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220B1 -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220B1
KR101668220B1 KR1020100101387A KR20100101387A KR101668220B1 KR 101668220 B1 KR101668220 B1 KR 101668220B1 KR 1020100101387 A KR1020100101387 A KR 1020100101387A KR 20100101387 A KR20100101387 A KR 20100101387A KR 101668220 B1 KR101668220 B1 KR 10166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vex portion
section
sides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930A (ko
Inventor
민승기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이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0010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2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지 및 도로공사 등에서 배수, 하수 및 오수용으로 사용하는 하수, 오수, 폐수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에서 하수물이 흐르는 내측구간의 바닥면에 퇴적되는 침전물에 대한 세척을 제공함으로서 흐름이 용이하도록 제공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맨홀(20)의 배수관(25)에서 연결되면서 내측 구간(가)으로 하수가 흐르는 파이프(30)와,
상기 파이프(30)의 내주면의 하측면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각각의 요홈부1,2(35)(36)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각각의 요홈부1,2(35)(36)에는 분출구(45)가 관통되는 공급관(46)과,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흡입관(49)을 결합시켜서, 상기 내측구간(가)에서 침전된 부유물과 같은 뻘 등을 부유함과 동시에 흘러가주는 흡입구(48)로 흡입 하여주도록 구비된 파이프(30)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45)가 관통되는 볼록부1(59)와,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볼록부2(59')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결합구(43)가 구비된 연결리브(35)를 돌출시켜 주고,
상기 볼록부1(52)와 볼록부2(54)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을 시켜 주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리브(35)에 결합구(43)을 관통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내측면(나)의 하측경사부(a)에 결합하여 주고,
상기 볼록부1(59)와 볼록부2(59')가 조립되는 파이프(30)의 내측면(나)과 연결리브(35)로 각각 분출구간(50')과 배출구간(57')으로 결합하여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바닥면(31)의 양측으로 양측벽면(32)을 돌출하여주되 상측면(34)으로 내측구간(가)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측면(34)에서 확대부(57)와 난간(58)을 돌출하여서 상측면(34)을 도로(60)로 형성하여 박스형 파이프(30')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박스형 파이프(30')의 일측벽면(32)에는 유입구(38)가 관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Figure 112015502810444-pat00019
파이프, 요홈부, 볼록부

Description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equipment of washing pipe laying}
본 발명은 토목, 도로, 주택지, 하수처리장공사 등에서 배수, 하수 및 오수용으로 사용하는 하수, 오수, 폐수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매설 또는 지표에 설치하여 배수 또는 하수용으로 사용하는 파이프는 대부분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부위를 조립하거나 융착 등의 적절한 구조로 서로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에서 흐르는 하수 물은 대부분 경사도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정도로 매설을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파이프를 흐르는 하수물에 대한 흐르는 유속은 매우 낮다고 정의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중 매설되는 파이프의 구간에서는 지역에 따라 저지대이거나, 이물질의 침전으로 인하여 흐르는 토사 또는 부유물 등이 걸려서 침전으로 인한 하수의 이동에 대항 장애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하수관인 경우에는 멘홀 등으로 외부와의 입출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세정작업은 단면이 원형이나 사각형인 박스의 경우에도 세정 작업은 쉬운 작업은 아니다.
고로, 상기 하수관이나 박스형 하수관에 대한 간단하면서 완벽한 세정 작업이 요구되는 현실이나 일반적으로 세정을 위하여서는 상기 상하수관의 일측을 개봉시켜서 인위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현실이다.
또한 단면이 원주형이거나 사각 등으로 형성되는 철재관, 합성수지재관, 합성수지제 나선관, 콘크리트 흄관(이하에서는 파이프로 칭한다) 등으로서 하수, 오수, 폐수관용으로 사용하는 파이프는, 지중 매설하여 장기간 사용하는데, 상기 파이프의 배수물에 섞여서 흐르는 부유물이나 침전물 또는 진흙 등이 파이프의 내측구간의 바닥면에 침전으로 쌓여지면서 퇴적됨으로서, 상기 내측구간인 배수공간을 막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맨홀을 통과하면서 하수관으로 제대로 배수가 되지못함으로서, 특히 저지대에서부터 침수되는 범람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의 바닥면인 하측부위에 침전된 오물 등을 세정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하수관의 일측을 절개하여 출입구를 설치하거나, 연결부위를 분리한 다음, 청소용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특히 오폐수관의 경우에는 흐르는 오수 등에 섞여있는 부패물의 침전으로 인한 물의 오염에 대한 환경에 대한 오염의 우려가 많은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 설치되어 있는 하수관용 파이프에서 세정을 위하는 급,배수파이프가 구비된 본원 발명등록 제0793905호, 690372호 등이 제공되었으나, 이는 상기 급,배수관의 몸체에 의하여 흐르는 오,폐수에서의 부유물에 대한 퇴적현상의 발 생으로 인하여 쌓이는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하며, 또한 지중매설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면서, 양측의 단부인 각각의 연결부위를 일체로 고정되도록 연결시켜 사용됨으로서, 상기 파이프가 장척으로 연결된 파이프의 중간위치는 외부와의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므로 이에 대한 세정작업은 실용성이 높은 것이다.
즉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상기 기재된 등록된 특허와 비교하여, 설치가 간단하면서 더 실용적인 일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용되는 파이프는 흐르는 물에 섞여서 흐르는 토사 및 쓰레기 등이 하수관의 중간에 침전하여서 상수의 흐름이 막힘이나 장기간 지나면서 부패 등으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으나, 이는 별도의 공급관의 급수로 부유를 함과 동시에 흡입관으로 배출을 하도록 제공을 하기 위함으로서, 특히 저지대나 만곡부위에 대한 세정역할을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공급관과 흡입관에 대한 효과적인 결합으로 흐르는 배수물에 대한 저항을 감소함으로서, 원활히 배수가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천수의 이동을 위한 송수관에서의 가라앉은 토사나 뻘 등의 부유물을 용이하게 흘러주도록, 별도의 급배수용 파이프를 결합으로 제공함으로서, 주위에 빗물의 범람을 예방하여 주기 위함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맨홀(20)의 배수관(25)에서 연결되면서 내측 구간(가)으로 하수가 흐르는 파이프(30)와,
상기 파이프(30)의 내주면의 하측면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각각의 요홈부1,2(35)(36)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각각의 요홈부1,2(35)(36)에는 분출구(45)가 관통되는 공급관(46)과,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흡입관(49)을 결합시켜서, 상기 내측구간(가)에서 침전된 부유물과 같은 뻘 등을 부유함과 동시에 흘러가주는 흡입구(48)로 흡입 하여주도록 구비된 파이프(30)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45)가 관통되는 볼록부1(59)와,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볼록부2(59')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결합구(43)가 구비된 연결리브(35)를 돌출시켜 주고,
상기 볼록부1(52)와 볼록부2(54)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을 시켜 주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리브(35)에 결합구(43)을 관통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내측면(나)의 하측경사부(a)에 결합하여 주고,
상기 볼록부1(59)와 볼록부2(59')가 조립되는 파이프(30)의 내측면(나)과 연결리브(35)로 각각 분출구간(50')과 배출구간(57')으로 결합하여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바닥면(31)의 양측으로 양측벽면(32)을 돌출하여주되 상측면(34)으로 내측구간(가)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측면(34)에서 확대부(57)와 난간(58)을 돌출하여서 상측면(34)을 도로(60)로 형성하여 박스형 파이프(30')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박스형 파이프(30')의 일측벽면(32)에는 유입구(38)가 관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지중 매설되면서 서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된 별도의 공급관과 흡입관을 구비함으로서, 세정용 고압수를 분출구로 분출시켜서, 침전으로 쌓여있는 퇴적물이 배수 빗물에 혼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흡입관으로부터 흡입으로 배출되는 세정장치로서, 종래와 같이 파이 프 내부로 구비된 세척장치의 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한 발명이며, 또한 세척수 또는 배수물에 의하여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경제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바닥부위에 결합되는 공급관과 흡입관의 구조에 대한 두께를 낮게 구비함으로서, 흐르는 하수물에 대한 저항의 감소로 부유물이 원활하게 흐름으로서, 침전의 요소를 감소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사애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에서 C-C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1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6,7은 도5에서 D-D선 및 E-E선 단면도이며, 도8은 도5에서 F-F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9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2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10,11은 도9에서 G-G선 및 H-H선 단면도이며, 도12는 도9에서 I-I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13은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3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14는 도13에서 J-J선 단면도이며, 도15,1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17은 도16은 K-K선 단면도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매설된 맨홀(20)의 하측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배수관(25)에 연결로 지중 매설된 상태에서 배수를 위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장소로 연결을 위하는 파이프(30)에서, 상기 맨홀(20)의 뚜껑(22)으로부터 폭우에 의한 빗물에 유입되는 부유물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30)의 바닥면(31)에 퇴적된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재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을 하면, 국지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배수가 차단이 되면서 맨홀(20)의 뚜껑(22)으로 역류가 되는 순간에 배수를 촉진시켜 주기 위하는 구간에서, 쌓여지는 침전물에 대한 원활한 이송을 촉진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상기 파이프(30)가 지중 매설된 구간 중에서, 주로 경사지도록 매설된 구간의 일부 중 저지대 구간이거나, 맨홀(20)이 연결되도록 배수관(25)으로 연결되는 구간에 쌓여있는 침전물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여 주어야 상기 맨홀(20)로부터 유입된 빗물에 대한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고로 상시 지중 매설되면서 배수구간을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30)의 후측에다 설치된 고압 및 흡입펌프(65)가 맨홀(20)에 설치된 쎈서와 이에 연결된 제어장치(29)에 의하여 가동이 제어되도록 연결되는, 상기 파이프(30)의 매설된 길이방향에 따라 결합된 공급관(46)과 배출관(57)의 가동으로 인하여, 파이프(30)의 바닥면(31)에 쌓여있는 부유물에 고압수의 분사에 의하여 혼류된 부유물을 흡입관(49)으로 신속히 배출됨으로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제공이 된다.
고로 본 발명의 목적인 상기 공급관(46)과 배출관(57)의 설치에 대한 두께의 돌출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되는 바닥면(31)에 각각의 요홈부1,2(35)(36)를 구비하여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설명되는 파이프(30)의 크기에 비교하여서 배출되는 빗물의 량에 대하여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분출구간(50)이 구비되는 공급관(46)과 배출구간(57)이 형성되는 흡입관(49)이 삽입되는 결합으로 고정이 되며, 상기 공급관(46)과 배출관(57)의 전체 구간에는 소정의 크기로 다수개의 분출구(45)와 흡입구(48)를 연속 반복적인 천공으로 관통시켜 준다.
또한 상기 공급관(46)과 배출관(57)을 각각의 요홈부1,2(35)(36)에 삽입한 다음, 결합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조임벤드(27)로 감싸주면서 파이프(30)의 벽체에 공지의 고정볼트 등으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맨홀(20)의 배수관(25)에서 연결되면서 내측 공간으로 하수가 흐르는 파이프(3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0)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파이프(30)의 내주면의 하측면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각각의 요홈부1,2(35)(36)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각각의 요홈부1,2(35)(36)에는 분출구(45)가 관통되는 공급관(46)과,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흡입관(49)을 결합시켜서, 상기 내측구간(가)에서 침전된 부유물과 같은 뻘 등이, 분출된 고압수에 의한 부유함과 동시에 흘러가서 흡입구(48)로 흡입됨으로서 세정을 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분출구(45)에서 뿜어준 세척수로 침전물을 세척을 하면서, 흐르는 하수에 섞여서 흡입구(48)로 흡입이 되면서 흡입관(49)의 배출구간(57)으로 유입으로 배출함으로서 세척을 제공하도록 설치하여 주고,
즉 상기 공급관(46)과 대접되도록 파이프(30)의 내측구간(가)인 바닥면(31)의 가장자리에서 파이프(30)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각각의 요홈부(35)(36)로 밀착 결합되는 각각의 공급관(46)과 흡입관(49)을 구비하여 주되되, 배수되는 구간에 따라 연속반복적인 연결로 결합되는 파이프(30)의 길이와 동일하게 결합하여 주면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양측 파이프(30)(30)의 끝단에 펌프(65)에 연결, 연통 설치하여 구성되는 발명이며, 여기서 폭우가 그치면서 배수하는 빗물의 량이 줄어 주면서 흘러주면, 상기 맨홀(20)에 구비된 제어장치(29)의 쎈서에 의하여 상기 펌프(65)의 가동이 멈추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따라서 국지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상기 파이프(30)에 쌓여있는 침전물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여 주어야 상기 맨홀(20)로부터 유입된 빗물에 대한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지중 매설되면서 배수구간을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30)의 일측에다 설치된 고압 및 흡입펌프(65)가 맨홀(20)에 설치된 쎈서와 이에 연결된 제어장치(29)에 의하여 가동이 제어되도록 연결되는 공급관(46)과 배출관(57)의 가동으로 인하여, 파이프(30)의 바닥면(31)에 쌓여있는 침전물에 고압된 세척수의 분사에 의하여 혼류된 부유물을 흡입관(49)으로 신속히 배출됨으로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제공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1]
상기 설명되는 파이프(30)의 내측구간(가)의 단면적을 확대함으로서, 흐르는 빗물 등에 부유된 부유물에 의한 퇴적이 가능한 쌓여주지 않도록 위하는 내측면(나)에서 각각의 공급관(46)과 흡입관(49)을 구비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고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주로 단면이 원주형인 합성수지제 나선관이나 철근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되는 파이프(30)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원 발명에서 내측구간(가)에서 양측의 하측경사부(a)에서 주로 결합으로 고정되는 각각의 공급관(46)과 배출관(49)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0)의 내측면(나)에서 하측경사부(a)에 조립을 하기 위하여, 단면이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구비되도록, 소정의 간격에 따른 다수개의 분출구(45)가 천공되면서 납작한 공급관(46)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공급관(46)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결합구(43)가 관통으로 천공되는 연결리브(35)를 형성으로 제공하면서, 상기 지중 매설된 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따라 설치하려는 저지대의 구간에 맞추어 준다.
또한 단면이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구비되도록, 소정의 간격에 따른 다수개의 흡입구(48)가 천공되면서 납작한 배출관(49)을 형성하여 주되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결합구(43)가 관통으로 천공되는 연결리브(35)를 형성시켜서 제공하며, 이는 상기 설명되는 공급관(46)의 길이에 맞추어 준다.
또한 상기 공급관(46)과 배출관(49)의 크기는 쌓여있는 부유물이 혼합된 빗물의 배출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공급관(46)의 배출용량 보다 더 많은 배출관(49)으로 균형을 유지하여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설명되는 맨홀(20)에 설치된 제어장치(29)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분출구(45)가 관통되는 공급관(46)으로 고압수를 공급으로서, 바닥면(31)에 쌓여있는 침전물에 분사됨으로서 혼합되는 부유물을, 별도로 결합으로 설치된 흡입구(48)가 형성된 흡입관(49)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수된 부유물이 혼합된 빗물이 배출구간(57)을 통과하면서 배출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공급관(46)과 배출관(49)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제공하여 주되,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리브(35)에서 소정의 간격에 따라 관통으로 천공된 결합구(43)로 하측경사부(a)의 내측면(나)에 결합시켜서 제공함으로서, 내측구간(가)에서 흐르는 빗물에 따라 흘러가는 침전물에 대한 퇴적의 걸림현상을 감소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내측면(나)와 결합구(43) 사이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고정핀이나 조임볼트 등으로 이용하여서 결합시켜줌이 바람직하다.
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설명되는 공급관(46)과 흡입관(49)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면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을 시켜 주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리브(35)의 결합구(43)로, 상기 파이프(30)의 내측면(나)의 하측경사부(a)에 길이방향에 따라 결합하여서, 이송구간(50)이 파이프(3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실시예2]
상기 설명되는 파이프(30)의 내측구간(가)의 단면적을 더 크게 확대함으로서, 흐르는 빗물 등에 부유된 부유물의 걸림에 의하는, 퇴적량의 생성이 소량으로 유지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며, 또한 상기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급관(46)과 흡입관(49)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9 내지 도12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분출구(45)가 관통되는 볼록부1(59)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결합구(43)가 구비된 연결리브(35)를 돌출시켜 주고,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볼록부2(59')의 양측방향으로 결합구(43)가 구비된 연결리브(35)를 돌출시켜 제공함으로서, 현장시공의 용이함에 대한 바람직한 발명이다.
즉 상기 볼록부1(52)와 볼록부2(54)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시켜 주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리브(35)에 결합구(43)을 관통시켜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파이프(30)의 내측면(나)의 하측경사부(a)에 길이방향에 따라 결합하여서, 상기 볼록부1(59)와 볼록부2(59')가 조립되는 파이프(30)의 내측면(나)과 연결리브(35)로 결합으로서, 각각의 분출구간(50')과 배출구간(57')이 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따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별도의 사용예에 대한 설명은, 지면에서 노출되도록 매설되면서 농업용수 등을 송수하도록 제공되는 단면이 ∪형의 배수관(55)의 매설 구간에서는, 간혹 지형의 구조상 만곡지형(다)으로 송수방향이 굽혀주는 지역에서는 특히 지나는 수류가 만곡된 구조에 의하여 부유물의 침전이나 수송의 흐름이 구조상 변화된 저항에 의하여 느리게 흐름으로서, 이에 따라 폭우 등에서는 역류에 의한 침수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제공하는 구조로서, 상기 설명되는 본원 발명의 세정장치에 구비되는 흡입관(49)의 배출구간(59)에 고압펌프에 의한 흡입력을 보강으로서 신속히 만곡구간(다)의 구간에서 빠른 흐름을 제공함으로서, 본원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제공하도록 첨부된 도13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단면이 ∪형의 배수관(55)에서 단면이 양측벽면(32)사이의 구간에 바닥면(31)으로 하측부에 연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단면이 ∪형의 배수관(55)의 구간에서 특히 만곡구간(다)에 대한 적용을 위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설명되는 단면이 ∪형의 배수관(55)의 바닥면(31)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공급관(46)과 흡입관(49)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배수관(55)의 내측구간(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양측벽면(32)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면(31)의 가장자리에서 배수관(55)의 길이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바닥면(31)으로 밀착 결합되는 각각의 공급관(46)과 흡입관(49)을 구비하여 주되되, 양측 단부를 연결로 송수하려는 구간까지 결합으로 연결되는 배수관(55)의 저지대구간에 매설된 구간인 즉, 침전구간의 길이와 동일하게 결합하여 주면서, 상기 양측 배수관(55)의 끝단에 펌프(65)에 연결, 연통 설치하여 구성되는 발명이며, 여기서 폭우가 그치면 상기 배수관(55)에 미도시로 구비된 제어장치의 쎈서에 의하여 상기 펌프(65)의 가동이 멈추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3]
또한 본원 발명에서 요부인 세정장치에 대한 사용상태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상기 설명되는 본원 발명의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로 구비된 박스형 배수관(30')이나 하천(5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비탈면(52)이나 하상(53)에 인접으로 매설되면서, 폭우 등으로 불어난 잉여의 하천수를 이동시켜 주는 수송관용으로 제공되는 박스형 파이프(30')에 대한 실시예를 위하는 설명은, 첨부된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30)의 길이구간을 내측구간(가)이 형성되도록 바닥면(31)의 길이구간의 양측으로 양측벽면(32)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주되 상측면(34)을 형성함으로서 내측구간(가)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측면(34)의 양측모서리 구간에서 외측방향으로 확대되는 확대부(57)와 난간(58)을 돌출하여 줌으로서, 상기 상측면(34)을 도로(60)로 형성하여 주되; 상기 박스형파이프(30')를 구비하는 일측의 벽면의 상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유입구(38)를 등 간격을 유지하여 주면서 관통으로 형성되는 박스형파이프(30')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도중에,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의 장마 등으로 인하여, 하천수에 부유되면서, 유입구(38)로 넘쳐 흘러 들어오는 하천수에 의하여 유입되는 부유물 등이, 바닥면(31)에 침전 등으로 쌓여지는 침전물 등을 효과적으로 세정과 동시에 부유함으로서, 상기 부유된 침전물을 흡입이나 흘러보내서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사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B-B선 단면도
도4는 도3에서 C-C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1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6,7은 도5에서 D-D선 및 E-E선 단면도
도8은 도5에서 F-F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2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10,11은 도9에서 G-G선 및 H-H선 단면도
도12는 도9에서 I-I선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의 일실시예3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14는 도13에서 J-J선 단면도
도15,1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17은 도16은 K-K선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맨홀 25. 배수관 30. 파이프 31. 바닥면 32. 양측벽면
33. 결합구 34. 상측면 35. 요홈부1 36. 요홈부2 38. 유입구
43. 결합구 45. 공급구 46. 공급관 48. 흡입구 49. 흡입관
50,50'. 분출구간 52. 비탈면 53. 하상 54. 하천 55. 배수로
57,57'. 배출구간 58. 난간 59,59'. 볼록부1,2 60. 도로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맨홀(20)의 배수관(25)에서 연결되면서 내측 구간(가)으로 하수가 흐르는 파이프(30)와,
    상기 파이프(30)의 내주면의 하측면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각각의 요홈부1,2(35)(36)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각각의 요홈부1,2(35)(36)에는 분출구(45)가 관통되는 공급관(46)과,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흡입관(49)을 결합시켜서, 상기 내측구간(가)에서 침전된 부유물과 같은 뻘 등을 부유함과 동시에 흘러가주는 흡입구(48)로 흡입하도록 구비된 파이프(30)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45)가 관통되는 볼록부1(59)와, 또한 흡입구(48)가 형성된 볼록부2(59')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결합구(43)가 구비된 연결리브(35)를 돌출시켜 주고,
    상기 볼록부1(59)과 볼록부2(59')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을 시켜 주되,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리브(35)에 결합구(43)을 관통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내측면(나)의 하측경사부(a)에 결합하여 주고,
    상기 볼록부1(59)과 볼록부2(59')가 조립되는 파이프(30)의 내측면(나)과 연결리브(35)로 각각 분출구간(50')과 배출구간(57')으로 결합하여 주고,
    상기 파이프(30)의 바닥면(31)의 양측으로 양측벽면(32)을 돌출하여주되 상측면(34)으로 내측구간(가)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상측면(34)에서 확대부(57)와 난간(58)을 돌출하여서 상측면(34)을 도로(60)로 형성하여 박스형 파이프(30')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박스형 파이프(30')의 일측벽면(32)에는 유입구(38)가 관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20100101387A 2010-10-18 2010-10-18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166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87A KR101668220B1 (ko) 2010-10-18 2010-10-18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87A KR101668220B1 (ko) 2010-10-18 2010-10-18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30A KR20120039930A (ko) 2012-04-26
KR101668220B1 true KR101668220B1 (ko) 2016-10-28

Family

ID=4614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387A KR101668220B1 (ko) 2010-10-18 2010-10-18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4758B2 (ja) * 2015-04-01 2019-06-05 富士電機株式会社 水モニ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367A (ja) * 2002-12-27 2004-07-29 Maezawa Ind Inc 沈殿物回収移送装置及び下水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76B1 (ko) * 2005-09-20 2008-02-15 민병이 맨홀에 연결되는 배수용 하수관
KR100793905B1 (ko) * 2006-06-20 2008-01-11 민병이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367A (ja) * 2002-12-27 2004-07-29 Maezawa Ind Inc 沈殿物回収移送装置及び下水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30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777B2 (en) Stormwater dispensing chamber
US6358330B1 (en) Truck tir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7943039B1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20110016363A (ko)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100793905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1301345B1 (ko)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0690372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CN207295943U (zh) 一种道路排水系统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20070033098A (ko) 세정 장치가 구비된 하수, 오수관
KR200218252Y1 (ko)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102639928B1 (ko)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CN214737364U (zh) 一种全隐式竖向桥面排水系统
CN209243861U (zh) 一种道路雨水处理系统
KR100730993B1 (ko) 하천에서의 초기유출수 취수시설
KR200310763Y1 (ko)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