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65Y1 -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 Google Patents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65Y1
KR200297665Y1 KR2020020021590U KR20020021590U KR200297665Y1 KR 200297665 Y1 KR200297665 Y1 KR 200297665Y1 KR 2020020021590 U KR2020020021590 U KR 2020020021590U KR 20020021590 U KR20020021590 U KR 20020021590U KR 200297665 Y1 KR200297665 Y1 KR 200297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om plate
hole
dra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영
Original Assignee
오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부영 filed Critical 오부영
Priority to KR2020020021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65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100,100')과, 상기 측벽(100,100')과 바닥판(200)에 관통시켜 형성한 배수공(300,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공(300)에 삽입하여 설치되며, 교체가능한 드레인필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Drain filter ditch}
본 고안은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농로 도로변의 용수용 수로관등에 역류방지용 필터를 수로관 측면 및 바닥부에 내장시켜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을 신속하게 수로관으로 유입시키며, 수로관내의 물을 수로관 주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시키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용수로는 농경지대 또는 수도권 등으로 포괄적으로 설치되어 우천시 낮은 지형으로 집수되는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바꾸어 홍수로 인한 물의 범람을 방지하면서 연약한 지반의 침수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고갈되는 지하수를 보호할 수 있는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용수용 수로관이다.
그러나,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을 신속하게 배수하지 않으며,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의 영향으로 즉, 주변지반에 침수되는 지하수에 의해 주변토양이 침하됨과 동시에 침하되는 토양에 매설된 수로관이 침하되거나, 이탈되며, 동절기에는 고인물이 얼어 수로관이 동파되어 교체등의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수로관 측면에 통공을 형성시켜 주위의 고인물을 제거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90032호는 관체의 전면 일측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유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의 가이더가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 양측면에 수로와 지반이 연통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관한 것이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85612호는 유입관의 외주연에는 수로관에 매몰되는 철근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이 철근에 삽입된 상태에서 철근에 걸려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회동방지편과, 상기 유입관의 양단에는 수로관을 제조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유입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물 유입관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4617호는 원형 및 다양한 형상의 배수필터와, 상기 배수필터의 외측에는 상, 하, 좌, 우 돌출되어 수로관의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되어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출편이 형성된 배수필터와, 배수필터는 외측과 내측의 2단으로 형성하여 수로관 측벽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수필터가 설치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을 배수하지 못하여 수로관의 배면에 고인물의 작용하여 제품의 손상과 하자발생요인이 야기되었으며, 고인물이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동절기에는 동파가 발생하여 매년 하자보수하는 어려움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1-6326호(2001.3.9),고안의 명칭; 드레인필터 수로관을 개량한 것으로서, 수로관의 측벽 및 바닥부 외측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중앙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공에 역류방지용 드레인필터를 내장하여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을 신속히 수로관내로 유입시키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수로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정면상세도
도5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또 다른 예
도6은 도5의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또다른 예
도8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수로관 시공 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수로관 바닥부 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유입관(1), 유동 유입관(2,2`), 망(3), 결합돌기(4), 결합부(5,5`), 돌출편 (6), 삽입형개폐차단망(10,30), 결합홈(11,31), 배수공(300,300'), 일자홈(13), 개폐막(14), 결합통공(15), 고정부(16), 고정돌기(17), 칸막이(18,32), 삽입부 (19,39), 스프링(33), 스프링고정부(34,34'), 유동차단막(35), 차단부(37,37'), 관통공(38), 보조통공(40), 지지대(41), 측벽(50), 바닥판(51), 수로통공(52),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 측벽(100,100'), 바닥판(200), 배수공(300,300'),드레인필터(400), 고정연결부(500), 전면하부연결요철(600), 후면하부연결요철 (700), 측벽홈(800), 바닥판홈(801), 측벽상부보강돌기(901), 고정부(A), 이동부 (B),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측벽(100,100')과, 상기 측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된 측벽상부보강돌기(901)와, 상기 측벽(100,100')의 외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물을 유도하는 "V"자형 측벽홈(800)과, 상기 측벽홈(800)의 "V"자형 최하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배수공(300)에 내장되어 수로관내의 물이 외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의 물이 수로관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드레인필터(400)와, 상기 바닥판(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의 하부에 배수공(300`)를 중심으로형성되어 바닥유도하는 "+"자형 바닥판홈(801)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 (100,10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또다른 수로관에 삽입되어 연결시키는 전면하부연결요철(600)와,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의 바닥판에 형성된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100,10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후면하부연결요철(700)과 상기 두 개의 수로관을 고무 및 지수제를 부착하고 볼트로 연결하여 물을 차단하는 고정연결부(500)로 구성된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드레인필터(400)는 유동 유입관(2)과 유입관(1)의 결합부(5`)와 결합부(5)를 형성하여 드레인 필터를 수로관 측벽(100)의 두께에 따라 필터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로관의 배수공(300,300')에 필터가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필터의 일측(주변지반에 접하는 측)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망(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물의 유입방향에 따라 배수공(300,300')을 개폐하는 삽입형개폐차단망(10,30)으로 구성된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수로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분해 및 조립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또 다른 예, 도6은 도5의 정면상세도, 도7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또다른 예, 도8은 본 고안의드레인 필터의 수로관 시공 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수로관 바닥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유입관(1), 유동유입관(2,2`), 망(3), 결합돌기(4), 결합부(5,5`), 돌출편(6), 삽입형개폐차단망(10,30), 결합홈(11,31), 배수공 (300,300'), 일자홈(13), 개폐막(14), 결합통공(15), 고정부(16), 고정돌기(17), 칸막이(18,32), 삽입부(19,39), 스프링(33), 스프링고정부(34,34'), 유동차단 막(35), 차단부(37,37'), 관통공(38), 보조통공(40), 지지대(41), 측벽(50), 바닥판(51), 수로통공(52),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 측벽(100,100'), 바닥판(200), 배수공(300,300'), 드레인필터(400), 고정연결부(500), 전면하부연결요철 (600), 후면하부연결요철(700), 측벽홈(800), 바닥판홈(801), 측벽상부보강돌기 (901), 고정부(A), 이동부(B)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은 본 고안의 수로관 사시도로서,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측벽(100,100')과, 상기 측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된 측벽상부보강돌기(901)와, 상기 측벽(100,100')의 외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물을 유도하는 "V"자형 측벽홈 (800)과, 상기 측벽홈(800)의 "V"자형 최하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배수공(300)에 내장되어 수로관내의 물이 외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의 물이 수로관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드레인필터(400)와, 상기 바닥판(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의 하부에 배수공(300`)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바닥유도하는 "+"자형 바닥판홈(801)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100,10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또다른 수로관에 삽입되어 연결시키는 전면하부연결요철(600)와,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의 바닥판에 형성된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100,10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 (600)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후면하부연결요철(700)과, 상기 두 개의 수로관을 볼트에 의해 연결하는 고정연결부(500)로 구성된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의 구조이고,
상기 드레인필터(400)는 본 고안은 도2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유동 유입관 (2,2`)과, 상기 유동유입관(2,2`)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유입관(2)이 삽입되어 결합된 유입관(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유입관(2)은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외측에 형성되어 드레인필터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돌출편(6)과, 상기 다수의 돌출편(6)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망(3)과, 후방 끝단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5)와, 전방 내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관(1)은 유동유입관(2)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유입관(2)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고, 관형상의 전방 내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에 삽입되는 삽입형개폐차단망(10, 30)이 후면에 형성된 유입관(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형개폐차단망(10)은 후방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부(19)와, 상기 삽입부(19)의 전방 끝단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11)과,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내측부에 형성된 칸막이(18)와, 상기 칸막이(18)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통공(15)과, 상기 칸막이(18)의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는 합성고무재질의 개폐막(14)과, 상기 개폐막(14)의 중앙 상단 일측에 형성된 일자홈(13)과, 상단부에 고정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18)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통공 (15)에 결합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된 구조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정면도로서, 상기 도2 및 도3과 같이 구성된 구조의 유동 유입관(2)과, 유입관(1)과, 삽입형개폐차단망(10)을 결합한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5는 본 고안 드레인필터(400)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도2 및 도3과 같은 구조로 유동유입관(2)이며, 유입관(1)에 삽입되는 삽입형개폐차단망(30)만 상이한 구조로, 상기 유입관(1)의 삽입형개폐차단망(30)은 고정부(A)와, 상기 고정부(A)에 결합되는 이동부(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는 후방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부(39)와, 상기 삽입부(39)의 전방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31)과, 전방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개폐벽(37)과,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내측부에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통공(31)과 중앙부에 관통공(38)이 형성된 칸막이(32)와, 상기 칸막이(32)에 형성된 관통공(38)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B)는 상기 고정부(A)의 칸막이(32)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상기 관통공(38)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4)에 스프링(33)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유동차단막(35)과, 상기 유동차단막(3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해 주는 스프링고정부(34')와, 상기 유동차단막(35)의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A)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개폐벽(37)에 삽입되는 동일한 구조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개폐벽(37')과, 상기 고정개폐벽(37')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A)에 형성된 칸막이(32)의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통공(31)과 결합되는 지지대(41)로 구성된 구조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또다른 예로서, 도2내지 도6에 도시된 드레인필터(400)와 동일하나 유동유입관(2`)의 구조가 상이한 드레인필터로서,
결합부(5`)가 형성된 유동 유입관(2)의 전방 내측에 결합부(5)가 형성된 유입관(1)의 후방 측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유동유입관(2`)는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망(3)과, 전방 끝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1)은 후방 끝단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5`)와, 전방 내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가 형성된 유입관(1)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형개폐차단망(10,30)으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도8은 본 고안의 드레인 필터의 수로관 결합도로서, 수로관의 배수공(300,300')에 결합된 드레인 필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수공은 중간부까지 일정한 내경을 유지하다가 중간부에서 부터 외측으로 갈수로 내경이 넓게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9는 본 고안의 수로관 바닥판의 저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 (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의 하부에 배수공 (300`)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바닥하부에 고인 물을 유도하는 가로 세로로 형성된 "+"자형 바닥판홈(801)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3의 합성고무재질의 드레인 필터는 개폐막(14)의 외측 상부에 일자홈(13)이 형성되어 있어, 망(4)을 통해 유입관(1)으로 물이 유입되게 되면 그 압력으로 상기 개폐막(14)이 오픈되어 배수통공(12)을 통해 수로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개폐막(14) 측으로 물이 배출되기 위해 유입되려 할 경우 상기 개폐막(14)이 물의 압력으로 닫히게 되어 배수통공(12)이 막히게 되어 외부로 수로관 내부의 물이 배출되지 못하며,
도5의 스프링형의 또 다른 드레인필터는 망(3)을 통해 유입관(1)으로 물이 유입되면 고정부(A)의 칸막이(32)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4)에 스프링(33)으로 결합된 유동차단막(35)은 내측이 압력을 받게 되어 스프링(33)이 이완됨으로써 물이 유입된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고정부(A)의 고정개폐벽(37)과 이동부(B)의 고정개폐벽(37') 사이에 배수통공(36)이 형성되어 물이 통과되는 반면, 반대로 상기 유동차단막(35) 측으로 물이 배출되기 위해 유입될 경우 상기 유동차단막(35)은 외측이 압력을 받아 스프링(33)이 수축됨으로써 내측으로 밀려나게되어 상기 고정부(A)의 고정개폐벽(37)과 이동부(B)의 고정개폐벽(37') 사이에 배수통공(36)이 닫히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시공 및 제작방법은 수로관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양에 맞도록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및 바닥판에 배수공(300,300`)을 설치하여 도2, 도5 및 도7의 유입관(1)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탈형하고, 상기 배수공(300,300`)에 도2, 도5 및 도7의 배수필터(400)의 삽입형개폐차단망(10,30) 및 유동유입관(2,2')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또다른 수로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연결방법은 수로관의 전면하부연결요철(600)에 또 다른 수로관의 후면하부연결요철(700)을 삽입시켜 연결하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의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에 실리콘을 삽입시켜 연결시 약간의 틈새가 벌어져도 물이 외부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에는 고무 및 지수제를 부착하여 물을 차단하는 고정연결부(500)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수로관 볼트로 연결시켜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로관 주위에 고인물의 영향에 의해 배면에 수압이 작용하여 제품이 전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동절기에도 고인물의 배수를 원할하게 하여 제품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의 손상과 하자발생요인을 제거하였고, 수로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면서 유입된 물을 신속하게 배수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에 있어서,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측벽(100,100')과, 상기 측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된 측벽상부보강돌기(901)와, 상기 측벽(100,100')의 외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물을 유도하는 "V"자형 측벽홈(800)과, 상기 측벽홈(800)의 "V"자형 최하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배수공(300)에 내장되어 수로관내의 물이 외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의 물이 수로관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드레인필터(400)와, 상기 바닥판(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공(300`)과, 상기 바닥판(200)의 하부에 배수공(300`)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바닥유도하는 "+"자형 바닥판홈(801)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100,10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또다른 수로관에 삽입되어 연결시키는 전면하부연결요철(600)와,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의 바닥판에 형성된 실리콘투입홈 및 지수제 부착홈(53)과, 상기 바닥판(200)과 측벽(100,10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부연결요철(600)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후면하부연결요철(700)와 상기 두 개의 수로관을 고무 및 지수제를 부착하고 볼트로 연결하여 물을 차단하는 고정연결부(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필터(400)는 수로관의 배수공(300,300')에 삽입된 유입관(1)과, 상기 유입관(1)의 후방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동유입관(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유입관(2)은 후방 끝단 외측으로 형성되어 드레인필터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돌출편(6)과, 상기 다수의 돌출편(6)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망(3)과, 후방 끝단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5)와, 전방 내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관(1)은 유동유입관(2,2')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유입관(2,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고, 관형상의 전방 내외측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에 삽입되는 삽입형개폐차단망(10,30)이 후면에 형성된 유입관(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개폐차단망(10)은 후방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부(19)와, 상기 삽입부(19)의 전방 끝단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11)과,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내측부에 형성된 칸막이(18)와, 상기 칸막이(18)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통공(15)과, 상기 칸막이(18)의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는 합성고무재질의 개폐막(14)과, 상기 개폐막(14)의 중앙 상단 일측에 형성된 일자홈(13)과, 상기 개폐막(14)의상단부에 고정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18)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통공(15)에 결합되는 고정부(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개폐차단망(30)은 고정부(A)와, 상기 고정부 (A)에 결합되는 이동부(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는 후방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부(39)와, 상기 삽입부(39)의 전방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31)과, 전방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개폐벽 (37)과,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내측부에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통공(31)과 중앙부에 관통공(38)이 형성된 칸막이(32)와, 상기 칸막이(32)에 형성된 관통공(38)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B)는 상기 고정부(A)의 칸막이(32)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상기 관통공(38)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4)에 스프링(33)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유동차단막(35)과, 상기 유동차단막(3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해 주는 스프링고정부(34')와, 상기 유동차단막(35)의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A)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개폐벽(37)에 삽입되는 동일한 구조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개폐벽(37')과, 상기 고정개폐벽(37')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A)에 형성된 칸막이(32)의 상단과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통공 (31)과 결합되는 지지대(41)로 구성된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2020020021590U 2002-07-19 2002-07-19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200297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90U KR200297665Y1 (ko) 2002-07-19 2002-07-19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90U KR200297665Y1 (ko) 2002-07-19 2002-07-19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65Y1 true KR200297665Y1 (ko) 2002-12-12

Family

ID=7312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90U KR200297665Y1 (ko) 2002-07-19 2002-07-19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KR101002281B1 (ko) 2008-03-28 2010-12-20 윤병정 수중축조물 보수용 물막이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KR101002281B1 (ko) 2008-03-28 2010-12-20 윤병정 수중축조물 보수용 물막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CN109024146B (zh) 高速公路边坡排水结构
KR100576323B1 (ko) 도로의 배수측구겸용 우수처리시설물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CN212956842U (zh) 高速公路隔离带的排水系统
KR100359464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0297665Y1 (ko) 용수전용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102184981B1 (ko) 노면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US10012338B2 (en)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CN114922277A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海绵型边沟结构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200234617Y1 (ko)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20020094938A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
KR100416320B1 (ko) 시공금구 겸용 필터가 내장된 수로관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CN220768314U (zh) 建筑路面排水结构
KR20070078848A (ko)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KR200268507Y1 (ko) 도로용 집수구
KR200311699Y1 (ko) 도로 옹벽 구조물의 배수처리용 수직 유공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