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930A -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 Google Patents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930A
KR20090028930A KR1020070094082A KR20070094082A KR20090028930A KR 20090028930 A KR20090028930 A KR 20090028930A KR 1020070094082 A KR1020070094082 A KR 1020070094082A KR 20070094082 A KR20070094082 A KR 20070094082A KR 20090028930 A KR20090028930 A KR 2009002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hannel
mold
frame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엽
Original Assignee
조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엽 filed Critical 조주엽
Priority to KR102007009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930A/ko
Publication of KR2009002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폐수 및 오수 등을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흘려보내는 하수로의 중단에 설치되어 이물질 및 토사를 분리해내는 맨홀에 있어서, 하수로로 흘러들어가는 퇴적물이 맨홀 내부에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맨홀 하부에 퇴적수로부가 형성되는 형틀을 구성하되, 일방향의 퇴적수로가 아닌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의 퇴적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구로 탈부착 가능한 교차퇴적수로부 및 사방으로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결합하여 다양한 방향 및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하도록 중심반구를 가지는 내형틀과, 상기 내형틀에 형성된 수로의 방향에 따라 작업자가 하수로관이 결합되는 연결공을 직접 천공하지 않아도 상기 내형틀의 수로와 대응되며 가변이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분리되는 고정틀 및 유동틀로 구성되는 외형틀로 이루어지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 형틀, 가변, 하수도, 퇴적물

Description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VARIABLE INVERTER TYPE MANHOLE FORMWORK AND MAN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맨홀용 형틀 및 그로 인해 제작되는 맨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길가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및 우수 등(이하 하폐수)을 배수처리하기 위한 맨홀이 설치되며, 이러한 맨홀은 지하에 매립된 하수관으로 연결되면서 이를 따라 상기 하폐수를 원격지에 있는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하천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하폐수를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즉, 도로의 양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하수관이 길게 연결되어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토사를 포함한 도로상의 각종 이물질을 상기 하수관을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하수관 중간에는 소정 크기의 맨홀이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온 잔류토사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들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맨홀에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며, 이렇게 쌓인 퇴적물은 다시 하수관으로 유입되어 하수관을 막거나 좁혀 하폐수의 배수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폐수는 수많은 이물질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이물질들은 수압이 상대적으로 약한 하수관 내에 쉽게 퇴적되어 하수관 내의 가용면적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하폐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하폐수의 처리가 지연되거나, 심지어 하폐수의 역류가 발생될 수도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이 다방면으로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맨홀을 제작하는 형틀에 있어서, 맨홀에 하수로관을 결합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선, 맨홀을 제작 후 작업자가 직접 맨홀내부에서 하수로관이 결합될 부분을 천공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과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10-2007-0004217, 2007년 01월 15일, "맨홀제작용 조립식 거푸집 및 그 사용방법",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과 (출원번호 10-2007-0047800, 2007년 05월 16일, "맨홀 성형장치",이하 "종래기술 2"라 칭함)이라는 발명이 출원되었지만, 상기 종래기술 1의 경우에는 외측 거푸집을 다수개(총 8개)로 미리 분할시켜 놓은후, 지수단관이 결합되는 삽입공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분할된 외측 거푸집을 여러형태로 재조립하는 것으써, 상기 지수단관이 연결되는 삽입공을 가진 각도조절패널이 직접 이동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의 경우에는 미리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외측 거푸집의 형태로 인해 각각이 결합될 수 있는 수단 및 장치 즉, 관통공 또는 체결용 와이어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며, 상기 관통공을 연통시키기 위해선 분할되어 있는 각각의 외측 거푸집 조각들의 위치 선정을 정확히 해야만 하기에 제작의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2의 경우에는 외형틀을 다수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외형틀 각각에 장공을 개별로 천공한 후 외형틀 전체를 조립하여, 상기 다수개의 장공의 위치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유닛을 대응 결합시키되, 상기 장공의 범위내에서 지수단관의 결합이 자유롭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수단관이 결합될 수 있는 방향의 선택을 넓힌 구성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아무리 범위를 넓혔다 하더라도 결국 장공의 범위내라는 한정부분에서만 사용가능한 것이기에, 상기 장공의 범위를 벗어난 부분 즉, 천공되지 않은 방향이나 외형틀이 결합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지수단관이 결합될 수 없어, 지수단관의 결합방향을 사용자가 직접 모두 선택하지는 못한다는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도의 중단에 설치되는 맨홀의 하부에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되,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교차퇴적수로부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할 수 있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반구를 형성하여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구로 탈부착시킴으로써 퇴적수로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 있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수로부 또는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는 내형틀의 수로 방향에 따라 맨홀이 제작된 후, 사용자가 직접 맨홀 내부로 들어가 수로방향에 맞춰 관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공 및 관연결구를 천공하지 않아도 맨홀을 제작단계에서 연결공 및 관연결구가 천공되어지며, 다수개로 분리가능한 단일개의 외형틀 만으로도 다양한 수로방향으로 가지는 다수개의 내형틀에 맞춰 맨홀이 제작 가능해 지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수로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의 퇴적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맨홀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는 적재형틀과, 상기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 및 하수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재형틀의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퇴적수로부와, 상기 퇴적수로부와 상이한 방향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퇴적수로부의 중단을 중심으로 일측 및 양측에 결합되되,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로 이루어지는 내형틀과; 상기 내형틀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교차퇴적수로부 및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하수로관을 관통시키는 연결공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차퇴적수로부 및 퇴적수로부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수로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맨홀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되, 상면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재형틀과, 상기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수집공간 및 원하는 방향의 퇴적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형틀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와, 상기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방향 퇴적수로를 형성하되,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로부터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높이차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수로는 고정구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로 이루어지는 내형틀과; 상기 내형틀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수로 및 고정수로와 결합되는 하수로관을 관통시키는 연결공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로 및 회동수로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도의 중단에 설치되난 맨홀의 하부에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되,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교차퇴적수로부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반구를 형성하여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구로 탈부착시킴으로써 퇴적수로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일히 수작업으로 퇴적수로를 형성함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수로부 또는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는 내형틀의 수로 방 향에 따라 맨홀이 제작된 후, 사용자가 직접 맨홀 내부로 들어가 수로방향에 맞춰 관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공 및 관연결구를 천공하지 않아도 맨홀을 제작단계에서 연결공 및 관연결구가 천공되어지며, 다수개로 분리가능한 단일개의 외형틀 만으로도 다양한 수로방향으로 가지는 다수개의 내형틀에 맞춰 맨홀이 제작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 수로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의 퇴적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맨홀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는 적재형틀과, 상기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 및 하수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재형틀의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퇴적수로부와, 상기 퇴적수로부와 상이한 방향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퇴적수로부의 중단을 중심으로 일측 및 양측에 결합되되,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로 이루어지는 내형틀과; 상기 내형틀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교차퇴적수로부 및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하수로관을 관통시키는 연결공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차퇴적수로부 및 퇴적수로부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수로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맨홀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되, 상면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재형틀과, 상기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수집공간 및 원하는 방향의 퇴적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형틀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와, 상기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방향 퇴적수로를 형성하되,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로부터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높이차를 형 성하며, 상기 회동수로는 고정구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로 이루어지는 내형틀과; 상기 내형틀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수로 및 회동수로와 결합되는 하수로관을 관통시키는 연결공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로 및 회동수로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틀 각각은 크기가 서로 다른 한쌍의 제 1형틀과 제 2형틀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고정틀과 함께 외형틀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2형틀이 결합되어 외형틀의 일측 중심을 향하는 각도(α)는 항상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틀은 복수개의 유동틀 중 하나의 유동틀이 제 1, 2형틀로 분리된 후, 상기 제 1, 2형틀 중 하나가 다른 유동틀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틀 상호간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내형틀에서 형성된 유로 방향에 맞춰 연결공이 형성된 고정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맨홀용 형틀을 이용한 맨홀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은 하수로(60) 중간에 설치되는 맨홀에 있어서, 하수로(60) 내부로 이물질 및 토사 등의 퇴적물이 유입되지 않고 맨홀(30) 내부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맨홀(30) 하부에 퇴적수로부(21)를 포함한 교차퇴적수로부(22) 및 중심반구(50)를 형성하여 설치자가 원하는 방향뿐만 아닌, 원하는 수만큼의 퇴적수로(4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퇴적수로부 또는 교차퇴적수로부를 형성하는 내형틀의 수로방향에 맞춰, 맨홀제작 후 결합되는 하수로관의 연결공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맨홀용 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형틀(20), 퇴적수로부(21), 교차퇴적수로부(22), 내형틀(70), 외형틀(100), 고정틀(90, 90'), 유동틀(80, 80'), 제 1형틀(81), 제 2형틀(82)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외형틀(100) 내부에 삽입되어 맨홀(30)의 공간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10)과 상기 맨홀하우징(10)의 일단에 대응되어 접합 되는 적재형틀(20)로 구성된다. 상기 외형틀(100)의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될 도 10 내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적재형틀(20)은 타단에 반원통형의 퇴적수로부(21)가 돌출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퇴적수로부(21)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기 퇴적수로부(2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교차퇴적수로부(22)의 일단이 결합하게 되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형틀(20)과 교차퇴적수로부(22)는 직각을 이루며 결합이 되지만, 설치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직각 외에, 임의의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맨홀하우징(10) 상부에 적재형틀(20)에 얹혀져 접합이 되고, 상기 맨홀하우징(10) 및 적재형틀(20)은 외형틀(1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외형틀(100) 내부에 시멘트 및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제조제가 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맨홀은 KSF 4012 규격이 사용된다.
도 2는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로 제작된 맨홀(30)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서 맨홀(30)과 퇴적수로(40)가 형성이 되도록 상기 맨홀하우징(10)과 적재형틀(20) 및 외형틀(100)을 제거한 도면이다.
즉, 도 2에서는 퇴적수로부(21)와 교차퇴적수로부(22)로 퇴적수로(40)를 형성하고, 맨홀하우징(10) 및 적재형틀(20)을 이용하여 맨홀(30)의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교차퇴적수로부(22)를 우측에 부착한 도면이다. 즉, 고정구(23)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퇴적수로부(21)의 외주면에 부착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퇴적수로부(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응되며 부착된 교차퇴적수로부(22)를 나타낸다. 이 또한, 도 3과 같이 고정구(23)를 사용하여 퇴적수로부(21)와 결합이 됨으로써, 교차되는 퇴적수로(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는 퇴적수로부(21)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거나, 일측에 단일 개가 결합이 될 수 있으며, 퇴적수로부(21)와 직각뿐만 아닌, 설치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수 방향의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5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서 형성된 퇴적수로부(21)를 대신하는 것으로 적재형틀(20)의 일단부 중심에 돌출되는 중심반구(50)를 형성함을 보여준다.
상기 중심반구(50)는 외주면에 교차퇴적수로부(22)를 원하는 어떠한 방향에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반구(50)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적재형틀(20)의 상면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5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하우징(10)의 일단에 대응되며 결합되되, 타단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재형틀(20)의 일측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50)에 있어서, 상기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 교차퇴적수로부(22)가 다수개 결합되어 퇴적수로(40)를 형성하도록 한 형틀이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 또한 다수개의 고정구(23)로 고정되되,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중심반구(50)의 외주면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수로의 방향 선택이 자유롭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는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5)와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4)로 이루어지며, 입구에서 유입된 오수가 출구로 향할수록 원활히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수로(25)에서부터 고정수로(24)로 갈수록 차츰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5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적재형틀(20)의 중심에서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50)의 외주면 일측에 입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4)와 출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5) 다수개가 결합 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선으로 표시되어 우수가 유출되며, 중심반구(50)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교차퇴적수로부(22)의 고정수로(24) 외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방향에서 유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수로(25)를 다수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로(24)와 회동수로(25)는 일직선상이 아닌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방향이 다른 퇴적수로(40)를 다수 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퇴적수로(40) 선택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퇴적수로(40)의 갯수 또한, 회동수로(25)를 고정구(23)로 탈착 결합함으로써 선택이 자유롭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이 적용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기 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퇴적수로(40)를 형성한 맨홀(30)이다. 이것은 퇴적수로부(21)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대향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가 고정구(23)로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형상이다. 하지만, 이는 상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형틀(20)의 일측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를 결합해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이물질이 퇴적수로(40)를 통해, 폐하수 및 오수와 함께 여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수로(60) 내에 있어 이물질이 쌓여 하수관을 막거나 좁혀 하폐수의 배수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의 A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퇴적수로(4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여지는 십자형태의 형상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다수개의 퇴적수로(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 6을 예시로 사용한 것으로, 상기 회동수로(25)와 고정수로(24)로 이루어진 교차퇴적수로부(22)를 형성하는 적재형틀(20)과 상기 적재형틀(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맨홀하우징(10)으로 이루어진 내형틀(70)과, 상기 내형틀(70)의 외주면을 감싸듯 내부에 위치시키는 외형틀(10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외형틀(100) 내부에 내형틀(70)이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되, 상기 외형틀(100) 내주면과 내형틀(70)의 외주면은 서로 닿지않고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71)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71)에 형틀재료를 부어 형틀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형틀(100)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상기 내형틀(70)의 맨홀하우징(10)에 결합되는 받침틀(26)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형틀(70) 및 외형틀(100)의 일측은 막히도록 하여 형틀재료가 상기 공간부(71)에 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형틀(100)은 크게 다수개의 고정틀(90, 90')과 유동틀(80, 8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고정틀(90, 90')과 유동틀(80, 80')이 결합되어 하나의 외형틀(100)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외형틀(100)을 다수개로 분할조립 가능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틀(90, 90')은 일정크기를 가지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틀(90, 90') 및 유동틀(80, 80')을 동일하게 4등분함으로써, 각 고정틀(90, 90')이 외형틀(100)의 중심을 향하는 각도(β)와 및 유동틀(80, 80')이 외형틀(100)의 중심을 향하는 각도(α)가 각각 90°가 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고정틀(90, 90') 및 복수개의 유동틀(80, 80')을 결합시켜 360°가 되도록 하였으며, 여기서 상기 고정틀(90, 90')은 하기에서 설명될 도 11 내지 도 15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항시 일정한 크기, 즉, 고정틀의 양측에서 외형틀(100)의 중심을 향하는 각도가 항상 90°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고정틀 각각의 크기는 외형틀(100)에서 1/4의 크기를 각각 차지함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틀(90, 90')은 외주면에 하수도관(61)이 관통되는 연결공(9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도관(61)은 고정틀(90, 90')의 연결공(91)을 관통 후, 공간부(71)를 지나 내형틀(70)에 형성된 고정수로(24) 또는 회동수로(25)에 대응되어 맞닿도록 한다.
즉, 상기 내형틀(70)의 회동수로(25)와 고정수로(24)의 방향에 따라 하수도관(61)이 연결되는 연결공(91)을 형성한 외형틀(100)의 고정틀(90', 90)은 이동되야 하며, 상기 회동수로(25) 및 고정수로(24)에 연결공(91)을 각각 대응시킨 복수개의 고정틀(90', 90)을 제외한 외형틀(100)의 나머지 부분을 유동틀(80, 80')이 위치되어 원통형의 외형틀(10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형틀(100)을 다수개로 분할한 것이다. 이를 활용한 예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또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 10의 경우에는 회동수로(25)와 고정수로(24)가 직각형태로 수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회동수로(25)와 고정수로(24)에 대응되어 하수로관(61)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틀(90, 90')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상기 외형틀(100)의 고정틀(90, 90')의 위치는 내형틀(70)의 회동수로(25) 및 고정수로(24)의 방향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도 1을 적용했을 시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퇴적수로부(21)와 교차퇴적수로부(22)의 수로 형성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틀(90, 90')이 이동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도 11에서는 고정수로(24)와 회동수로(25)의 방향이 정반대를 향하는 일직선 형태를 가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수로(24) 및 회동수로(25)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틀(90, 90') 상호간도 대향되는 위치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내형틀(70)을 중심에 두고 내형틀(70)의 상, 하측 외주면에는 고정틀(90', 90)이 위치되고, 좌, 우측 외주면으로는 유동틀(80, 80')이 각각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유동틀(80)과 유동틀(80')간은 바뀔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로 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로(24) 및 회동수로(25)와 각각 연결되는 고정틀(90, 90')은 항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외형틀(100)의 중심을 향하는 각도가 항상 90°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외형틀(100)의 나머지 부분을 복수개의 유동틀(80, 80')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외형틀(100)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12의 (a)경우에는 고정수로(24)와 회동수로(25)가 수평을 이루기에, 복수개의 고정틀(90, 90') 또한 대향되어 상기 도 12를 기준으로 도면의 좌,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 하측에는 유동틀(80, 80')이 위치하게 되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동수로(25)의 방향을 상기 고정수로(24)와 180°를 이루며 수평을 이루지 않고 이동을 시키고 싶을 경우, 상기 도 1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동틀(80)을 제 1형틀(81)과 제 2형틀(82)로 분리한 후, 제 2형틀(82)을 상기 고정틀(90')과 유동틀(80')이 결합되어 있는 부분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고정틀(90)과 수평을 이루고 있던 고정틀(90')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각도(α) 90°를 유지하던 유동틀(80)은 80°인 제 1형틀(81)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제 2형틀(82)만 이동되는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은 우선적으로 내형틀(70)의 수로가 위치형태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든간에, 상기 내형틀(70)의 수로방향에 맞춰 하수로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형틀(70)의 회동수로(25)와 고정수로(24)가 수평을 이루고 있을 경우, 상기 외형틀(100)의 고정틀(90, 90') 또한 그에 맞춰 수평을 이루고 있어야, 하수로관을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하수로관(61)은 사용하기 위해서 연결공(91)에 끼워놓은 관이 아니고, 맨홀이 만들어졌을때 진짜로 사용되는 하수로관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을 미리 천공해놓기 위한 수단으로써, 맨홀제작 후 사람이 직접 외형틀(100)의 수로방향으로 보고 망치를 이용하여 맨홀의 외주면을 깨내어 하수로관이 결합되는 연결공(91)을 천공하지 않도록, 제작단계에서 외형틀(100)의 수로에 맞춰 대응되는 하수로관(61)을 미리 끼워놓고 맨홀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내형틀(70)의 수로 위치에 따라 맨홀에 결합되는 하수로관의 위치 또한 상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내형틀(70)의 수로방향이 조금만 변형되어도, 매번 내형틀(70)의 수로방향에 맞는 외형틀(100)을 따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외형틀(100)을, 상기 내형틀(70)의 수로방향과 일치되도록 항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수로관이 연결될 연결공(91) 및 관연결부(62)를 형성하되 내형틀(70)의 수로 개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적용되는 고정틀(90, 90')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틀(90, 90')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제 1, 2형틀(81, 82)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유동틀(80, 80')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동틀(80)이 외형틀(100) 전체 외주면의 1/4을 차지하고 있음을 각도(α) 90°로 나타낸 것이다. 이로 인해, 도 13 내지 도 15의 (a), (b)는 회동수로(25)를 20°, 30°, 40°씩 움직이기 위한 예시의 전, 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12와 동일하게 해석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유동틀(80) 전체 각도(α) 90°를 80°와 10°, 70°와 20°, 60°와 30°, 50°와 40°4가지로 분리한다면 회동수로(25)와 대응되는 고정 틀(90')을 다양한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유동틀(80)이 제 1, 2형틀(81, 82)로 분할되어 사용되었지만, 이는 유동틀(80')이 제 1, 2형틀(81, 82)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고정틀(90, 90')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졌기에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반대로 상기 고정틀(90')에 고정수로(24)가 대응되고, 상기 고정틀(90)에 회동수로(25)가 각각 결합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로 제작된 맨홀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이 적용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또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형틀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하우징 20: 적재형틀
21: 퇴적수로부 22: 교차퇴적수로부
23: 고정구 30: 맨홀
40: 퇴적수로 50: 중심반구
61: 하수로관 62: 관연결부
70: 내형틀 71: 공간부
80, 80': 유동틀 81: 제 1형틀
82: 제 2형틀 90, 90' 고정틀
91: 연결공 100: 외형틀

Claims (5)

  1.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30)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수로(60)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의 퇴적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맨홀(30)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10)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는 적재형틀(20)과, 상기 맨홀(30)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 및 하수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재형틀(20)의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퇴적수로부(21)와, 상기 퇴적수로부(21)와 상이한 방향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퇴적수로부(21)의 중단을 중심으로 일측 및 양측에 결합되되,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고정구(23)로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로 이루어지는 내형틀(70)과;
    상기 내형틀(70)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70)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71)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71)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 및 퇴적수로부(21)와 결합되는 하수로관(61)을 관통시키는 연결공(91)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90, 90')과, 상기 고정틀(90, 90')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 및 퇴적수로부(21)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91)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90, 90')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80, 80')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1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2. 하수로 중단에 형성되는 맨홀(30)에 있어서,
    복수개의 하수로(60)를 외주면에 관통 결합시켜 오수 및 하폐수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맨홀(30)을 형성하는 맨홀하우징(10)의 저면에 대응 결합되되, 상면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재형틀(20)과, 상기 맨홀(30) 내부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수집공간 및 원하는 방향의 퇴적수로(40)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형틀(20)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50)와, 상기 중심반구(5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방향 퇴적수로(40)를 형성하되,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5)로부터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4)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높이차를 형성하며, 상기 회동수로는 고정구(23)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로 이루어지는 내형틀(70)과;
    상기 내형틀(70)을 내부에 삽입하며, 내주면을 상기 내형틀(70)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간부(71)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71)에 형틀재료를 채울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수로(24) 및 회동수로(25)와 결합되는 하수로관(61)을 관통시키는 연결공(91)이 천공된 다수개의 고정틀(90, 90')과, 상기 고정틀(90, 90')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로(24) 및 회동수로(25)의 방향에 따라 연결공(91)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틀(90, 90')의 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하는 복수개의 유동틀(80, 80')로 이루어지는 다수개로 분할가능한 외형틀(1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틀(80, 80') 각각은 크기가 서로 다른 한쌍의 제 1형틀(81)과 제 2형틀(82)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고정틀(90, 90')과 함께 외형틀(100)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2형틀(81, 82)이 결합되어 외형틀(100)의 일측 중심을 향하는 각도(α)는 항상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틀(80, 80')은 복수개의 유동틀(80, 80') 중 하나의 유동틀(80)이 제 1, 2형틀(81, 82)로 분리된 후, 상기 제 1, 2형틀(81, 82) 중 하나가 다른 유동틀(80')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틀(90, 90') 상호간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내형틀(70)에서 형성된 유로 방향에 맞춰 연결공(91)이 형성된 고정틀(90, 9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5.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으로 형성된 맨홀용 형틀을 이용한 맨홀.
KR1020070094082A 2007-09-17 2007-09-17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090028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082A KR20090028930A (ko) 2007-09-17 2007-09-17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082A KR20090028930A (ko) 2007-09-17 2007-09-17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930A true KR20090028930A (ko) 2009-03-20

Family

ID=4069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082A KR20090028930A (ko) 2007-09-17 2007-09-17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9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93B1 (ko) * 2008-11-14 2011-06-01 태인플랜트(주) 가변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1878437B1 (ko) * 2016-08-30 2018-07-13 최미화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93B1 (ko) * 2008-11-14 2011-06-01 태인플랜트(주) 가변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1878437B1 (ko) * 2016-08-30 2018-07-13 최미화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909B2 (en) Segmental bio-retention basin system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20090028930A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DK2295655T3 (en) Shaft, in particular, control and purification shaft for wastewater with a flow channel and a plate for the flow channel
KR100649520B1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US6460574B2 (en) Sewer pipe structures and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CN209293158U (zh) 一种建筑工程排水一次性预埋地漏
KR200428936Y1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101038193B1 (ko) 가변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1852393B1 (ko) 배수성이 향상된 인버트 맨홀
KR101234662B1 (ko) 빗물의 지중유입 및 토사 내부 물의 지상유출 안내를 위한 스트레이너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314000A (ja) 油水分離槽
EP3697974A1 (en) Overflow pipe system
KR102103481B1 (ko) 방향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집수정
KR101131831B1 (ko)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KR100667583B1 (ko)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200403878Y1 (ko) 인버터가 형성된 조립식 맨홀용 하부구체
CN1827930B (zh) 合成树脂制排水箱斗
JPH11280137A (ja) 小口径の排水桝
KR200420489Y1 (ko)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