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83B1 -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83B1
KR100667583B1 KR1020060100025A KR20060100025A KR100667583B1 KR 100667583 B1 KR100667583 B1 KR 100667583B1 KR 1020060100025 A KR1020060100025 A KR 1020060100025A KR 20060100025 A KR20060100025 A KR 20060100025A KR 100667583 B1 KR100667583 B1 KR 10066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sewer
sides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6010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이 상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레일 형태의 결합턱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우수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의 내측 저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집수정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서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 격벽과; 상기 수직 격벽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집수정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우수관 또는 하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아치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상기 집수정의 결합턱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 내부에 우수와 하수를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집수정 상단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악취 발생 및 하수와 우수가 섞여 배출되어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하수관거, 악취, 격벽, 수질 오염, 덮개

Description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Equipment structure of tributary type sewer}
도 1은 종래의 합류식 하수관거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가 적용된 집수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수관 20 : 하수관
110 : 집수정 115 : 하수 도수구
117 : 우수 도수구 120 : 수직 격벽
130 : 지지대 140 : 덮개
본 발명은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수정 내부에 우수와 하수를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집수정 상단에 덮개를 설치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가정과 공장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오폐수와 빗물 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하수를 모으는 하수도는 하수관로 시설과 하수 처리시설 및 슬러지 처리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수관로시설은 크게 하수관거와 펌프장으로 구성되며 하수관로는 관거, 오수받이, 우수받이, 맨홀, 우수토실, 토구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하는 시설의 총칭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우수를 모아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는 시공되는 위치의 토질(경질토, 보통토, 연질토, 극연질토로 구분)에 따라 실제로는 관부식과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기초(모래 또는 쇄석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를 달리 조합하여 시공한다. 즉, 터파기된 지반 내에 토질의 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모래 또는 쇄석을 깔거나 기초받침 PC콘크리트를 연접 설치한 후 이 상부에 관거를 이음 연결하고, 다시 되메우기하여 시공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하수관거중 합류식 하수관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관(10)과 하수관(20)이 집수정(30) 내부로 동시에 유입되고, 하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 가스가 뚜껑(40)을 통해 배출되어 주변의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하수와 우수가 섞여 배출되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수정 내부에 우수와 하수를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집수정 상단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악취 발 생 및 하수와 우수가 섞여 배출되어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도록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양면 및 상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레일 형태의 결합턱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우수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의 내측 저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집수정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서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 격벽과; 상기 수직 격벽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집수정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우수관 또는 하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아치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상기 집수정의 결합턱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의 상단과 하단이 볼트 결합되어 상기 우수관 또는 하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가 적용된 집수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100)는, 집수정(110)과, 수직 격벽(120)과, 지지대(130)와, 덮개(140)로 구성된다.
먼저, 집수정(110)은 콘크리트 재질로 양면 및 상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 레일 형태의 결합턱(11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우수관(10)과 하수관(20)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11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홀(113)은 양측면에서 다단으로 형성되데, 우수관(10)과 하수관(20)의 간섭이 없도록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 격벽(120)은 집수정(110)의 내측 저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집수정(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서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직 격벽(120)에 의해 집수정(110)의 내부는 하수가 흐르는 하수 도수구(115)와 우수가 흐르는 우수 도수구(117)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30)는 수직 격벽(120)의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집수정(110)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우수관(10) 또는 하수관(20)을 지지한다. 여기에서, 지지대(130)는 상단에 나사산(132)이 형성되는 앵커(131)와, 앵커(131)의 상단과 하단 이 볼트 결합되어 우수관(10) 또는 하수관(20)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133)로 이루어진다.
또, 덮개(140)는 콘크리트 재질로 아치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집수정(110)의 결합턱(111)과 결합되는 결합홈(141)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수정(110)을 설치한 다음, 집수정(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홀(113)에 각각 우수관(10)과 하수관(20)을 연결시킨다. 이때, 일측면에서 우수관(10)은 상단에 위치한 결합홀(113)에 결합시키고, 하수관(20)은 하단에 위치한 결합홀(113)에 결합시키며, 타측면에서 우수관(10)은 하단에 위치한 결합홀(113)에 결합시키고, 하수관(20)은 상단에 위치한 결합홀(113)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하수관(20)이 모두 저면에 위치하는 경우 수직 격벽(120)에 결합홀(미도시)을 형성하여 관통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집수정(110) 내부로 유입된 하수관(20)과 우수관(10)을 지지대에 결합시켜 도면상 좌측의 우수관(10)을 수직 격벽(120)에 고정시켜 우수관(10)의 우수가 우수 도수구(117)로 배출되도록 하고, 도면상 우측의 하수관(20)을 수직 격벽(120)에 고정시켜 하수관(20)의 하수가 하수 도수구(115)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수정(110)의 상단에 덮개(140)를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우수관(10)을 우수는 우수 도수구(117)로 집수되고, 하수관(20)의 하수는 하수 도수구(115)로 집수되기 때문에 우수와 하수가 섞이는 것을 막고, 우수 도수구(117)의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시키고, 하수 도구수()의 하수는 하수 처리장으로 방류시키기 때문에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집수정(110) 상단에 덮개(1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된 악취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악취로 인한 대기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에 따르면, 집수정 내부에 우수와 하수를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집수정 상단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악취 발생 및 하수와 우수가 섞여 배출되어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양면 및 상면이 개방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레일 형태의 결합턱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우수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의 내측 저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집수정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서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직 격벽과;
    상기 수직 격벽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집수정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우수관 또는 하수관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아치형태로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상기 집수정의 결합턱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의 상단과 하단이 볼트 결합되어 상기 우수관 또는 하수관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1020060100025A 2006-10-13 2006-10-13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10066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25A KR100667583B1 (ko) 2006-10-13 2006-10-13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25A KR100667583B1 (ko) 2006-10-13 2006-10-13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583B1 true KR100667583B1 (ko) 2007-01-11

Family

ID=3786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25A KR100667583B1 (ko) 2006-10-13 2006-10-13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5501A (zh) * 2015-05-04 2015-07-15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沉降塑料排水检查井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17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지중 매설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17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도로의 지중 매설 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231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252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5673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917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5501A (zh) * 2015-05-04 2015-07-15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沉降塑料排水检查井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2871B (zh) 液体泄流处理系统
KR101039316B1 (ko) 터널 배수 구조물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JP2013253444A (ja) 多層式下水道管
KR100667583B1 (ko)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CN110093965A (zh) 一种施工现场的排水方法
US20190186118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KR100456610B1 (ko) 도로 저면에 지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약지반의 배수로시공 공법 및 그 배수관
KR100781320B1 (ko) 분류식 하수도 공사를 위한 가옥 내 배수설비 시공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KR200340906Y1 (ko) 하수도 오수분류박스
GB254453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lateral pipes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CN207672363U (zh) 一种窨井处的市政道路结构
KR20180006078A (ko)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0420489Y1 (ko) 빗물받이
KR200356480Y1 (ko) 우,오수 합성용 오수관로 구조
KR20090028930A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0260057Y1 (ko) 우·오폐수 분류형 소형 배수로
KR200355651Y1 (ko)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