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63A -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63A
KR20110016363A KR1020090090757A KR20090090757A KR20110016363A KR 20110016363 A KR20110016363 A KR 20110016363A KR 1020090090757 A KR1020090090757 A KR 1020090090757A KR 20090090757 A KR20090090757 A KR 20090090757A KR 20110016363 A KR20110016363 A KR 20110016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rainwater
pipe
cleaning
clean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기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이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11001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7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rushes,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하여 빗물을 배수하는 하수관 또는 우수관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는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은 여러 지역에서 합류하여 모아지는 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맨홀을 매설하는데, 상기 맨홀에서는 장마 및 폭우 등으로 하수관으로 연결되어 흐르는 빗물이 모여들어 오면서, 휩쓸려서 들어오는 낙엽이나 쓰레기 등이 퇴적으로 빗물의 이동을 방해하여 주는데, 이의 청소작업에는 거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하여 인력의 소요가 많은 것이다. 또한 폭우 등에서는 배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으로, 경우에 따라 맨홀을 덮고 있는 상판의 배수구로 물이 넘처 흘러서 빗물이 배수가 지연되면서 범람하는 문제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되는 와류 현상을 방지하면서 배수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택지의 골목이나 도로에서 지중 매설하여 빗물이 배수하도록 상측부에 배수구(55)이 형성된 뚜껑(54)을 덮어 주어서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배수공간(75)을 형성하면서 하측부에 빗물의 배수용 하수관(52)을 다수개로 연결하여서 빗물이 맨홀(51)의 내측공간(75)에 집중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배수용 하수관(53)을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맨홀(51)에 있어서, 상기 맨홀(51)의 내측 벽면과 바닥모서리(48)에 프레임(49)(49')을 서로 엮어서 구성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49)(49')에는 청소포대(61)용 걸이(50)를 설치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는 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는 로프(41)용 삽입대(42)를 구비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의 양측으로 하수관(52)에 맞추어 주도록 확대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바닥면에는, 상하측으로 로프(41')로 엮어주도록 삽입대(42")를 구비는 배출튜브(63)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를 형성하는 망상의 재질을 철심(63)이 삽입되는 피복층(70)으로 구성시켜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 구비된 삽입대(42)의 로프(41)를 걸어서 기중기(80)로 인출함으로서 청소 작업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맨홀, 배수용하수관, 걸이, 여과구

Description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omitted}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하여 빗물을 배수하는 하수관 또는 우수관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는 맨홀에 연결되는 배수용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은 여러 지역에서 합류하여 모아지는 하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맨홀을 매설하는데, 상기 맨홀에서는 장마 및 폭우 등으로 하수관으로 연결되어 흐르는 빗물이 모여들어 오면서, 휩쓸려서 들어오는 낙엽이나 쓰레기 등이 퇴적으로 빗물의 이동을 방해하여 주는데, 이의 청소작업에는 거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하여 인력의 소요가 많은 것이다. 또한 폭우 등에서는 배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으로, 경우에 따라 맨홀을 덮고 있는 상판의 배수구로 물이 넘처 흘러서 빗물이 배수가 지연되면서 범람하는 문제가 많았다.
상기 설명되는 역류 현상은, 주로 상류지역인 산골자기 또는 높은 지역의 주택지보다는 하류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바, 이는 대부분 하수관이 매설되는 지역 중에서 도로 및 주택지를 지나는 구간이 대부분이다.
도로변에서 지중 매설하여 설치되는 하수도에 대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맨홀에서는, 대부분 장시간 지나면서 지상에서부터 오물이나 쓰레기 등의 퇴적물이 쌓이거나, 또한, 여름철에 퇴적된 침전물이 부패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을 하여서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집중호우 등으로 범람에 대한 대책으로서, 매설된 하수관 또는 우수관에서의 퇴적된 침전물에 대한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으로서 빗물이나 하수의 흐름을 확대하여 주는데, 이에 따른 매설에 대한 비용과 공사지역의 도로 및 주택의 밀집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청소공사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인의 선 발명 등록 제803776호에 의하여 맨홀에 대한 침전물의 청소를 위하는 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면서 비대한 도시의 팽창으로 인하여 현대사회에서는 환경의 오염 및 이상 기온으로 인하여 강수량이 많아졌는데, 이는 순간적인 폭우가 발생하는 량이 많아지며, 이에 대한 대비책의 미비로 인하여 수해로 인한 손실의 금액이 점차로 불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도로 및 주택지에서 지중 매설되어서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맨홀은 대부분 상측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뚜껑을 덮어 주면서,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내측공간을 형성하고, 하측부에 적절한 크기의 하수관을 다수개로 연결하여서 빗물이 맨홀의 내측공간에 집중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배수용 하수관을 연결하여서 빗물이 집중된 량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대부분 빗물이 맨홀로 집중되면서 형성되는 와류현상으로 빗물의 흐름이 방해되면서 상측에 조립되는 맨홀용 뚜껑의 배수구로 역류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맨홀에서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흐르는 배수에 의하여 이동되는 뻘이나 흙 등이 배수관이 연결되는 맨홀의 내측공간의 하측부위에 퇴적으로 쌓여있어서, 이로 인하여 배수의 역할을 방해함으로서, 원활한 배수의 차단으로서 범람이나 역류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빗물의 정제현상은 지중 매설되는 하수관의 내측공간을 흐르면서 맨홀의 배수공간에서 도달하면 빗물의 흐름이 혼류로 바뀌면서 유속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상기 빗물의 역류 현상으로 갑자기 도로 및 주택이 범람하여 주므로 이에 대한 대피할 시간도 없이 막대한 수해의 손실을 발생하여 주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맨홀에서 퇴적으로 쌓여진 침전물을 용이하게 청소를 하도록 제공하여서 맨홀에 연결되는 배수용하수관에 배수를 촉진하는 장치를 제공함이며, 또한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맨홀에서 빗물이 흘러주는 현상으로, 맨홀의 바닥면에 퇴적되는 침전물을 부유로서, 빗물의 흐름과 같이 흘러주도록 제공으로서 효과적인 배수를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주택지의 골목이나 도로에서 지중 매설하여 빗물이 배수하도록 상측부에 배수구(55)이 형성된 뚜껑(54)을 덮어 주어서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내측공간(75)을 형성하면서 하측부에 빗물의 배수용 하수관(52)을 다수개로 연결하여서 빗 물이 맨홀(51)의 내측공간(75)에 집중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배수용 하수관(53)을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맨홀(51)에 있어서,
상기 맨홀(51)의 내측 벽면과 바닥모서리(48)에 프레임(49)(49')을 서로 엮어서 구성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49)(49')에는 청소포대(61)용 걸이(50)를 설치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는 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는 로프(41)용 삽입대(42)를 구비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의 양측으로 하수관(52)에 맞추어 주도록 확대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바닥면에는, 상하측으로 로프(41')로 엮어주도록 삽입대(42")를 구비는 배출튜브(63)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를 형성하는 망상의 재질을 철심(63)이 삽입되는 피복층(70)으로 구성시켜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 구비된 삽입대(42)의 로프(41)를 걸어서 기중기(80)로 인출함으로서 청소 작업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골목이나 도로 등에 매설되는 맨홀의 하측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용하수관의 일측부위에 스크류 팬이나 유공관 등을 조립시켜주면서 수중모터 또는 펌프 등의 고속회전으로 배출되는 유속을 보강하여 주어서,
상기 설명되는 폭우 등으로 범람의 원인으로 대두되는 맨홀에서 뚜껑의 배수 구로 넘쳐흐르는 빗물의 현상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것으로서 범람으로 인한 수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하여서 안전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은 종래의 맨홀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잘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5는 도5에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7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도로에서 적절한 구간에 매설된 맨홀(51)에서 내측공간(75)을 덮어주는 뚜껑(54)의 배수구(55)로부터 유입되어서 바닥구간(47)으로 쌓이면서 퇴적되는 쓰레기를 용이하게 재거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공간(75)의 맨홀(51)용 벽체의 내측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측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프레임(49)(49')를 형성하여 주되, 내측공간(75) 방향에서 상측으로 향하도록 돌출되는 걸이(50)를 다수개로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프레임(49)(49')과 맨홀(51)용 벽체의 내측면 사이의 고정에는 상기 프레임(49)(49')에서 다수개의 고정편(53)으로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을 시켜 준다.
또한 상기 내측공간(75)을 덮어주는 뚜껑(54)의 배수구(55)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나 낙엽 등을 담아서 용이하게 재거하여 주도록 상기 내측공간(75)의 크기에 맞추어주는 단면이 원통형의 청소포대(61)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상하측 가장자리에는 로프(42)를 삽입으로서, 상기 가장자리를 잠겨주거나 걸이(50)에 걸어주는데 용이하도록 로프(41)용 삽입대(42)를 구비하여 준다.
또한 하측 부위에는 서형의 원통형 배출튜브(63)을 돌출로 구비하여 주되, 상기 배출튜브(63)의 가장자리에는 로프(41)용 삽입대(42")를 구비하여서 상기 청소포대(61)에 쌓여진 쓰레기의 운반 및 재거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대(42)(42')의 구조는 청소포대(61)나 배출튜브(63)의 가장자리에서, 로프(41)를 삽입시켜 주는 삽입공간에 형성되도록 상기 청소포대(61)나 배출튜브(63)의 가장자리를 접어주면서 재봉 등으로 고정시켜서, 상기 삽입공간을 이용하여서 로프(41)의 양측 단부를 서로 당겼다 풀어주면서 청소포대(61)나 배출튜브(63)의 가장자리를 서로 묶어주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의 전체의 면적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여과구(45)를 연속 반복적으로 구비하여 주어서, 상기 청소포대(61)의 여과구(45)와 상기 설명되는 상기 프레임(49)(49')에서 다수개의 고정편(53)을 서로 삽입으로서, 상기 청소포대(61)의 상측 구입구가 맨홀(51)의 뚜껑(54)의 배수구(55)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가 담겨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상기 프레임(49)(49')에서 다수개의 고정편(53)에 삽입되는 청소포대(61)의 여과구(45)의 경사도는, 후술로 설명되는 작업차량(82)에 의하여 당겨지는 로프(41)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인출되도록 적절한 경사도를 형성하여서 고정시켜 준다.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의 하측부위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출튜브(63)의 상하측으로 로프(41')로 엮어주도록 삽입대(42")를 구비시켜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맨홀(51)의 내측공간(75)에다, 청소포대(61)을 삽입시켜 주되, 상기 프레임(49)(49')에서 다수개의 고정편(53)에 청소포대(61)의 여과구(45)에 걸이(50)를 삽입으로 펼쳐서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청소포대(61)의 하측부위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출튜브(63)의 상하측으로 로프(41')로 엮어주어서 바닥면을 막아주도록 하며,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의 상측부위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로프(41)를 풀어서 개방으로 형성시켜서, 상기 청소포대(61)의 상측 구입구가 맨홀(51)의 뚜껑(54)의 배수구(55)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가 담겨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청소포대(61)에 장시간 지나면서 쓰레기가 쌓여주면, 이를 청소를 하여 주어야 하는 바, 첨부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차량(82)과 기중기(80)에 의해 로프(41)를 당겨주면, 상기 프레임(49)(49')에서 다수개의 고정편(53)에 청소포대(61)의 여과구(45)에 걸려있던 걸이(50)가 경사지는 구조에 의하여 자연스레 인출이 되면서, 상기 쓰레기가 채워진 청소포대(61)가 맨홀(51)의 외측으로 인출이 되어서 쓰레기를 버리는 장소로 이동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상기 청소포대(61)의 하측부위에 구비되는 삽입대 (4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출튜브(63)의 상하측으로 엮어진 로프(41')를 풀어주면, 상기 청소포대(61)에 담아진 쓰레기가 쏟아지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청소포대(61)의 여과구(45)는 쓰레기는 걸러서 담아주며, 이에 따른 물은 배출이 되도록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여과구(45)의 크기는 사용 현장의 여건에 따라 크기를 조절시켜 주며, 또한 상기 맨홀(51)에서 연결되는 하수관(52)의 유입구 부위에 맞추어서 상기 여과구(45)의 크기를 확대한 여과구(45')를 구비하여서 맨홀(51)을 흐르는 빗물 등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맨홀(51)에서 장기간 사용 도중에 청소포대(61)을 방치하는 경우, 상기 청소포대(61)을 구성하는 망상의 재질은 유연성이 높은 합성수지제 또는 섬유제로 제조가 되는 것으로서, 이는 장기간 사용함으로서 노화 현상에 의하여 내구성이 약해져서, 상기 맨홀(51)에 침전으로 쌓여주는 토사 및 쓰레기에 대한 재거작업에 대하여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는 구조로서, 청소포대(61)를 형성하는 망상의 재질을 철심(63)으로 삽입시켜 주는 피복층(70)으로 구성시켜 제공함으로서, 상기 청소포대(61)에 대한 내구성 보강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철심(63)은 만곡성이 유연하면서 인장력이 높은 금속제 등을 제공하여서 본 발명의 요부인 청소포대(61)의 인출 및 작업성을 제공하여 주도록 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은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따라 매설되는 하수관(52)에 따라 연결되는 맨홀(51)에서,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상측부에 배수구(55)가 형성된 뚜껑(54)을 덮어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내측공간(75)의 바닥구간(47)에 쌓여지는 쓰레기 등이 퇴적이 되면 빗물 등의 흐름이 차단이 되면서, 홍수 등이 발생을 하연 저지대에서는 상기 맨홀(51) 등으로 하수가 역류가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내측공간(75)의 바닥구간(47)에 쌓여지는 쓰레기 등의 청소 뿐 만 아니라 하절기에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을 하면서 청소를 제공을 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본인의 선 발명 등록된 제803776호에 의하여 제공되는 장치에 대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청소를 제공하기 위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목 또는 도로에서 적절한 구간에 매설된 맨홀(51)의 하측부에서 연결되는 소정의 간격으로 입수용 하수관(52)의 사이에 조립으로 연결되는 배수용하수관(53)에서 장마 또는 폭우 등으로 만수된 빗물이 와류 현상 등으로 상측부에 조립으로 덮어있는 뚜껑(54)의 배수구(55)로 빗물이 넘쳐흐르는 경우, 이에 따라 빗물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용하수관(53)의 일측에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의 구간으로, 상기 맨홀(51) 방향으로 입구(70)를 형성하고, 상기 맨홀(51)의 반대방향으로 출구(71)가 형성된 보조벽(60)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배수용하수관(53)의 보조벽(60)과 입,출구(70)(71)에 대한 구비는 중, 상측 공간에 형성하여서, 상기 배수용하수관(53)의 하측공간에는 평상시 흐르는 소량의 배수하는 물이 흐르도록 하는 구간이다.
상기 보조벽(60)의 내부 요홈부(59)의 일측에는 수중모터(57)를 구비하고, 상기 수중모터(57)에는 회전축(58)을 연결하며, 회전축(58)에는 다수개의 회전 팬(56)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맨홀(51)의 내측공간(75)에 빗물이 만수가 되면서 뚜껑(54)의 배수구(55)로 넘쳐흐르면, 이에 따른 도면에 미도시된 스윗치 등의 역할로 수중모터(57)에 연결되는 회전축(58)에 의하여 스크류 팬(56)을 고속회전하면,
요홈부(59)의 입구(70)에서 빗물이 흡입하면서 출구(71)로 고압의 빠른 속도로 배출하여 주므로, 가능한 많은 량의 빗물이 이송관(77)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맨홀에서 바닥구간(47)에 퇴적된 퇴적물에 대한 청소작업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보조벽(60)에서 이송관(77)으로 맨홀(51)의 바닥 모서리(48)을 관통시켜 주도록 이송관(77)을 만곡으로 하측방향으로 구비하여 주어서, 맨홀(51)의 내측공간(75)의 바닥구간(47)의 바닥모서리(48)로 향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모서리(48)에 따라 만곡으로 구비되는 이송관(77)은 상기 수중모터(57)로부터 강력히 공급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77)의 가장자리에 분사구(73)가 천공된 공급관(71)을 가이더(74)로 설치하여 주되; 상기 가이더(74)는 맨홀(51)의 벽체에 고정핀 등으로 고정시켜 준다.
즉 상기 가이더(74)의 구성은 상기 공급관(71)의 외측으로 설치되도록 다수 개의 고정봉(84)으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고정봉(84) 사이에는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고정되도록 보조 고정봉(84')을 일체로 격자형을 구성하도록 연결시켜 주어서 상기 이송관(77)에 천공된 분사구(73)의 급수물이 바닥구간(47)을 중심으로 퇴적된 퇴적물을 청소하여 주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맨홀(51)의 바닥 모서리(48)의 중앙부위인 바닥구간(47)에 퇴적되는 쓰레기 등을, 물의 충격으로 부유 등으로 청소를 위하도록,
상기 바닥구간(47)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원주형으로 만곡된 공급관(71)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의 바닥구간(47)의 중앙부위로 돌출시켜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공급관(71)과 이에 연결되는 분기관(78)은 유연성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제 호오스 등으로 사용함으로서, 수압에 의하여 피닥거리는 요동성을 제공함으로서, 맨홀(51)의 바닥구간(47)에 퇴적된 쓰레기를 물 충격으로 부유시켜서 하수물에 섞여서 흘러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78)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브러시(79')를 구비하여서 맨홀(51)의 바닥구간(47)에 퇴적된 쓰레기를 물 충격으로 재거하도록 보강시켜 준다.
이는 상기 설명되는 맨홀(51)에서는 국지적인 폭우 또는 장마 등으로 불어나는 배수물을 활용으로서, 경제성이 높은 유용한 청소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맨홀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5는 도5에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A-A선 단면도
도7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8은 도7에서 B-B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상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5. 여과구 47. 바닥구간 48. 바닥모서리 49,49'. 지지프레임
50. 걸이 51. 맨홀 52. 하수관 53. 배수용하수관 54. 뚜껑
55. 배수구 56. 회전 팬 57. 수중모터 58. 회전축 59. 요홈부
60. 보조벽 61. 청소포대 62'. 유공관 63. 철심 64. 천공구
66. 펌프 67. 고정볼트 68. 상측공간 69. 하측공간
71. 공급관 73. 분사구 74. 가이더 75. 내측공간
77. 이송관 78. 분기관 80. 기중기

Claims (3)

  1. 주택지의 골목이나 도로에서 지중 매설하여 빗물이 배수하도록 상측부에 배수구(55)이 형성된 뚜껑(54)을 덮어 주어서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배수공간(75)을 형성하면서 하측부에 빗물의 배수용 하수관(52)을 다수개로 연결하여서 빗물이 맨홀(51)의 내측공간(75)에 집중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배수용 하수관(53)을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맨홀(51)에 있어서,
    상기 맨홀(51)의 내측 벽면과 바닥모서리(48)에 프레임(49)(49')을 서로 엮어서 구성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49)(49')에는 청소포대(61)용 걸이(50)를 설치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는 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는 로프(41)용 삽입대(42)를 구비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포대(61)의 양측으로 하수관(52)에 맞추어 주도록 확대여과구(45')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에 구비되는 삽입대(42')의 바닥면에는, 상하측으로 로프(41')로 엮어주도록 삽입대(42")를 구비는 배출튜브(63)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청소포대(61)를 형성하는 망상의 재질을 철심(63)이 삽입되는 피복층 (70)으로 구성시켜 주고,
    상기 청소포대(61)의 모서리에 구비된 삽입대(42)의 로프(41)를 걸어서 기중기(80)로 인출함으로서 청소 작업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3. 주택지의 골목이나 도로에 지중 매설하여 빗물이 배수하도록 상측부에 배수구(55)가 형성된 뚜껑(54)을 덮어 하수 및 우수가 집중되도록 배수공간(75)을 형성하면서 하측부에 적절한 크기의 하수관(52)을 다수개로 연결하여서 빗물이 맨홀(51)의 배수공간(75)에 집중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배수용 하수관(53)을 연결하여 주고, 상기 배수용하수관(53)의 일측에는 내부에 요홈부(59)가 형성된 보조벽(60)을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보조벽(60)의 맨홀(51)측 방향으로 입구(70)를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출구(71)를 형성하며, 상기 요홈부(59)의 일측에는 수중모터(57)를 구비하고, 상기 수중모터(57)와 연결되는 회전축(58)에 회전 팬(56)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보조벽(60)에서 이송관(77)으로 맨홀(51)의 바닥 모서리(48)을 관통시켜 주고,
    상기 이송관(77)을 바닥 모서리(48)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분사구(73)가 천공된 공급관(71)에다 연결하여 주면서, 상기 공급관(71)의 외측 둘레에는 가이더(74)로 설치하여 주되;
    상기 가이더(74)에는 고정봉(84)과 보조고정봉(84')을 서로 격자형으로 고정시켜 구성시켜 주고,
    상기 공급관(71)에는 브러시(79')를 구비하면서 분출구(79)가 천공된 분기관(78)을 바닥구간(47)의 중앙부위로 돌출시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1020090090757A 2009-08-10 2009-09-23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20110016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4035 2009-08-10
KR1020090074035 2009-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63A true KR20110016363A (ko) 2011-02-17

Family

ID=4377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757A KR20110016363A (ko) 2009-08-10 2009-09-23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3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76B1 (ko) * 2012-04-26 2014-07-17 김성준 배수관에서 퇴적토 제거장치
CN113102012A (zh) * 2021-03-30 2021-07-13 庐江县建川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水泥预制件回收系统
CN114572431A (zh) * 2022-03-28 2022-06-03 广州亿家馨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给袋式自动包装装置
CN114602911A (zh) * 2022-05-16 2022-06-10 烟台竭诚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牛槽清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76B1 (ko) * 2012-04-26 2014-07-17 김성준 배수관에서 퇴적토 제거장치
CN113102012A (zh) * 2021-03-30 2021-07-13 庐江县建川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水泥预制件回收系统
CN113102012B (zh) * 2021-03-30 2024-03-08 庐江县建川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水泥预制件回收系统
CN114572431A (zh) * 2022-03-28 2022-06-03 广州亿家馨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给袋式自动包装装置
CN114602911A (zh) * 2022-05-16 2022-06-10 烟台竭诚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牛槽清洗装置
CN114602911B (zh) * 2022-05-16 2022-09-20 烟台竭诚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牛槽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659175B1 (ko)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20110016363A (ko)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100659176B1 (ko) 하수관로 퇴적물 유입방지용 단차맨홀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JP2008163622A (ja) 下水管の伏越し構造
US10704246B2 (en) In-ground stormwater collection and pretreatment filtration systems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KR100690372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0785912B1 (ko) 하수구의 악취유출 방지겸 이물질유입 방지장치
CN207295943U (zh) 一种道路排水系统
KR20040114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0803776B1 (ko) 맨홀에 연결되는 배수용 하수관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090106716A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CN205445672U (zh) 可提拉式隧道排水盲管拦污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