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561B1 - 초기 우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561B1
KR101147561B1 KR1020120014410A KR20120014410A KR101147561B1 KR 101147561 B1 KR101147561 B1 KR 101147561B1 KR 1020120014410 A KR1020120014410 A KR 1020120014410A KR 20120014410 A KR20120014410 A KR 20120014410A KR 101147561 B1 KR101147561 B1 KR 10114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ipe
inflow
separation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2001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초기 우수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초기 우수를 유입하고 와류 작용에 의해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맨홀과 중앙연결관에 의해 침전맨홀과 연통되고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분리하여 유출하는 분리맨홀 가지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초기우수를 상기 침전맨홀로 유입하는 유입관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침전맨홀의 접선방향으로 유출되게 하는 유입수 경사 장치; 및 상기 침전맨홀의 하부와 상기 분리맨홀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슬러지 유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은 초기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맨홀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도 1은 비점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비점오염원을 대략적으로 도시한다.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유출되며, 초기 강우시 오염부하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며, 이에 따라 초기 우수를 처리하여 처리된 빗물만을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처리시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여과형, 스크린형 그리고 와류형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유입된 초기 우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맨홀 및 고형물이 제거된 초기 우수 중의 부유 물질을 침전시켜 방출하는 분리맨홀로 구성된다.
이러한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고형물과 부유물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고 초기 강우에 포함된 고형물 처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우수는 토사 외에도 다량의 협잡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최초 유입시 조대 고형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후속 공정에서 관 막힘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초 유입시 조대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와류형은 와류현상을 이용하는 바 침전맨홀 내에서 와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되어야만 비로소 조대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다.
한편, 침전맨홀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은 배출 펌프를 통해 침전맨홀 외부로 배출되고 분리맨홀에서 걸러진 부유물은 별도의 배출 장치를 통해 분리맨홀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고형물의 침전은 주로 침전맨홀에서 발생하지만 분리맨홀에서도 일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침전맨홀에 침전된 고형물과 더불어 분리맨홀에 침전된 고형물도 함께 배출시켜야 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분리맨홀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장치가 없거나 있더라도 침전맨홀에 설치된 배출 펌프와 동일한 것을 별도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바 분리맨홀에 설치되는 배출 펌프의 설치를 위한 비용 및 시설이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침전맨홀 내에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조대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유입관이 소정의 유입각(경사각)을 가지고 침전맨홀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 시공에 있어서 상당한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유입관을 침전맨홀에 대하여 소정의 유입각을 가지도록 결합시키는 작업은, 유입관의 길이 및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규모를 고려할 때, 매우 어렵고, 또한 지형적 문제 혹은 초기 우수 처리 장치 설치 공간의 문제로 인하여 필요한 유입각을 확보하는 데에도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처리 용량을 넘어서 유입되는 유량은 월류 장치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후단의 유출관으로 유입수를 유출하고 있어서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월류가 지속되는 동안에도 분리맨홀로부터 후단의 유출관으로 최대 처리 용량 이상의 유입수가 지속적으로 후단의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바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월류가 지속되는 동안은 실질적으로 비점오염물질 처리의 중점 처리 대상이 되는 초기 우수 상황을 넘어서 지속 유수 상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즉,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의해 우수를 처리할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계속 가동하여야 하는 비효율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전맨홀 내에서 효과적으로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맨홀 및 분리맨홀에 침전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와류를 형성함에 의해 고형물 처리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우수 상황을 넘어서 지속 우수 상황에서 분리맨홀로부터 후단의 유출관으로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우수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초기 우수를 유입하고 와류 작용에 의해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맨홀과 중앙연결관에 의해 침전맨홀과 연통되고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분리하여 유출하는 분리맨홀 가지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초기 우수를 상기 침전맨홀로 유입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유입수 경사 장치; 및
상기 침전맨홀의 하부와 상기 분리맨홀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슬러지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수 경사 장치는
상기 침전맨홀의 내부 및 초기 우수를 상기 침전맨홀로 유입하는 유입관의 단부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부와 상기 침전 맨홀의 내벽 사이를 마감하는 바닥판; 및
상기 경사판을 상기 침전맨홀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침전맨홀의 반지름의 2/3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침전맨홀의 접선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상기 유입관에 대하여 둔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러지 유출관의 상기 침전맨홀쪽 단부에는 상기 침전맨홀로부터 침전된 고형물이 배출될 때 열려지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상기 분리맨홀로부터 유입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관의 상기 분리맨홀쪽의 단부에 지속 우수 상황에서 상기 분리맨홀로부터 상기 유출관을 통하여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출관의 상기 분리맨홀쪽의 단부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T자형 관내에 삽입되어 상기 분리맨홀에서의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부표가 설치되며,
상기 부표에 연결되며 상기 부표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출관의 유입구를 개방 혹은 폐쇄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유입수 유입관의 유입각에 상관없이 유입수 경사 장치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유입된 우수가 침전맨홀의 접선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어서, 유입관 및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지리적 문제, 배치 공간의 문제를 해소한다.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침전맨홀과 분리 맨홀의 하부를 슬러지 배출관에 의해 연통시키고 침전맨홀측의 유출구에 체크 밸브(218b)를 설치함으로써 침전맨홀과 분리맨홀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슬러지 배출관 및 배출 펌프를 설치할 필요없이 침전맨홀 및 분리맨홀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한꺼번에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지속 우수 상황이 되면 역류방지밸브에 의해 분리맨홀로부터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속 우수 상황에서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부하가 저감되도록 한다.
도 1은 비점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비점오염원을 대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우수 유입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경사판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는 유입수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200)는 침전맨홀(202), 분리맨홀(204)을 포함한다. 침전맨홀(202)는 유입관(206)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그것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여 고형물이 바닥으로 침전되도록 하는 것이며, 분리맨홀(204)은 침전맨홀(202)로부터 중앙연결관(208, Coriolus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즉, 비침전성 물질을 배플 스크린(214, baffle screen)에 의해 분리하고, 부유물이 제거된 유입수를 유출관(220)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펌프맨홀(210)은 침전맨홀(202)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관(206)이 체결되는 위치에 유입수 경사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유입수 경사장치(300)는 유입관(206)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가 침전맨홀(202)의 내벽을 따라 돌게 하기 위하여 즉, 침전맨홀(202) 내에 자연적으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유입수 경사장치(300)은 침전맨홀(202)의 내부에 유입관(206)의 전면에 설치되며, 침전맨홀(202)의 내벽에 유입관(206)의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유입수 경사장치(300)는 유입관(206)이 침전맨홀(202)에 결합되기 이전 혹은 이후를 막론하고 간단히 침전맨홀(202)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유입관과 침전맨홀 사이의 유입각을 확보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유입수 경사 장치(300)에 의해 해결함으로써 간단한 시공만으로 필요한 유입각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우수 경사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우측의 그림은 유입관(206)과 침전 맨홀(202)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를 도시하고, 좌측의 그림은 침전 맨홀(202)의 내부에서 유입관(206)을 보았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관(206)의 중심축선은 침전맨홀(202)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다. 유입관(206)의 전면 즉, 침전맨홀(202)의 내부에서 우수 유입관(206)에 마주보는 위치에 유입수 경사장치(300)가 설치된다.
유입수 경사 장치(300)는 우측으로 배출구(310)가 형성된 경사판(302), 경사판(302)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유입수 유도판(304, 306)을 포함한다. 유입수 유도판(304)는 유입관(206)의 좌측 선단면을 연장하는 선상에 배치된다.
경사판(302)은 유입관(206)의 선단으로부터 d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d는 D/3이고, D는 침전맨홀(202)의 반경이다. 경사판(302)은 유입관(206)에 대하여 110도의 둔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앵커 볼트 등에 의해 침전맨홀(202)의 내벽에 걸쳐진다.
다시 말하면, 경사판(302)은 유입관(206)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며, 침전 맨홀(202)의 D*2/3의 반경을 가지는 원(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원)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6)의 중심축선을 연장하였을 때, 경사판(302)은 유입관(206)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둔각을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며, 침전 맨홀(202)의 내벽에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유입수 유도판(306)은 유입관(206)의 우측선단과 경사판(302) 사이에 설치되며, 경사판(302)으로부터 30도의 경사각을 갖는다.
침전맨홀(202)과 경사판(302) 및 유입수 유도판(304, 306)과의 사이를 앵커 볼트(미도시)와 실란트 등으로 시공하여 유입수 경사 장치(300)을 침전맨홀(202)에 고정시킨다.
바닥판(308)은 경사판(302)의 하부와 침전 맨홀(202)의 내벽 사이를 마감하여 유입관(206)을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경사판(302)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31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닥판(308)에 있어서, 침전맨홀(202)의 내벽과 유입수 유도판(304, 306)과의 사이 부분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이 구멍들은 유입수 경사 장치(300)의 상부가 개방되는 관계로 바닥판(308)으로 떨어지는 오물, 토사 등을 바닥판(308)의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유입관(206)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는 먼저 경사판(302)에 부딪쳐서 진행 방향이 꺽어지고 경사판(302)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31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경사판(302)의 작용에 의해 배출구(310)에서 배출되는 유입수는 침전 맨홀(202)의 내벽을 따라 흐르도록 배출된다.
여기서, 유입관(206)의 단부로부터 경사판(302)까지의 거리 d는 침전맨홀의 반지름의 1/3에 해당한다. 이 지점은 삼각형의 무게 중심점에 해당하는 위치로서 원심력이 극대화되는 위치이다. 경사판(302)에 부딪혀 방향이 전환된 유입수는 경사판(302)의 우측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310)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구(310)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는 침전맨홀(202)의 내벽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침전맨홀(202)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와류가 생성된다.
즉, 경사판(302)의 작용에 의해 침전맨홀(202)로 유입된 우수를 침전맨홀(202)의 접선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침전맨홀(202)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와류가 생성된다.
도 3에 있어서는 유입수 유입관(206)이 침전맨홀(202)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90도의 유입각을 갖는 것이 도시되지만 유입각이 변경되더라도 유입관(206)의 유입각에 상관없이 유입수 경사 장치(300)의 경사판(302)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유입된 우수가 침전맨홀(202)의 접선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입수 경사 장치(300)에 의해 유입관(206) 및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지리적 문제, 배치 공간의 문제가 해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설명부호 312는 침전맨홀(202)의 내벽면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경사판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구(310)는 하변이 우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배출구(310)는 침전 맨홀(202)의 벽면쪽으로 크게 열려지고 유입관(206)의 중심선 쪽으로 좁게 열려진 형태를 갖는다. 즉, 배출구(310)의 하변이 유입수가 배출되는 공간을 3각형으로 횡절하고 있는 형태이다. 또한, 배출구(310)의 개구 면적은 실질적으로 유입관(206)의 단면적과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310)을 이와 같이 형성하는 이유는 침전 맨홀(202)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배출구(310)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입수의 수위가 낮으므로 즉, 바닥판(308)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므로 자연히 배출구(310)의 하부 즉, 좁은 면적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침전맨홀(202)의 내벽으로 뿜어지는 유속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유속이 유지되게 한다.
유량이 많을 경우에는 배출구(310)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입수의 수위가 높으므로 즉, 바닥판(308)로부터의 높이가 높으므로 자연히 배출구(310)의 하부 및 상부 즉, 넓은 면적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310)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유입관(206)의 단면적과 동등하게 설계하면, 유입관(206)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배출구(310)를 통하여 무리 없이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화살표는 유입수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침전맨홀(202)의 좌측 상부에 유입관(206)이 연결되고, 침전맨홀(202)와 분리맨홀(204)는 중앙연결관(208)을 통하여 연통된다. 중앙연결관(208)은 Coriolus관 즉, 완만하게 구부러진 곡관의 형태이다.
중앙연결관(208)의 좌측 단부의 유입구(208a)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유입관(206)의 중앙선의 위치보다 낮고 유입관(206)의 관저고보다는 높아서 유입수가 와류를 형성한 후 중앙연결관(208)에 유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연결관(208)의 우측 단부의 유출구(208b)에 있어서는 부유물이 관을 막지 않도록 일정 길이만큼 관의 상부를 잘라내도록 한다.
중앙연결관(208)의 유출구(208b)에는 배플스크린(214)이 설치된다. 배플스크린(214)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맨홀(204)를 좌우로 분리하게 된다.
중앙연결관(208)의 유출구(208b)를 통하여 유출되는 유입수는 배플스크린(214)의 하부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은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침전맨홀(202) 및 분리맨홀(204)의 하부는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여 침전된 고형물이 중앙으로 모여지게 한다. 침전맨홀(202)의 하부 깔대기의 중심 위치에 제1슬러지 배출관(216)이 연결된다. 이 제1슬러지 배출관(216)은 펌프맨홀(210)로 연결된다.
한편, 침전맨홀(202)의 하부 및 분리맨홀(204)의 하부는 제2슬러지 배출관(218)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제2슬러지 배출관(218)의 좌측 단부 즉, 침전맨홀(202)쪽의 배출구(218a)에는 체크 밸브(218b)가 설치되고 제2슬러지 배출관(218)의 우측 단부 즉, 분리맨홀(204)쪽의 유입구(218c)는 분리맨홀(204)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 밸브(218b)는 제1슬러지 배출관(216)에 의해 부여되는 흡입력에 의해 열려지며, 체크 밸브(218b)가 열려지면 분리맨홀(204)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이 제2슬러지 배출관(218)을 통하여 침전맨홀(202)로 이송되고, 이송된 고형물은 다시 제1슬러지 배출관(216)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 장치는 침전맨홀(202)과 분리 맨홀(204)의 하부를 제2슬러지 배출관(218)에 의해 연통시키고 침전맨홀(202)측의 유출구(218a)에 체크 밸브(218b)를 설치함으로써 침전맨홀(202)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할 때 분리맨홀(204)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이 함께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침전맨홀(202)과 분리맨홀(204)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슬러지 배출관 및 배출 펌프를 설치할 필요없이 침전맨홀(202) 및 분리맨홀(204)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한꺼번에 배출시킬 수 있다.
분리맨홀(204)로 유입된 유입수는 역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유출관(220)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출된다. 유출관(220)은 단부가 T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T자형 부분에 부표식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400)가 설치된다.
역류 방지장치(400)는 역류방지밸브(402) 및 이에 연결된 부표(404)를 포함한다. 부표(404)는 분리맨홀(204)내의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지며, 역류방지밸브(402)는 부표(404)의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여진다. 부표(404)가 충분히 움직여질 수 있도록 유출관(220)의 단부를 T자형으로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있어서, 부표가 유입관(206)의 중앙선보다 상측으로 올라가면 역류방지밸브(402)가 유출관(220)의 유입구(220a)를 막게 되고, 이에 따라 분리맨홀(204)로부터 하천으로의 유입수 배출이 차단된다.
즉, 지속 우수 상황이 되면 역류방지밸브(402)에 의해 분리맨홀(204)로부터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점진적으로 차단함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조절함으로써 지속 우수 상황에서 초기 우수 처리 장치의 부하가 저감되도록 한다.
침전맨홀(202)과 분리맨홀(204)의 상부는 밀폐되어 있고 지속 우수 상황에서는 부표식 무동력 역류방지장치(400)에 의해 과잉유량이 침전맨홀(202)로 유입되는 것과 분리맨홀(204)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202...침전맨홀 204...분리맨홀
206...유입관 208...중앙연결관
210...펌프맨홀
214...배플스크린 216...제1슬러지배출관
218...제2슬러지배출관 220...유출관
300...유입수 경사 장치 400...역류방지장치

Claims (6)

  1. 초기 우수를 유입하고 와류 작용에 의해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맨홀과 중앙연결관에 의해 상기 침전맨홀과 연통되고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분리하여 유출하는 분리맨홀 가지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초기우수를 상기 침전맨홀로 유입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침전맨홀의 접선방향으로 유출되게 하는 유입수 경사 장치; 및
    상기 침전맨홀의 하부와 상기 분리맨홀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슬러지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경사 장치는
    상기 유입관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침전맨홀의 접선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관의 중심으로부터 비껴져서 상기 침전 맨홀의 내벽 측으로 배출구가 마련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부와 상기 침전 맨홀의 내벽 사이를 마감하는 바닥판; 및
    상기 경사판을 상기 침전맨홀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볼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침전맨홀의 반지름의 2/3에 해당하는 원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침전맨홀의 접선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상기 유입관에 대하여 둔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에 마련된 배출구는 하변이 하방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침전맨홀의 내벽쪽의 변이 상기 유입관쪽의 변보다 넓은 역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유출관의 상기 침전맨홀쪽 단부에는 상기 침전맨홀로부터 침전된 고형물이 배출될 때 열려지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맨홀로부터 유입수를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관의 상기 분리맨홀쪽의 단부에 지속 우수 상황에서 상기 분리맨홀로부터 상기 유출관을 통하여 유입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상기 분리맨홀쪽의 단부는 T자형으로 형성되고,
    T자형 관내에 삽입되어 상기 분리맨홀에서의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부표가 설치되며,
    상기 부표에 연결되며 상기 부표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출관의 유입구를 개방 혹은 폐쇄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20120014410A 2012-02-13 2012-02-13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ctive KR10114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10A KR101147561B1 (ko) 2012-02-13 2012-02-13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10A KR101147561B1 (ko) 2012-02-13 2012-02-13 초기 우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561B1 true KR101147561B1 (ko) 2012-05-21

Family

ID=4627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410A Active KR101147561B1 (ko) 2012-02-13 2012-02-13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38B1 (ko) 2011-12-19 2014-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변형 오리피스를 갖는 이수 및 치수 겸용 빗물 저장설비
KR101498579B1 (ko) * 2012-10-25 2015-03-04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KR101511219B1 (ko) 2014-10-28 2015-04-13 김성태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68A (ja) 1997-03-19 1998-09-29 Masamichi Kano 雨水分流装置、及び同装置を具備した排水再利用システム
JP2006028844A (ja) 2004-07-14 2006-02-02 Kcon Kk 路面排水処理槽
US7296692B2 (en) 2003-09-17 2007-11-20 Contech Stormwater Solutions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a fluid stream
US7314549B2 (en) 2006-04-14 2008-01-01 Storm Pal Inc. Storm water intercep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68A (ja) 1997-03-19 1998-09-29 Masamichi Kano 雨水分流装置、及び同装置を具備した排水再利用システム
US7296692B2 (en) 2003-09-17 2007-11-20 Contech Stormwater Solutions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a fluid stream
JP2006028844A (ja) 2004-07-14 2006-02-02 Kcon Kk 路面排水処理槽
US7314549B2 (en) 2006-04-14 2008-01-01 Storm Pal Inc. Storm water intercep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38B1 (ko) 2011-12-19 2014-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변형 오리피스를 갖는 이수 및 치수 겸용 빗물 저장설비
KR101498579B1 (ko) * 2012-10-25 2015-03-04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KR101511219B1 (ko) 2014-10-28 2015-04-13 김성태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101527466B1 (ko) * 2014-11-19 2015-06-15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비점오염저감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US7582216B2 (en) Water treatment and bypass system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47561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005589B1 (ko)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US10953412B2 (en) Hydrodynamic separator
KR100786511B1 (ko)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56138B1 (ko)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66226Y1 (ko)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JP3354126B2 (ja) 路面排水の縦型油水分離処理槽及び路面排水処理施設並びにそのプレキャスト組ブロック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2127152B1 (ko)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0561092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180006078A (ko)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634268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US7160440B2 (en) Storm water separator system
JP4112531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200218254Y1 (ko) 토사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