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579B1 -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579B1
KR101498579B1 KR1020120119203A KR20120119203A KR101498579B1 KR 101498579 B1 KR101498579 B1 KR 101498579B1 KR 1020120119203 A KR1020120119203 A KR 1020120119203A KR 20120119203 A KR20120119203 A KR 20120119203A KR 101498579 B1 KR101498579 B1 KR 10149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ir
main bodies
space por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28A (ko
Inventor
김남리
이완진
Original Assignee
(주)덕원이앤씨
김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원이앤씨, 김남리 filed Critical (주)덕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11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5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벽 설치를 이용한 오수관 이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격벽 설치를 이용한 오수관 이설 방법은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고, 오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본체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본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소정위치에 상기 오수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본체 내부에는 상기 내벽에 의해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관의 양단이 각각 관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The soil pipe connecting partition and installing method for partition}
본 발명은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의 이설시 오수의 유출 없이 오수관을 이설 할 수 있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수세식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흐르게 하는 관을 말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오수관의 일예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33297호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오수관은 시간이 흐름에 따른 노후 또는 파손에 의해 오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는데, 이렇게 유출되는 오수를 막기 위해 보수 또는 새로운 이음관으로 이설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오수관의 이설작업은 노후 또는 파손된 부위의 오수관을 절단하여 이설해야 하는데, 오수관에는 오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오수관의 절단시 내부에 흐르는 오수 때문에 이설작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설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오수관의 내부에 흐르던 오수가 그대로 토양에 유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이 새로운 관으로 이설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에 새로운 관을 이설할 때, 오수의 외부 유출을 막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고, 오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본체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본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소정위치에 상기 오수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본체 내부에는 상기 내벽에 의해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관의 양단이 각각 관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이 제공된다.
삭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오수관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본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공간부의 외측과 관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면은 상기 오수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수가 상기 연결관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본체를 오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한 쌍의 본체 내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해 내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한 쌍의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간부의 외측에 연결관의 양단을 각각 관통 연결하는 단계와,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 내부에 위치된 오수관을 절단하는 단계와, 제2 공간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은 노후 또는 파손되어 교체 이설해야 하는 오수관에 격벽을 설치하여 작업함으로써, 오수관 내부에 흐르는 오수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이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관의 이설 작업시 토양으로의 오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이 설치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에 오수관이 절단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 설치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이 설치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에 오수관이 절단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및 설치 방법은 본체(10), 연결관(20) 및 내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2)가 구비되는데, 덮개(12)는 맨홀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본체(10)는 오수관(40)이 본체(10)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등을 타설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본체(10) 내부 소정위치에는 오수관(40)과 수직방향으로 후술하는 내벽(30)이 형성된다.
연결관(20)은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40)을 대체하기 위해 본체(10)의 외측에 관통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관(20)의 일단은 한 쌍의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내벽(30)은 본체의 내부 소정위치에 오수관(4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벽(30)에 의해 한 쌍의 본체(10) 내부에는 제1 공간부(32)와 제2 공간부(34)가 형성된다.
이때, 내벽(30)에 의해 한 쌍의 본체(10)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공간부(32)의 외측에는 상술한 연결관(20)이 오수관(4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관(20)의 양단이 각각 관통 연결된다.
제1 공간부(32)의 하부면은 오수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40)으로 유입되기 전에 연결관(20)으로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연결관(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공간부(34)는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40)으로부터 오수 유입을 막기 위해 오수관(40)이 절단된 후 폐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관의 이설을 위한 격벽의 설치 방법은 본체 설치단계(S10), 내벽 형성단계(S20), 연결관 연결단계(S30), 오수관 절단단계(S40), 제2 공간부 폐쇄단계(S50)의 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설치단계(S10)에서는 노후 또는 파손에 의해 교체되어야 하는 오수관(40)의 부분 구간 양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본체(10)를 설치한다.
이때, 노후 또는 파손에 의해 교체되어야 하는 오수관(40)의 부분 구간 양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한 쌍의 본체(10)를 설치하기 때문에, 노후 또는 파손된 오수관(40)의 부분 구간에 해당하는 모든 구역의 땅을 파낼 필요가 없다.
내벽 형성단계(S20)에서는 한 쌍의 본체(10) 내부 소정위치에 오수관(40)과 수직방향으로 내벽(30)을 형성하여, 한 쌍의 본체(10) 내부를 제1 공간부(32)와 제2 공간부(34)로 나눈다.
연결관 연결단계(S30)에서는 한 쌍의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내벽(30)을 통해 구획된 제1 공간부(32)의 외측에 연결관(20)의 양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연결한다.
이때, 제1 공간부(32)의 하부면은 오수관(40)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수가 연결관(20)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관(20)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관(20)은 오수관(40)으로부터의 오수가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오수관(40)이 형성된 위치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수관 절단단계(S40)에서는 제1 공간부(32)에 위치한 오수관(40)을 먼저 절단하고, 제2 공간부(34)에 위치한 오수관(40)은 제1 공간부(32)에 위치한 오수관(40)의 절단 후에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간부 폐쇄단계(S50)에서는 오수관(40)으로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2 공간부(34)를 폐쇄한다.
이때, 제2 공간부(34)를 폐쇄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로 타설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나, 마개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오수관(40)을 폐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 용도에 따라 노후 또는 파손되어 교체 이설해야 하는 오수관에 격벽을 설치하여 작업함으로써, 오수관 내부에 흐르는 오수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이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관의 이설 작업시 토양으로의 오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본체 12:덮개
20:연결관 30:내벽
32:제1 공간부 34:제2 공간부
40:오수관
S10:본체 설치단계 S20:내벽 형성단계
S30:연결관 연결단계 S40:오수관 절단단계
S50:제2 공간부 폐쇄단계

Claims (5)

  1. 상부에 덮개가 구비되고, 오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본체;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본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소정위치에 상기 오수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본체 내부에는 상기 내벽에 의해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관의 양단이 각각 관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오수관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본체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공간부의 외측과 관통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면은 상기 오수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수가 상기 연결관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5. 한 쌍의 본체를 오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는 단계;
    한 쌍의 본체 내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해 내벽을 형성하는 단계;
    한 쌍의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제1 공간부의 외측에 연결관의 양단을 각각 관통 연결하는 단계;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 내부에 위치된 오수관을 절단하는 단계; 및
    제2 공간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수관 이설을 위한 격벽 설치 방법.
KR1020120119203A 2012-10-25 2012-10-25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KR10149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03A KR101498579B1 (ko) 2012-10-25 2012-10-25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03A KR101498579B1 (ko) 2012-10-25 2012-10-25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28A KR20140052728A (ko) 2014-05-07
KR101498579B1 true KR101498579B1 (ko) 2015-03-04

Family

ID=5088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03A KR101498579B1 (ko) 2012-10-25 2012-10-25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61A (ko) * 2002-06-26 2004-01-07 강대운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100781320B1 (ko) * 2007-06-01 2007-11-3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05877B1 (ko) * 2006-09-28 2008-02-22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1147561B1 (ko) * 2012-02-13 2012-05-21 이영수 초기 우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61A (ko) * 2002-06-26 2004-01-07 강대운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100805877B1 (ko) * 2006-09-28 2008-02-22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0781320B1 (ko) * 2007-06-01 2007-11-3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47561B1 (ko) * 2012-02-13 2012-05-21 이영수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28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725C2 (ru) Донный сток
EP2472015B1 (en) Drain with unidirectional drainage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719B1 (ko) 밸브실 환기구조
JP2002106051A (ja) 既設マンホール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桝
EP2402516A1 (en) A plumbing for discharging waste water
JP5089566B2 (ja) 排水ます
KR101498579B1 (ko)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US200600763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unoff of grease and similar effluents from restaurants and like facilites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826619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JP6588796B2 (ja) 排水配管構造、該排水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新規取付部材、及び排水配管方法
KR100810425B1 (ko) 측면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20090040746A (ko) 복층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2143144B1 (ko) 하수관거용 수로변경장치
JP2016191227A (ja) 雨水排水設備
KR101796825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JP2004244977A (ja) 管体の開口端面を閉塞する仮止め閉塞具
JP2017128851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排水溝ユニットの接続部材
KR101836935B1 (ko)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