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87B1 -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87B1
KR101866787B1 KR1020170060655A KR20170060655A KR101866787B1 KR 101866787 B1 KR101866787 B1 KR 101866787B1 KR 1020170060655 A KR1020170060655 A KR 1020170060655A KR 20170060655 A KR20170060655 A KR 20170060655A KR 101866787 B1 KR101866787 B1 KR 10186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foundation stone
curing mold
support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수
고성훈
강동경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아이엠
Priority to KR102017006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는 기초석 양생을 위한 양생틀, 양생틀을 고정하는 받침대, 회전 손잡이 및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는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기초석의 대단위 제조가 가능하며, 양생된 기초석은 파레트 위에 정방향으로 안착되기 때문에 제조에서 운송까지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CURING MOLD FOR MASS PRODUCTION OF GROUNDING STONE FOR SUPPORTING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기초석의 대단위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운송이 용이하게 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 발전 또는 핵 분열로 인한 원자력 발전에 대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무공해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무공해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공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청정하고,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적으며, 무제한의 에너지원이라는 점에서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는 점에서, 태양 에너지의 직접 흡수를 위해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건물 옥상에서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건축물 안정성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서 태양광 구조물 자체 중량만으로 풍압(건축물구조기준 KBC2016)에 안전하면서 옥상 건축물 안정성에 문제없는 구조로 시공해야 된다.
즉,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태양광 구조물 자체 중량만으로 지역 설계 풍속에 따른 풍압을 견디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며, 특히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석의 무게 산정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기초석의 무게 산정이 중요한 문제가 되는 이유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기초석을 제외한 구성품(지지대,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접속반, 기타자재) 등은 태양광 용량이 결정되면 태양광 발전시설의 구성품 자체 무게가 고정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것은 태양광 발전시스템 중에서 기초석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계풍속에 따른 풍압을 견디기 위해서는 전체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석을 이용하여 무게 조절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초석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특성상 수십에서 수백개의 기초석이 시공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타공 공법으로 25KW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서 54개의 기초석이 필요하며, 100KW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216개의 기초석이 필요하게 된다.
즉,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무게 조절이 가능한 기초석, 이러한 기초석을 대규모로 양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기초석의 대단위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운송이 용이하게 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은, 기초석 형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할 수 있는 몰드 형태로서, 기초석 형상으로 양생된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양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양생 기본틀, 분리 가능한 양생 기본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기초석에 포함되는 플레이트 앵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을 포함하고, 기초석은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하단 콘크리트부, 하단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단 콘크리트부 및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단 콘크리트부로부터 돌출되어,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를 포함하고,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는 원기둥의 형상이고, 하단 콘크리트부의 직경은 상단 콘크리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철(凸) 모양을 형성하고, 양생틀은 기초석의 콘크리트부의 양생이 용이하도록 기초석의 설치 방향과 상하 반전 방향으로 제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은, 양생틀을 고정하기 위한 ㅁ 형태의 받침대, 받침대를 180도 회전시켜 양생틀을 상하 반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 및 받침대와 회전손잡이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를 구성하고, 양생틀은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받침대의 회전 상태에서도 받침대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이탈 방지 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는,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받침대의 상하 반전 상태에서 받침대에 고정된 양생틀이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는,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받침대의 상하 반전 상태에서 받침대에 고정된 양생틀이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앵커는 태양광 구조물을 기초석에 고정시키고 결합할 수 있도록, 판 형태의 플레이트 앵커, 앵커 볼트 및 케미컬 앵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은, 양생틀의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에 플레이트 앵커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플레이트 앵커가 삽입된 양생틀을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단계, 양생된 기초석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생틀 안쪽에 윤활유를 분사하거나 덧칠하는 단계, 양생틀에 철근을 교차하여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기초석의 양생 완료 후에, 양생틀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180도 회전시켜 양생틀을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 상하 반전된 양생틀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파레트에 안착되는 단계 및 안착된 양생틀의 결합부를 분해하여 양생 기본틀을 양 방향으로 분리하고 양생된 기초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생틀은 받침대의 회전 상태에서도 받침대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이탈 방지 걸쇠를 포함하고, 받침대는 양생틀을 고정하기 위한 ㅁ 형태로 구성되고, 받침대에 고정된 양생틀이 상하 반전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 또는 좌우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에 따르면, 기초석 양생 공정의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며, 자동화된 기초석 양생 공정을 이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을 대단위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에 따르면, 양생된 기초석을 파레트 위에 정방향으로 획득하게 되므로 운송을 위한 불필요한 작업 없이 파레트를 그대로 차량으로 이동시켜 신속한 차량 적재가 가능하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에 도넛형 중량물(300)을 층층히 적재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걸쇠(440)를 포함하는 양생틀(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석 양생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석 양생 과정을 시간 순서로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은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하단 콘크리트부(10), 하단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단 콘크리트부(20) 및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콘크리트부(10)는 기초석 부분 중에서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 옥상의 타공 없이 기초석(100) 및 기초석(100)에 결합되는 중량물들의 중량만으로 태양광 구조물의 반력과 평형을 이루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여기에서 반력이란 구조물의 지지점으로부터 구조물에 작용하는 반작용 힘으로서, 기초석(100)이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되기 때문에, 기초석(100)의 부분 중 하단 콘크리트부(10) 부분이 반력이 생성되는 지점 및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이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단 콘크리트부(10)는 반경 d1, 높이 h1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콘크리트 부분으로서,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어야 하므로, 안정성 측면에서 상단 콘크리트부(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또한,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직경이 상단 콘크리트부(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됨으로써, 후술할 도넛형 중량물(300)을 하단 콘크리트부 상에 층층이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콘크리트부(20)는 기초석 부분 중에서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하단 콘크리트부(10)와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 콘크리트부(20)는 반경 d2, 높이 h2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콘크리트 부분으로서,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즉, 상단 콘크리트부(20)와 하단 콘크리트부(10)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철(凸)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콘크리트부(10)의 반경(d1)은 350mm, 높이(h1)는 100mm로, 상단 콘크리트부(10)의 반경(d2)은 200mm, 높이(h2)는 200mm로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철(凸)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콘크리트부(10) 및 상단 콘크리트부(20)는 태양광 구조물의 지지력 강화 및 기초석(100)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철근을 배치한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앵커(30)는 상단 콘크리트부(20) 및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단 콘크리트부(20)로부터 돌출되어,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앵커(30)는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되어 태양광 구조물의 중량을 감당하고 기초석(100)의 지지력을 전달함으로써, 기초석(100)과 태양광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앵커(30)는 기초석(100)의 지지력을 전달하고,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초석(100) 제작시, 예컨대 상단 콘크리트부(20) 및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양생 과정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 콘크리트부(20) 및 하단 콘크리트부(10)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단 콘크리트부(20)로부터 돌출되도록 매립 설치되어, 태양광 구조물을 고정시키고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앵커(30)는 태양광 구조물을 기초석(100)에 고정시키고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정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판 형태의 플레이트 앵커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앵커들, 예컨대 앵커 볼트, 케미칼 앵커 등의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앵커(30)는 태양광 구조물을 기초석(100)에 고정시키고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소강, 특수강, 공구강(탄소공구강, 합금공구강)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에 도넛형 중량물(300)을 층층히 적재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석(100)은,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서, 기초석(100)의 하단 콘크리트부(10) 상에 도넛형 중량물(300)을 층층이 적재하여 결합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초석(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기초석(100)의 무게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기초석(100)의 하단 콘크리트부(10) 상에 도넛형 중량물(300)을 층층이 적재하여 결합된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태양광 구조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석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100)에 층층이 적재되는 도넛형 중량물(30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기초석(100) 하중(중량)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 위치에 따른 기초석(10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초석(100)에 층층이 적재되는 도넛형 중량물(30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구조물 설치 시에 기초석(100)의 활하중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활하중이란 구조물 관련하여 사람, 자재, 기타 등과 같이 수시로 변하는 하중을 의미하는데, 태양광 구조물 설치 시에는 작업자와 자재 등이 태양광 구조물에 적재 될 수 있으므로 활하중이 변화할 수 있다. 즉, 태양광 구조물 설치시에 작업자와 자재 등의 적재 상태의 변화로 인한 태양광 구조물 하중의 변화에도 도넛형 중량물(300)의 적층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활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형 중량물(300)은 중량에 따라 각기 상이한 높이값을 갖거나 각기 상이한 외부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중량을 가진 도넛형 중량물(300)의 적층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 또는 활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한데, 일정한 중량을 가진 도넛형 중량물(300)의 적층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도넛형 중량물(300)을 중량에 따라 각기 상이한 높이값을 갖거나 각기 상이한 외부 직경을 갖도록 제작하여, 적층되는 각 도넛형 중량물(300)의 중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도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 또는 활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넛형 중량물(300)을 중량에 따라 각기 상이한 높이값을 갖거나 각기 상이한 외부 직경을 갖도록 제작하여, 다양한 중량 또는 다양한 형태(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도넛형 중량물(300)의 제작이 가능하다. 즉, 다양한 중량 또는 다양한 형태(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도넛형 중량물(300)을 기초석(100)에 층층이 적층함으로써, 기초석(100)에 포함되는 중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 또는 활하중에 대응하는 지지력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넛형 중량물(300)은 기초석(100)에 층층이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단 콘크리트부(10) 상부에서 상단 콘크리트부(20)의 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초석(100) 및 층층이 적층된 도넛형 중량물(300)은 화강암과 같은 방풍에 강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방수를 위해서 시공시에 방수재질의 포로 덮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500)은 기초석 형상의 몰드 형태인 양생 기본틀(410), 양생 기본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420) 및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 기본틀(410)은 기초석 형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할 수 있는 몰드 형태로서, 기초석 형상으로 양생된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양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양생 기본틀(410)은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 콘크리트를 기초석 형상으로 양생할 수 있는 몰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생된 기초석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양방향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420)는 양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양생 기본틀(410)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기초석의 몰드 형태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즉, 결합부(420)는 기초석의 양생 전 및 양생 과정에서는 기초석 몰드 형태를 유지하도록 양생 기본틀(410)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기초석의 양생 후에는 결합부를 해제시켜 양생된 기초석을 양생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420)는 경첩(hinge)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볼트, 너트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은 기초석(10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 앵커(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앵커(30)는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되어 태양광 구조물의 중량을 감당하고, 기초석(100)의 지지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정확히 기초석의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초석을 양생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 앵커(30)가 정확히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과정이 중요한데,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은 양생 과정에서 플레이트 앵커(30)가 중심축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은 양방향으로 분리된 양생 기본틀(410)의 중심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플레이트 앵커(30)가 기초석 양생틀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생틀(500)은 기초석(100)의 콘크리트부의 양생이 용이하도록 기초석(100)의 설치 방향과 상하 반전 방향으로 제조되어 배치된다.
즉, 기초석(100)의 상단 콘크리트부(20)가 양생되는 부분은 양생틀(500)의 하단부에 해당하고, 기초석(100)의 하단 콘크리트부(10)가 양생되는 부분은 양생틀(500)의 상단부에 해당하게 되는데, 플레이트 앵커(30)의 삽입 및 균일한 콘크리트의 양생을 고려하여, 양생틀(500)은 기초석의 설치 방향과 상하 반전된 방향으로 기초석(100)을 양생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걸쇠(440)를 포함하는 양생틀(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양생틀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600), 양생틀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700) 및 지지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600)는 양생틀(50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생틀(500)에 포함된 이탈 방지 걸쇠(440)를 이용하여 양생틀(500)을 받침대(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양생틀(500)은 ㅁ 형태의 받침대(60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탈 방지 걸쇠(440)를 더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양생틀(500)은 받침대(600)가 180도 회전하더라도 이탈 방지 걸쇠(440)로 인하여 받침대(600)에 결합되어 상하 반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600)는 양생틀(500)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이거나 좌우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600)는 기초석의 양생과정에서 양생틀(500)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야 할 경우가 있는데, 받침대(600)를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제작하거나 좌우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양생 과정에서 양생틀(500)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대(600)의 좌우 간격 조절은 이탈 방지 걸쇠(440)의 크기를 고려하여 d3로 조절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조절 가능한 좌우 간격(d3)을 50mm 로 설정하여 양생틀과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손잡이(700)는 받침대에 고정된 양생틀(500)을 상하 반전시키기 위해서 받침대(600)를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양생 후에 양생된 기초석 콘크리트를 양생틀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양생틀(500)을 상하 반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데, 받침대를 18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받침대에 고정된 양생틀(500)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800)는 받침대(600)와 회전손잡이(700)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800)는 받침대(600)와 회전손잡이(700)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을 지지함으로써, 받침대(600) 및 양생틀(5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석 양생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석 양생 과정을 시간 순서로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양생틀(500)의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에 플레이트 앵커(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콘크리트 양생을 시작하기 전에 결합부가 결합된 양생틀에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앵커(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 앵커(30)는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에 삽입됨으로써 기초석 중심축(양생틀 중심축)을 관통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플레이트 앵커(30)가 삽입된 양생틀(500)을 받침대(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콘크리트 양생을 시작하기 전 양생틀(500)을 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양생틀(500)이 받침대(600)에 고정되도록 받침대(600)의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콘크리트 양생을 시작하기 전에 양생틀(500)을 받침대(600)에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430)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앵커(30)의 위치를 중심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양생틀(500)을 받침대(600)에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 앵커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단계 S10과 단계 S20는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0에서, 양생된 기초석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생틀(500) 안쪽에 윤활유를 분사하거나 덧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콘크리트로 양생된 기초석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생틀(500) 안쪽에 윤활유를 분사하거나 덧칠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양생틀(500)에 철근을 교차하여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즉,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기초석의 인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철근을 교차하여 삽입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양생틀(500)은 기초석(100)의 설치 방향과 상하 반전 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대(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생틀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좁아지는 형태로서 균일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다.
단계 S50에서, 기초석의 양생 완료 후에, 양생틀(500)을 고정하는 받침대(600)를 180도 회전시켜 양생틀(500)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기초석의 양생 완료 후에, 양생된 기초석의 안착 및 분리를 위해서, 양생틀(500)을 고정하는 받침대(600)를 180도 회전시켜 양생틀(500)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양생틀(500)은 이탈 방지 걸쇠(440)로 인하여 받침대(600)에 고정되기 때문에, 받침대(600)를 180도 회전시키면 양생틀(500) 또한 180도 회전하여 상하 반전된 상태가 된다.
단계 S60에서, 상하 반전된 양생틀(500)이 받침대(600)로부터 분리되어 파레트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받침대(600)로부터 상하 반전된 양생틀(500)을 분리하기 위해서, 받침대(600)의 좌우 간격을 조절하고, 이탈 방지 걸쇠(400)의 크기보다 받침대(600)의 좌우 간격이 넓어지면 상하 반전된 양생틀(500)이 받침대(600)로부터 분리되어 파레트에 안착된다.
단계 S70에서, 파레트에 안착된 양생틀의 결합부(420)를 분해하여 양생 기본틀(410)을 양 방향으로 분리하고 양생된 기초석(100)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는 파레트에 안착된 양생틀의 결합부(420)를 분해하고, 양생 기본틀(410)을 양 방향으로 분리하여 양생된 기초석(100)을 획득할 수 있다.
파레트에 안착된 양생틀(500)은 기초석(100)의 설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므로, 양생틀(500)을 양 방향으로 분리하여 획득된 기초석(100)은 파레트 전체로 이동되어 그대로 차량 적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기초석(100)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100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단부 콘크리트 20: 상단부 콘크리트
30: 플레이트 앵커 100: 기초석
300: 도넛형 중량물 410: 양생 기본틀
420: 결합부 430: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
440: 이탈 방지 걸쇠 500: 양생틀
600: 받침대 700: 회전손잡이
800: 지지대
1000: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장치

Claims (7)

  1.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으로서,
    상기 기초석 형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할 수 있는 몰드 형태로서, 상기 기초석 형상으로 양생된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양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양생 기본틀;
    상기 분리 가능한 양생 기본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기초석에 포함되는 플레이트 앵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석은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하단 콘크리트부;
    상기 하단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단 콘크리트부; 및
    상기 상단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단 콘크리트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기 상단 콘크리트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하단 콘크리트부는 원기둥의 형상이고,
    상기 하단 콘크리트부의 직경은 상기 상단 콘크리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철(凸)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양생틀은 상기 기초석의 콘크리트부의 양생이 용이하도록 상기 기초석의 설치 방향과 상하 반전 방향으로 제조되어 배치되며,
    상기 양생틀을 고정하기 위한 ㅁ 형태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양생틀을 상하 반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 및 상기 받침대와 상기 회전손잡이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틀은 상기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상기 받침대의 회전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이탈 방지 걸쇠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상기 받침대의 상하 반전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상기 양생틀이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상기 받침대의 상하 반전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상기 양생틀이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인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앵커는 상기 태양광 구조물을 상기 기초석에 고정시키고 결합할 수 있도록, 판 형태의 플레이트 앵커, 앵커 볼트 및 케미컬 앵커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6.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양생틀의 플레이트 앵커 고정용 틀에 플레이트 앵커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 앵커가 삽입된 양생틀을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단계;
    양생된 기초석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양생틀 안쪽에 윤활유를 분사하거나 덧칠하는 단계;
    상기 양생틀에 철근을 교차하여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석의 양생 완료 후에, 상기 양생틀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양생틀을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상하 반전된 양생틀이 상기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파레트에 안착되는 단계; 및
    상기 안착된 양생틀의 결합부를 분해하여 양생 기본틀을 양 방향으로 분리하고 양생된 기초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틀은 상기 받침대의 회전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이탈 방지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양생틀을 고정하기 위한 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상기 양생틀이 상하 반전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좌우로 분리 가능한 구조 또는 좌우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방법.
KR1020170060655A 2017-05-16 2017-05-16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KR10186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55A KR101866787B1 (ko) 2017-05-16 2017-05-16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55A KR101866787B1 (ko) 2017-05-16 2017-05-16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787B1 true KR101866787B1 (ko) 2018-06-12

Family

ID=6262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655A KR101866787B1 (ko) 2017-05-16 2017-05-16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90B1 (ko) * 2019-02-12 2019-07-08 주식회사 한길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480A (ko) * 2009-07-10 2011-01-18 (주)지멕스 상, 하금형이 상호 탈착 가능한 성형 장치
KR20110040416A (ko) * 2009-10-14 2011-04-20 조주엽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KR20120108451A (ko) * 2011-03-24 2012-10-05 유한회사 삼학콘크리트 원심분리를 이용한 가로등지주 연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JP2014051848A (ja) * 2012-09-10 2014-03-20 Maruei Concrete Industries Co Ltd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の基礎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480A (ko) * 2009-07-10 2011-01-18 (주)지멕스 상, 하금형이 상호 탈착 가능한 성형 장치
KR20110040416A (ko) * 2009-10-14 2011-04-20 조주엽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KR20120108451A (ko) * 2011-03-24 2012-10-05 유한회사 삼학콘크리트 원심분리를 이용한 가로등지주 연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JP2014051848A (ja) * 2012-09-10 2014-03-20 Maruei Concrete Industries Co Ltd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の基礎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90B1 (ko) * 2019-02-12 2019-07-08 주식회사 한길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785B2 (ja) タワーの立設方法
EP2420639B1 (en) Tower with adapter section
JP4726891B2 (ja) タワーの立設方法
US8555600B2 (en) Method for mounting in sections an annular tower for wind power generator, heliostatic power generator or chimney composed from three concrete segments or more
EP3111022B1 (en) Hybrid concrete - composite tower for a wind turbine
CN108699796A (zh) 用于风力机的基座
CN105264303A (zh) 跟踪光伏太阳能系统以及用于安装或用于使用该跟踪光伏太阳能系统的方法
CA2781136A1 (en) Wind power plant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and relative pylon construction method
CN108603492A (zh) 利用分段支承板的塔架区段和方法
CN108474193A (zh) 用于形成风轮机基座的方法及用于形成此基座的相关系统
CA2719145A1 (en) Method of producing concrete prefinished parts
JP2011108854A (ja) 太陽光発電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101866787B1 (ko)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의 대량 생산을 위한 양생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
CN108086341B (zh) 装配式可调基础
CN210086281U (zh) 预制装配式构支架基础
CN114776529A (zh) 一种装配式风电塔筒及其组装方法
MX2007009456A (es) Torre de concreto postensado para generadores eolicos.
JP5284533B1 (ja) ソーラパネル用基礎架台とその型枠
KR101950982B1 (ko) 무타공 공법으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
CN204418201U (zh) 基站用模块化预制基础
JP2014037722A (ja) 太陽光パネル架台の設置構造及び施工方法
CN206060651U (zh) 一种新型轻便屋顶光伏支架
CN112112185B (zh) 一种市政建筑基础预埋结构及其施工方法
CN202500148U (zh) 预应力轻质混凝土承台
CN103953190B (zh) 空心圆台支模装置及支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