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25U -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 Google Patents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25U
KR20080005325U KR2020070019748U KR20070019748U KR20080005325U KR 20080005325 U KR20080005325 U KR 20080005325U KR 2020070019748 U KR2020070019748 U KR 2020070019748U KR 20070019748 U KR20070019748 U KR 20070019748U KR 20080005325 U KR20080005325 U KR 200800053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channel
present
prefabricated concret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식
조청휘
정경진
임영진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주)삼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주)삼호기술공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9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325U/ko
Publication of KR20080005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25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수위를 고려하여 측벽에 배수공을 설치함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을 조절하며,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유지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대향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철근 노출 부가 형성된 양 측벽; 상기 양 측벽의 하단 철근 노출 부에 현장 타설되어 상기 양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 판; 및 상기 양 측벽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 내에 장착되어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는 지하수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작 장에서 작은 크기의 측벽들로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시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 인력에 의한 설치가 쉽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수로의 주위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의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고, 지반 침하를 방지하며, 지하수 배출에 따른 결빙을 방지하여 동파 파손을 막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A Pre-cast Concrete Waterway}
본 고안은 제작 장에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수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작은 크기로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조립설치가 가능하고, 양 측벽 상에는 지하수위를 고려하여 배수공을 설치함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을 조절하며,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유지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는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 등을 위하여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고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 통상적인 수로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내부에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로 형성된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로는 용수로로 사용되는 경우, 농경지대에 물을 공급하거나, 우천시 낮은 지형으로 집수되는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바꾸어 홍수로 인한 물의 범람을 방지하면서 연약한 지반의 침수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고갈되는 지하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이 개방된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제작 장에서 사전에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다음 현장으로 이동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수로(100)는 그 전단부에 내경이 확대된 오목 홈(110)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상기 오목 홈(110)으로 끼워지는 삽입 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수로(100)는 작업 현장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며, 후방 측에 위치한 수로(100)의 전단부 삽입 부(120) 측으로 전방 측에 위치한 수로의 후단부 삽입 부(130)가 끼워져서 차례차례 일렬로 조립됨으로써 하나의 긴 콘크리트 수로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수로는 제작 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다음, 현장에서 조립 설치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현장의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도 2는 이와 유사한 종래 수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로(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통로를 제공하는 대략 ∪자 형상의 몸통 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몸통 부(220)의 일측 끝단에는 몸통 부(220)의 끝단을 따라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돌출부(240)와, 이 돌출부(240)의 내면을 따라 몸통 부(220)의 내주 면에 대하여 단이 지게 형성된 단턱 부(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연결부(2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60)는 다른 수로(200)의 타측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단턱 부(250)의 내주면은 몸통 부(220)의 타측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수로는 순서대로 연결하여 도로변이나 농로 주변 등에 설치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수로(100)(200)들은 단위 수로의 규모가 커서 인력으로 운반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현장 설치시 파손되기 쉽다. 그리고 종래의 수로(100)(200)가 설치되는 지형은 그 하부에 많은 지하수가 상존(常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지하수로 인하여 수로가 부력의 영향을 받아서 이미 설치된 수로(100)(200)에 변형이 초래되어 관로가 파손된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수로(100)(200)는 설치된 지형 주위에 고인 물을 별도로 배수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지 못한 것이므로, 주위에 고인 지하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게 되므로, 지하수에 의해 주변 토양이 침하되면 이와 동시에 침하되는 토양에 매설된 수로가 침하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동절 기에는 수로의 주변에 고인 지하수가 얼어붙게 되어 수로가 동파됨으로써 수로의 부분적인 파손과 그에 따른 교체 등의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은 크기로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시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 인력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손쉬운 현장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다른 목적으로서 그 하부 측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의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고, 지하수에 의한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하수 결빙에 따른 동파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작 장에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수로에 있어서,
서로 대향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철근 노출 부가 형성된 양 측벽;
상기 양 측벽의 하단 철근 노출 부에 현장 타설되어 상기 양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 판; 및
상기 양 측벽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 내에 장착되어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고, 주변에 고인 지하수를 배수 처리할 수 있는 지하수 배출 수단;을 포함하여 주변 지하수에 의한 토양 및 지반 침하와 수로 파손을 방지하고, 동절기 결로에 의한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수로의 파손과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은 상기 측벽에 매립되는 지하수 유도관과, 상기 지하수 유도관의 내측에 끼워 장착되어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고, 그 반대로는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플랩을 구비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관은 그 일측에 필터가 형성되어 이물질에 의한 유도관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은 그 주위에 쇄석층이 형성되어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을 이루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 노출 부는 주 철근과 배력 철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작 장에서 작은 크기의 측벽들로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시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 인력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손쉬운 현장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측벽에 마련된 지하수 배출 수단을 통하여 수로의 주위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의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고, 지하수에 의한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하수 결빙에 따른 동파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외관 사시도, b)도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구조의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의 측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에 구비된 측벽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a)도는 평면도, b),c)도는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에 구비된 지하수 배출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가 지하수위가 높은 지형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가 지하수위가 낮은 지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10a,10b.... 측벽 15.... 철근 노출 부
30.... 바닥 판 35.... 배수공
40.... 지하수 배출 수단 43.... 지하수 유도관
45.... 차단 플랩 47.... 소켓
50.... 끼움 관 52.... 격판
55.... 필터 60.... 쇄석 층
70.... 기초 잡석 72.... 기초 콘크리트 층
100.... 종래의 수로 110.... 오목 홈
120.... 삽입 부 130.... 삽입 부
200.... 종래의 수로 220.... 몸통 부
240.... 돌출부 250.... 단턱 부
260.... 연결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장에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측벽(10a)(10b)들을 구비한다.
상기 측벽(10a)(10b)들은 각각 "L"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이고, 서로 대향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철근 노출 부(1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측벽(10a)(10b)들은 제작 장에서 작은 크기로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 인력에 의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손쉬운 현장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 노출 부(15)는 바람직하게는 주 철근과 배력 철근을 포함하여 배근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한 측벽(10a)(10b)들은 철근 노출 부(15)들끼리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룬 다음, 콘크리트 타설되어 바닥 판(30)을 이룬다.
즉 상기 바닥 판(30)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 측벽(10a)(10b)의 하단 철근 노출 부(15)를 이용하여 현장 콘크리트 타설되고, 상기 양 측벽(10a)(10b)의 하단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상기 양 측벽(10a)(10b)에 각각 배수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35) 내에 장착되어 측벽(10a)(10b)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는 지하수 배출 수단(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에서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주변 지하수에 의한 토양 및 지반 침하와 수로 파손을 방지하고, 동절기 결로에 의한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수로의 파손과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가 지반에 설치되는 경우, 이는 주변 지하수의 레벨에 의해서 부력을 받는다. 이와 같은 경우, 수로의 부력 영향 검토를 위해서 적용되는 부력 안전률(Fs)는 아래의 수식(1)로 표현된다.
부력 안전률(Fs) = ∑Ww / Fw ------> 식(1)
여기서, ∑Ww 는 수로 하중이고, Fw 는 수로 양 압력이다.
상기에서 수로 양 압력(Fw)은 수로의 바닥 폭에 비례하지만, 상기 수로 하중(∑Ww)은 상기 수로의 바닥 폭에 의해서 그 다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관 관계로 인하여, 만일 수로의 폭이 크게 된다는 것은 해당 수로가 주변 지하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서 더욱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구비된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이와 같이 주변에 지하수가 존재하는 경우, 배수공(35)을 통하여 주변 지하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폭이 큰 대형 수로에 더욱 적합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에 구비된 배수공(35)의 설치 위치와 수량은 설치 현장의 지하수 수위 레벨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식(1)과 같은 부력 영향 검토를 실시하여 배수공(35)의 설치 위치와 수량, 예를 들면 2개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0a)(10b)에 매립되는 지하수 유도관(43)과, 상기 지하수 유도관(43)의 내측에 끼워 장착되어 측벽(10a)(10b)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고, 그 반대로는 흐름을 막는 차단 플랩(45)을 구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소켓(47)을 통하여 상기 유도관(43)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끼움 관(50)과 상기 끼움 관(50)의 내측에 고정된 경사진 차단 플랩(45)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플랩(45)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다공성 구조의 격판(52)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 플랩(45)은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격판(52)의 상부 측에 볼트(52a)로 고정된 것이고, 상기 격판(52)의 후방 측, 즉 측벽(10a)(10b)의 외측으로부터 측벽(10a)(10b)의 내측 방향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면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52)을 열어서 지하수가 흐르도록 한다.
그렇지만 상기와 반대의 방향으로 측벽(10a)(10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차단 플랩(45)은 격판(52) 측으로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도관(43)의 일측에 필터(55)가 형성되어 이물질에 의한 유도관(43)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55)는 유도관(43)의 일측에 마련된 것으로서, 측벽(10a)(10b)의 외측으로부터 지하수의 유입과 동시에 이물질이 유도관(43)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관로를 막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의 주위에 쇄석 층(60)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관(43)의 내부로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수로의 주위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하여 측벽(10a)(10b)에 미치는 부력의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고, 지하수에 의한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 절기에는 지하수 결빙에 따른 동파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조립되어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수로로 조립된다.
즉 제작 장에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사전에 제작된 복수의 "L" 자형 측벽(10a)(10b)들을 기초 잡석(70)과 기초 콘크리트 층(72)의 상부에 서로 대향하여 올려놓은 다음, 각각의 측벽(10a)(10b)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철근 노출 부(15)를 현장에서 연결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상기 철근 노출 부(15)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판(30)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측벽(10a)(10b)의 양측으로는 토사를 이용하여 되메움을 실시하고, 상기 양 측벽(10a)(10b)의 배수공(35)에 위치된 지하수 배출 수단(40)의 주위에는 쇄석 층(60)을 형성하여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의 유도관(43) 내부로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을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현장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지하수의 수위가 수로 내의 물 수위보다 높을 경우, 주변 지하수는 지하수 배출 수단(40)을 통하여 측벽(10a)(10b)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지하수 흐름에 대한 설명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측벽(10a)(10b)의 외측 지하수는 필터(55)를 통과한 다음 격판(52)의 구멍을 통하여 차단 플랩(45)을 밀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측벽(10a)(10b) 외부의 지하수는 측벽(10a)(10b)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그 주변에 고인 지하수를 배출하여 지반 침하를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내의 물의 수위가 주변 지하수 수위보다 높을 경우, 수로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물 흐름은 차단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내측의 물이 외측으로 흐르려고 하지만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40)의 차단 플랩(45)은 격판(52) 측으로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수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로 내의 물이 주변의 지하수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원하는 곳으로 물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주변에 지하수가 존재하는 경우, 배수공(35)을 통하여 주변 지하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음으로써 지하수위에 의한 부력의 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고, 지하수에 의한 지반 침하를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현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하수 결빙에 따른 동파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1)는 폭이 큰 대형 수로에 적용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지하수 배출 수단은 수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지하수의 유입을 허용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지하수 흐름을 방지하는 일 방향 밸브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당업자들은 상기와 다른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하수 배출 수단의 위치와 장착 개수는 작업 현장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제작 장에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수로에 있어서,
    서로 대향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철근 노출 부가 형성된 양 측벽;
    상기 양 측벽의 하단 철근 노출 부에 현장 타설되어 상기 양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 판; 및
    상기 양 측벽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 내에 장착되어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고, 주변에 고인 지하수를 배수 처리할 수 있는 지하수 배출 수단;을 포함하여 주변 지하수에 의한 토양 및 지반 침하와 수로 파손을 방지하고, 동절기 결로에 의한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수로의 파손과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은 상기 측벽에 매립되는 지하수 유도관과, 상기 지하수 유도관의 내측에 끼워 장착되어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일 방향의 지하수 흐름을 허용하고, 그 반대로는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플랩을 구비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그 일측에 필터가 형성되어 이물질에 의한 유도관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배출 수단은 그 주위에 쇄석층이 형성되어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을 이루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노출 부는 주 철근과 배력 철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KR2020070019748U 2007-12-07 2007-12-07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KR200800053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48U KR20080005325U (ko) 2007-12-07 2007-12-07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48U KR20080005325U (ko) 2007-12-07 2007-12-07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352 Division 2007-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25U true KR20080005325U (ko) 2008-11-12

Family

ID=4132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748U KR20080005325U (ko) 2007-12-07 2007-12-07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3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78B1 (ko) * 2009-11-19 2011-02-25 박정규 프리캐스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수구조물
CN102535403A (zh) * 2012-01-08 2012-07-04 葛洲坝集团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渠道衬砌混凝土抗冻蚀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78B1 (ko) * 2009-11-19 2011-02-25 박정규 프리캐스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수구조물
CN102535403A (zh) * 2012-01-08 2012-07-04 葛洲坝集团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渠道衬砌混凝土抗冻蚀施工方法
CN102535403B (zh) * 2012-01-08 2014-06-11 葛洲坝集团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渠道衬砌混凝土抗冻蚀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273B2 (en) Water draining pipe and draining method thereof
KR2008000532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322622B1 (ko) 저류 공간이 확보된 측구시설
CN211498333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JPH05214760A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KR20130046242A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200413616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동파방지 매트 설치 구조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200310763Y1 (ko) 수로관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200297665Y1 (ko)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20070042131A (ko) 친환경 조립식 배수관
CN211113988U (zh) 一种预应力钢筋混凝土排水管
KR200335654Y1 (ko) 유공관
KR20100055778A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0416320B1 (ko) 시공금구 겸용 필터가 내장된 수로관
JP3125027U (ja) 貯留浸透槽及び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200190032Y1 (ko) 조립식 배수관
JP4084241B2 (ja) コンクリート用水路の壁保全構造
KR200403933Y1 (ko) 측구배수 구조를 이용한 부력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