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31B1 -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 Google Patents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831B1
KR101131831B1 KR1020100126438A KR20100126438A KR101131831B1 KR 101131831 B1 KR101131831 B1 KR 101131831B1 KR 1020100126438 A KR1020100126438 A KR 1020100126438A KR 20100126438 A KR20100126438 A KR 20100126438A KR 101131831 B1 KR101131831 B1 KR 10113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hannel
mold
hous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엽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광전피씨
태인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광전피씨, 태인플랜트(주) filed Critical 유한회사광전피씨
Priority to KR102010012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폐수 및 오수 등을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흘려보내는 하수로의 중단에 설치되어 이물질 및 토사를 분리해내는 맨홀에 있어서, 하수로로 흘러들어가는 퇴적물이 맨홀 내부에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맨홀 하부에 퇴적수로부가 형성되는 형틀을 구성하되, 일방향의 퇴적수로가 아닌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의 퇴적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구로 탈부착 가능한 교차퇴적수로부 및 사방으로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결합하여 다양한 방향 및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하도록 중심반구를 가짐과 더불어,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이용하여 결합력과 수밀성을 높여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관이 결합된 맨홀을 제작할 수 있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VARIABLE INVERTER TYPE MANHOLE FORMWORK}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퇴적수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아 외력에 강하고, 변위 및 누수 방지가 되도록 관과 연결되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길가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및 우수 등(이하 하폐수)을 배수처리하기 위한 맨홀이 설치되며, 이러한 맨홀은 지하에 매립된 하수관으로 연결되면서 이를 따라 상기 하폐수를 원격지에 있는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하천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하폐수를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즉, 도로의 양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하수관이 길게 연결되어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토사를 포함한 도로상의 각종 이물질을 상기 하수관을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하수관 중간에는 소정 크기의 맨홀이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온 잔류토사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들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맨홀에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며, 이렇게 쌓인 퇴적물은 다시 하수관으로 유입되어 하수관을 막거나 좁혀 하폐수의 배수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폐수는 수많은 이물질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이물질들은 수압이 상대적으로 약한 하수관 내에 쉽게 퇴적되어 하수관 내의 가용면적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하폐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하폐수의 처리가 지연되거나, 심지어 하폐수의 역류가 발생될 수도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이 다방면으로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맨홀(manhole)은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시공하기 좋고 안전성이 높은 원형 맨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맨홀은 보통 수십 cm 정도의 지름을 갖는 콘크리트재의 중공 원통형 맨홀로 제조되고, 그 위에는 주철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의 원형 뚜껑이 덮여진다. 맨홀 바닥은 관로의 바닥과 같게 형성하거나,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약간 아래로 인입되도록 형성한 경우도 있다. 이와 반대로, 오수 또는 하수배관 등을 위한 맨홀은 유동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관로 바닥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경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맨홀은 일반적으로 맨홀 본체의 측부에 수개의 관로접속구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관(pipe)의 일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용도에 따라 하수용 또는 오수용 맨홀은 하수관을 맨홀 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관로접속구에 연결하게 된다. 맨홀은 주로 콘크리트재로 형성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관은 금속 또는 비금속(PVC, PE 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양자의 재질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관 내부를 유동하는 하수 또는 오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맨홀 본체와 관 사이에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을 제작시, 맨홀과 관의 체결력을 높여 맨홀 본체와 관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높고 작업시간과 시공 비용을 낮출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높아 외력에 견디고 맨홀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하수도의 중단에 설치되는 맨홀의 하부에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되,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교차퇴적수로부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중심반구를 형성하여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구로 탈부착시킴으로써 퇴적수로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 있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맨홀 하우징(11)과, 상기 맨홀 하우징(11)의 상부에 대응 적층되는 적재형틀(12)과, 상기 적재형틀(12)의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퇴적물 및 하수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퇴적수로부(13)와, 상기 퇴적수로부(13)와 상이한 방향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퇴적수로부(13)의 중단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되,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고정구(15)로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14)와, 상기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외측을 향해 원형단면을 가지며 연장형성되는 제 1단턱형성부(30)와, 상기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며 제 1단턱형성부(30)에서 돌출되는 제 2단턱형성부(31)로 이루어지는 내형틀(10);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형틀(10)이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간에 내설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주름부(43)과, 상기 내형틀(10)이 내설된 하우징(41)의 내주연 상단에 파여지는 걸림홈(44)으로 이루어지는 외형틀(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하우징(11)과, 상기 맨홀 하우징(11)의 상부에 대응 적층되되 상면이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적재형틀(12)과, 상기 적재형틀(12)의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퇴적물의 수집공간 및 원하는 방향의 퇴적수로(42)를 형성하도록 하는 중심반구(20)와,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방향 퇴적수로(42)를 형성하되,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2)로부터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높이차를 형성하고, 입구로 사용되는 단일 또는 다수의 회동수로(22)는 고정수로(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회동수로(22)는 고정구(15)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14)와, 상기 교차퇴적수로부(14)의 외측을 향해 원형단면을 가지며 연장형성되는 제 1단턱형성부(30)와, 상기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며 제 1단턱형성부(30)에서 돌출되는 제 2단턱형성부(31)로 이루어지는 내형틀(10);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형틀(10)이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간에 내설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주름부(43)과, 상기 내형틀(10)이 내설된 하우징(41)의 내주연 상단에 파여지는 걸림홈(44)으로 이루어지는 외형틀(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이용한 맨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이용하여 제작함에 있어서, 상면에 앵커 너트(59)가 매설되어 고착되는 상기 맨홀의 본체(51) 측벽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관(200)의 선단부가 수용되도록 끼워지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단턱(52a, 52b)을 갖는 관로접속구(52); 상기 관로접속구(52)의 최외곽의 단턱(52a)에 매설되어 상기 관로접속구(52)에 고착되는 앵커(80); 상기 앵커(80)에 감합되는 체결공(91a)이 천공된 결합부(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200)에 끼워지며 상기 관로접속구(52)의 최외곽의 단턱(52a)에 맞닿고 탄성하되, 상기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관(200)에 외측으로 끼워지는 연장부(92)가 구비되는 고무 패킹(90); 상기 고무 패킹(90)의 연장부(92)에 외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체결공(91a)에 감합되는 보조공(100a)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91)와 대접하는 일측의 모서리(100b)가 곡면 처리된 덧댐 링(100); 상기 보조공(100a)과 체결공(91a)을 관통하여 상기 관(200), 고무 패킹(90) 및 덧댐 링(100)을 상기 관로접속구(52)에 밀착하면서 상기 앵커(80)에 체결되는 체결구(110); 상기 고무 패킹(90)의 연장부(92)에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고무 패킹(90)을 상기 관(200)에 압착하는 보철 밴드(120); 맨홀의 본체(51)의 상부에 놓이고 상, 하면을 관통하는 덮개공(71)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공(71)을 관통하는 볼트(79)가 앵커 너트(59)에 체결됨으로써 맨홀의 본체(51)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덮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맨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200)은 외면부에 나사부(211)가 형성된 주름관(210)이고, 고무 패킹(90)의 내면에 상기 나사부(211)에 대응하는 다른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 패킹(90)이 회전에 의해 상기 주름관(210)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용 형틀을 이용한 맨홀은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피하면서도 현장에서 간단하게 관이 결합가능토록 하며, 관과 맨홀의 결합은 작업이 쉽고 빠르며 비용 부담이 없으면서도, 결합력과 수밀성이 높기 때문에 결합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확고하게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간단한 구성을 통해 덮개를 맨홀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덮개가 맨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도의 중단에 설치된 맨홀의 하부에 퇴적수로부를 형성하되, 고정구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퇴적수로부와 결합되는 교차퇴적수로부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퇴적수로를 형성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반구를 형성하여 상기 교차퇴적수로부를 중심반구의 외주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구로 탈부착시킴으로써 퇴적수로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일이 수작업으로 퇴적수로를 형성함에 따른 많은 시간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형틀에서 내형틀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맨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맨홀용 형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과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가 형성된 맨홀용 형틀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용 형틀이 적용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에 커버 및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관이 결합되어 있는 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맨홀과 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고무패킹 상세도.
도 15는 도 13의 덧댐 링 상세도.
도 16은 도 13의 보철 밴드 상세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관이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형태의 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맨홀 본체 평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맨홀용 형틀은 외형틀(40)과 내형틀(10)에 의해서 제작되어지는 것이며, 도 1에서는 내형틀(10)을 제거한 상태에서 외형틀(40) 내부에 제작된 맨홀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외형틀(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도 3 내지 도 7의 내형틀(10)이 내설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외형틀(40) 내에 내형틀(10)을 내설 후, 상기 외형틀(40) 내부에 제조제(ex: 콘트리트 등) 부어 경화시키고, 이후, 외형틀(40)과 내형틀(10)을 제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틀(40)과 내형틀(10) 사이에서 맨홀용 형틀이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상기 내형틀(10)을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틀(40) 내부에 삽입되어 맨홀(50)의 공간을 형성하는 맨홀 하우징(11)과, 상기 맨홀 하우징(11)의 상부에 대응되어 접착됨으로써 적층되는 적재형틀(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형틀(12)의 상부에는 반원통형의 퇴적수로부(13)가 돌출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퇴적수로부(13)의 중단을 중심으로 퇴적수로부(13)의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양측에 상기 퇴적수로부(13)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교차퇴적수로부(22)의 일단이 결합하게 되며, 도 1에서는 적재형틀(12)과 교차퇴적수로부(22)는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수로를 형성하게 되지만, 설치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직각 외에, 임의의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 될 수 있다.(도 3 내지 도 7 참조)
상기 맨홀 하우징(11) 상부에 적재형틀(12)에 얹혀져 접합이 되고, 상기 맨홀 하우징(11) 및 적재형틀(12)은 외형틀(40) 내부에 위치하게 되되, 상기 외형틀(40)에 내설되는 내형틀(10)의 외주연은 외형틀(40)의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고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며, 이렇게 내형틀(10)이 내설된 상기 외형틀(40) 내부에 시멘트 및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제조제가 부어짐으로써, 맨홀이 형성된다. (상기 맨홀은 KSF 4012 규격이 사용된다.)
더불어, 이러한 내형틀(10)의 상기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에는 외부를 향해 원형단면을 가지며 돌출형성되는 제 1, 2단턱형성부(30, 3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1단턱형성부(30)는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단턱형성부(31)는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제 1단턱형성부(30)에서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며 원형단면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2단턱형성부(30, 31)는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 1, 2단턱형성부(30, 31) 상호간은 지름이 상이하도록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제 2단턱형성부(31)의 지름이 더 큰 원형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룸으로써, 이러한 내형틀(10)이 외형틀(40)에 내설된 후,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맨홀(50)이 제작되어 지면, 제작된 맨홀(50)에는 상기 제 1, 2단턱형성부(30, 31)에 의해 계단형식으로 지름이 점차 커지는 복수번의 단턱(52a, 52b)을 가지는 관로접속구(5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의 내형틀(10)이 내설되는 외형틀(40)의 경우, 상기 내형틀(10)이 내부에 내설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41)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하우징(41)의 내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향해 주름부(43)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41) 또는 외형틀(40) 내부에 내형틀(10)이 내설될 시, 내형틀(10)이 내설된 하우징(41)의 상단 내주연에 링 형태로 걸림홈(44)이 파여지도록 형성한다.
이렇듯, 상기 외형틀(40)에 주름부(43)와 걸림홈(44)을 형성한 후, 외형틀(40) 내부에 내형틀(10)을 내설하여 콘크리트를 외형틀(40)과 내형틀(10) 사이에 부어 타설하게 되면, 외형틀(40)과 내형틀(10) 사이에서 제작되어 지는 맨홀(50)은 상기 외형틀(40)의 주름부(43)에 의해 외주연에 주름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4)으로 인하여 외주연에 링 형태의 걸림턱(53)이 돌출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주름부(43)와 걸림홈(44)으로 인하여 맨홀에 형성된 주름부(43) 및 걸림턱(53)은 맨홀이 땅속에 매설될 시, 맨홀이 매설되는 위치에서 유동되거나 외부로 탈거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어 매설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이러한, 상기 주름부(43)는 도 1,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단, 도 8 내지 도 12에서 제작되어진 맨홀에는 주름부(43)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맨홀용 형틀에서 외형틀(40)의 내주연에는 주름부(43)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 맨홀(50)의 외주연에도 주름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판단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로 제작된 맨홀(50)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50)과 퇴적수로(42)가 형성이 되도록 내형틀(1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에서 외형틀(40)까지 제거한 도면이다.
즉, 도 2에서는 퇴적수로부(13)와 교차퇴적수로부(22)로 퇴적수로(42)를 형성하고, 맨홀 하우징(11) 및 적재형틀(12)을 이용하여 맨홀(50)의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교차퇴적수로부(22)를 우측에 부착한 도면이다. 즉, 고정구(15)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퇴적수로부(13)의 외주면에 부착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로 전술된 바와 같이,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단부에 관로접속구(52) 형성을 위한 제 1, 2단턱형성부(30, 31)를 돌출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후술될 도 4, 6, 7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퇴적수로부(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응되며 부착된 교차퇴적수로부(22)를 나타낸다. 이 또한, 도 3과 같이 고정구(15)를 사용하여 퇴적수로부(13)와 결합이 됨으로써, 교차되는 퇴적수로(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는 퇴적수로부(13)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거나, 일측에 단일개가 결합이 될 수 있으며, 퇴적수로부(13)와 직각뿐만 아닌, 설치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수 방향의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2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서 형성된 퇴적수로부(13)를 대신하는 것으로 적재형틀(12)의 일단부 중심에 돌출되는 중심반구(20)를 형성함을 보여준다.
상기 중심반구(20)는 외주면에 교차퇴적수로부(22)를 원하는 어떠한 방향에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반구(20)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적재형틀(12)의 상면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2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 하우징(11)의 일단에 대응되며 결합되되, 타단은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적재형틀(12)의 일측 중앙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20)에 있어서,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교차퇴적수로부(22)가 다수개 결합되어 퇴적수로(42)를 형성하도록 한 형틀이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 또한 다수개의 고정구(15)로 고정되되,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 어느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수로의 방향 선택이 자유롭다.
상기 교차퇴적수로부(22)는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2)와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로 이루어지며, 입구에서 유입된 오수가 출구로 향할수록 원활히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수로(22)에서부터 고정수로(21)로 갈수록 차츰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반구(20)가 형성된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적재형틀(12)의 중심에서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20)의 외주면 일측에 입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와 출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2) 다수개가 결합 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선으로 표시되어 우수가 유출되며, 중심반구(20)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교차퇴적수로부(22)의 고정수로(21) 외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다방향에서 유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수로(22)를 다수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로(21)와 회동수로(22)는 일직선상이 아닌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방향이 다른 퇴적수로(42)를 다수 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퇴적수로(42) 선택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퇴적수로(42)의 갯수 또한, 회동수로(22)를 고정구(15)로 탈착 결합함으로써 선택이 자유롭다.
더불어, 도 7a은 도 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반구(20)에 회동수로(22) 몇개를 결합하여 사용하든,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2)의 직경은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입구보다 출구측의 직경이 커야 하수 및 오수의 이동이 원활해짐은 당연할 것이며, 도 7a의 회동수로(22)가 도 7 도면의 회동수로(22)와 비교했을시 고정수로(2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회동수로(22)는 복수개가 사용되고,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는 단일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회동수로(22) 모두는 고정수로(2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형성되어야 하며, 복수개의 회동수로(22)가 고정수로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회동수로(22) 상호간은 동일한 직경이거나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이 적용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기 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퇴적수로(42)를 형성한 맨홀(50)이다. 이것은 퇴적수로부(13)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대향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가 고정구(15)로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형상이다. 하지만, 이는 상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형틀(12)의 일측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22)를 결합해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이물질이 퇴적수로(42)를 통해, 폐하수 및 오수와 함께 여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수로(201) 내에 있어 이물질이 쌓여 하수관을 막거나 좁혀 하폐수의 배수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의 A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퇴적수로(42)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여지는 십자형태의 형상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다수개의 퇴적수로(4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8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전술된 맨홀용 형틀을 통해 제조된 맨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은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제작된 첫번째 실시예의 맨홀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맨홀의 각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8을 통해 설명될 맨홀은, 전술된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을 이용하여 맨홀을 제작함에 있어서, 관(200)이 결합되는 관로접속구(52), 앵커(80), 고무패킹(90), 덧댐 링(100), 체결구(110), 보철 밴드(120), 덮개(70)가 구비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우선, 전술된 제 1단턱형성부(30) 및 제 2단턱형성부(31)를 통해 형성되는 맨홀의 관로접속구에 결합되는 관(pipe)(200)은 오수배관, 우수배관 또는 하수배관인 것으로 예시되며, 제작되는 맨홀은 맨홀의 본체(51), 연직(60) 및 덮개(70)로 이루어져, 오수, 하수 또는 우수 배관이 결합되는 것에 한하여 기재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맨홀의 본체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원형 맨홀의 본체(51)로 구비된다. 맨홀의 본체(51)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하였듯이 맨홀용 형틀의 제 1, 2단턱형성부(30, 31)를 통해 그 측부에 평면상에서 방사형으로 수개의 관로접속구(52)가 형성된다.
이하 도시되는 예에서는, 관로접속구(52)가 맨홀의 본체(51) 측벽에서 중앙부의 약간 아래쪽으로 각각 맨홀의 본체(51)의 정, 배, 좌측, 우측면 4개소에 형성되었지만, 이러한 관로접속구(52)는 도 4에서와 같이 퇴적수로부(52)의 양측으로 교차퇴적수로부(14)가 복수개 결합되어 있는 경우일 것이며, 도 3의 경우에는 관로접속구(52)가 3개, 도 6의 경우에는 관로접속구(52)가 2개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맨홀의 본체(51)의 단면도와, 덮개(70) 및 일실시예로 맨홀의 본체(51)와 덮개(70) 사이에 개재되는 연직(60)이 함께 도시되었고, 아울러 맨홀의 본체(51)의 평면도와 절개도가 하나의 작은 도면으로 함께 도시되었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의 본체(51)에 형성되는 관로접속구(52)에 적어도 둘 이상의 단턱(52a, 52b)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단턱(52a, 52b)은 전술된 맨홀형 형틀의 제 1, 2단턱형성부(30, 3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맨홀의 본체(51)에 2개의 단턱(52a, 52b)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최내곽의 단턱(52b)에 관의 선단이 맞닿게 하고, 최내곽의 단턱(52a)에는 고무 패킹(90)이 접하게 함으로써 결합력과 작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종래에는 덮개가 어떠한 체결 수단 없이 단순하게 맨홀의 본체(51) 상부에 놓이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덮개(70)가 맨홀의 본체(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본체(51)의 상면에 앵커 너트(59)를 매설하여 맨홀의 본체(51)에 고착시키고, 이 앵커 너트(59)에 체결되는 볼트(79)가 관통될 수 있도록 덮개(70)에 덮개공(71)을 천공한다. 물론, 연직(60)에도 각각 덮개공(71)과 앵커 너트(59)에 감합되는 연직공(61)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맨홀의 본체(51)를 시공한 후 맨홀의 본체(51) 상부에 연직(60), 덮개(70)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각각 공히 덮개공(71)과 연직공(61)을 관통시켜 볼트(79)를 앵커 너트(59)에 체결하면 덮개(70)와 연직(60) 및 맨홀의 본체(51)가 결합 및 고정되어 일체된다.
상기 도 12는 전술된 본 발명의 맨홀용 형틀 통해 제작된 두번째 실시예의 맨홀 단면도이고(관로접속구(52), 앵커(80), 고무 패킹(90), 덧댐 링(70), 체결구(110), 보철 밴드(120), 고정덮개(70)가 구비되는 맨홀), 도 13은 도 12의 분해도, 도 14는 도 13의 고무 패킹 상세도, 도 15는 도 13의 덧댐 링 상세도, 도 16은 도 13의 보철 밴드 상세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접속구(52)에 적어도 둘 이상의 단턱(52a, 52b)이 형성되는데, 도면에는 일 예로서 2개의 단턱(52a, 52b)이 형성되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맨홀용 형틀을 통해 제작된 두번째 실시예의 맨홀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관로접속구(52)의 최외곽에 위치되는 단턱(52a)에는 앵커(anchor)(50)가 매설되어 맨홀의 본체(5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앵커(80)는 바람직하게는 내측면에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 앵커 너트(50)이다. 관(200)의 선단부를 관로접속구(52)에 삽입하면, 관(200)의 선단부가 관로접속구(52)에 끼워지면서 관로접속구(52)의 최내곽에 위치된 단턱(52b)에 걸림된다.
상기 관(200)에 끼워지는 고무 패킹(packing)(6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너트(50)에 감합되는 체결공(91a)이 천공된 결합부(91)와, 상기 결합부(91)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200)에 외측으로 끼워지는 연장부(92)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 외측 단면이 원을 이룬다. 즉, 전체적으로 링형 단면을 갖는다. 디스크(disk) 형상의 결합부(91)에는 여러 개의 체결공(91a)이 천공되어 있으며, 결합부(9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 패킹(90)은 그 용어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탄성을 갖는다. 도면 부호 80은 체결구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 너트(50)에 회동 결합되는 볼트(80)로 구비된다.
상기 덧댐 링(100)은 볼트(80)와 고무 패킹(90) 사이에 개재되는데, 볼트(80)와 앵커 너트(50)에 의해 고무 패킹(90)이 관로접속구(52)에 압착될 때 고무 패킹(90)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채택된다. 덧댐 링(100)은 고무 패킹(90)에 우선하여 관(200)에 외측으로 끼워진다. 또한, 덧댐 링(100)은 외주부에 상기 볼트(80) 및 고무 패킹(90)의 체결공(91a)에 각각 감합되는 보조공(100a)이 천공되어 있으며(도 13 참조), 이 보조공(100a)들은 덧댐 링(1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무 패킹(90)의 결합부(91)에 대접할 때 고무 패킹(90)에 손상을 주지 않고 고무 패킹(90)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대접하는 모서리(100b)가 소정의 곡률로 곡면 처리되어 첨단이 없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본 발명은 상기 고무 패킹(90)의 연장부(92)를 관(200)에 수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보철 밴드(120)를 채택한다. 도 16에 보철 밴드(120)가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보철 밴드(120)는 너트(122)에 결합된 볼트(121)를 회동시키면 회동에 의해 볼트(121)와 너트(122)가 서로 점차 가까워지게 되고, 따라서 지지목(123)이 서로 점차 인접하게 되어 밴드 링(124)의 내경이 줄어 밴드 링(124)이 수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맨홀용 형틀 통해 제작된 두번째 실시예의 맨홀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보철 밴드(120)의 볼트(121)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밴드 링(124)을 일정량 확장시킨 후 관(200)에 외측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덧댐 링(100)의 곡면 처리된 모서리(100b)가 관로접속구(52)를 향하도록 관(200)의 외측으로 끼워 넣고, 마찬가지로 고무 패킹(90)의 결합부(91)가 관로접속구(52)를 향하도록 하여 관(200)에 외측으로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준비 상태에서 관(200)의 선단면이 관로접속구(52)의 최내곽 단턱(52b)에 맞닿도록 관(200)의 선단부를 관로접속구(52)의 끝까지 끼워 밀어 넣는다. 상기 고무 패킹(90)의 체결공(91a)과 앵커 너트(50)의 위치를 맞추어 체결공(91a)과 앵커 너트(50)를 감합시키면서 고무 패킹(90)의 결합부(91)를 관로접속구(52)의 최외곽 단턱(52a)에 압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덧댐 링(100)을 고무 패킹(90)에 압밀하되 덧댐 링(100)의 보조공(100a)을 체결공(91a)에 감합시킨다.
그리고 체결구인 볼트(80)를 보조공(100a) 및 체결공(91a)를 통해 앵커 너트(50)에 회동 결합시키되, 상기 볼트(80)를 충분히 많이 회동시켜 앵커 너트(50)와 확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덧댐 링(100)의 재질은 특별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위와 같이 체결하면 고무 패킹(90)은 탄성하는 고무재이기 때문에 볼트(80)와 앵커 너트(50)가 체결되면서 결합부(91)가 약간 수축하여 볼트(80)와 앵커 너트(50), 고무 패킹(90) 및 덧댐 링(100) 사이의 틈새가 막혀 수밀성이 얻어지게 된다.
이로써, 맨홀은 상기와 같은 1차적인 체결에 의하면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맨홀과 관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보철 밴드(120)를 이용하여 누수를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보철 밴드(120)를 고무 패킹(90)의 연장부(92)에 위치시키고, 보철 밴드(120)의 볼트(121)를 회동시키면 밴드 링(124)의 내경이 점차 감소되면서 밴드 링(124)이 축소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보철 밴드(120)의 볼트(121)를 충분히 많이 회동시키면 밴드 링(124)이 고무 패킹(90)의 연장부(92)를 관(200)에 압밀하게 되어 2차적인 수밀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결합을 구성을 통해 도 12와 같이 관(200)이 결합된 상태의 맨홀의 본체(51)가 완성된다.
상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을 다른 형상으로 하여 적용한 분해도로써, 사이 도 17에서는 관(210)의 외면부에 나사부(21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이 주름관(210)으로 한정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를 바 없으나, 관(210)의 외면에 나사부(주름부(43))(211)가 형성되어 있어 더욱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물론 고무 패킹(90')의 내측면에는 주름관(210)의 나사부(211)에 대응되는 다른 나사부(주름부(43))(미도시)가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관(200)의 외면과 고무 패킹(90)의 내측면에 주름이 없어 매끄러웠기 때문에 고무 패킹(90)을 관(200)에 끼우는 동작이 단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관(211)의 외면과 고무 패킹(90')의 내측면에 나사부(2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패킹(90')이 관(211)에 회전에 의해 삽입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고무 패킹(90')과 관(210)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 수밀성이 높아지고, 고무 패킹(90')과 관로접속구(52)의 세밀한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더욱이, 맨홀의 본체(51)와 관(210)을 결합시킬 때, 볼트(80)와 고무 패킹(90')을 같이 회동시키게 되면 각 나사산 및 나사골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압밀되면서 볼팅에 의한 체결 효 과가 상승하기 때문에 체결력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상기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본체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맨홀의 본체(51')가 사각형인 것을 제외하면 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원형 맨홀의 본체(51)로 제시되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형의 맨홀의 본체(51')에도 적용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기술에 충분히 능숙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이 사각 또는 타원형 맨홀 본체 등 어떠한 맨홀 본체에도 적용 가능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내형틀 11: 맨홀하우징
12: 적재형틀 13: 퇴적수로부
14: 교차퇴적수로부 15: 고정구
20: 중심반구 21: 고정수로
22: 회동수로 30: 제 1단턱형성부
31: 제 2단턱형성부 40: 외형틀
41: 하우징 42: 퇴적수로
43: 주름부 44: 걸림홈
50: 맨홀 51, 51': 본체
52: 관로접속구 52a, 52b: 단턱
53: 걸림턱 59: 앵커 너트
60: 연직 61: 연직공
70: 덮개 71: 덮개공
79: 볼트 80: 앵커
90, 90': 고무패킹 91a: 체결공
91: 결합부 92: 연장부
100: 덧댐 링 100a: 보조공
110: 체결구 120: 보철 밴드
200, 210: 관 201: 하수로

Claims (5)

  1. 맨홀 하우징(11)과, 상기 맨홀 하우징(11)의 상부에 대응 적층되는 적재형틀(12)과, 상기 적재형틀(12)의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퇴적물 및 하수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퇴적수로부(13)와, 상기 퇴적수로부(13)와 상이한 방향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퇴적수로부(13)의 중단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되,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고정구(15)로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14)와, 상기 퇴적수로부(13) 및 교차퇴적수로부(14)의 외측을 향해 원형단면을 가지며 연장형성되는 제 1단턱형성부(30)와, 상기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며 제 1단턱형성부(30)에서 돌출되는 제 2단턱형성부(31)로 이루어지는 내형틀(10);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형틀(10)이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간에 내설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주름부(43)과, 상기 내형틀(10)이 내설된 하우징(41)의 내주연 상단에 파여지는 걸림홈(44)으로 이루어지는 외형틀(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2. 맨홀 하우징(11)과, 상기 맨홀 하우징(11)의 상부에 대응 적층되되 상면이 중심에서부터 사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적재형틀(12)과, 상기 적재형틀(12)의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퇴적물의 수집공간 및 원하는 방향의 퇴적수로(42)를 형성하도록 하는 중심반구(20)와, 상기 중심반구(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다방향 퇴적수로(42)를 형성하되, 입구로 사용되는 회동수로(22)로부터 출구로 사용되는 고정수로(21)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높이차를 형성하고, 입구로 사용되는 단일 또는 다수의 회동수로(22)는 고정수로(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회동수로(22)는 고정구(15)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개의 교차퇴적수로부(14)와, 상기 교차퇴적수로부(14)의 외측을 향해 원형단면을 가지며 연장형성되는 제 1단턱형성부(30)와, 상기 제 1단턱형성부(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며 제 1단턱형성부(30)에서 돌출되는 제 2단턱형성부(31)로 이루어지는 내형틀(10);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형틀(10)이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내입공간에 내설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주름부(43)과, 상기 내형틀(10)이 내설된 하우징(41)의 내주연 상단에 파여지는 걸림홈(44)으로 이루어지는 외형틀(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26438A 2010-12-10 2010-12-10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KR10113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438A KR101131831B1 (ko) 2010-12-10 2010-12-10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438A KR101131831B1 (ko) 2010-12-10 2010-12-10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831B1 true KR101131831B1 (ko) 2012-03-30

Family

ID=4614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438A KR101131831B1 (ko) 2010-12-10 2010-12-10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8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520B1 (ko) * 2006-07-13 2006-11-29 조주엽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0732475B1 (ko) * 2006-11-21 2007-06-28 조주엽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100843557B1 (ko) * 2007-11-14 2008-07-03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강화형 금속재 맨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520B1 (ko) * 2006-07-13 2006-11-29 조주엽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0732475B1 (ko) * 2006-11-21 2007-06-28 조주엽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100843557B1 (ko) * 2007-11-14 2008-07-03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강화형 금속재 맨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373B1 (en) Manhole assembly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JP5897339B2 (ja) 仮設トイレ用マンホールおよび仮設トイレ用配管設備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JP4505836B2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JP3592658B2 (ja) 排水路の形成方法および排水路装置
KR101131831B1 (ko) 가변 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US10745900B2 (en) Catch basin trap with flexible outlet pipe connector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20090028930A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KR100649520B1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102037249B1 (ko) 하수관 물막이장치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KR102382132B1 (ko)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CN216640821U (zh) 一种同层排水地漏
KR101798171B1 (ko) 집수정의 배수를 위한 연결구조
KR101038193B1 (ko) 가변인버터 타입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0428936Y1 (ko) 가변 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 이를 이용한 맨홀
JPH09189071A (ja) 排水桝と排水管と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