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763Y1 - 수로관 - Google Patents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763Y1
KR200310763Y1 KR20-2003-0001857U KR20030001857U KR200310763Y1 KR 200310763 Y1 KR200310763 Y1 KR 200310763Y1 KR 20030001857 U KR20030001857 U KR 20030001857U KR 200310763 Y1 KR200310763 Y1 KR 200310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side wall
drain hole
surround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동
Original Assignee
정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동 filed Critical 정기동
Priority to KR20-2003-0001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바닥부재(10)와, 상기 바닥부재(1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측벽부재(20)로 구성되어, 이 측벽부재(20) 내측으로 수로(21)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20)에는 외부의 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구멍(22)이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22)에는 수로(21)를 통해 흐르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분리가 가능한 마개부재(30)가 장착되어 수로관(1)의 측벽부재(20)에 배수구멍(22)을 형성하여 이 수로관(1)이 설치된 주변토양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구멍(22)을 통하여 배출시켜 주변토양에 고인물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토양의 침하에 의한 수로관(1)의 침하 및 이탈, 그리고 수로관(1)의 동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멍(22)에 마개부재(30)가 결합되어 수로관(1)이 사용되는 중에 이 수로관(1)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배수구멍(22)을 통하여 외부로 누수되어 주변토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로관(1)이 매설된 주변토양에 고인 물을 배출하고, 주변토양에 물이 고여 발생되는 수로관(1)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파손되는 수로관(1)을 수리하기 위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수로관{Watercourse pipe}
본 고안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측벽부재에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을 수로관 내부로 유입시켜 배수하고, 수로관 내로 이동하는 물이 수로관 주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농업용수 또는 하수도 등과 같은 각종 수로를 만들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로관은 주로 사출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수로가 형성되는 길이 만큼 시공현장에서 다수의 수로관을 연결하여 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로관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측벽부재로 구성되어, 이 측벽부재 내측으로 수로가 형성되어 이 수로를 통해 물이 흘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로관은 통상적으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및 전, 후측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로관은 농경지대 또는 수도권등에서 포괄적으로 설치되어 우천시 낮은 지형으로 집수되는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용수로로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수로용 수도관은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바꾸어 홍수로 인한 물의 범람을 방지하면서 연약한 지반의 침수를 해결하고 고갈되는 지하수롤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로관은 주위에 고인물의 영향으로 주변지반이 침수되는 지하수에 의해 주변토양이 침하되어, 침하되는 주변토양에 의해 같이 침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겨울철에는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이 얼면서 수로관을 동파시켜 균열을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수로관을 유지보수하고, 교체하는 등의 보수공사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관의 측벽부재에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이 배수구멍에 마개부재를 장착하여 주변 토양에 포함된 물을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수로관으로 유입시켜 배수하고, 수로관을 통해 흐르는 물은 주변토양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인 수로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수로관 10 - 바닥부재
20 - 측벽부재 21 - 수로
22 - 배수구멍 30 - 마개부재
31 - 돌출부 32 - 나선형홈
40 - 실링부재 41 - 결합구멍
42 - 나사홈 50 - 연결부재
51 - 고정볼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바닥부재(10)와, 상기 바닥부재(1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측벽부재(20)로 구성되어, 이 측벽부재(20) 내측으로 수로(21)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20)에는 외부의 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구멍(22)이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22)에는 수로(21)를 통해 흐르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분리가 가능한 마개부재(30)가 장착되므로서 달성된다.
즉, 수로관(1)을 통해 물이 흐르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마개부재(30)를 분리하여 배수구멍(22)을 통해서 외부에 고인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하여 배출하고, 외부의 고인물의 배출이 완료될 경우 다시 마개부재(30)를 배수구멍(22)에 결합하여 수로(21)를 통하여 흐르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로관(1)이 설치되는 주변토양에 고인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게되어, 주변토양에 고인물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토양의 침하, 수로관(1)의 동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인 수로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수로관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실링부재가 결합되고, 이 실링부재에 마개부개가 결합되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시공되는 길이에 따라 다수개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배수구멍이 측벽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각각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로관(1)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바닥판의 양측에 측벽부재(20)가 수직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이 측벽부재(20) 내측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수로(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재(20)에는 소정크기의 배수구멍(22)이 뚫려 형성되며, 이 배수구멍(22)에는 내측에 나사홈(42)이 형성된 결합구멍(41)이 형성된 실링부재(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40)의 결합구멍(41)에는 마개부재(30)가 결합되어, 배수구멍(22)을 완전히 차단하며, 이 마개부재(30)에는 외측면에 상기 결합구멍(41)의 나사홈(42)에 대응되는 나선형홈(32)이 형성된 돌출부(31)가 구비되어 이 돌출부(31)가 상기 결합구멍(41)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즉, 측벽부재(20)의 배수구멍(22)에 실링부재(40)를 장착하여 이 실링부재(40)의 결합구멍(41)에 마개부재(30)를 결합시켜 배수구멍(22)을 차단하므로서, 상기 마개부재(30)가 직접 배수구멍(22)에 결합될 경우 이 배수구멍(22)과 마개부재(30)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40)의 결합구멍(41)에 마개부재(30)의 돌출부(31)가 나사결합되어 결합, 분리가 용이하고, 결합시 결합구멍(41)과 돌출부(31)사이가 완전히 체결되어 마개부재(30)와 실링부재(40)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로관(1)의 주변 토양에 고인물을 배출할 경우에는 상기 배수구멍(22)에 결합된 마개부재(30)를 분리하여 이 배수구멍(22)을 통해서 외부에 고인 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시켜, 이 수로(21)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되고, 수로관(1)을 사용할 경우에는 배수구멍(22)에 마개부재(30)가 결합되어 이 배수구멍(22)을 통하여 수로(21)를 통하여 흐르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40)는 합성고무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여 배수구멍(22)에 실링부재(40)의 외측이 밀착되고, 이 실링부재(40)의 결합구멍(41)과마개부재(30)를 완전히 밀착하여 실링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재(30)는 금속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나, 물이나 습기에 의해 부식되어 결합 및 분해가 불가능해지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가 우수한 합성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멍(22)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재(2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닥부재(10)에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부재(20)에 다수의 배수구멍(22)을 형성하여, 주변토양에 고인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수처리할 수 있으며, 바닥부재(10)에도 배수구멍(22)을 형성하여 수도관의 저면에 고이는 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시켜 배출할 수 있어, 수도관이 매설되는 주변토양에 고이는 물을 완전히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토양에 고인물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토양의 침하에 의한 수로관(1)의 침하 및 이탈, 그리고 수로관(1)의 동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인 수로관(1)은 주로 사출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수로(21)가 형성되는 길이 만큼 시공현장에서 다수의 수로관(1)을 연결하여 시공된다.
그리고, 수로관(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분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수단이 구비된 연결부재(50)가 장착되어, 연결되는 수로관(1)의 양단에 각각 고정볼트(51)를 체결하여 시공하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고, 이 외에도 수로관(1)을 연결시키는 다양한 고안이 제안된 바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수로관의 측벽부재에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이 수로관이 설치된 주변토양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구멍을 통하여 배출시켜 주변토양에 고인물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토양의 침하에 의한 수로관의 침하 및 이탈, 그리고 수로관의 동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멍에 마개부재가 결합되어 수로관이 사용되는 중에 이 수로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배수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누수되어 주변토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로관이 매설된 주변토양에 고인 물을 배출하고, 주변토양에 물이 고여 발생되는 수로관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파손되는 수로관을 수리하기 위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바닥부재(10)와, 상기 바닥부재(1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측벽부재(20)로 구성되어, 이 측벽부재(20) 내측으로 수로(21)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20)에는 외부의 물을 수로(21) 내부로 유입시키는 배수구멍(22)이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22)에는 수로(21)를 통해 흐르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분리가 가능한 마개부재(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22)에는 내측에 나사홈(42)이 형성된 결합구멍(41)이 형성된 실링부재(40)가 결합되고, 마개부재(30)에는 외측면에 상기 결합구멍(41)의 나사홈(42)에 대응되는 나선형홈(32)이 형성된 돌출부(31)가 구비되어 이 돌출부(31)가 상기 결합구멍(41)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3.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22)은 측벽부재(2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바닥부재(10)에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KR20-2003-0001857U 2003-01-21 2003-01-21 수로관 KR200310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57U KR200310763Y1 (ko) 2003-01-21 2003-01-21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57U KR200310763Y1 (ko) 2003-01-21 2003-01-21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763Y1 true KR200310763Y1 (ko) 2003-04-23

Family

ID=4933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57U KR200310763Y1 (ko) 2003-01-21 2003-01-21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027B1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CN108757027B (zh) 一种隧道内多功能排水系统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200310763Y1 (ko) 수로관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CN109914182A (zh) 一种公路排水系统及新型高速公路
KR200423906Y1 (ko) 노견 측구 겸용 완화곡선 난형 프리캐스트 배수구조물
KR100650930B1 (ko) 배수관클리너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0773116B1 (ko) 유자형 배수관을 이용한 교면배수시설
KR20060072720A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0450602B1 (ko)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KR2008000532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RU191709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орожной водопропускной трубы из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металла
KR100281757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누출방지를 위한 제방 우수배재부재 및그 시공방법
CN112922670B (zh) 一种可视可维护型公路隧道防淤堵排水系统
CN216838968U (zh) 一种桥面透水结构
KR200326338Y1 (ko) 옹벽 구조물 배수구조
KR100416320B1 (ko) 시공금구 겸용 필터가 내장된 수로관
KR200292730Y1 (ko) 도로의 산 비탈면 배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