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03Y1 -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03Y1
KR200273503Y1 KR2020020001583U KR20020001583U KR200273503Y1 KR 200273503 Y1 KR200273503 Y1 KR 200273503Y1 KR 2020020001583 U KR2020020001583 U KR 2020020001583U KR 20020001583 U KR20020001583 U KR 20020001583U KR 200273503 Y1 KR200273503 Y1 KR 200273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diment
water
drain pip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현
유승훈
Original Assignee
홍성현
유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현, 유승훈 filed Critical 홍성현
Priority to KR2020020001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03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고안으로서,
배수관에 연결되는 U자형 담수관 하부에 연결부를 형성하고 담수관의 내벽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차단벽에 의하여 물하향통로와 물상향통로가 형성되며 물상향통로에는 착탈이 가능한 여과망을 부착시키고 연결부에도 착탈이 가능한 침전물 수납용기를 착설하여 찌꺼기나 오물등의 침전물이 수납용기에 쌓이게 되면 수납용기를 연결부에서 분리시켜 침전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Deposit removing device of water drain pipe for washstand}
본 고안은 세면대의 저면에 장치되어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도로 흘려 보내기 위한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에서의 침전물이라 함은 배수관에 형성되며 만곡상태의 구조를 갖는담수관내에 쌓이게 되는 찌꺼기 등의 오물을 말하는 것으로 세면대에서 유입되는 침전물은 배수관의 담수관 뿐 만 아니라 배수관의 내벽에도 붙어 있게 되어 배수작용을 방해 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세면대용 배수관의 구조를 보면 하수도의 악취가 배수관을 통해 발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U자형의 만곡부를 형성하여 항시 물이 고여 있게 하는 담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U자 형으로 만곡된 담수관은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과 하수도로 연결된 배수관의 하단부에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는 U자형 담수관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담수관과 배수관 내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배수관과 담수관을 연결하는 체결너트를 풀어서 침전물을 제거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배수관에서 담수관을 분리하여 침전물을 비롯한 오물을 제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우선 체결너트를 풀기 위해서는 체결너트 규격에 맞는 공구가 있어야 하며 분해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번거로운 문제점 때문에 침전물을 제거를 자주 할 수가 없어서 배수에 장애를 주게 되며 아울러 침전물에 의한 비위생적인 문제가 야기되고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배수관에는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오물이 직접 하수도로 유입되므로 인하여 하천오염 등의 원인이 되었으며 반지등의 귀금속을 세면대에서 유실하였을 때 물과 함께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세면대용 배수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자형 담수관에 쌓이는 침전물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가 있도록 하고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등의 오물이 깨끗하게 여과되어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고 배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워질 수 있게 하였으며 침전물에 의한 악취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치된 세면대용 배수관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A-A선 확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배수관 (3) U자형 담수관 (4) 체결너트
(10) 연결부 (11) 차단벽 (12) 물하향통로
(13) 물상향통로 (14) 여과망 (15) 침전물수납용기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세면대의 배수변에서 연결되는 배수관(1)과 하수도로 연결되는 배수관(2) 사이에 U자형 담수관(3)을 체결너트(4)로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킨 공지의 세면대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담수관(3)의 하단 중앙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주벽에 나사산을 구비한 연결부(10)와, 상기 담수관(3)의 내벽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부(10) 까지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11)과, 상기 차단벽(11)에 의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물하향통로 (12)와 타측에 형성되는 물상향통로(13)와 상기 물상향통로(13)에 착탈 가능토록 부착되는 여과망(14)과 상기 연결부(10)에 착탈가능토록 취부되는 침전물 수납용기 (15)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침전물 수납용기(15)를 투명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세면대의 개폐변에서 연결된 배수관(1)을 통과한 물은 담수관(3)의 차단벽(11)에 부딛쳐 흘러내린 다음 물 하향통로(12)를 통과하여 물상향통로(13)를 통해 상승한 다음 배수관(2)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물상향통로(13)를 통과할 때 찌꺼기등의 오물은 여과망(14)에서 여과되어 통과하지 못하고 침전물 누납용기(15)에 침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전물 수납용기(15)에 침전물이 쌓이게 되면 침전물수납용기(15)를 연결부에서 간단하게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전물 수납용기(15)를 투명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수납용기(15) 내부에 쌓여 있는 침전물의 량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됨으로 청소시기를 놓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고안은 담수관(3)의 하단에 간단하게 착탈이 가능한 침전물 수납용기(15)를 착설시키므로서 침전물청소를 자주 할 수가 있게 되어 세면대의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유통될 수가 있으며 침전물이 오랫동안 쌓이지 않게 되므로 위생상 좋은 효과가 있게 되고 찌꺼기 등의오물이 여과망에 의하여 여과되므로 공해방지의 효과가 있으며 반지등의 귀금속을 세면대에서 유실하였을 경우 여과망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세면대의 배수변에서 연결되는 배수관(1)과 하수도로 연결되는 배수관(2) 사이에 U자형 담수관(3)을 체결너트(4)로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킨 공지의 세면대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담수관(3)의 하단 중앙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주벽에 나사산을 구비한 연결부(10)와, 상기 담수관(3)의 내벽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부(10) 까지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11)과, 상기 차단벽(11)에 의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물하향통로 (12)와 타측에 형성되는 물상향통로(13)와 상기 물상향통로(13)에 착탈 가능토록 부착되는 여과망(14)과 상기 연결부(10)에 착탈가능토록 취부되는 침전물 수납용기 (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수납용기(15)가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20020001583U 2002-01-18 2002-01-18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273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83U KR200273503Y1 (ko) 2002-01-18 2002-01-18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83U KR200273503Y1 (ko) 2002-01-18 2002-01-18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03Y1 true KR200273503Y1 (ko) 2002-04-26

Family

ID=7311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583U KR200273503Y1 (ko) 2002-01-18 2002-01-18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92B1 (ko) * 2008-01-31 2010-05-11 최보규 싱크대용 음식물 트랩장치
KR101263606B1 (ko) 2011-06-17 2013-05-10 김청균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KR101263605B1 (ko) 2011-06-17 2013-05-10 김청균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92B1 (ko) * 2008-01-31 2010-05-11 최보규 싱크대용 음식물 트랩장치
KR101263606B1 (ko) 2011-06-17 2013-05-10 김청균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KR101263605B1 (ko) 2011-06-17 2013-05-10 김청균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3095A (en) Drainpipe filter kit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0659176B1 (ko)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KR200273503Y1 (ko)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US20070011808A1 (en) P-trap for a waste removal system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JP2006316472A (ja) 排水トラップ
KR100332276B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373611Y1 (ko) 욕조와 세면기 배수관 막힘 방지 여과 망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20060066697A (ko) 진개물 침전조를 갖는 관수로
KR20070116017A (ko) 위생 배관용 일체형 오물포집 컵이 부착된 필터 조립체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CN217782251U (zh) 一种新型洗菜盆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JP2002146898A (ja) 集水代替ます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KR20060073906A (ko) 진개물 침전조를 갖는 관수로
JPS5833770Y2 (ja) 雑排水処理装置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KR20130002593A (ko) 수도배관용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132128A (ja) 放流管渠の往復式除塵装置
KR200330935Y1 (ko) 배수트랩
KR0126381Y1 (ko) 생활오수의 배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