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76B1 -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76B1
KR100659176B1 KR1020060089293A KR20060089293A KR100659176B1 KR 100659176 B1 KR100659176 B1 KR 100659176B1 KR 1020060089293 A KR1020060089293 A KR 1020060089293A KR 20060089293 A KR20060089293 A KR 20060089293A KR 100659176 B1 KR100659176 B1 KR 10065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manhole
flow rate
combined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유입과 배수의 단차가 크게 형성되어 맨홀 바닥의 세굴현상을 방지하며,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름과 동시에 퇴적시켜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퇴적된 오물을 진공흡입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입설치되며, 상부에는 맨홀뚜껑이 안치되게 안치단이 형성되고, 일측벽면에는 유입배수관이 형성되며, 타측벽면에는 배출배수관이 형성되되, 유입배수관의 하부 및 배출배수관의 상부에는 결합홈이 종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벽면에는 사다리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맨홀과, 결합단이 구비되고, 결합단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의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하부양측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한편, 경사면에 수직되게 상부로 연장된 수직판의 내측면에는 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가 형성되며, 힌지가 위치된 상부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유속저감거름부와, 유속저감거름부의 힌지에 볼트축 및 너트로 결합되게, 일단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타측상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걸림고리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과, 유속저감거름부가 결합되지 않는 결합홈에 결합되게, 앵커홀이 형성된 결합단이 구비되고, 결합단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유속저감단이 형성되는 한편, 결합단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의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하부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 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거름부와, 유속저감거름부 및 단차거름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볼트축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에 체결되게 'ㄱ' 및 역'ㄱ'형상의 체결핀이 삽입되는 이동홈이 형성된 돌출턱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주변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진 고정판에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거름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맨홀, 맨홀뚜껑, 유속저감거름부, 단차거름부, 거름망부, 세굴, 하수관, 배수관

Description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Sediment influx prevention water level manh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을 임위로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저감거름부와 유속저감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저감거름부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거름부의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작동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차맨홀 11; 맨홀뚜껑
12; 안치단 13; 유입하수관
14; 유입배수관 15; 배수하수관
16; 배출배수관 17; 앵커볼트
18; 결합홈 18a,21a,41a; 앵커홀
19; 사다리 20; 유속저감거름부
21,41; 결합단 22,43; 경사면
22a,43a,55b; 중공부 22b,23a,30a,43b,53; 축홀
22c,24,30b,43c; 걸림고리 23; 수직판
23b; 힌지 30,42; 유속저감판
31,51; 볼트축 32,52; 너트
33; 인장스프링 40; 단차거름부
50; 거름망부 54; 돌출턱
54a; 체결핀 54b; 이동홈
55; 고정판 55a; 볼트홈
56; 거름망 56a; 볼트
100; 다단단차맨홀 200; 지반
본 발명은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유입과 배수의 단차가 크게 형성되어 맨홀 바닥의 세굴현상을 방지하며,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름과 동시에 퇴적시켜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퇴적된 오물을 진공흡입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퇴 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하수관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수거처리와 우수의 배출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규모가 작은 맨홀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작은 규모의 맨홀에서 수집된 하수는 대규모의 단차맨홀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종래의 단차맨홀(배수조)은 지반에 매설되어 단차맨홀의 유입구는 소규모의 맨홀의 합류지점과 연결되고, 배출구는 하수관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단차맨홀에는 생활하수나 우수가 유입될 때 다량의 이물질이나 쓰레기 및 토사 등이 함유된 상태로 유입되어 일부는 오폐수를 따라 하수관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유속이 약해지는 곳에 침전되어 하수관의 통로를 차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차맨홀의 내부 바닥에도 침전물이 침전되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청소작업이 어려워 관리의 어려운 점이 많으며, 오수가 부패 되면서 각종 곤충이나 벌레등의 서식처 및 이동통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단차맨홀은 유입배수관이 상부에 위치되고, 배출하수관은 하부에 위치되어 있어, 유입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큰 낙차를 얻게 되며, 이러한 낙차에 의해 단차맨홀의 측벽이나 바닥은 오랜 기간 사용시 세굴현상이 발생되어 내구연한이 감소 될 뿐만 아니라, 낙수로 인해 단차맨홀의 바닥이 거칠어 지며, 홈이 형성되어 오폐수가 흐르지 못하고 고여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청소작업 및 시공을 쉽고, 이물질이나 쓰레기 토사를 걸려 막힘현상이나 침전현상을 방지하며,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단차맨홀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속저감부를 높은 위치에 형성된 유입배수관의 하부에 설치하여 큰 낙차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을 일차로 저감시키고, 하부에는 다단으로 어긋나게 형성된 단차거름부에 의해 여러번에 걸쳐 낙차에 의한 유속을 저감시켜 맨홀의 세굴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속저감부 및 단차거름부의 중앙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하고, 중공부에 거름망부를 설치하여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 배출배수관을 통해 배수하수관에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침전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속저감거름부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을 형성하여 낙수로 인한 충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구조물을 보호하며, 낙차로 인한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매입설치되며, 상부에는 맨홀뚜껑이 안치되게 안치단이 형성되고, 일측벽면 상부에는 유입하수관이 연결되는 유입배수관이 형성되며, 타측벽면 하부에는 배수하수관이 연결되는 배출배수관이 형성되되, 유입배수관의 하부 내측벽면 및 배출배수관의 상부 내측벽면에는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앵커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이 종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홈을 제외한 각각의 내측벽면에는 사다리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맨홀과,
유입배수관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앵커볼트로 결합되게, 앵커홀이 형성된 결합단이 구비되고, 결합단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의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하부양측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한편, 경사면에 수직되게 상부로 연장된 수직판의 내측면에는 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가 형성되며, 힌지가 위치된 상부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유속저감거름부와,
유속저감거름부의 힌지에 볼트축 및 너트로 결합되게, 일단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타측상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걸림고리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과,
유속저감거름부가 결합되지 않는 결합홈에 앵커볼트로 결합되게, 앵커홀이 형성된 결합단이 구비되고, 결합단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유속저감단이 형성되는 한편, 결합단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의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의 하부양측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거름부와,
유속저감거름부 및 단차거름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볼트축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에 체결되게 'ㄱ' 및 역'ㄱ'형상의 체결핀이 삽입되게 이동홈이 형성된 돌출턱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주변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진 고정판에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거름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을 임위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저감거름부와 유속저감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저감거름부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거름부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작동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은 지반(200)에 매입설치되며, 상부에는 맨홀뚜껑(11)이 형성되고, 일측벽면에는 유입배수관(14)이 형성되며, 타측벽면에는 배출배수관(16)이 형성되되, 각각의 내측벽면에는 앵커볼트(17)가 결합되는 앵커홀(18a)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 홈(18)이 종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사다리(19)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맨홀(10)과, 유입배수관(14)에 결합되게, 결합단(21)이 구비되고, 결합단(21)에 연장된 경사면(22)의 중앙에는 중공부(22a)가 형성되며, 하부양측에는 축홀(22b)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22c)가 형성되는 한편, 수직판(23)의 내측면에는 축홀(23a)이 형성된 힌지(23b)가 위치된 상부에는 걸림고리(24)가 형성된 유속저감거름부(20)와, 유속저감거름부(20)의 힌지(23b)에 결합되게, 일단에는 축홀(30a) 및 걸림고리(30b)가 형성되어 인장스프링(33)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30)과, 유속저감거름부(20)가 결합되지 않는 결합홈(18)에 결합되게, 결합단(4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유속저감단(42)이 형성되는 한편,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43)에는 중공부(43a)가 형성되며, 중공부(43a)의 하부에는 축홀(43b)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고리(43c)가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거름부(40)와, 유속저감거름부(20) 및 단차거름부(40)의 중공부(22a,43a)에 결합되게, 하부양측에는 축홀(5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22c,43c)에 체결되는 체결핀(54a)이 삽입되는 이동홈(54b)이 형성된 돌출턱(54)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중공부(55b)가 형성된 고정판(55)에 체결되는 거름망(56)으로 이루어진 거름망부(50)로 다단단차맨홀(100)이 구성된다,
이러한, 단차맨홀(10)은 지반(200)에 매입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 단차맨홀(10)은 대규모의 크기로서, 관리자가 내부로 진입하여 각종 시설물의 보수 및 청소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맨홀로 구성된다.
그리고, 단차맨홀(10)은 상부에 맨홀뚜껑(11)이 안치되게 안치단(12)이 형성되는데, 관리자가 단차맨홀(10)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지반(200)의 상부에 노출된 맨홀뚜껑(11)을 개방한 후 진입하여 관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단차맨홀(10)의 일측벽면 상부에는 유입하수관(13)이 연결되는 유입배수관(14)이 형성되며, 타측벽면 하부에는 배수하수관(15)이 연결되는 배출배수관(16)이 형성된다.
부연설명하면, 단차맨홀(10)의 유입배수관(14)은 상부에 위치되고, 배출배수관(16)은 유입배수관(14)가 설치된 반대편의 측벽 하부에 위치되어 하수의 낙차가 크게 형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도면 표기에 유입배수관(14)을 하나로 도시 하였지만 여러 방향에서 모여드는 합류식 맨홀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유입배수관(14)의 하부 내측벽면 및 배출배수관(16)의 상부 내측벽면에는 앵커볼트(17)가 결합되는 앵커홀(18a)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18)이 종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결합홈(18)은 후술하게 될 유속저감거름부(20)와 단차거름부(40)가 지그재그로 어긋나며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결합홈(18)을 제외한 각각의 내측벽면에는 사다리(19)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관리자가 단차맨홀(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이동을 설치된 것으로, "ㄷ"형태로 구성되며 단차맨홀(10)의 내측벽면에 고정된다.
한편, 유속저감거름부(20)는 유입배수관(14)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8)에 앵커볼트(17)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앵커홀(21a)이 형성된 결합단(21)이 구비되는데, 단차맨홀(10)의 결합홈(18)에 삽입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단(21)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22)의 중앙에는 중공부(22a)가 형성되며, 중공부(22a)의 하부에는 축홀(22b)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고리(22c)가 형성되는 한편, 경사면(22)에 수직되게 상부로 연장된 수직판(23)의 내측면에는 축홀(23a)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23b)가 형성되며, 힌지(23b)가 위치된 상부 내측면에는 걸림고리(24)가 형성된다.
즉, 중공부(22a)는 유입된 하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구성된 것이며, 축홀(22b)은 후술하게 될 거름망부(50)가 중공부(22a)에 삽입되어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걸림고리(24)는 유속저감판(30)과 인장스프링(33)을 이용하여 하부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U'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고리(22c)는 거름망부(50)가 중공부(22a)에 결합 된 후, 필요시에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핀(54a)을 좌우로 이동시켜 걸림고리(22c)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유속저감판(30)은 유속저감거름부(20)의 한 쌍의 힌지(23b)에 삽입되어 볼트축(31) 및 너트(32)로 결합된다.
즉, 일단에는 볼트축(31)이 관통되는 축홀(30a)이 형성되고, 타측상부에는 걸림고리(30b)가 형성되어 걸림고리(24)에 인장스프링(33)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유속저감판(30)의 상부로 하수가 유입되게 되면, 큰 낙차로 인한 충격을 최소한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수가 유속적감판(30)의 상부에 떨어지게 되면 유속저감판(30)이 하부로 회동하되, 인장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 되며,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단차거름부(40)는 유속저감거름부(20)가 결합되지 않는 결합홈(18)에 결합 되는데, 이러한, 단차거름부(40)는 유속저감거름부(2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기능이 다르게 구성된다.
즉, 단차거름부(40)는 결합홈(18)에 결합되게 앵커볼트(17)를 이용하여 앵커홀(41a)이 형성된 결합단(41)이 구비되고, 결합단(41)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유속저감단(42)이 형성되는 한편, 결합단(41)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43)의 중앙에는 중공부(43a)가 형성되며, 중공부(43a)의 하부에는 축홀(43b)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고리(43c)가 형성된 다수개로 구성된다.
아울러, 유속저감단(42)은 유속저감거름부(20)를 거쳐 유속이 감소된 하수가 부딪혀 유속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결합단(41)과 일체로 구성된다.
즉, 중공부(43a)는 유입된 하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구성된 것이며, 축홀(43b)은 후술하게 될 거름망부(50)가 중공부(43a)에 삽입되어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고리(43c)는 거름망부(50)가 중공부(43a)에 결합 된 후, 필요시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체결핀(54a)을 좌우로 이동시켜 걸림고리(22c)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거름망부(50)는 유속저감거름부(20) 및 단차거름부(40)의 중공부(22a,43a)에 삽입되어 볼트축(51) 및 너트(52)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이러한, 거름망부(50)는 중공부(22a,43a)에서 볼트축(51)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게 고정된다.
아울러, 거름망부(50)는 하부에 볼트축(51)이 관통되는 축홀(5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22c,43c)에 체결되게 'ㄱ' 및 역'ㄱ'형상의 체결핀(54a)이 삽입되는 이동홈(54b)이 형성된 돌출턱(54)이 구비된다.
즉, 체결핀(54a)은 'ㄱ' 및 역'ㄱ'형상으로 이동홈(54b)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고리(22c,43c)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거름망부(5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하며, 필요시에 체결핀(54a)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며 걸림고리(22c,43c)에서 이탈시켜 거름망부(5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볼트홈(55a)이 주변으로 형성된 중공부(55b)로 이루어진 고정판(55)에 볼트(56a)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거름망(56)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200)의 내부에 매입된 다단단차맨홀(100)은 유입하수관(13)을 거쳐 유입배수관(14)를 통해 하수가 단차맨홀(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면, 하수는 유속저감거름부(20)의 상부로 낙수되게 된다.
이때, 유속저감거름부(20)의 상부로 낙수되는 하수는 유속저감판(30)의 상부와 주변에 부딪혀 비산되게 된다.
즉, 낙수되는 하수는 유속적감판(30)의 상부에 부딪혀 유속저감판(30)이 하부로 회동하게 되면서 하수의 낙차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며,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의해 인장스프링(33)은 유속저감판(30)이 회동된 만큼 신장하게 되며, 복원력을 이용하여 유속저감판(30)을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낙차가 큰 하수의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유속저감거름부(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일부의 하수는 거름망부(50)의 거름망(56)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단차거름부(4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 등은 거름망부(50)의 거름망(56)을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되며, 퇴적되어 이물질이 배출하수관(16)을 통과한 후 배수하수관(15)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단차맨홀(10)의 바닥이나 배수하수관(15)에 침전되거나 침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막힘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한편, 유속저감거름부(20)에 지속적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거름망부(50)를 통해 완전히 배수되지 못하고 충만되어 상부로 흘러 넘치게 되는 하수와, 유속저감거름부(20)의 상부에 부딪혀 비산되는 하수는 반대편 내측 벽면에 설치된 단차거름부(40)로 유입되어 유속저감거름부(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낙차가 큰 하수를 유속저감거름부(20)와 단차거름부(40)을 이용하여 지그재그방식으로 부딪히게 하여 낙차로 인한 충격을 상쇄시켜, 단차맨홀(10)의 세굴현상을 방지하여 조기 노후화를 예방하며 관리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아울러, 오랜 기간 하수가 배수되면 유속저감거름부(20)와 단차거름부(40)의 내측면 바닥에는 이물질이 퇴적되어 형성된 오폐수 및 퇴적물이 축적되게 되어 악취 및 불결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청소작업을 시행하는데, 이때에는, 맨홀뚜껑(11)을 제거하여 단차맨홀(10)의 입구를 개방하고, 흡입장비(도면상 미도시)의 흡입호스를 유속저감거름부(20)와 단차거름부(40)에 퇴적된 오폐수 및 퇴적물을 제거하여 간단히 관리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절감된다.
이때, 작업자는 사다리(19)를 이용하여 단차맨홀(10)의 내부에 진입 한 후, 흡입호스를 오폐수 및 퇴적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위치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유속저감부를 높은 위치에 형성된 유입배수관의 하부에 설치하여 큰 낙차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을 일차로 저감시키고, 하부에는 다단으로 어긋나게 형성된 단차거름부에 의해 여러 번에 걸쳐 낙차에 의한 유속을 저감시켜 맨홀의 세굴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속저감부 및 단차거름부의 중앙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하고, 중공부에 거름망부를 설치하여 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 배출배수관을 통해 배수하수관에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침전되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속저감거름부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을 형성하여 낙수로 인한 충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구조물을 보호하며, 낙차로 인한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지반(200)에 매입설치되며, 상부에는 맨홀뚜껑(11)이 안치되게 안치단(12)이 형성되고, 일측벽면 상부에는 유입하수관(13)이 연결되는 유입배수관(14)이 형성되며, 타측벽면 하부에는 배수하수관(15)이 연결되는 배출배수관(16)이 형성되되, 유입배수관(14)의 하부 내측벽면 및 배출배수관(16)의 상부 내측벽면에는 앵커볼트(17)가 결합되는 앵커홀(18a)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18)이 종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홈(18)을 제외한 각각의 내측벽면에는 사다리(19)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단차맨홀(10)과,
    유입배수관(14)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8)에 앵커볼트(17)로 결합되게, 앵커홀(21a)이 형성된 결합단(21)이 구비되고, 결합단(21)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22)의 중앙에는 중공부(22a)가 형성되며, 중공부(22a)의 하부양측에는 축홀(22b)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고리(22c)가 형성되는 한편, 경사면(22)에 수직되게 상부로 연장된 수직판(23)의 내측면에는 축홀(23a)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23b)가 형성되며, 힌지(23b)가 위치된 상부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고리(24)가 형성된 유속저감거름부(20)와,
    유속저감거름부(20)의 힌지(23b)에 볼트축(31) 및 너트(32)로 결합되게, 일단에는 축홀(30a)이 형성되고, 타측상부에는 걸림고리(30b)가 형성되어 걸림고리(24)에 인장스프링(33)으로 연결되는 유속저감판(30)과,
    유속저감거름부(20)가 결합되지 않는 결합홈(18)에 앵커볼트(17)로 결합되 게, 앵커홀(41a)이 형성된 결합단(41)이 구비되고, 결합단(41)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유속저감단(42)이 형성되는 한편, 결합단(41)의 하부측면에 연장되어 상부로 경사진 경사면(43)의 중앙에는 중공부(43a)가 형성되며, 중공부(43a)의 하부양측에는 축홀(43b)이 형성되고, 상부 외측면에는 걸림고리(43c)가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거름부(40)와,
    유속저감거름부(20) 및 단차거름부(40)의 중공부(22a,43a)에 삽입되어 볼트축(51) 및 너트(52)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부에는 축홀(5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고리(22c,43c)에 체결되게 'ㄱ' 및 역'ㄱ'형상의 체결핀(54a)이 삽입되게 이동홈(54b)이 형성된 돌출턱(54)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주변으로 볼트홈(55a)이 형성된 중공부(55b)로 이루어진 고정판(55)에 볼트(56a)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거름망(56)으로 이루어진 거름망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KR1020060089293A 2006-09-14 2006-09-14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KR10065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3A KR100659176B1 (ko) 2006-09-14 2006-09-14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3A KR100659176B1 (ko) 2006-09-14 2006-09-14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176B1 true KR100659176B1 (ko) 2006-12-20

Family

ID=3781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93A KR100659176B1 (ko) 2006-09-14 2006-09-14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900B1 (ko) * 2014-02-27 2014-06-13 주식회사바셈 합류식 맨홀의 친환경 악취제거장치
KR101740033B1 (ko) * 2014-12-03 2017-05-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감속형 부유물질 제거용 거름망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
CN110219223A (zh) * 2019-07-01 2019-09-10 广东银辉建设有限公司 市政排水结构
CN110485447A (zh) * 2018-05-14 2019-11-22 北京中联勘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降水井封盖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802668A (zh) * 2021-09-22 2021-12-17 陈育冬 一种具有防堵清渣功能的管道
CN113863467A (zh) * 2021-08-26 2021-12-31 盛兰 一种城市给水pe排水管道
CN113982008A (zh) * 2021-10-11 2022-01-28 中煤建工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开挖降水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900B1 (ko) * 2014-02-27 2014-06-13 주식회사바셈 합류식 맨홀의 친환경 악취제거장치
KR101740033B1 (ko) * 2014-12-03 2017-05-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감속형 부유물질 제거용 거름망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
CN110485447A (zh) * 2018-05-14 2019-11-22 北京中联勘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降水井封盖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219223A (zh) * 2019-07-01 2019-09-10 广东银辉建设有限公司 市政排水结构
CN113863467A (zh) * 2021-08-26 2021-12-31 盛兰 一种城市给水pe排水管道
CN113802668A (zh) * 2021-09-22 2021-12-17 陈育冬 一种具有防堵清渣功能的管道
CN113982008A (zh) * 2021-10-11 2022-01-28 中煤建工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基坑开挖降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76B1 (ko)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10384956B1 (en) Restrictive up flow media filter with servicing system
KR100659175B1 (ko)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CN106978846B (zh) 一种具有控制面源污染功能的全收集防堵塞截污挂篮
US7138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JP5065567B2 (ja) 固液分離装置
KR101100383B1 (ko) 하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0167090Y1 (ko)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419919Y1 (ko) 침사조가 구비되는 하수 유입용 맨홀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20110016363A (ko)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200249085Y1 (ko) 도로의 배수용 집수정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100813583B1 (ko) 하수도용 탈착식 스크린을 갖는 저류장치
KR100785912B1 (ko) 하수구의 악취유출 방지겸 이물질유입 방지장치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