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06B1 -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 Google Patents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06B1
KR101263606B1 KR1020110059308A KR20110059308A KR101263606B1 KR 101263606 B1 KR101263606 B1 KR 101263606B1 KR 1020110059308 A KR1020110059308 A KR 1020110059308A KR 20110059308 A KR20110059308 A KR 20110059308A KR 101263606 B1 KR101263606 B1 KR 10126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ube
pipe
diameter sid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481A (ko
Inventor
김청균
Original Assignee
김청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균 filed Critical 김청균
Priority to KR102011005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하부에 설치한 J주름곡관의 상단부에는 수직연결관을 스크레이퍼시일이 내장된 실링슬립너트로 체결하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관의 바닥면 위쪽에는 반원형상의 반원형스트레이너와 아래쪽 연장선에는 방출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방출관에 투명곡관용기를 맞댄 상태에서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하고, J주름곡관의 하단부에는 주름배수관을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한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이다.
세면대의 하부에 수직연결관, 방출관을 형성한 J주름곡관, 주름배수관을 스크레이퍼시일이 내장된 실링슬립너트와 노브슬립너트에 의해 각각 체결함으로써 밀봉성, 감쇠성, 조립체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세면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섞인 이물질은 J주름곡관의 중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관의 내경측 바닥면에 설치한 반원형스트레이너에 의해 걸러져 방출관에 체결된 투명곡관용기에 쌓인 것이 보이면 노브슬립너트를 손으로 풀어서 오염물질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과 수리가 간편하고, 이물질로 인한 부패와 이로 인한 악취가 세면대로 올라갈 가능성은 없어지고, 주름배수관을 통해 방출된 이물질이 배수라인에서 진행되는 부패나 막힘 현상도 없어진다.
또한, J주름곡관의 내경부에 설치한 반원형스트레이너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오염물질 스케일에 의해 관경이 줄어드는 현상이 없어지고, 방출수의 유속은 빨라져 J주름곡관의 체류수를 용이하게 밀어내는 구조의 트랩 조립체이다.

Description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Trap assembly with a sealing slip nut}
본 발명은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의 하부에 설치한 J주름곡관의 상단부에는 수직연결관을 스크레이퍼시일이 내장된 실링슬립너트로 체결하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관의 바닥면 위쪽에는 반원형상의 반원형스트레이너와 아래쪽 연장선에는 방출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방출관에 투명곡관용기를 맞댄 상태에서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하고, J주름곡관의 하단부에는 주름배수관을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한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이다.
세면대의 하부에 수직연결관, 방출관을 형성한 J주름곡관, 주름배수관을 스크레이퍼시일이 내장된 실링슬립너트와 노브슬립너트에 의해 각각 체결함으로써 밀봉성, 감쇠성, 조립체결성이 향상되고,
또한, 세면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섞인 이물질은 J주름곡관의 중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관의 내경측 바닥면에 설치한 반원형스트레이너에 의해 걸러져 방출관에 체결된 투명곡관용기에 쌓인 것이 보이면 노브슬립너트를 손으로 풀어서 오염물질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과 수리가 간편하고, 이물질로 인한 부패와 이로 인한 악취가 세면대로 올라갈 가능성은 없어지고, 주름배수관을 통해 방출된 이물질이 배수라인에서 진행되는 부패나 막힘 현상도 없어진다.
또한, J주름곡관의 내경부에 설치한 반원형스트레이너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오염물질 스케일에 의해 관경이 줄어드는 현상이 없어지고, 방출수의 유속은 빨라져 J주름곡관의 체류수를 용이하게 밀어내는 구조의 트랩 조립체이다.
종래의 P형상 트랩 조립체는 세면대에서 유입된 이물질 혼입수의 위치에너지 압력차에 의해 J곡관의 굴곡관 내경부에 항상 머무르고 있는 이물질 혼입 오염수를 밀어내어 굴곡배수관으로 방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P형상 트랩 조립체는 J곡관이나 굴곡배수관에 주름을 넣지 않은 J곡관과 굴곡배수관, 수직연결관의 조립선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체결이 곤란하고, 배관라인에 연결하는데 공구를 사용해야 하고, 시공시간도 오래 걸리며, 부정확한 체결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세면대를 통과한 물에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내지 않은 상태로 J곡관을 통해 굴곡배수관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방수량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는 J곡관의 중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관의 내경측에 머리카락이나 비누조각, 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체류되고 또한 오염물질 스케일에 의해 관경이 줄어들면서 J곡관의 유속을 떨어뜨려 원활한 유체유동을 막거나, 또는 P형상 트랩 조립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해도 연결된 배수라인에 쌓이면서 배수라인이 막히는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물질이 J곡관의 체류수에 혼입되어 함께 머무르는 동안 부패로 인한 냄새가 세면대로 역류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면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연결관, J곡관, 굴곡배수관의 조립위치가 잘 맞지 않아 조립하기가 어려운 경우, 특히 세면대에서 J곡관에 유입되는 물에 혼입된 머리카락, 비누조각, 찌꺼기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P형상 트랩 조립체의 체류수를 통과하지 못하고 쌓이면서 부패가 진행되는 문제, 썩은 냄새가 세면대로 역류하는 문제, 이물질이 J곡관과 배수관을 통과해 배수라인으로 방출할 경우는 배수라인을 막거나 청소부하가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J곡관과 굴곡배수관에 주름을 형성하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 바닥면 위쪽에는 반원형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아래쪽으로 연결된 방출관의 끝단에는 환형홈과 시일링, 투명곡관용기의 끝단에는 돌출경사시일시트를 각각 설치하여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투명곡관용기에 쌓인 이물질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간단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곡관의 상단부와 굴곡배수관의 중간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조립체결성, 감쇠성, 시공성을 향상시켜주고, J주름곡관의 상단부에는 수직연결관에 스크레이퍼시일을 내장한 실링슬립너트로 체결하여 밀봉성과 감쇠성을 확보하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 내경측 바닥면 위쪽에는 반원형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J주름곡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러내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 바닥면 아래쪽으로 형성된 방출관의 끝단 외측경사면에는 환형홈에 의해 분리된 시일링을 설치하고, 투명곡관용기의 돌출경사단에 환형테를 설치한 노브슬립너트가 걸리게 끼운 상태에서 방출관의 시일링에 투명곡관용기의 돌출경사시일시트가 압착되도록 노브슬립너트를 체결하여 밀봉성을 이중으로 확보함으로써 세면대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혼입된 이물질이 투명곡관용기에 쌓이는 정도를 보아가면서 노브슬립너트를 손으로 간단하게 열어서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세면대에서 유입된 이물질은 반원형스트레이너에 의해 걸러지면서 침강되어 투명곡관용기에 쌓이고, 축적된 이물질이 많아지면 노브슬립너트를 손으로 열어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부패가 진행되지 않아 세면대로 악취가 올라오지 않고, 또한 주름배수관으로 이물질 유입이 안 되므로 배수라인이 막히거나 오염원 문제가 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에서 J곡관의 상단부와 굴곡배수관의 중간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조립체결성, 감쇠성, 시공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J주름곡관의 상단부에는 주름을 넣어 스크레이퍼시일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실링슬립너트로 수직연결관에 체결하여 밀봉성을 확보하고, J주름곡관의 중간부 내경측 바닥면 위쪽에는 반원형스트레이너, 아래쪽에는 돌출되게 방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방출관의 끝단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을 갖는 시일링을 설치하고, 투명곡관용기의 내경측면에 형성된 돌출경사시일시트를 방출관의 시일링에 맞댄 상태에서 환형테를 설치한 노브슬립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오링이나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도 밀봉성을 이중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투명곡관용기에는 이물질이 쌓이고, 이물질이 쌓이는 정도를 보면서 노브슬립너트를 손으로 열어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부패로 인한 냄새가 세면대로 올라오는 현상이 없어지고, J주름곡관이나 배수라인이 막히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J주름곡관에 연결된 투명곡관용기에 쌓여가는 이물질의 축적정도를 보면서 간헐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유속이 떨어지는 문제와 오염물질 스케일에 의해 관경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없어지고, 주름배수관에는 걸러진 유동체만을 방출하므로 연결된 배수라인이 막히거나 오염원 축적에 의한 부패진행과 가스발생으로 인한 가스폭발 등의 문제가 해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형상 트랩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캡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볼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캡볼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P형상 트랩 조립체는 세면대(10)의 하부에 체결된 팝업(11)과, 수직연결관(12)의 하단부와 J곡관(13)의 상단부는 고무패킹을 삽입한 팔각슬립너트(14)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J곡관(13)의 하단부와 굴곡배수관(15)의 끝단은 고무패킹을 삽입한 팔각슬립너트(14')로 체결하여 P형상 트랩 조립체(1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면대(10)에서 흘러내리는 이물질(17) 혼입수는 위치에너지에 의해 J곡관(13)에 항상 머무르고 있는 이물질 혼입 체류수(18)를 밀어내면서 굴곡배수관(15)을 타고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J주름곡관(20)의 상단부 내경측면에는 경사지게 경사시일시트(21),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22)의 아래쪽에 형성된 주름관(23)에 세면대(10)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연결관(12)의 하단부를 끼워서 연결하고, 상기 수직연결관(12)의 외경부에 실링슬립너트(24)를 끼운 상태에서 J주름곡관(20)의 수나사(22)에 실링슬립너트(24)의 암나사(25)를 체결하는 과정에 J주름곡관(20)의 경사시일시트(21)가 실링슬립너트(24)의 내경측에 형성된 스크레이퍼시일(26)의 립 경사면(27), 그리고 스크레이퍼시일(26)의 선단부와 수직연결관(12)의 외경부가 서로 밀착되면서 밀봉력을 확보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실링슬립너트(24)의 최내경측면에는 원형단(28)을 개방하고, 상기 원형단(28)의 연장선에 스크레이퍼시일(26)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레이퍼시일(26)의 립 경사면(27)에 이웃하는 건너편 내경측면에는 암나사(25)를 형성하고, 실링슬립너트(24)의 최외경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노브(29)를 설치하여 손으로 체결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J주름곡관(20)의 중간부를 형성하는 굴곡관의 최하면 위쪽에는 반원형상의 반원형스트레이너(30), 아래쪽 연장선에는 외경측면에 수나사(22)를 형성한 방출관(31)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방출관(31)의 끝단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분할된 시일링(33)을 형성하고,
또한, 투명곡관용기(34)의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돌출경사시일시트(35), 외경측면에는 돌출경사단(3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명곡관용기(34)의 외경부에 노브슬립너트(37)를 끼운 상태에서 노브슬립너트(37)의 내경측 경사면에 형성된 환형테(38,38')를 갖는 경사시일시트(21')를 돌출경사단(36)에 걸고 노브슬립너트(37)의 내경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5)를 방출관(31)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방출관(31)의 시일링(33)이 투명곡관용기(34)의 돌출경사시일시트(35)에 밀착되면서 체결력과 밀봉력이 확보된다. 따라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려온 이물질(17) 혼입수가 반원형상의 반원형스트레이너(3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17)이 투명곡관용기(34)에 쌓이게 되면 노브슬립너트(37)를 손으로 열어서 이물질(17)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J주름곡관(20)의 하단부에서 끝단의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분할된 시일링(33), 외경부에는 수나사(22)를 각각 형성하고, 주름배수관(39)의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돌출경사시일시트(35), 외경측면에는 돌출경사단(36), 상기 돌출경사단(36)의 연장선에는 주름관(23)을 각각 형성하여 유연성을 제공하고,
상기 주름배수관(39)의 외경부에 노브슬립너트(37)를 끼운 상태에서 노브슬립너트(37)의 경사시일시트(21')를 돌출경사단(36)에 걸고 노브슬립너트(37)의 암나사(25)를 J주름곡관(20)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J주름곡관(20)의 시일링(33)을 주름배수관(39)의 돌출경사시일시트(35)에 밀착시킨 구조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린 물에 섞인 이물질(17)은 투명곡관용기(34)에 쌓이지만, 걸러진 유동체는 위치에너지 압력차에 의해 J주름곡관(20)의 체류수(18)를 밀어내면서 주름배수관(39)을 타고 외부로 방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캡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수직연결관(12), J주름곡관(20), 실링슬립너트(24), 스크레이퍼시일(26), 반원형스트레이너(30), 방출관(31), 노브슬립너트(37), 주름배수관(39)으로 구성된 부분은 도 2와 같고, 상기 방출관(31)의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 끝단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분할된 시일링(3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노브슬립너트(37)의 원형단(28)을 막아서 성형한 투명캡너트(40)의 내경측면에는 암나사(25), 상기 암나사(25)에 연결된 내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테(38,38')를 갖는 경사시일시트(2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방출관(31)의 수나사(22)에 투명캡너트(40)의 암나사(25)를 체결하는 과정에 시일링(33)이 경사시일시트(21'')에 압착·밀봉되는 구조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속에 혼입된 이물질(17)이 반원형스트레이너(30)에 의해 걸러져 방출관(31)의 내경측 공간에 쌓인 것을 보면 투명캡너트(40)를 손으로 열어서 배출하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수직연결관(12), J주름곡관(20), 실링슬립너트(24), 스크레이퍼시일(26), 반원형스트레이너(30), 방출관(31)으로 구성된 부분은 도 2와 같고, 상기 방출관(31)의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 상단부에는 확대관(4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확대관(41)의 내경부에 투명곡관용기(42)의 상단부를 끼워서 연결하고, 상기 투명곡관용기(42)의 외경부에 실링슬립너트(24)를 끼운 상태에서 실링슬립너트(24)의 암나사(25)를 방출관(31)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스크레이퍼시일(26)이 방출관(31)의 경사시일시트(21)와 투명곡관용기(42)의 외경부 사이에 밀착되면서 밀봉력과 체결력을 함께 확보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J주름곡관(20)의 하단부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와 확대관(41')을 이어서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확대관(41')에 굴곡배수관(15')의 끝단부를 끼워서 연결하고, 상기 굴곡배수관(15')의 외경부에 실링슬립너트(24)를 끼운 상태에서 실링슬립너트(24)의 암나사(25)를 J주름곡관(20)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스크레이퍼시일(26)이 J주름곡관(20)의 경사시일시트(21)와 굴곡배수관(15')의 외경부 사이에 밀착되면서 밀봉력과 체결력을 함께 확보한 구조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린 물에 섞인 이물질(17)은 투명곡관용기(42)에 쌓이지만, 걸러진 유동체는 J주름곡관(20)의 체류수(18)를 밀어내면서 굴곡배수관(15')을 타고 외부로 방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너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수직연결관(12), J주름곡관(20), 실링슬립너트(24), 스크레이퍼시일(26), 반원형스트레이너(30), 방출관(31), 노브슬립너트(37), 주름배수관(39)으로 구성된 부분은 도 2와 같고, 상기 방출관(31)의 하단부 외경벽면에 형성된 수나사(22)에 투명너트(42)의 상단부 내경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5)를 체결하는 과정에 방출관(31)의 외경측 경사면에 환형홈(32)을 형성한 시일링(33)을 투명너트(42)의 암나사(25) 연장선에 형성된 경사시일시트(21')에 압착되면서 밀봉력을 확보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너트(42)의 내경측면에는 암나사(25), 상기 암나사(25)의 아래쪽 연장선에는 경사시일시트(21'), 외경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노브(29)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경사시일시트(21')의 아래쪽 연장선에는 투명곡관용기(34')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구조이다. 따라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려온 이물질(17) 혼입수가 J주름곡관(20)의 반원형스트레이너(30)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에 중력에 의해 침강된 이물질(17)이 투명곡관용기(34')에 쌓이면 투명너트(42)를 손으로 열어서 이물질(17)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볼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수직연결관(12), J주름곡관(20), 스크레이퍼시일(26), 반원형스트레이너(30), 노브슬립너트(37), 주름배수관(39)으로 구성된 부분은 도 2와 같고, 상기 J주름곡관(20)에서 굴곡관을 형성하고 있는 내경부의 최하면 위쪽으로는 반원형스트레이너(30), 아래쪽 내경측면에는 암나사(25)와 경사시일시트(21)를 이어서 형성한 방출관(31)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방출관(31)의 암나사(25)에 다수개의 노브(29)를 갖는 투명볼트(43)의 상단부 외경측면에 형성된 수나사(22)를 체결하는 과정에 방출관(31)의 경사시일시트(21)와 투명볼트(43)의 경사시일시트(21'')가 서로 압착되어 체결력과 밀봉력을 확보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볼트(43)의 위쪽 외경측면 끝단에는 수나사(22)와 경사시일시트(21'')를 이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투명볼트(43)의 아래쪽에는 투명곡관용기(34'')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세면대(10)에서 흘러내려온 이물질(17) 혼입수가 반원형스트레이너(30)에 의해 걸러지는 과정에 침강된 이물질(17)이 투명곡관용기(34'')에 쌓이면 투명볼트(43)를 손으로 열어서 이물질(17)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도 7은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투명캡볼트식 트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수직연결관(12), J주름곡관(20), 스크레이퍼시일(26), 반원형스트레이너(30), 방출관(31), 노브슬립너트(37), 주름배수관(39), 투명볼트(43)로 구성된 부분은 도 6과 같고, 상기 방출관(31)의 하단부 내경벽면에는 암나사(25),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투명볼트(43)의 노브(29)와 같은 위치의 하단부를 막아서 성형한 투명캡볼트(44)의 상단부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 상기 수나사(22)에 연결된 외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방출관(31)의 암나사(25)에 투명캡볼트(44)의 수나사(22)를 체결하는 과정에 방출관(31)의 경사시일시트(21)와 투명캡볼트(44)의 경사시일시트(21'')가 압착·밀봉되는 구조로, 세면대(10)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속에 혼입된 이물질(17)이 반원형스트레이너(30)에 의해 걸러져 방출관(31)의 내경측 공간에 쌓인 것이 보이면 투명캡볼트(44)를 손으로 열어서 배출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속에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반원형스트레이너의 설치위치와 여과망의 형상, J주름곡관을 따라서 설치하는 방출관의 수직 하방향 위치와 형상, J주름곡관에 설치하는 주름의 형상과 개수, 투명너트나 투명볼트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투명곡관용기의 형상이나 길이 설계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 : 세면대 11 : 팝업
12 : 수직연결관 13 : J곡관
14,14' : 팔각슬립너트 15,15' : 굴곡배수관
16 : P형상 트랩 조립체 17 : 이물질
18 : 체류수 20 : J주름곡관
21,21',21'' : 경사시일시트 22 : 수나사
23 : 주름관 24 : 실링슬립너트
25 : 암나사 26 : 스크레이퍼시일
27 : 립 경사면 28 : 원형단
29 : 노브 30 : 반원형스트레이너
31 : 방출관 32 : 환형홈
33 : 시일링 34,34',34'' : 투명곡관용기
35 : 돌출경사시일시트 36 : 돌출경사단
37 : 노브슬립너트 38,38' : 환형테
39 : 주름배수관 40 : 투명캡너트
41,41' : 확대관 42 : 투명너트
43 : 투명볼트 44 : 투명캡볼트
100 :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200 : 투명캡너트식 트랩 조립체
300 : 투명너트식 트랩 조립체 400 : 투명볼트식 트랩 조립체
500 : 투명캡볼트식 트랩 조립체

Claims (6)

  1. 실링슬립너트(24)에서 중심부를 개방한 최내경측 원형단(28)의 연장선에 일체형으로 성형된 스크레이퍼시일(26)과 이것에 이웃한 내경측면에는 암나사(25)를 형성하고, 최외경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노브(29)를 설치한 실링슬립너트(24)를 수직연결관(12)의 외경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연결관(12)과 상단부에 주름(23)을 형성한 J주름곡관(20)을 실링슬립너트(24)로 체결하는 과정에 J주름곡관(20)의 상단부 내경측면에 형성된 경사시일시트(21)와 스크레이퍼시일(26)의 립 경사면(27) 및 스크레이퍼시일(26)의 선단부와 수직연결관(12)의 외경부는 서로 밀착되고,
    또한, J주름곡관(20)의 중간부 최하면 위쪽으로 설치한 반원형스트레이너(30)와 아래쪽으로 성형한 방출관(31)의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 상기 수나사(22)의 연장선 외측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시일링(33)을 각각 형성하고, 투명곡관용기(34)의 끝단 내측경사면에는 돌출경사시일시트(35), 외측경사면에는 돌출경사단(36)을 각각 형성하여 노브슬립너트(37)를 돌출경사단(36)에 걸은 상태에서 방출관(31)의 수나사(22)와 체결하고,
    또한, J주름곡관(20)의 하단부 외경측면에 형성된 수나사(22)의 연장선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분할된 시일링(33)을 성형하고, 주름배수관(39)의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돌출경사시일시트(35), 외경측 경사면에는 돌출경사단(36),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주름(23)을 각각 형성하고, 노브슬립너트(37)를 돌출경사단(36)에 걸은 상태에서 J주름곡관(20)과 체결하기 때문에 돌출경사시일시트(35)와 시일링(33)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31)의 외경측면에 형성된 수나사(22)의 연장선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시일링(33)을 성형하고, 노브슬립너트(37)의 원형단(28)을 막은 내경측에는 암나사(25), 상기 암나사(25)에 이어진 경사면에는 한 쌍의 환형테(38,38'')를 갖는 경사시일시트(21'')를 각각 형성한 투명캡너트(40)를 방출관(31)의 수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경사시일시트(21'')가 시일링(33)에 압착·밀봉되는 구조의 투명캡너트식 트랩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31)의 끝단부터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와 확대관(41), 내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가 연계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실링슬립너트(24)를 투명곡관용기(42)의 외경부에 끼워 확대관(41)에 조립한 상태에서 방출관(31)의 수나사(22)와 체결하는 과정에 경사시일시트(21)와 스크레이퍼시일(26)의 립 경사면(27)이 밀착되고, 동시에 스크레이퍼시일(26)의 선단부가 투명곡관용기(42)의 외경부에 압착되고,
    또한, 상기 J주름곡관(20)의 하단부 끝단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 내경부에는 경사시일시트(21)와 확대관(41')을 각각 형성하고, 굴곡배수관(15')의 하단부를 확대관(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외경부에는 실링슬립너트(24)를 끼우고 J주름곡관(20)의 수나사(22)에 실링슬립너트(24)를 체결하는 과정에 경사시일시트(21)가 립 경사면(27)과 밀착되고, 동시에 스크레이퍼시일(26)의 선단부가 J주름곡관(20)의 외경부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31)의 외경측면에 형성된 수나사(22)의 아래쪽 끝단 외경측 경사면에는 환형홈(32)을 갖는 시일링(33)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투명너트(42)의 내경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5)의 연장선에는 경사지게 경사시일시트(21'), 외경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노브(29)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경사시일시트(21')의 아래쪽 연장선에는 투명곡관용기(34')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투명너트(42)를 방출관(31)의 수나사(22)에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너트식 트랩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31)의 내경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5)의 아래쪽 끝단 내경측 경사면에는 경사시일시트(21)를 형성하고,
    또한,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노브(29)를 형성한 투명볼트(43)의 위쪽 외경측면에는 수나사(22)와 경사시일시트(21'')를 이어지게 성형하고, 상기 투명볼트(43)의 아래쪽에는 투명곡관용기(34'')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투명볼트(43)를 방출관(31)의 암나사(25)에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볼트식 트랩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볼트(43)의 노브(29)와 같은 위치의 하단부를 막고 상단부의 외경측면에 수나사(22)와 경사시일시트(21'')를 이어지도록 성형한 투명캡볼트(44)의 수나사(22)를 상기 방출관(31)의 내경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2)에 체결하는 과정에 투명캡볼트(44)의 경사시일시트(21'')가 방출관(31)의 경사시일시트(21)에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투명캡너트식 트랩 조립체.
KR1020110059308A 2011-06-17 2011-06-17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KR10126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08A KR101263606B1 (ko) 2011-06-17 2011-06-17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08A KR101263606B1 (ko) 2011-06-17 2011-06-17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81A KR20120139481A (ko) 2012-12-27
KR101263606B1 true KR101263606B1 (ko) 2013-05-10

Family

ID=4790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308A KR101263606B1 (ko) 2011-06-17 2011-06-17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681B1 (ko) 2016-04-07 2016-07-19 전민제 배수 트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88Y1 (ko) 1999-03-04 2000-08-16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273503Y1 (ko) 2002-01-18 2002-04-26 홍성현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432272Y1 (ko) 2006-09-20 2006-12-04 김종석 배수 파이프
JP2007191958A (ja) 2006-01-20 2007-08-02 Inax Corp 排水トラ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88Y1 (ko) 1999-03-04 2000-08-16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273503Y1 (ko) 2002-01-18 2002-04-26 홍성현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JP2007191958A (ja) 2006-01-20 2007-08-02 Inax Corp 排水トラップ装置
KR200432272Y1 (ko) 2006-09-20 2006-12-04 김종석 배수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681B1 (ko) 2016-04-07 2016-07-19 전민제 배수 트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81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5937C (en) Septic tank outlet filter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WO1996019620A1 (en) Non-return device
JP6078720B2 (ja) 配管装置
KR101263606B1 (ko) 실링슬립너트식 트랩 조립체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101263605B1 (ko)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WO2006079141A1 (en) A water purifier apparatus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US20090211963A1 (en) Particle Interceptor
CN205917829U (zh) 一种雨水弃流装置
KR20110046840A (ko) 스트레이너 내장형 유니언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CN212701026U (zh) 蒸气过滤器
CN210917587U (zh) 楼房室内管道排污系统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US20010047958A1 (en) Filter apparatus
KR101398414B1 (ko) 개선된 커버체결구조가 적용된 액체 정밀 여과기
CN207478133U (zh) 复合滤芯和净水器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200457576Y1 (ko)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JP3119066U (ja) 濾過器
KR200446872Y1 (ko) 하수구의 배출구조
CN109653312A (zh) 排水口筛网构件
CN213625873U (zh) 一种净水排污防臭防堵的多功能后置下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