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252Y1 -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 Google Patents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252Y1
KR200218252Y1 KR2020000028382U KR20000028382U KR200218252Y1 KR 200218252 Y1 KR200218252 Y1 KR 200218252Y1 KR 2020000028382 U KR2020000028382 U KR 2020000028382U KR 20000028382 U KR20000028382 U KR 20000028382U KR 200218252 Y1 KR200218252 Y1 KR 200218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paration block
sewage separation
condu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8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25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통상의 합류식 차집관거 BOX에 있어, 계곡수나 지하수 등의 처리가 불필요한 물은 하수처리장으로의 유입을 배제시키고, 처리가 반드시 필요한 오수만을 차집시키기 위한 오수분리용 블럭을 설치함에 있어서, 그 구성을 크게 1차 오수분리용 블럭(2)과 2차 오수분리용 블럭(3), 고정용 리벳(4), 오수분리용 블럭 하부지지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오수관(7)은 합류식 차집관거 BOX 상부의 콘크리트 벽을 통해 합류식 BOX 관거(1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들 오수는 합류식 BOX 관거(10) 바닥을 통해 하류의 우수토실이나 하수처리장까지 유하되게 된다.
오수분리용 블록(1)이 설치된 합류식 차집관거 BOX내의 오수(8) 및 우수(9)는 오수분리용 블럭(1)에 의해 분리되어 흐르게 되며, 비가 많이 올 경우에는 차집관거 BOX내의 수위가 높아져 결국 오수(8)와 우수(9)가 혼합된 채 흐르게 된다. 따라서 오수분리용 블럭(1)의 크기는 기존 합류식 BOX 관거(10)의 통수단면적을 크게 줄이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치되어 진다.
오수분리용 블럭의 고정은 보울트너트나 고정핀, 오수분리용 블럭 하부 고정리벳(11) 등으로 고정되어 지는데, 설치는 기존 합류식 BOX 관거(10) 하부의 콘크리트에 홈을 낸 후 고정리벳(11)으로 조이게 되면 설치가 간단히 완료되게 된다.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은 1차 오수분리형 블럭(2)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오수 발생량에 따라 본 장치의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1차 오수분리형 블럭(2)과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에는 고정리벳삽입구(4a)가 형성되어 있어, 오수발생량이 많은 지역은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을 상부로 올린후 고정리벳삽입부(4a)에 고정용 리벳(4)을 삽입시킴으로서 간단히 현장조건에 맞게끔 시공이 가능하다.
오수분리형 블럭(1)은 철이나 콘크리트로 제작할 경우, 부식의 우려와 BOX 내로의 자재 운반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자재의 이동이 용이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는 PE재질로 제작·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록을 기존 합류식 BOX내에 설치할 경우 계곡수나 지하수 등의 처리가 불필요한 물은 모두 방류하천으로 배출되게끔 유도하여 하수처리장의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Block for sewage separation in combined sewer}
본 고안은 우수 및 오수를 함께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하시키는 시설인 합류식 차집관거 BOX의 오수분리용 블럭에 있어서, 통상의 경우 우오수 전량을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어 처리하는 비경제적인 측면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합류식 BOX 내의 오수만을 분리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하시키고, 나머지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시킴으로서 하수처리장의 처리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합류식 BOX의 오수분리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 분리용 블럭은 차집관거 시설중의 하나인 우수토실과 관련되어 있으며, 우수토실의 역할은 일정량의 오수만을 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나머지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한 시설로서,
환경부 제정 하수도시설기준상에서는 합류식관거에서 우수유출량의 전량을 하수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는 것은 관거 및 처리장시설의 증대를 초대하여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우수토실을 설치하여 오수로 취급하는 오수량(우천시 계획오수량) 이상의 우수는 바로 또는 관거에 의하여 하천, 해역 및 호수 등으로 방류하도록 하고 있다.
우수토실의 위치는 되도록 방류수역 부근에 설치하며 계획외수위 경우에도 충분히 방류될 수 있는 곳을 택하는 설치하며, 지형에 따라 방류관거를 압송관거로 하여 원거리에서 방류하는 경우도 있다.
방류수로 인하여 하천, 해역 및 호소 등이 오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천, 해역 및 호소의 흐름방향, 상수원, 수영장 및 어업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우수토실의 위치를 선정한다.
우수토실은 비교적 큰 구조물이므로 부지확보에 유의해야 하며 도로, 교대, 호안 및 지하매설물 등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소를 선정한다.
보슬비가 올때 또는 강우 초기시의 오수는 우수에 의해 그다지 희석이 되지 않으며, 또 강우 초기시의 우수는 도로면의 오물, 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 우수를 방류하면 방류수역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우수량이 상당히 커져 오수가 희석되면 이와같은 위험성은 적어지며, 또한 다량의 우수까지 처리장으로 도입하는 것은 처리장의 시설이 증가되므로 처리작업상에도 여러가지 장애를 일으켜 비경제적이 된다. 오수로서 취급하는 우수량은 일반적으로 시간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우수토실에서 월류량은 계획오수량에서 우천시 계획우수량을 뺀 양이 된다.
기존 우수토실내의 오수유출관거는 우천시 우수토실의 수위가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압력관거가 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오리피스(orifice)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평상시에도 합류식 BOX의 경우 지하수나 상류지역의 계곡수 등이 유입되고 있고, 이들 처리가 불필요한 물이 우수토실로 유입됨으로서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질이 낮아서 생분뇨 등을 투입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우수토실은 우천시 3Q까지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오수발생량의 3배까지 하수처리장에서 받고 있으며, 이에 처리가 불필요한 2Q에 해당하는 물을 하수처리장에서 받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우수토실에서는 순수한 발생오수량인 1Q 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발생되는 2Q 이상의 계곡수나 지하수 등은 하천으로 미처리 상태로 방류함으로서 하수처리장의 처리효율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목적이며,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통상의 합류식 오수관거 BOX내에 설치하여 발생 오수만을 차집시킬 수 있는 블록을 설치하여, 동시에 유지관리와 시공성이 양호한 오수분리용 블럭을 설치하고자 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분리용 블럭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합류식 관거 BOX 내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오수분리용 블럭의 설치를 형태를 변경한 사시도
도 3은 합류식 관거 BOX내 오수분리용 블럭이 설치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분리용 블럭이 합류식 관거 BOX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수 분리용 블럭
2 : 1차 오수 분리용 블럭
3 : 2차 오수 분리용 블럭
4 : 고정용 리벳
4a : 고정리벳 삽입구
5 : 하부 고정구
6 : 오수 분리용 블럭 하부 지지대
7 : 오수관
8 : 오수
9 : 우수
10 : 합류식 BOX 관거
11 : 오수 분리용 블럭 하부 고정리벳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통상의 합류식 차집관거 BOX에 있어, 계곡수나 지하수 등의 불필요한 물을 배제하고 처리가 필요한 오수만을 차집시키기 위한 오수분리용 블럭(1)을 설치함에 있어 그 구성을 크게 1차 오수분리용 블럭(2)와 2차 오수분리용 블럭(3), 고정용 리벳(4), 오수분리용 블럭 하부지지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자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수분리용 블럭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합류식 관거 BOX 내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오수분리용 블럭의 설치를 형태를 변경한 사시도, 도 3은 합류식 관거 BOX내 오수분리용 블럭이 설치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수분리용 블럭이 합류식 관거 BOX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1)이 합류식 BOX 관거내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오수분리용 블록(1)은 합류식 관거 BOX의 양측면에 설치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의 오수관(7)은 BOX 상부의 콘크리트 벽을 통해 합류식 BOX 관거(1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들 오수는 합류식 BOX 관거(10) 바닥을 통해 하류 우수토실이나 처리장까지 유하되게 된다.
평상시 합류식 BOX 관거(10) 내 오수(8) 및 우수(9)는 오수분리용 블럭(1)에 의해 분리되어 흐르게 되며, 비가 많이 올 경우에는 BOX내 수위가 높아져서 결국 오수(8)와 우수(9)가 혼합된 채 흘러 방류하천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오수분리용 블럭(1)의 규모는 기존 합류식 BOX 관거(10)의 통수단면적을 크게 줄이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치 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오수분리용 블럭의 고정은 보울트너트나 고정핀, 오수분리용 블럭 하부 고정리벳(11) 등으로 고정되어 지는데 우선 합류식 BOX 관거(10)의 하부 콘크리트에 홈을 낸 후 고정리벳(11)으로 조이게 되면 간단히 고정이 완료되게 된다.
도 1은 오수발생량이 적은 지역에 적용하는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이 1차 오수분리형 블럭(2)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 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 오수량에 따라 본 블록의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1차 오수분리형 블럭(2)와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에는 고정리벳삽입구(4a)가 형성되어 있고, 오수발생량이 많은 지역은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을 상부로 올린후 고정리벳삽입부(4a)에 고정용리벳(4)를 삽입시킴으로서 발생오수량에 맞게끔 현장설치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본 오수분리형 블럭(1)을 철이나 콘크리트로 제작할 경우, 부식과 BOX내로의 자재 운반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는 PE재질로 제작·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오수분리형 블럭(1)의 고정은 오수분리용 블럭 하부지지대(6) 상부에 하부고정구(5)를 다수 설치하여 여기에 고정리벳(11)을 삽입시킴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도 2는 오수관(7)에서 발생되는 오수량이 많을 경우 발생오수를 모두 차집할 수 있도록 2차 오수분리용 블럭(3)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증가된 오수량은 발생오수량 수위 만큼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을 상승시킨후 블럭내의 체결홈에 고정용리벳(4)을 끼워서 고정시키면 된다.
안쪽에 설치되는 2차 오수분리용 블럭(3)은 오수량 증가에 따른 블럭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바깥쪽 오수분리용 블럭과 안쪽 오수분리용블럭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제작하여야 한다.
오수처리용블록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이격된 틈은 본 장치의 재질이 PE 계통으로 탄성력을 갖는 부재이기 때문에 고정용리벳(4)을 완전히 조여줌으로서 충분한 밀착력을 갖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기존 합류식 BOX내에 오수분리용블럭을 설치할 경우 평상시에는 오수만을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줌으로서 유입 오수 수질을 높여 오수처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불어 유입수질의 상승으로 인해 생분뇨 등을 인위적으로 투입시키지 않음으로서 오수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생 오수량의 수위에 맞게 설치 형태를 손쉽게 변경함으로서 발생오수량 전부를 차집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용 차단블럭에 비해 유지관리비용과 설치비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처리장내로 유입되는 계곡수나 지하수 등의 불필요한 물을 배제하고 처리가 반드시 필요한 오수만을 차집시키기 위한 합류식 차집관거 BOX 내의 오수분리용 블럭(1)을 설치함에 있어; 오수분리용 블럭(1)의 고정은 오수분리용블럭 하부 고정리벳(11)으로 BOX내 하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어 지며; 발생 오수량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2차 오수분리형 블럭(2)과; 1, 2차 오수분리형 블럭(2)(3)에는 고정리벳삽입구(4a)가 형성되어 있어 오수발생량이 많은 지역은 2차 오수분리형 블럭(3)을 상부로 상승 시킨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도구로 고정리벳삽입부(4a)와 고정용리벳(4)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장치
KR2020000028382U 2000-10-11 2000-10-11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KR200218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82U KR200218252Y1 (ko) 2000-10-11 2000-10-11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82U KR200218252Y1 (ko) 2000-10-11 2000-10-11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252Y1 true KR200218252Y1 (ko) 2001-03-15

Family

ID=7308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82U KR200218252Y1 (ko) 2000-10-11 2000-10-11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2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293B1 (ko) * 2000-10-16 2003-09-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하천유수 조달장치 및 그 방법
KR101111957B1 (ko) * 2011-09-30 2012-02-13 (주)협신기업 인상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거의 우오수 분리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293B1 (ko) * 2000-10-16 2003-09-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하천유수 조달장치 및 그 방법
KR101111957B1 (ko) * 2011-09-30 2012-02-13 (주)협신기업 인상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거의 우오수 분리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549B2 (en) Storm water interceptor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JP4661460B2 (ja) 雨水流出制御システム及び雨水流出制御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20120100455A (ko) 도로의 우수받이
KR200218252Y1 (ko) 합류식 관거의 오수분리용 블럭
KR101147561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KR200218251Y1 (ko) 합류식 관거의 우오수분리용 블럭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102556064B1 (ko) 맨홀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추락 방지공법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JP3232449U (ja) 暗渠型側溝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256151Y1 (ko) 우수토실 유출조
KR200388373Y1 (ko) 트랜치 커버 높이 조절장치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KR200366531Y1 (ko) 도로용 보도블록
KR20020078270A (ko) 우수토실 유출조
CN211285642U (zh) 一种水工边坡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