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20B1 -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20B1
KR100781320B1 KR1020070054046A KR20070054046A KR100781320B1 KR 100781320 B1 KR100781320 B1 KR 100781320B1 KR 1020070054046 A KR1020070054046 A KR 1020070054046A KR 20070054046 A KR20070054046 A KR 20070054046A KR 100781320 B1 KR100781320 B1 KR 10078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house
drainage
man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0815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8132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5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시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여 공사완료시점에서 기존의 합류관으로 향하던 오수를 간단히 오수전용관으로 수로 변경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주민민원발생을 해소할 수 있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옥, 배수, 배수설비, 분류식, 하수도, 오수, 우수, 수로변경

Description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pparatus for installing a drainage construction equiped in a house and Method used by apparatus which are both for classified-sewerage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매설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의 실시 예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통한 우수ㆍ오수의 배수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종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에 따른 1차 공사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10은 종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에 따른 2차 공사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수전용관 2 - 합류관
3 - 하수처리장 4 - 연결관
5 - 집수수단 6 - 분뇨유입관
7 - 하수배수관 8 - 수로변경장치
9 - 분뇨연결관 10 - 하수연결관
50 - 오수받이 51 - 집수공간
52 - 우수겸용오수받이 53 - 보조오수받이
54 - 우수받이 55 - 차단막
80 - 하우징 81 - 회전작동부재
82 - 뚜껑부재 86 - 수로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시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여 공사완료시점에서 기존의 합류관으로 향하던 오수를 간단히 오수전용관으로 수로 변경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주민 민원발생을 해소할 수 있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는 2002년을 "하수관거 정비원년"으로 삼아 하수도정책의 최우선과제로 하수관거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즉, 2001~4년 동안 하수관거정비타당성조사를 전국적으로 수행하여 하수관거현황, 사업우선순위 및 사업의 타당성 등을 파악한 후 체계적으로 정비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또한, 시범사업으로 한강수계1단계 정비사업(9개 시군), 1차 BTL(건설-이전-임대) 17개 시군, 9개 댐상류 하수관거사업, 한강수계2단계, 2차 BTL 29개 시군 정비사업 외 지자체 별 정비사업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하수관거 정비사업은 목표연도 2020년까지 37조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 49,875㎞를 정비하는 공사로서, 주요 내용은 기존 합류식 하수도에 오수전용관 설치를 통한 분류식 하수도 전환 공사, 노후관 교체 및 가옥 내 배수설비설치(물받이, 배수관) 등을 시공하여 수역의 수질개선 및 주민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고자 하는 공사이다.
상기 합류식 하수도는 우수ㆍ오수가 합류관(우수ㆍ오수를 동시에 배수하는 관)으로 흘러 평상시에는 전량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나, 우천시에는 우수ㆍ오수의 일부만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고 대부분은 하천으로 방류되므로, 방류하천 오염심화 및 저농도 하수의 유입으로 하수처리장 운전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분류식 하수도는 오수전용관 설치로 평상시나 우천시에도 가옥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전량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기존의 합류관은 우수관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종래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은 동일공사지점에서 1차, 2차 분할시공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공사기간 내에는 기존 합류관을 존치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하류측 하수처리장에 간선관 및 지선관을 포함하고 있는 오수전용관의 연결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가옥 내에 분류식 하수관 공사를 위한 배수설비를 시공할 경우 가옥에서 발생한 오수가 오수받이를 통하여 간선관 및 지선관을 포함하고 있는 오수전용관으로 배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분류식 하수관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이 하류 지점부터 상류 쪽으로 단위 지점별로 간선관 공사, 지선관 공사,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가 이루어지고, 하류측부터 단계적으로 조기통수되는 구조라면 1차, 2차 분할 없이 시공 가능하지만 지역여건, 교통통제, 공사지연, 민원해결 및 각종 인허가 등의 문제점들이 있어 처리 구역 내 산발적(상, 하류 구분없이)으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1차, 2차로 분할하여 시공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2차 공사완료시까지는 기존 합류관을 사용하여야 하며, 더더욱 신설하수처리장(마을 하수처리장 포함) 공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하수관거 정비지역이라면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하수처리장 공사 완료시점에서 통수가 가능하므로 공사기간 내는 합류관을 사용하여 기존처럼 인근 하천으로 미처리 하수를 방류해야 하므로, 반드시 1차 공사완료 후 신설하수처리장을 완공하고, 지점별로 2차 공사완 료 후에 통수하여야 한다.
종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에 따른 1차 공사는 도 9에서 보인 것과 같이, 도로 및 골목길에 간선관과 지선관을 포함하는 오수전용관(100)을 기존의 합류관(200)에 근접하여 매설하고, 가옥 내 마당에는 연결관(300)과 오수받이(400)를 매설하여 상기 지선관에 연결하는 공사로써, 1차 공사의 시공기간은 약 공사 초기~60%공정 기간에 해당한다.
즉, 3년 공사를 기준으로 할 때 1년, 2년차 공사에 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 공사시에는 오수전용관(100), 연결관(300) 및 오수받이(400)를 동시에 시공하게 되며, 이때 상기 오수받이(400)는 입구를 폐쇄하여 지하수 및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종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에 따른 2차 공사는 도 10에서 보인 것과 같이, 정화조(500)에 연결된 분뇨유입관(600)을 차단한 후 가옥 내 마당에 신설된 오수받이(400)에 분뇨연결관(700)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기존 합류관(200)에 연결되어 있던 하수배수관(800)을 차단한 후 하수연결관(900)을 신설하여 상기 오수받이(400)에 연결하는 공사로써, 2차 공사의 시공기간은 공사가 약 60% 진행된 시점에서부터 공사 말기까지에 해당한다.
따라서, 분류식 하수관거 정비공사완료 후 우수는 기존의 합류관(200)을 통하여 배수되어 하천으로 배수되고, 가옥에서 배출되던 오수는 분뇨유입관(600), 분뇨열결관(700), 하수배수관(800), 하수연결관(900)을 통해 오수받이(400)로 배수되며, 이 오수받이(400)로 배수된 오수는 연결관(300)을 통해 지선관 및 간선관을 포 함하고 있는 오수전용관(100)으로 배수되어 최종적으로는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은 1차와 2차로 공사가 분할되어 있어 장기시공에 따른 여러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즉, 가옥과 가옥 앞 골목길 하수관거 공사지점을 공사 1년차에 건설장비 및 공사인원을 투입하여 오수전용관(100), 연결관(300) 및 오수받이(400) 신설을 위하여 포장깨기, 터파기, 오수전용관(100), 연결관(300) 및 오수받이(400) 매설, 되메우기, 다짐공사, 포장공사 등을 시행하고 철수 후 전체사업 구역 내 1차 공사가 완료되는 시점은 1~2년 후에 2차 공사를 시공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2차 공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가옥을 재방문하여 다시 건설장비 및 공사인원을 투입하여 분뇨연결관(700), 하수연결관(900) 설치를 위하여 1년 전에 시공하였던 부분을 포함하여 골목 일부와 가옥 내 마당 포장깨기, 터파기, 분뇨연결관(700) 및 하수연결관(900) 매설, 되메우기, 다짐공사, 포장공사를 시행함으로써, 동일 공사 지점에 대한 2중 분할 공사가 시공돼야 하고, 이로 인해 공사비의 과다소요, 공사기간의 연장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가옥주와 인근 주민들은 2중 공사에 따른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공사비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주민민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을 1차, 2차로 분할시공하지 않고, 전체 공사를 공사지점에서 일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합류관으로 향하던 오수를 쉽고 간편하게 오수전용관으로 변경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이용하여 가옥 내 마당에 고이는 우수를 기존의 합류관에 배수하여 우수의 효과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시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여 공사 시점에서는 기존의 합류관으로 우수ㆍ오수가 배수되도록 하고, 공사완료 후에는 오수전용관으로 수로를 변경하여 우수는 합류관으로 배수하고, 오수는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하여 1차, 2차 분할 없이 한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에 매설되는 간선관 및 골목길에 매설되는 지선관을 포함하는 오수전용관과;
상기 오수전용관에 일단이 접속되어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되는 집수수단과;
가옥에 연결되어 분뇨를 배수하는 분뇨유입관 및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배수관에 각각 설치되어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의 배수방향을 변경하는 수로변경장치와;
각각의 수로변경장치를 집수수단을 연결하는 분뇨연결관 및 하수연결관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공방법은 도로에 간선관을 매설하고, 골목길에 지선관을 매설하여 오수전용관을 신설하는 초기매설단계와;
상기 지선관에 연결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는 오수받이를 연결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는 중간매설단계와;
가옥에 연결된 분뇨유입관과 하수배수관에 각각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는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와;
이 수로변경장치에 분뇨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분뇨연결관을 오수받이에 연결하는 분뇨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에 하수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하수연결관을 오수받이에 연결하는 하수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를 변경하는 수로변경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시공방법은 도로에 간선관을 매설하고, 골목길에 지선관을 매설하여 오수전용관을 신설하는 초기매설단계와;
상기 지선관에 연결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는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연결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는 중간매설단계와;
이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가옥에 연결된 하수배수관 내지 분뇨유입관에 연결하는 하수배수관연결단계와;
상기 하수배수관과 분뇨유입관에 각각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는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와;
이 수로변경장치에 분뇨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분뇨연결관을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에 연결하는 분뇨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에 하수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하수연결관을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에 연결하는 하수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를 변경하는 수로변경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개략도로 보인 것으로, 가옥의 오수를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설비의 매설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를 변경할 수 있는 수로변경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이고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장치의 작동상태를 평면도로 보인 것으로,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작동부재의 동작을 통해 합류관으로 배수되던 오수를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토록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매설상태를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가옥 내 마당에 오수받이가 매설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도로 보인 것으로,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이용하여 가옥의 오수를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하고, 기존 합류관에 오수를 배수하는 용도로 사용되던 하수배수관 또는 분뇨유출관을 우수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의 매설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의 실시 예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오수를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하는 오수받이의 상부에 차단막을 통하여 우수받이가 형성되어 오수를 배수하는 각각의 관들에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통한 우수ㆍ오수의 배수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오수받이를 통하여 오수가 배수되고, 우수받이를 통하여 가옥 내 마당에 고이는 우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매설단계에서는 도로에 간선관을 매설하고, 골목길에는 지선관을 매설하여 오수전용관(1)을 기존 합류관(2)에 근접하여 신설하게 된다.
상기 오수전용관(1)을 구성하는 간선관의 지름은 골목길에 매설되어 있는 각각의 지선관으로 배수되는 오수를 통합하여 하수처리장(3)에 공급하는 관계로 상기 지선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선관에는 중간매설단계를 시공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되는 연결관(4)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4)의 다른 일단에는 집수수단(5)을 연결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수단(5)의 실시 예는 가옥에 연결된 분뇨유입관(6)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배수관(7)에서 배수되는 하수를 통합하여 집수한 후 연결관(4)을 이용하여 오수전용관(1)인 지선관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오수받이(50)가 사용된다.
이 오수받이(50)는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를 통합하여 집수하는 집수공간(51)이 내부에 형성된 상태로 이 생분뇨와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입자가 대기 중으로 배기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로 제공된다.
즉, 이와 같은 오수받이(50)가 연결관(4)에 연결된 상태로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됨으로써, 후술될 수로변경장치(8)를 이용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86)를 변경하게 되면,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는 오수받이(50)에 통합되어 집수된 후 연결관(4)을 통해 오수전용관(1)으로 배수되어 최종적으로는 하수처리장(3)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에서는 가옥에 연결되어 생분뇨를 정화조(6a)에 공급하는 분뇨유입관(6)에 수로변경장치(8)를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수로변경장치(8)는 가옥에 연결되어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배수관(7)에도 설치하게 된다.
이 수로변경장치(8)는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차단밸브 또는 차단판형태를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하우징(80), 회전작동부재(81), 뚜껑부재(82)를 포함하여 제공하게 되며,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80)은 가옥에서 배수되는 오수를 공급받는 유입구멍(83)이 둘레 일부분에 형성되고, 이 유입구멍(83)을 통해 공급된 오수를 합류관(2)에 배수하는 제1배수구멍(84)이 둘레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되며, 둘레의 또 다른 일부분에는 상기 유입구멍(83)을 통해 공급된 오수를 오수전용관(1)에 배수하는 제2배수구멍(85)이 형성된다.
또한, 이 하우징(8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작동부재(81)는 수로(86)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어 이 수로(86)를 이용하여 하우징(80)에 형성된 유입구멍(83)과 제1배수구멍(84)을 연결하여 오수를 합류관(2)에 배수토록 하고, 회전시에는 수로(86)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수구멍(84)을 차단한 상태로 유입구멍(83)과 제2배수구멍(85)을 연결하여 오수를 오수전용관(1)에 배수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작동부재(81)가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80)의 상부는 뚜껑부재(82)를 이용하여 덮게 됨으로써, 오수의 배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입자가 가옥 내 마당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로변경장치(8)가 가옥에 연결된 분뇨유입관(6)과 하수배수관(7)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의 완료 전에는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가옥의 생분뇨는 유입구멍(83)과 제1배수구멍(84)을 연결하는 수로(86)를 따라 정화조(6a)로 배수되고, 하수는 유입구멍(83)과 제1 배수구멍(84)을 연결하는 수로(86)를 따라 기존의 합류관(2)으로 배수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의 완료시에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회전작동부재(81)의 회전을 통해 수로(86)를 변경하여 가옥의 생분뇨와 하수가 유입구멍(83)과 제2배수구멍(85)을 연결하는 수로(86)를 따라 오수전용관(1)으로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뇨관연결단계에서는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가옥 내 마당에 분뇨연결관(9)을 신설하여 상기 분뇨연결관(9)의 일단은 수로변경장치(8)에 연결하고, 이 분뇨연결관(9)의 다른 일단은 오수받이(50)에 연결하는 공사를 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연결단계에서는 가옥 내 마당에 하수연결관(10)을 신설하여 상기 하수연결관(10)의 일단은 수로변경장치(8)에 연결하고, 이 하수연결관(10)의 다른 일단은 오수받이(50)에 연결하는 공사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분뇨관연결단계와 하수관연결단계에서 시공되는 분뇨연결관(9)과 하수연결관(10)은 수로변경장치(8)를 통한 수로(86)의 변경시 가옥의 생분뇨와 하수를 오수받이(50)에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를 완료하기 전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분뇨연결관(9)과 하수연결관(10)을 이용하여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를 오수받이(50)에 배수하고, 상기 오수받이(50)가 이를 통합하여 집수한 후 연결관(4)을 통하여 오수전용관(1)에 배수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단계를 통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86)를 변경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로변경단계에서는 수로변경장치(8)를 조작하여 기존의 합류관(2)으로 오수를 배수하던 수로(86)를 신설된 오수전용관(1)으로 변경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수로(86)의 변경 전에는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가 수로변경장치(8)에 형성된 유입구멍(83)과 제1배수구멍(84)을 연결하고 있는 수로(86)를 통하여 기존의 합류관(2)으로 배수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가 완료되어 수로변경단계를 통하여 유입구멍(83)과 제2배수구멍(85)을 수로(86)로 연결하게 되면,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는 상기 유입구멍(83)과 제2배수구멍(85)을 연결하는 수로(86)를 통하여 오수받이(50)로 공급된다.
이 오수받이(50)로 공급된 생분뇨와 하수는 연결관(4)을 이용하여 오수전용관(1)으로 배수되고, 최종적으로는 하수처리장(3)으로 배수되어 수 처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로변경장치(8)는 상기 수로변경단계를 통하여 생분뇨와 하수의 배수방향을 변경한 후에는 이 생분뇨와 하수의 배수상황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도 6에서 보인 것과 같이,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즉, 초기매설단계를 통하여 골목길에 매설되어 있는 지선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관(4)의 다른 일단은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에 연결되고, 이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는 가옥 내 마당에 중간매설단계를 시공하여 매설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보인 것과 같이, 분뇨연결관(9)에서 배수된 생분뇨와 하수연결관(10)에서 배수된 하수를 통합하여 집수한 후 연결관(4)을 이용하여 오수전용관(1)에 배수하는 보조오수받이(53)의 상부에 차단막(55)을 통하여 우수받이(54)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배수관연결단계에서는 이러한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를 가옥에 연결된 분뇨유입관(6) 내지 하수배수관(7)에 연결하여 공사완료 전에는 상부에 형성된 우수받이(54)가 하수를 공급받아 기존의 합류관(2)에 배수토록 하게 된다.
이러한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의 매설완료 후에는 하수배수관(7)과 분뇨유입관(6)에 각각 수로변경장치(8)를 설치하는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를 시공하게 되고, 이 수로변경장치(8)에는 분뇨연결관(9)과 하수연결관(10)을 신설하여 그 일단을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수로변경장치(8)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생략한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완료시 수로변경단계를 통하여 수로변경장치(8)의 수로(86)를 변경하게 되면, 가옥에서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 수는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의 하부에 형성된 보조오수받이(53)에 공급되어 연결관(4)을 통해 오수전용관(1)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52)의 상부에 형성된 우수받이(54)는 더 이상 가옥에서 배수되는 오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가옥 내 마당에 고이는 우수를 공급받아 기존의 합류관(2)으로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우수받이(54)의 상부는 공사완료 전에는 커버부재(56)를 통하여 완전히 밀폐하여 오수의 배수과정에서 악취입자가 대기 중으로 배기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사완료시에는 상기 커버부재(56)를 제거하여 통수공(57)이 형성된 맨홀부재(58)를 통하여 마당에 고이는 우수가 맨홀부재(58)의 통수공(57)을 통과하여 기존 합류관(2)으로 배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시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여 공사 시점에서는 기존의 합류관으로 우수ㆍ오수가 배수되도록 하고, 공사완료 후에는 오수전용관으로 수로를 변경하여 우수는 합류관으로 배수하고, 오수는 오수전용관으로 배수하게 됨으로써, 가옥 내 배수설비 공사를 1차, 2차 분할 없이 한번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이용하여 가옥 내 마당에 고이는 우수를 기존의 합류관에 배수하게 됨으로써, 우수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합류관으로 향하던 오수를 쉽고 간 편하게 오수전용관으로 변경하여 배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도로에 매설되는 간선관 및 골목길에 매설되는 지선관을 포함하는 오수전용관과;
    상기 오수전용관에 일단이 접속되어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가옥 내 마당에 매설되는 집수수단과;
    가옥에 연결되어 생분뇨를 배수하는 분뇨유입관 및 하수를 배수하는 하수배수관에 각각 설치되어 배수되는 생분뇨와 하수의 배수방향을 변경하는 수로변경장치와;
    각각의 수로변경장치를 집수수단을 연결하는 분뇨연결관 및 하수연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수단은 분뇨연결관에서 배수된 생분뇨와 하수연결관에서 배수된 하수를 집수한 후 연결관을 이용하여 오수전용관에 배수하는 오수받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수단은 분뇨연결관에서 배수된 생분뇨와 하수연결관에서 배수된 하수를 집수한 후 연결관을 이용하여 오수전용관에 배수하는 보조오수받이의 상부에 차단막을 통하여 우수받이가 형성된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변경장치는 가옥에서 배수되는 오수를 공급받는 유입구멍이 형성되고, 이 유입구멍을 통해 공급된 오수를 합류관에 배수하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멍을 통해 공급된 오수를 오수전용관에 배수하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수로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유입구멍과 제1배수구멍을 상기 수로로 연결하여 오수를 합류관에 배수토록 하고, 회전시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을 차단한 상태로 유입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수로로 연결하여 오수를 오수전용관에 배수하는 회전작동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5. 도로에 간선관을 매설하고, 골목길에 지선관을 매설하여 오수전용관을 신설하는 초기매설단계와;
    상기 지선관에 연결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는 오수받이를 연결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는 중간매설단계와;
    가옥에 연결된 분뇨유입관과 하수배수관에 각각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는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와;
    이 수로변경장치에 분뇨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분뇨연결관을 오수 받이에 연결하는 분뇨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에 하수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하수연결관을 오수받이에 연결하는 하수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를 변경하는 수로변경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
  6. 도로에 간선관을 매설하고, 골목길에 지선관을 매설하여 오수전용관을 신설하는 초기매설단계와;
    상기 지선관에 연결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의 다른 일단에는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연결하여 가옥 내 마당에 매설하는 중간매설단계와;
    이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를 가옥에 연결된 하수배수관 내지 분뇨유입관에 연결하는 하수배수관연결단계와;
    상기 하수배수관과 분뇨유입관에 각각 수로변경장치를 설치하는 수로변경장치설치단계와;
    이 수로변경장치에 분뇨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분뇨연결관을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에 연결하는 분뇨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에 하수연결관을 신설하여 연결하고, 이 하수연결관을 일체형 우수겸용오수받이에 연결하는 하수관연결단계와;
    상기 수로변경장치를 이용하여 오수가 배수되는 수로를 변경하는 수로변경단 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방법.
KR1020070054046A 2007-06-01 2007-06-01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8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046A KR100781320B1 (ko) 2007-06-01 2007-06-01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046A KR100781320B1 (ko) 2007-06-01 2007-06-01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20B1 true KR100781320B1 (ko) 2007-11-30

Family

ID=3908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046A KR100781320B1 (ko) 2007-06-01 2007-06-01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79B1 (ko) * 2012-10-25 2015-03-04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KR101794680B1 (ko) * 2015-11-24 2017-11-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로변경장치
KR102311496B1 (ko) 2021-05-12 2021-10-12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가변형 오수받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57Y1 (ko) 2006-06-28 2006-09-13 임봉수 하수처리구역용 단독정화조
KR100672275B1 (ko) 2006-06-02 2007-01-24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75B1 (ko) 2006-06-02 2007-01-24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200425757Y1 (ko) 2006-06-28 2006-09-13 임봉수 하수처리구역용 단독정화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79B1 (ko) * 2012-10-25 2015-03-04 (주)덕원이앤씨 오수관 이설 격벽 및 격벽 설치 방법
KR101794680B1 (ko) * 2015-11-24 2017-11-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로변경장치
KR102311496B1 (ko) 2021-05-12 2021-10-12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가변형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drup et al. Tree root intrusion in sewer systems: review of extent and costs
US9359746B1 (en) Over and under combined sewer overflow/stormwater conveyance chambers
CN106013236A (zh) 具有蓄水功能的地下综合管廊
Otis et al. The design of small bore sewer systems
CN113818534A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0781320B1 (ko)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273035B2 (ja) 木造家屋の排水配管構造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101708850B1 (ko) 건축물형 적용 저영향개발(lid) 물순환 및 효율성 검증 시스템
CN109689986A (zh) 用于包括沟槽式排水管的下水道系统的设备
Basu et al. New life for Kolkata’s sewers
Gheith et al. Integrated Plan Combining House-Level I/I Mitigation Program and GI Technology to Avoid Street Flooding–Case Study: Newton-Bedford Blueprint Columbus
CN219327154U (zh) 一种大型覆土地下室顶板排水系统
Valdez et al. Threading the Needle: Routing a Large Diameter Sewer Main through a Densely Urbanized Corridor
Diana et al. A Channel of Care: Designing Improved Drainage for the Orphanage
GB254453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lateral pipes
KR100667583B1 (ko)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irschbaum et al. Lakewood RainCatchers Pilot Project for Reducing Combined Sewer Overflows
Plan Infrastructure
Lu et al. Integrated Plan Combining House-Level I/I Mitigation Program and GI Technology to Avoid Street Flooding–Case Study: Newton-Bedford Blueprint Columbus
Brown et al. Design Considerations for Large-Scale Sewer Separation
JPH0663278B2 (ja) 合流式や分流式下水道と接続する下水道構造
Abbas et al. An innovativ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separate sewer system in narrow streets in UK and EU cities
Sieker et al. Raindrop-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tormwater management
Small Bending the Rules: A New Approach to Conventional Sewer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12

Effective date: 201007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058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12

Effective date: 201007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200006010;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0

Effective date: 201104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20000601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0

Effective date: 201104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