽으로 절곡되는 세로부; 및
    상기 위치고정용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세로부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용 탄성편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락은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세로부와 상기 세로부의 윗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가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ㄱ'자 형태를 하고 상기 'ㄱ'자의 절곡부에 가로핀이 끼워져 상기 가로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입 프레임의 측벽 내측에는 상기 레버락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로핀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양팔이 뻗어 있는 레버락 체결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집수구.

KR1020180016592A 2018-02-09 2018-02-09 무타공 집수구 KR10208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92A KR102080383B1 (ko) 2018-02-09 2018-02-09 무타공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92A KR102080383B1 (ko) 2018-02-09 2018-02-09 무타공 집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71A true KR20190096771A (ko) 2019-08-20
KR102080383B1 KR102080383B1 (ko) 2020-02-21

Family

ID=6780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92A KR102080383B1 (ko) 2018-02-09 2018-02-09 무타공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158A (zh) * 2020-03-26 2020-06-26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CN111691313A (zh) * 2020-07-09 2020-09-22 重庆交通大学 一种桥梁施工用组合转体支座
CN111794095A (zh) * 2020-07-23 2020-10-20 沈靖林 一种道路桥梁工程排水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39A (ja) * 1998-07-09 2000-01-25 Komatsu Ltd 自走式木材破砕機械
JP2000328737A (ja) * 1999-05-17 2000-11-28 Sekisui Chem Co Ltd 排水筒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KR20090010314U (ko) * 2008-04-07 2009-10-12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KR101098900B1 (ko) * 2011-03-04 2011-12-26 (주)스템즈 건설 교량용 집수구
JP5261472B2 (ja) * 2008-02-29 2013-08-14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砕機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6-08-09 고재용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JP2017209595A (ja) * 2016-05-23 2017-11-30 クボタ環境サ−ビス株式会社 破砕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破砕機監視装置、破砕機管理サーバ、及び、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539A (ja) * 1998-07-09 2000-01-25 Komatsu Ltd 自走式木材破砕機械
JP2000328737A (ja) * 1999-05-17 2000-11-28 Sekisui Chem Co Ltd 排水筒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JP5261472B2 (ja) * 2008-02-29 2013-08-14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砕機
KR20090010314U (ko) * 2008-04-07 2009-10-12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KR101098900B1 (ko) * 2011-03-04 2011-12-26 (주)스템즈 건설 교량용 집수구
KR20160093956A (ko) 2015-01-30 2016-08-09 고재용 거푸집의 천공없이 초기가설이 용이한 집수구
JP2017209595A (ja) * 2016-05-23 2017-11-30 クボタ環境サ−ビス株式会社 破砕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破砕機監視装置、破砕機管理サーバ、及び、端末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158A (zh) * 2020-03-26 2020-06-26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CN111335158B (zh) * 2020-03-26 2021-05-18 华中科技大学 一种浮式桥面径流收集装置
CN111691313A (zh) * 2020-07-09 2020-09-22 重庆交通大学 一种桥梁施工用组合转体支座
CN111691313B (zh) * 2020-07-09 2022-05-03 重庆交通大学 一种桥梁施工用组合转体支座
CN111794095A (zh) * 2020-07-23 2020-10-20 沈靖林 一种道路桥梁工程排水结构
CN111794095B (zh) * 2020-07-23 2021-05-14 广东昇华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工程排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383B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383B1 (ko) 무타공 집수구
US6537447B2 (en) Sewer basket and its support
US6217756B1 (en) Drain grate responsive to high flow rates of water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NO333578B1 (no) Slukenhet
KR100925324B1 (ko) 악취차단 오수받이
US20170247873A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use with drainage structure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080382B1 (ko)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90096770A (ko) 모래받이형 집수구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200446850Y1 (ko) 배수용 집수구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101761553B1 (ko) 그레이팅 커버
KR20180003206A (ko) 그레이팅용 거름망
JP3286267B2 (ja) 排水溝用自洗装置
KR100625017B1 (ko)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100708302B1 (ko) 악취발생방지 배수장치
EP3652387B1 (en) Water drain kit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water drain
KR200367648Y1 (ko) 하수구 뚜껑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