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69B1 -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69B1
KR101561969B1 KR1020140028237A KR20140028237A KR101561969B1 KR 101561969 B1 KR101561969 B1 KR 101561969B1 KR 1020140028237 A KR1020140028237 A KR 1020140028237A KR 20140028237 A KR20140028237 A KR 20140028237A KR 101561969 B1 KR101561969 B1 KR 10156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nhole
expansion member
plate
intermedi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128A (ko
Inventor
이동균
Original Assignee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맨홀을 보수하기 위하여 관의 상부 구멍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일단에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으로 중심에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하부판과, 하면이 몸체의 플랜지에 결합되어 몸체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중심에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간판과, 하면이 중간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제3관통공과 제3관통공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4관통공이 뚫려 있는 상부판 및, 도넛 형상의 튜브로 내주면이 몸체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제1팽창부재로 구성되되, 제1관통공, 제2관통공과 제3관통공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맨홀의 크기에 따라 튜브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 보수공사시 사용이 가능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A cast for the repair work of a manhole }
본 발명은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외측이 튜브로 되어 있어 맨홀 보수공사시 신속하게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수없이 많이 매설되어 있고, 이러한 각종 시설물 등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보수를 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에 각종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맨홀이 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로는 빈번한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표면이 노화되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지반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통상 4~5년의 주기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의 덧씌우기 작업을 수행하면 도로의 표면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맨홀의 표면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도로면과 맨홀 사이에는 높이차이가 발생 되며, 이러한 높이차이는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맨홀을 인상하여 덧씌워진 도로의 표면과 일치시켜야만 하는 맨홀의 보수작업을 해야만 한다.
종래 맨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맨홀 보수 작업에는 높이조절 링을 사용하는 방법, 맨홀커버 받침대를 아래쪽에서 스프링으로 떠받치며 위에서 너트를 조여서 조절하는 방법 또는 벽돌이나 돌맹이 등을 맨홀커버 받침대 밑에 고이고 수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조절하는 방법, 노면을 굴착하지 않고 맨홀뚜껑 받침대대의 상단에 철제로 만든 높이조절 링을 고정시켜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맨홀 보수공사는 공사의 특징상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 방법은 다수의 작업자가 중량물인 맨홀커버와 맨홀커버 받침대 전부를 노면층 위로 들어올리는 위험한 작업을 거쳐야 하고, 보수되는 맨홀의 크기 및 높이가 제각기 다른 경우 각 맨홀 마다 거푸집을 따로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해 공사가 빨리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각기 다른 맨홀의 보수공사가 이루어지는 곳에 따라 각각 보수공사용 거푸집을 따로 제작하고 설치해야함으로 인해 시공비와 공기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거푸집은 다양한 형태의 맨홀 사이즈에 따라 거푸집을 각기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해야함으로 거푸집을 제작 및 시공하는데 재료비와 인건비가 많이 발생되고 공기에 있어서도 시공되는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508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외측에 튜브를 결합하여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을 효율적으로 보수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맨홀을 보수하기 위하여 관의 상부 구멍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일단에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으로 중심에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하부판과, 하면이 몸체의 플랜지에 결합되어 몸체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중심에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중간판과, 하면이 중간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제3관통공과 제3관통공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4관통공이 뚫려 있는 상부판 및, 도넛 형상의 튜브로 내주면이 몸체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제1팽창부재로 구성되되, 제1관통공, 제2관통공과 제3관통공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맨홀의 크기에 따라 튜브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 보수공사시 사용이 가능하다. 즉, 맨홀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다르게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거푸집의 제작비 및 설치비가 절약된다. 또한, 거푸집의 설치시 거푸집을 관의 상부 구멍에 위치시킨 후 간단히 튜브에 공기를 주입 및 빼는 방법으로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음으로 시공이 간단해져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의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제2팽창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제2팽창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원발명은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맨홀을 보수하기 위하여 관(하수도, 우수 관 등의 지중에 묻히는 관)의 상부 구멍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일단에 플랜지(110)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으로 중심에 제1관통공(210)이 뚫려 있는 하부판(200)과, 하면이 몸체(100)의 플랜지(11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중심에 제2관통공(310)이 뚫려 있는 중간판(300)과, 하면이 중간판(3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제3관통공(410)과 제3관통공(4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4관통공(420)이 뚫려 있는 상부판(400) 및, 도넛 형상의 튜브로 내주면이 몸체(10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제1팽창부재(500)로 구성되되, 제1관통공(210), 제2관통공(310)과 제3관통공(410)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하부판(200), 중간판(300), 상부판(400), 제1팽창부재(500)로 구성된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10)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 보수공사시 하나의 거푸집으로 맨홀을 보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즉, 본원발명의 거푸집(10)은 맨홀 보수공사시 관(하수도, 우수 관 등의 지중에 묻히는 관)의 상부에 있는 구멍의 직경 크기에 관계없이 간단히 몸체를 구멍에 위치시켜 제1팽창부재(500)를 팽창시키는 방법으로 거푸집(10)을 상기 관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수없이 많이 매설되어 있고, 이러한 각종 시설물 등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보수를 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에 각종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맨홀이 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도로는 빈번한 자동차의 통행으로 인해 표면이 노화되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지반에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통상 4~5년의 주기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의 덧씌우기 작업을 수행하면 도로의 표면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맨홀의 표면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도로면과 맨홀 사이에는 높이차이가 발생 되며, 이러한 높이차이는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맨홀을 인상하여 덧씌워진 도로의 표면과 일치시켜야만 하는 맨홀의 보수작업을 해야만 한다.
종래 맨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맨홀 보수 작업에는 높이조절 링을 사용하는 방법, 맨홀커버 받침대를 아래쪽에서 스프링으로 떠받치며 위에서 너트를 조여서 조절하는 방법 또는 벽돌이나 돌맹이 등을 맨홀커버 받침대 밑에 고이고 수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조절하는 방법, 노면을 굴착하지 않고 맨홀뚜껑 받침대대의 상단에 철제로 만든 높이조절 링을 고정시켜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맨홀 보수공사는 공사의 특징상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 방법은 다수의 작업자가 중량물인 맨홀커버와 맨홀커버 받침대 전부를 노면층 위로 들어올리는 위험한 작업을 거쳐야 하고, 보수되는 맨홀의 크기 및 높이가 제각기 다른 경우 각 맨홀 마다 거푸집을 따로 제작하여야 함으로 인해 공사가 빨리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각기 다른 맨홀의 보수공사가 이루어지는 곳에 따라 각각 보수공사용 거푸집을 따로 제작하고 설치해야함으로 인해 시공비와 공기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거푸집은 다양한 형태의 맨홀 사이즈에 따라 거푸집을 각기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해야함으로 거푸집을 제작 및 시공하는데 재료비와 인건비가 많이 발생되고 공기에 있어서도 시공되는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외측에 튜브를 결합하여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을 효율적으로 보수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은 맨홀의 크기에 따라 튜브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맨홀 보수공사시 사용이 가능하다. 맨홀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을 다르게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거푸집의 제작비 및 설치비가 절약된다. 또한, 거푸집의 설치시 거푸집을 관의 상부 구멍에 위치시킨 후 간단히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몸체(100)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일단에 플랜지(110)가 결합되어 있는 부재이다. 일반적인 관 형태의 몸체(100)는 거푸집(1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에 플랜지(110)가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플랜지(110)는 상면 일측에 제1결합공(111)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제1결합공(111)은 뒤에서 설명하는 고정부재(60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멍이다. 몸체(100)는 외주면 일측에 제5관통공(120)이 뚫려 있어 몸체(100)의 외주면에 제1팽창부재(500)가 결합시 제5관통공(120)으로 공기주입구(510)가 통과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팽창부재(500)를 현장에 맞게 부풀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멍이다. 몸체(10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의 관 또는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의 관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100)는 다양한 맨홀의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몸체(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판(200)은 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으로 중심에 제1관통공(210)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하부판(200)은 몸체(100)의 타단을 막는 구성으로 몸체(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0)의 단면이 원형 형상의 관인 경우 원판 형상을 하고 있고, 몸체(100)의 단면이 둥근(양측면이)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으로 형성된다. 하부판(200)의 외경은 몸체(100)의 플랜지(110)가 이루는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몸체(100)의 외주면에 제1팽창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하부판(200)의 중심 위치에 생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210)은 거푸집(10)이 맨홀에 설치된 후 현장의 맞게 거푸집(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대(20)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하부판(2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몸체(100)와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중간판(300)은 하면이 몸체(100)의 플랜지(11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중심에 제2관통공(310)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중간판(300)은 몸체(100)의 일단을 막는 구성으로 몸체(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0)의 단면이 원형 형상의 관인 경우 원판 형상을 하고 있고, 몸체(100)의 단면이 둥근(양측면이)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으로 형성된다. 중간판(300)의 외경은 몸체(100)의 플랜지(110)가 이루는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판(300)의 중심 위치에 생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310)은 조절대(20)와 제1팽창부재(500)의 공기주입구(510)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거푸집(10)이 맨홀에 설치될 때 조절대(20)와 제1팽창부재(500)의 공기주입구(510)가 제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뚫려 있는 구멍이다. 중간판(3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몸체(100)와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판(400)은 하면이 중간판(3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제3관통공(410)과 제3관통공(4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4관통공(420)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상부판(400)은 중간판(3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중간판(3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판(400)은 중간판(300)의 형상이 원형의 판인 경우 원판 형상을 하고 있고, 중간판(300)의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으로 형성된다. 상부판(400)의 외경은 중간판(30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판(400)의 중심 위치에 생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410)은 거푸집(10)이 맨홀에 설치된 후 현장의 맞게 거푸집(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대(20)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제4관통공(420)은 상부판(400)의 일측에 뚫려 있는 구멍으로 제1팽창부재(500)의 공기주입구(510)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즉 제4관통공(420)은 사용자가 맨홀 보수공사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제1팽창부재(500)의 공기주입구(51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다. 상부판(400)은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할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고리 모양의 손잡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부판(400)은 거푸집(10)이 지중에 묻힌 관 상부의 구멍에 고정된 후 맨홀하우징이 상부면에 올라간 후 이를 지지하는 판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중간판(300)과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00)과 중간판(300), 상부판(400)은 제1관통공(210), 제2관통공(310)과 제3관통공(410)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몸체(10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대(20)가 일진선 상에 놓여 있는 상기 구멍들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맨홀 보수공사시 거푸집(10)이 현장에 맞게 맨홀 내부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팽창부재(500)는 도넛 형상의 튜브로 내주면이 몸체(10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제1팽창부재(500)는 몸체(100)의 플랜지(110)와 하부판(200)에 의해서 생성된 몸체(100)의 외주면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팽창부재(500)는 거푸집(10)이 관(하수도, 우수 관 등의 지중에 묻히는 관)의 상부면 일측에 있는 구멍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1팽창부재(500)는 거푸집(10)이 관의 상부면 일측에 삽입된 후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방법으로 관의 상부면 일측에 거푸집(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팽창부재(50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주입구(510)가 몸체(100)의 제5관통공(120)을 지나 제2관통공(310)과 제4관통공(4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법으로 거푸집(1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맨홀의 상황에 맞도록 편리하게 제1팽창부재(500)의 팽창되는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제1팽창부재(5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관의 상부면 일측에 거푸집(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재료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팽창부재(500)는 환경을 위하여 버려지는 폐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몸체(100)와 중간판(3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플랜지(110) 상면 일측에 뚫려 있는 제1결합공(111)과, 중간판(300) 일측에 제1결합공(111)에 대응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제2결합공(320) 및, 중간판(300)이 몸체(100)의 플랜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결합공(111)과 제2결합공(3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00)는 몸체(100)와 중간판(300)을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의 튜브 내주면을 따라 절개하여 끼움홈(710)이 형성되어 있는 제2팽창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팽창부재(500)가 끼움홈(710)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2팽창부재(7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팽창부재(700)는 제1팽창부재(500)가 관의 상부 구멍에 설치될 때 제1팽창부재(500)가 안전하게 팽창되어 거푸집(10)이 관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팽창부재(500)의 외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제2팽창부재(700)는 제1팽창부재(50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1팽창부재(500)가 팽창될 때 같이 팽창되는 것으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제1팽창부재(500)와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거푸집 20 : 조절대
100 : 몸체
110 : 플랜지 111 : 제1결합공
200 : 하부판 210 : 제1관통공
300 : 중간판
310 : 제2관통공 320 : 제2결합공
400 : 상부판
410 : 제3관통공 420 :제4관통공
500 : 제1팽창부재 510 : 공기주입구
600 : 고정부재
700 : 제2팽창부재 710 : 끼움홈

Claims (6)

  1. 맨홀을 보수하기 위하여 관(하수도, 우수 관 등의 지중에 묻히는 관)의 상부 구멍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일단에 플랜지(110)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판으로 중심에 제1관통공(210)이 뚫려 있는 하부판(200);
    하면이 상기 몸체(100)의 플랜지(110)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중심에 제2관통공(310)이 뚫려 있는 중간판(300);
    하면이 상기 중간판(3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제3관통공(410)과 상기 제3관통공(4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4관통공(420)이 뚫려 있는 상부판(400);
    도넛 형상의 튜브로 내주면이 상기 몸체(10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제1팽창부재(500); 및,
    도넛 형상의 튜브 내주면을 따라 절개하여 끼움홈(710)이 형성되어 있는 제2팽창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팽창부재(500)가 상기 끼움홈(710)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2팽창부재(7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관통공(210), 상기 제2관통공(310)과 상기 제3관통공(410)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외주면 일측에 제5관통공(120)이 뚫려 있고,
    상기 제1팽창부재(50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 주입구(510)가 상기 제5관통공(120)을 지나 상기 제2관통공(310)과 상기 제4관통공(4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기 플랜지(110) 상면 일측에 뚫려 있는 제1결합공(111);
    상기 중간판(300) 일측에 상기 제1결합공(111)에 대응되는 구멍이 뚫려 있는 제2결합공(320); 및
    상기 중간판(300)이 상기 몸체(100)의 플랜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결합공(111)과 상기 제2결합공(3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의 관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200), 상기 중간판(300)과 상기 상부판(400)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단면은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200), 상기 중간판(300)과 상기 상부판(400)은 양측면이 둥근 사각 형상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6. 삭제
KR1020140028237A 2014-03-11 2014-03-11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KR10156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37A KR101561969B1 (ko) 2014-03-11 2014-03-11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37A KR101561969B1 (ko) 2014-03-11 2014-03-11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28A KR20150106128A (ko) 2015-09-21
KR101561969B1 true KR101561969B1 (ko) 2015-10-20

Family

ID=5424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237A KR101561969B1 (ko) 2014-03-11 2014-03-11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269B1 (ko) 2020-02-11 2020-04-16 신흥이엔지 주식회사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2101268B1 (ko) 2020-02-04 2020-04-16 신흥이엔지 주식회사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69B1 (ko) * 2007-07-06 2008-11-21 (주)우암건설 맨홀인상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69B1 (ko) * 2007-07-06 2008-11-21 (주)우암건설 맨홀인상보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268B1 (ko) 2020-02-04 2020-04-16 신흥이엔지 주식회사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
KR102101269B1 (ko) 2020-02-11 2020-04-16 신흥이엔지 주식회사 맨홀 하우징에 설치되는 패킹장치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28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62B1 (ko)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
KR101561969B1 (ko)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KR101561976B1 (ko) 맨홀 보수를 위한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42772B1 (ko) 접이형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맨홀 보수용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CN102493446A (zh) 防止混凝土外溢的钢管柱及其安装方法
US20110318116A1 (en) Modular vertical shoring system with cylindrical interconnected sleeves
KR101557334B1 (ko) 원형 또는 사각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 및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튜브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20160000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KR20180005443A (ko) 도로시설물 지주 고정용 파일
KR10156504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CN108118911B (zh) 可拆卸钢管混凝土支撑装置及使用方法
KR101583429B1 (ko) 직선형 맨홀 하우징 지지장치와 튜브형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20170111850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 구조 및 방법
US9528258B1 (en) Manhole ring support for unified concrete pours around grease interceptor
KR101696840B1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0843557B1 (ko) 강화형 금속재 맨홀 어셈블리
JP5605916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取替工法
KR20160035243A (ko) 철판 콘크리트 기초
CN216108463U (zh) 用于施工灌注桩桩顶预留孔的浇注辅助装置
KR101658826B1 (ko) 테두리부 구조물로 토압을 지지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 및 공법
WO2018119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manhole chimney liner
JP2020041286A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KR20180138044A (ko) 밸브실 탱크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