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716A -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 Google Patents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716A
KR20090106716A KR1020080032026A KR20080032026A KR20090106716A KR 20090106716 A KR20090106716 A KR 20090106716A KR 1020080032026 A KR1020080032026 A KR 1020080032026A KR 20080032026 A KR20080032026 A KR 20080032026A KR 20090106716 A KR20090106716 A KR 20090106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lange
base plate
tub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672B1 (ko
Inventor
황희연
이태구
김옥규
이정수
김인수
김용근
정용희
김영준
박선우
권흥순
한정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3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6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저류조의 내부에 우수가 어느 정도 찼는지 알 수 있게 되어 미리 저류조 내부의 물을 배출시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며, 사각의 판체(11) 상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돌출부(12)가 형성되고, 고정돌출부(12)의 외측으로 판체(11)에 다수개의 앵커볼트(13)가 고정되며, 판체(11) 상면 일측에 수량측정장치(20)가 고정되는 베이스판(10); 관체(22)에 내부의 중공부와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된 유공관(21)이 구비되고, 유공관(2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4)가 베이스판(10)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유공관(21)의 내부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측정바(25)가 설치되고, 측정바(25)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외측면에 눈금(26)이 형성되며, 측정바(25)의 하단에는 부력체(29)가 고정되고, 측정바(25)의 상단에는 경고체(32)가 고정되며, 측정바(25)의 상부는 투명의 보호원통관(3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원통관(34) 상단에 형성된 홀(38)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보호원통관(34)은 투명관체(35)의 하단에 고정플랜지(36)가 형성되어 일측 외측커버(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45)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보호원통관(34)의 상부 일부만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수량측정장치(20);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41) 두개가 양쪽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몸체(41)의 개방구단부(43)에 결합홈(44)이 형성되며, 몸체(4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42)가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몸체(41) 하단은 고정돌출부(1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 랜지(4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몸체(41)의 상면에 관통홀(45)이 형성되고, 타측 몸체(41)에 집수통(1)과 연결되는 유입관(2)이 내부와 통하도록 고정되는 외측커버(40); 단면이 ㄷ자 형상인 몸체(51)가 하부가 개방되게 위치되어 외측커버(40)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몸체(51)의 타측단은 다른 몸체(51)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외측커버(40)와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돌기(54)가 형성되어 고무패킹(55)이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커버(40)의 결합홈(44)에 고정되고, 몸체(51)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수직부에 가이드홈(53)이 형성되며, 몸체(5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52)가 단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플랜지(5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중간커버(50); 단면이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중간커버(50)가 닿았을 때 서로 맞닿는 가이드홈(53)에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연결바(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32026
저류조, 만수, 수량측정장치, 측정바, 거름통

Description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 A rainwater storage tank having a performance of warning against full tank }
본 발명은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저류조의 내부에 우수가 어느 정도 찼는지 알 수 있게 되어 미리 저류조 내부의 물을 배출시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 저류조는 공공건축물 5000m2 이상 다중 이용 건축물이나 16층 이상의 건축물인 경우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로서, 우기에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근래에는 서울시에서 우수를 저장하는 저류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같은 빗물 저류조는 우기에 집중호우가 발생되었을 때 빗물을 대량으로 저장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는 빗물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하천이 범람하거나 하수도가 역류되는 등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부족 국가인 우리에게 필요한 각종 생활용수나 기타 용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 도시의 대표적 문제 중의 하나로 과도한 토양포장으로 인한 토양생태계의 파괴를 들 수 있다. 토양생태계의 파괴는 도시의 열섬현상(heat island)을 심화시키고 우수의 침투를 차단해 도시홍수와 지하수 고갈현상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다시 토양생태계의 변화가 유발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가지게 된다. 생태적인 도시건축을 위해서는 도시 자체 내에 자족가능한(닫힌) 물순환체계의 형성이 필수적이며, 우수의 침투가 그 기본이 된다.
우수를 지하에 침투시키기 위한 공법은 크게 개방형과 매설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우수 침투공법은 유역면적의 크기와 주변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우수의 침투가 대부분의 도시공간에 유용한 방법이나 오염량이 많은 도로의 주변 등에는 일정한 여과 장치가 추가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저류조로의 투수시설은 미세한 침전물이나 낙엽 때문에 심각한 지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우수가 투수시설에 유입되기 전에 이런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강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빗물 저류조는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주입하여 특정 형상으로 성형한 후 지하에 설치하여 펌프로 내부의 물을 끌어올려 생활용수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저류조는 일단 설치되면 저류조가 우수에 의해 다 찼는지 알 수 없고, 저류조가 다 차게 되면 우수가 다시 역류하여 나오기 때문에 홍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저류조를 만들때 현장에서 거푸집을 따로 만들어야 하므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현장에 형성된 구덩이에 베이스판을 앵커로 설치하고, 베이스판에 외측커버와 중간커버를 서로 연결하여 빗물 저수를 위한 공간부를 구성하며, 빗물이 내부 공간에 차게 되면 외부에서 알게 하여 잉여수를 배출 할 수 있게 한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측커버와 중간커버 사이에 고무패킹을 구비하여 수밀이 되게 하고, 두개의 중간커버는 연결바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투수시설인 집수통에서 우수를 정수할 수 있는 구조를 두어 생활용수로 사용할 때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시키고, 펌프에 의하여 저수된 생활 용수로 사용하게 구성된 우수 저류조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 상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고정돌출부의 외측으로 판체에 다수개의 앵커볼트가 고정되며, 판체 상면 일측에 수량측정장치가 고정되는 베이스판; 관체에 내부의 중공부와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유공관 이 구비되고, 유공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베이스판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유공관의 내부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측정바가 설치되고, 측정바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외측면에 눈금이 형성되며, 측정바의 하단에는 부력체가 고정되고, 측정바의 상단에는 경고체가 고정되며, 측정바의 상부는 투명의 보호원통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원통관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보호원통관은 투명관체의 하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어 일측 외측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보호원통관의 상부 일부만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수량측정장치;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 두개가 양쪽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개방구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가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몸체 하단은 고정돌출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는 베이스판의 고정돌출부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몸체의 상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몸체에 집수통과 연결되는 유입관이 내부와 통하도록 고정되는 외측커버; 단면이 ㄷ자 형상인 몸체가 하부가 개방되게 위치되어 외측커버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몸체의 타측단은 다른 몸체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외측커버와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고무패킹이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커버의 결합홈에 고정되고, 몸체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수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가 단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플랜지는 베이스판의 고정돌출부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중간커버; 단면이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중간커버가 닿았을 때 서로 맞닿는 가이드홈에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연결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수통은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이 형 성되고, 걸림턱에 걸리도록 거름통이 설치되며, 거름통의 내측 하부에 자갈이 적층되고, 거름통 내측에 적층된 자갈 상부에 활성탄이 적층되며, 우수가 활성탄과 자갈을 통과하여 거름통 바닥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집수통으로 들어가게 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망 상단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거름통 상단에 형성된 걸림단 위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집수통의 개방구에 다수개의 홀이 있는 덮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설치하기 간편하고,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하면 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량측정장치에 의하여 내부에 우수가 얼마나 차 있는지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고, 수량이 가득 차면 펌프 등으로 배출하여 우수가 계속 들어갈 때 역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집수통에는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거름통과 망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큰 이물질과 미세한 독소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우수를 신뢰성 있는 중수도로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10)의 상면에 두개의 외측커버(40)와 두개의 중간커버(50)를 고정하여 저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수량측정장치(20)를 베이스판(10) 상면에 설치하되 측정바(25)가 상하이동할 수 있는 보호원통관(34)을 외측커버(40) 상면에 고정하며, 보호원통관(34)의 상측 일부가 지면 위로 노출되어 측정바(25)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관측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일측 외측커버(40)와 유입관(2)으로 연결되는 집수통에 자갈(6)과 활성탄(7)이 하부에 적층된 거름통(4)과 그 내부에 망(8)을 설치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시키고, 펌프에 의하여 저수된 우수를 생활 용수로 사용하게 구성된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판(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사각의 판체(11) 상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돌출부(12)가 형성되고, 고정돌출부(12)의 외측으로 판체(11)에 다수개의 앵커볼트(13)가 고정된다. 고정돌출부(12)는 판체(11)의 외측단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고정돌출부(12) 외측의 판체(11) 상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앵커볼트(13)가 지중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0) 판체(11)의 상면 일측에 수량측정장치(20)가 고정된다.
수량측정장치(20)는 유공관(21), 측정바(25), 부력체(29), 경고체(32), 보호원통관(34)으로 이루어진다.
유공관(21)은 중공의 원형 관체(22)에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되고, 관 체(22) 하단에 플랜지(24)가 형성되어 베이스판(10) 상면 일측에 고정볼트로 고정된다.
유공관(21)의 내부에 측정바(25)가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측정바(25)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표면에 눈금(26)이 형성된다.
측정바(25)의 하단에는 부력체(29)가 고정되고, 측정바(25)의 상단에는 경고체(32)가 고정된다. 측정바(25)의 상단에 볼트부(27)가 형성되고, 볼트부(27)와 맞물리는 볼트홀(미도시)이 하부에 형성된 경고체(32)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경고체(32)는 상단에 단턱(33)이 형성되어 후술할 보호원통관(34)의 홀(38)로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게 걸리게 된다. 그리고 경고체(32)의 몸체는 시인성이 좋은 보색으로 이루어진 스트라이프가 형성되어 멀리서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측정바(25)의 하단에는 고정봉(28)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봉(28)이 부력체(29)의 중앙에 형성되는 봉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1)가 하부에서 체결되어 부력체(29)가 고정된다.
이러한 측정바(25)는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측정바(25)의 내부를 비게 하여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측정바(25)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공관(21)과 보호원통관(34)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게 되는데, 아래에서부터 우수가 차게 되면 유공관(21)의 홀(23)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부력체(29)를 들어올리게 된다.
측정바(25)의 상부는 투명의 보호원통관(3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원통관(34) 상단에 형성된 홀(38)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보호원통관(34)은 투명관체(35)의 하단에 고정플랜지(36)가 형성되어 일측 외측커버(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45)과 연통되게 고정된다.
보호원통관(34)은 투명관체(35)의 상부 일부만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단(37)에 형성된 홀(38)을 통해 측정바(25)가 위로 올라와 눈금(26)을 상단(37)에 맞추어 읽게 된다.
베이스판(10) 위에 결합되어 저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커버(40)와 중간커버(50)중에서 외측커버(40)는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41) 두개가 양쪽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외측커버(40) 몸체(41)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구단부(43)에 결합홈(44)이 형성되고, 결합홈(44)은 개방구단부(43)의 중앙부분에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몸체(4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42)가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몸체(41) 하단은 고정돌출부(1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4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닿아 볼트로 고정된다.
외측커버(40)의 일측 몸체(41) 상면에 관통홀(45)이 형성되어 보호원통관(34)이 고정되고, 타측 몸체(41)에 집수통(1)과 연결되는 유입관(2)이 내부와 통하도록 고정된다.
중간커버(50)는 두개가 외측커버(40) 사이에 고정되어 내부에 저류를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인 몸체(51) 하부가 개방되게 위치되어 외측커버(40)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몸체(51)의 타측단은 다른 몸체(51)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외측커버(40)와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돌기(54)가 형성되어 고무패킹(55)이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커버(40)의 결합홈(44)에 고정된다. 고무패킹(55)은 일측에 홈부(56)가 형성되어 결합돌기(54)에 끼워지게 된다.
중간커버(50)는 몸체(51)의 반대쪽 단부에서 양쪽 수직부에 가이드홈(53)이 형성되고, 두개의 중간커버(50)가 맞닿을 때 가이드홈(53)도 맞닿게 된다.
중간커버(50)는 몸체(5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52)가 단부에 인접되게 형성되고, 플랜지(5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연결바(60)는 단면이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중간커버(50)가 닿았을 때 서로 맞닿는 가이드홈(53)에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넣어 고정시킨다.
집수통(1)은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1-1)이 형성되고, 걸림턱(1-1)에 걸리도록 거름통(4)이 설치된다. 거름통(4)의 상단에 걸림단(4-1)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1-1)에 놓여지게 된다.
거름통(4)의 내측 하부에 자갈(6)이 적층되고, 거름통(4) 내측에 적층된 자갈(6) 상부에 활성탄(7)이 적층된다. 거름통(4)으로 들어오는 우수는 활성탄(7)과 자갈(6)을 통과하여 거름통(4) 바닥면에 형성된 홀(5)을 통해 집수통(1)으로 들어가게 된다.
거름통(4)의 내부에 망(8)이 고정되는데, 망(8)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망(8) 상단에 걸림단(8-1)이 형성되어 거름통(4)의 걸림단(4-1) 위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집수통(1)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구에는 다수개의 홀이 있는 덮개(3)가 고정 되어 큰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수시에는 덮개(3)를 들고 내부의 거름통(4)과 망(8)을 들어올려 청소하면 간단하게 보수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의 측정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의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의 보호원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집수통 1-1 : 걸림턱
2 : 유입관 3 : 덮개
4 : 거름통 4-1 : 걸림단
5 : 홀 6 : 자갈
7 : 활성탄 8 : 망
8-1 : 걸림단 10 : 베이스판
11 : 판체 12 : 고정돌출부
13 : 앵커볼트 20 : 수량측정장치
21 : 유공관 22 : 관체
23 : 홀 24 : 플랜지
25 : 측정바 26 : 눈금
27 : 볼트부 28 : 고정봉
29 : 부력체 30 : 봉홀
31 : 고정볼트 32 : 경고체
33 : 단턱 40 : 외측커버
41 : 몸체 42 : 플랜지
43 : 개방구단부 44 : 결합홈
45 : 관통홀 50 : 중간커버
51 : 몸체 52 : 플랜지
53 : 가이드홈 54 : 결합돌기
55 : 고무패킹 56 : 홈부

Claims (2)

  1. 지중에 매설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시키고, 펌프에 의하여 저수된 생활 용수로 사용하게 구성된 우수 저류조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11) 상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돌출부(12)가 형성되고, 고정돌출부(12)의 외측으로 판체(11)에 다수개의 앵커볼트(13)가 고정되며, 판체(11) 상면 일측에 수량측정장치(20)가 고정되는 베이스판(10);
    관체(22)에 내부의 중공부와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된 유공관(21)이 구비되고, 유공관(2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4)가 베이스판(10)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유공관(21)의 내부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측정바(25)가 설치되고, 측정바(25)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외측면에 눈금(26)이 형성되며, 측정바(25)의 하단에는 부력체(29)가 고정되고, 측정바(25)의 상단에는 경고체(32)가 고정되며, 측정바(25)의 상부는 투명의 보호원통관(3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원통관(34) 상단에 형성된 홀(38)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보호원통관(34)은 투명관체(35)의 하단에 고정플랜지(36)가 형성되어 일측 외측커버(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45)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보호원통관(34)의 상부 일부만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수량측정장치(20);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41) 두개가 양쪽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몸체(41)의 개방구단부(43)에 결합홈(44)이 형성되며, 몸체(4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42)가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몸체(41) 하단은 고정돌출 부(1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4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일측 몸체(41)의 상면에 관통홀(45)이 형성되고, 타측 몸체(41)에 집수통(1)과 연결되는 유입관(2)이 내부와 통하도록 고정되는 외측커버(40);
    단면이 ㄷ자 형상인 몸체(51)가 하부가 개방되게 위치되어 외측커버(40)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몸체(51)의 타측단은 다른 몸체(51)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외측커버(40)와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돌기(54)가 형성되어 고무패킹(55)이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커버(40)의 결합홈(44)에 고정되고, 몸체(51)의 반대쪽 단부의 양쪽 수직부에 가이드홈(53)이 형성되며, 몸체(51)의 외측면 하부에 플랜지(52)가 단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플랜지(52)는 베이스판(10)의 고정돌출부(12)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중간커버(50);
    단면이 H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중간커버(50)가 닿았을 때 서로 맞닿는 가이드홈(53)에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연결바(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통(1)은 내측면 상부에 걸림턱(1-1)이 형성되고, 걸림턱(1-1)에 걸리도록 거름통(4)이 설치되며, 거름통(4)의 내측 하부에 자갈(6)이 적층되고, 거름통(4) 내측에 적층된 자갈(6) 상부에 활성탄(7)이 적층되며, 우수가 활성탄(7)과 자갈(6)을 통과하여 거름통(4) 바닥면에 형성된 홀(5)을 통해 집수통(1)으로 들어가게 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망(8) 상단에 걸림단(8-1)이 형성되어 거름통(4) 상단에 형성된 걸림단(4-1) 위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집수통(1)의 개방구에 다수개의 홀이 있는 덮개(3)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20080032026A 2008-04-07 2008-04-07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0994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26A KR100994672B1 (ko) 2008-04-07 2008-04-07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26A KR100994672B1 (ko) 2008-04-07 2008-04-07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716A true KR20090106716A (ko) 2009-10-12
KR100994672B1 KR100994672B1 (ko) 2010-11-16

Family

ID=4153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026A KR100994672B1 (ko) 2008-04-07 2008-04-07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091B1 (ko) * 2018-10-08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경보 장치
KR2022012234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18A (ko) 2017-02-21 2018-08-2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투수블럭 저류조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091B1 (ko) * 2018-10-08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경보 장치
KR2022012234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672B1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CN106284588A (zh) 一种可用于海绵城市的雨水处理与储存系统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105735461A (zh) 一种井及集水井
JP5117932B2 (ja) 地下貯溜浸透槽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1043661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0846029B1 (ko)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KR101030108B1 (ko)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CN205475662U (zh) 一种井及集水井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JP2014009490A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