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416A -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416A
KR20110040416A KR1020090097672A KR20090097672A KR20110040416A KR 20110040416 A KR20110040416 A KR 20110040416A KR 1020090097672 A KR1020090097672 A KR 1020090097672A KR 20090097672 A KR20090097672 A KR 20090097672A KR 20110040416 A KR20110040416 A KR 2011004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nhole
additional
pieces
inn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962B1 (ko
Inventor
조주엽
Original Assignee
조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엽 filed Critical 조주엽
Priority to KR102009009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9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90Methods or apparatus for demoulding or discharging after sha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동공을 가지는 외형틀과, 상기 외형틀의 내부에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을 따라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를 가지는 내형틀과, 상기 메인형틀의 개구부에 대응결합되어 원형단면을 가지는 내형틀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부가형틀과,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맨홀을 상기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홀, 외형틀, 내형틀, 실린더

Description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본 발명은 내형틀을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개하여 부가형틀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원형단면의 온전한 내형틀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시킴으로써,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형틀을 내, 외형틀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길가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및 우수 등(이하 하폐수)을 배수처리하기 위한 맨홀이 설치되며, 이러한 맨홀은 지하에 매립된 하수관으로 연결되면서 이를 따라 상기 하폐수를 원격지에 있는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하천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하폐수를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즉, 도로의 양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하수관이 길게 연결되어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토사를 포함한 도로상의 각종 이물질을 상기 하수관을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하수관 중간에는 소정 크기의 맨홀이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쓸려 내 려온 잔류토사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들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맨홀을 제작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내, 외형틀 사이에 콘크리트와 같은 맨홀부재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맨홀이 굳으면서 맨홀의 내주연에 내형틀과 접촉된 상태로 굳어버리기 때문에, 상기 맨홀과 내형틀을 상호간 이탈시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상기 맨홀 내부로 직접 작업자가 투입되어, 별도의 장비 및 작업 등을 통해 상기 내형틀과 맨홀 상호간 분리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맨홀 제작에 있어서 제작시간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과, 인력의 소모 및 작업의 불편함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을 제작하기 위해,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 제작된 맨홀을 작업자가 직접 내형틀 속으로 들어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내형틀과 맨홀 사이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착탈가능한 부가형틀이 결합됨으로써 온전한 원형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내형틀과,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타설되는 맨홀로부터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켜 착탈가능토록 하는 착탈장치를 통해, 맨홀이 양생되면서 접착되어진 내, 외형틀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 동공을 가지는 외형틀과; 상기 외형틀과 동심도가 일치되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재가 길이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형틀과; 상기 개구부에 대응결합되어 원형 단면의 내형틀이 형성되도록 하며, 내형틀 내부로 제 1, 2이동편을 길이방향 상,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 1, 2이동편 사이에 상호간 이격되는 제 1, 2고정편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부가형틀과; 상기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맨홀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부가형틀을 내형틀 내부로 끌어당겨 맨홀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제 1, 2고정편에 일단이 각각 결합고정되는 제 1, 2지지편과; 상기 제 1, 2지지편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고, 중단에 형성된 절곡부로 인해 타단이 상호간 대응결합되며, 상호간 대칭을 이루는 제 1, 2조절편과; 상기 내형틀 내부에 직립설치되어 복수개의 절곡부와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조절편과 제 2조절편이 각각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위치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대와; 상호간 결합되어 있는 제 1, 2조절편의 타단을 전, 후진 시키는 메인 실린더와; 상기 수직대의 상, 하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결합되는 수평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2이동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인 실린더와 동시에 전, 후진 됨으로써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키는 제 1, 2 부가실린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2이동편은 양단에 장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편이 상기 장공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 실린더 및 제 1, 2 부가실린더에 의해 부가형틀이 전, 후진 되는 경우, 상기 장공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형틀은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에 의해 부가형틀이 장공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된 후, 제 1, 2이동편를 결합부재와 연결시키는 결합편에 의 해,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내형틀의 양단측 각각이 부가형틀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 후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형틀은 상기 부가형틀이 끼워지는 상기 개구부가 좁아지거나 또는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내형틀의 양측을 지지고정하는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진 맨홀을, 작업자가 직접 내형틀 내부에 들어가 별도의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접착되어버린 내, 외형틀로부터 맨홀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및 "제 2(second)" 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는 외형틀(10), 내형틀(20), 부가형틀(30), 착탈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외형틀(10)은 상, 하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원형 관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내형틀(20)은 외형틀(10)과 마찬가지로 원형 관체의 형상을 가지며, 외형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형틀(20)과 동심도(Concentricity)가 일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형틀(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형틀(10)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외형틀(10)의 내주연과 상기 내형틀(20)의 외주연이 상호간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형틀(10)과 내형틀(20) 사이에 맨홀, 즉 콘크리트 등을 타설(打設)하여 맨홀(70)을 양생(養生)하는 것이다.
상기 내형틀(20)은 내주면 둘레로 돌출되는 결합부재(21)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재(21)는 내형틀(2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돌출형성되도록 하며, 완전한 원형 관체를 이루지 못하고, 'C' 자 형태와 같이 단면을 가지도록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22)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내형틀(20)은 개구부(22)를 중심으로 양단측(A, B) 각각에 내형틀(2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편(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23)은 후술 될 부가형틀(30)의 제 1, 2이동편(31, 32)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는 하기에서 부가형틀(30)을 언급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내형틀(20)에는 개구부(22)를 중심으로 양단측(A, B)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대(60)를 설치하여, 상기 내형틀(20)의 개구부(22) 거리가, 상기 부가형틀(30)이 개구부(22)에 끼워지도록 전진하거나 또는 개구부(22)에서 빠지도록 후진되는 경우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가형틀(30)은 개구부(22)에 대응결합됨으로써, 상기 내형틀(20)이 완전한 원형 단면의 관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부가형틀(30) 자체는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부가형틀(30)은 길이방향의 상, 하단 각각에 내형틀(20)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제 1, 2이동편(31, 32)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2이동편(31, 32) 사이에는 제 1, 2이동편(31, 32)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호간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형틀(20)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 1, 2고정편(33, 34)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 1, 2고정편(33, 34) 또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2이동편(31, 32)의 양단부에는 각각 내형틀(20)의 내부측 방향을 향해 천공되는 장공(24)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 1이동편(31)의 양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24)은 결합편(23)과 연결수단(35)(볼트/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이동편(32)의 양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24) 또한 결합편(23)과 연결수단(35)에 이해 연결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연결을 위해, 상기 내형틀(20)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부재(21) 중 복수개의 결합부재(21)는 제 1, 2이동편(31, 32)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착탈장치(40)는 제 1고정편(33)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지지편(41)과, 상기 제 1지지편(41)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중단은 절곡되는 절곡부(45)가 형성되는 제 1조절편(43)의 첫 번째 구성과, 상기 제 2고정편(34)에 일단에 결합되는 제 2지지편(42)과, 상기 제 2지지편(42)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중단은 절곡되는 절곡부(45)가 형성되는 제 2조절편(44)의 두 번째 구성이 상호간 내형틀(20)의 내부에서 상, 하로 배치되는 것이다.(상기 제 1고정편(33)과 제 1지지편(41) 및 제 2고정편(34)과 제 2지지편(42) 상호간은 나사결합되어, 상호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 될 제1, 2부가실린더(49, 50)와 부가형틀(30) 상호간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조절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조절편(43)과 제 2조절편(44)은 상호간 대향되어 마주보는 대칭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제 1조절편(43)은 절곡부(45)로 인하여 타단이 제 2조절편(44)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제 2조절편(44)은 절곡부(45)로 인하여 타단이 제 1조절편(43)으로 향하게 되어, 상기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상호간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2조절편(43, 44)은 일단이 각각 제 1, 2지지편(41, 42)에 힌지결합되되,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상호간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조절편(43)에 형성된 절곡부(45)와, 상기 제 2조절편(44)에 형성된 절곡부(45)는 내형틀(20) 내부에서 직립고정설치되는 수직대(4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 1조절편(43)과 제 2조절편(44)이 상호간 연결된 타단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내형틀(20) 내에 설치되는 메인 실린더(47)의 일단에 연결되게 되며, 상기 메인 실린더(47)가 후진하게 될 경우,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을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1조절편(43)의 일단은 절곡부(4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강하게 되고, 제 2조절편(44)의 일단은 절곡부(4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승하게 된다. 즉, 제 1조절편(43)은 일단은 하강하면서 제 1지지편(41)과의 힌지부분이 구부러지면서 부가형틀(30)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조절편(44)의 일단 또한 상승하면서 제 2지지편(42)과의 힌지부분이 구부러지면서 부가형틀(30)을 잡아당기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수직대(46)의 상, 하단에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대(48)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대(46)의 상단에 위치된 수평대(48)는 일단에 제 1부가실린더(49)가 설치되고 타단은 내형틀(20)의 내주연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대(46)의 하단에 위치된 수평대(48)는 일단에 제 2부가실린더(50)가 설치되고 타단은 내형틀(20)의 내주연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에 일단에 결합되는 수평대(48)의 경우,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가 인장 압축을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는 등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의 일단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부가실린더(50)의 일단에 결합되는 수평대(48)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며,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48)는 수직대(46)의 상, 하단에 연결되어 메인 실린더(47)가 인장 압축시 뒤로 밀리는 것 또한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후단이 중단부에 고정되어, 양단이 복수개의 수평대(48)의 각각 고정되는 부가 수직대(46a)가 존재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물론, 상기 메인 실린더(47)가 작동시 후단으로 밀리는 등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상기 부가 수직대(46a) 외에 다른 구성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의 일단은 부가형틀(30)의 제 1이동편(31)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 2부가실린더(50)의 일단은 부가형틀(30)의 제 2이동편(32)에 고정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메인 실린더(47)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51)가 메인 실린더(47)로 내입되어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이 당겨지면서 부가형틀(30)이 내형틀(20) 내부로 후진되는 경우,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 또한 각각 실린더 내 피스톤 로드(51a, 51b)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 1이동편(31)과 제 2이동편(32)을 내형틀(20) 내부로 끌어당겨 메인 실린더(47)와 함께 부가형틀(30)을 내형틀(20) 내부로 후진시키는 것이다. (즉,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피스톤이 압축 및 인장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만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가 압축되면서 제 1이동편(31)을 내형틀(20) 내부로 후진시키는 경우, 상 기 제 1이동편(31)은 장공(24)의 길이만큼만 후진되거나 반대로 전진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에서 전술된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내형틀(20)과 외형틀(19) 사이에 맨홀부재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맨홀(70)을 제작하되 상기 맨홀을 외부로 분리하기 전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 1지지편(41)과 제 2지지편(42)은 상호간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 1조절편(43)의 일단과 제 2조절편(44)의 일단 또한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51)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피스톤 로드(51a, 51b)는 외부로 일정길이 토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부가형틀(30)을 후진시켜 내형틀(20)의 개구부(22)로부터 부가형틀(30)을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의 피스톤 로드(51, 51a, 51b)를 압축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메인 실린더(47)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 1, 2조절편(43, 44) 일단 각각은 절곡부(45)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조절편(43)의 일단은 하강하게 되면서 제 1지지편(41)을 끌어당기고, 상기 제 2조절편(44)의 일단은 상승하게 되면서 제 2지지편(42)을 끌어당겨 부가형틀(30)이 후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 또한 압축되면서 제 1, 2이동편(31, 32)을 끌어당겨 부가형틀(30)이 후진하게 되는 것을 돕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2이동편(31, 32)은 양단에 천공형성된 장공(24) 길이 만큼만 후진하게 된다.
이후,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24) 길이 만큼 후진 부가형틀(30)이 후진되어 부가형틀(30)이 맨홀(70)과 소정간격 이격된 후에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편(23)에 의해 제 1, 2이동편(31, 32)과 결합되어 있는 내형틀(20)의 개구부(22)를 중심으로 한 양단측(A, B) 각각도, 상기 제 1, 2부가실린더(49, 50)의 압축에 의해 내형틀(20) 쪽으로 후진되어 맨홀(7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된다.
(후진된 부가형틀(30)을 개구부(22)에 정확히 맞추어 내형틀(20)이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를 전술된 바와 반대로,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51, 51a, 51b)를 일정길이 외부로 토출시키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이동편과 제 1부가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고정편과 메인 피스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형틀을 착탈장치를 이용하여 후진하기 전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부가형틀의 후진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이 제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외형틀 20: 내형틀
21: 결합부재 22: 개구부
23: 결합편 24: 장공
30: 부가형틀 31: 제 1이동편
32: 제 2이동편 33: 제 1고정편
34: 제 2고정편 40: 착탈장치
41; 제 1지지편 42: 제 2지지편
43: 제 1조절편 44: 제 2조절편
45: 절곡부 46: 수직대
47: 메인 실린더 48: 수평대
49: 제 1부가실린더 50: 제 2부가실린더
51, 51a, 51b: 피스톤 로드 60: 고정대
70: 맨홀

Claims (5)

  1. 내부 동공을 가지는 외형틀(10)과;
    상기 외형틀(10)과 동심도가 일치되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재(21)가 길이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22)가 형성되는 내형틀(20)과;
    상기 개구부(22)에 대응결합되어 원형 단면의 내형틀(20)이 형성되도록 하며, 내형틀(20) 내부로 제 1, 2이동편(31, 32)을 길이방향 상,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 1, 2이동편(31, 32) 사이에 상호간 이격되는 제 1, 2고정편(33, 34)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부가형틀(30)과;
    상기 외형틀(10)과 내형틀(2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맨홀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부가형틀(30)을 내형틀(20) 내부로 끌어당겨 맨홀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장치(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장치(40)는
    상기 제 1, 2고정편(33, 34)에 일단이 각각 결합고정되는 제 1, 2지지편(41, 42)과;
    상기 제 1, 2지지편(41, 42)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고, 중단에 형성된 절곡부(45)로 인해 타단이 상호간 대응결합되며, 상호간 대칭을 이루는 제 1, 2조절편(43, 44)과;
    상기 내형틀(20) 내부에 직립설치되어 복수개의 절곡부(45)와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조절편(43)과 제 2조절편(44)이 각각의 절곡부(45)를 중심으로 위치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대(46)와;
    상호간 결합되어 있는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을 전, 후진 시키는 메인 실린더(47)와;
    상기 수직대(46)의 상, 하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결합되는 수평대(48)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2이동편(31, 32)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동시에 전, 후진 됨으로써 부가형틀(30)을 전, 후진 시키는 제 1, 2 부가실린더(49, 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이동편(31, 32)은
    양단에 장공(24)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1)에 형성된 결합편(23)이 상기 장공(24)과 연결수단(3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 실린 더(47) 및 제 1, 2 부가실린더(49, 50)에 의해 부가형틀(30)이 전, 후진 되는 경우, 상기 장공(24)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형틀(20)은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에 의해 부가형틀(30)이 장공(24)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된 후, 제 1, 2이동편(31, 32)를 결합부재(21)와 연결시키는 결합편(23)에 의해, 상기 개구부(22)를 중심으로 내형틀(20)의 양단측(A, B) 각각이 부가형틀(3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 후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형틀(20)은
    상기 부가형틀(30)이 끼워지는 상기 개구부(22)가 좁아지거나 또는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2)를 중심으로 내형틀(20)의 양측을 지지고정하는 고정대(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KR1020090097672A 2009-10-14 2009-10-14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KR10107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ko) 2009-10-14 2009-10-14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ko) 2009-10-14 2009-10-14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16A true KR20110040416A (ko) 2011-04-20
KR101077962B1 KR101077962B1 (ko) 2011-10-31

Family

ID=4404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ko) 2009-10-14 2009-10-14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9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12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KR101866787B1 (ko) * 2017-05-16 2018-06-12 (주)아이엠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KR101942246B1 (ko) * 2018-08-28 2019-01-2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 맨홀용 몸체 성형틀
KR101971372B1 (ko) * 2017-12-21 2019-04-22 이상학 콘크리트관 내부 거푸집
CN112936571A (zh) * 2019-11-26 2021-06-11 金科新能源有限公司 预制塔筒的成型施工方法
CN114311236A (zh) * 2021-12-27 2022-04-12 宁波蛟川构件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u形框架梁的制作模具及制作方法
CN115229680A (zh) * 2022-06-29 2022-10-2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带有夹层的超长套筒的建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491B1 (ko) 2012-04-10 2012-07-18 (주) 하회맨홀 맨홀 성형 장치
CN105973658B (zh) * 2016-03-17 2018-09-18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圆板法测喷射混凝土弯曲韧性试验时取试样的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12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KR101866787B1 (ko) * 2017-05-16 2018-06-12 (주)아이엠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KR101971372B1 (ko) * 2017-12-21 2019-04-22 이상학 콘크리트관 내부 거푸집
KR101942246B1 (ko) * 2018-08-28 2019-01-2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 맨홀용 몸체 성형틀
CN112936571A (zh) * 2019-11-26 2021-06-11 金科新能源有限公司 预制塔筒的成型施工方法
CN112936571B (zh) * 2019-11-26 2023-01-24 金科新能源有限公司 预制塔筒的成型施工方法
CN114311236A (zh) * 2021-12-27 2022-04-12 宁波蛟川构件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u形框架梁的制作模具及制作方法
CN115229680A (zh) * 2022-06-29 2022-10-2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带有夹层的超长套筒的建造方法
CN115229680B (zh) * 2022-06-29 2024-02-20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带有夹层的超长套筒的建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962B1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62B1 (ko)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CN108890872B (zh) 一种预制检查井模具
KR101642689B1 (ko) 진동 원형관 성형용 몰드
CN106671248B (zh) 路基中央缝隙式排水沟的施工方法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CN106638697A (zh) 钢筋混凝土现浇圆形排水检查井轻质模板快速施工方法
CN110306644A (zh) 市政雨污分流管道的施工方法
KR100629722B1 (ko) 급경사 배수로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블록
KR101561976B1 (ko) 맨홀 보수를 위한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CN108118911B (zh) 可拆卸钢管混凝土支撑装置及使用方法
CN110629787A (zh) 一种管廊浇筑用芯模及施工方法
KR20080099217A (ko)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KR101561969B1 (ko)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JP6904542B2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CN208733622U (zh) 一种简易型快速安装人孔挖孔桩护壁的模板
KR102151137B1 (ko) 관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거 제조방법
CN211200121U (zh) 一种排水箱涵的侧墙模板加固装置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83429B1 (ko) 직선형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튜브형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1665475B1 (ko)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JP4562330B2 (ja) 道路立入防止柵の改修工事用資材および改修工法
KR200371890Y1 (ko) 인버터가 형성된 조립식 맨홀과 그 생산장치
CN109235500B (zh) 一种检查井加固砼浇筑组合钢模
KR20120108451A (ko) 원심분리를 이용한 가로등지주 연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CN209042269U (zh) 一种灯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