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078A -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 Google Patents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078A
KR20180006078A KR1020160086711A KR20160086711A KR20180006078A KR 20180006078 A KR20180006078 A KR 20180006078A KR 1020160086711 A KR1020160086711 A KR 1020160086711A KR 20160086711 A KR20160086711 A KR 20160086711A KR 20180006078 A KR20180006078 A KR 2018000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ainwater
wastewater
pipe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탁
Original Assignee
(주)한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8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078A/ko
Publication of KR2018000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3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와 오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 및 상기 우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우수로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오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를 포함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하수암거 내에 밀폐된 우수와 오수가 흐르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킴으로써, 우수와 오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수가 바닥수로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암거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SEWAGE CULVERT FOR SEPARATION EXCLUSION OF RAIN WATER AND WASTE WATER}
본 발명은 하수암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와 오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은 하수를 모아서 최종적으로 정화 처리하여 하천으로 배출하고, 이중 일부는 용수원으로 사용하게 되며, 오수는 정화 처리를 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야 하지만, 정화 처리가 필요없는 우수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면 처리용량이 증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우수는 직접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와 오수를 배제시키기 위해 하수관거를 설치하는데, 특히 배제시켜야 할 우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우수관로에 하수암거를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구분되는데, 합류식은 우수와 오수를 단일 관거를 통해 흘려 보내므로 정화 처리가 필요없는 우수도 함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게 되므로 처리 부하가 가중되며, 분류식은 우수와 오수를 서로 분류시키므로 별도의 관이 필요하여 관의 소요량, 설치 면적, 토사굴착 등에 따른 작업량, 비용 등이 증가하게 되고, 공사기간이 증가하여 교통통제, 소음 및 분진 발생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도 1에 도시된 특허문헌 1에는 하수암거(1) 내부에 폐비닐로 제작된 오수차단블록(2)을 바닥면에 시공하여 우수(R)와 오수(W)를 분리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한 하수구용 오수차단블록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오수차단블록에 의해 하수암거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고 있지만, 상측이 개방되어 우천시 오버플로가 발생되어 우수와 오수가 서로 혼합될 수 있고, 악취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기에 따라 하수가 적게 발생하거나 강우량이 적어서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적정 유속 확보가 어렵고, 정체로 인하여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4310호(2000.06.0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하수암거 내에 밀폐된 우수와 오수가 흐르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킴으로써, 우수와 오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악취 발생이 저감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수가 높은 수심을 형성하여 적정한 유속으로 흐르면서 원활하게 배제되고,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수가 바닥수로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암거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 및 상기 우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우수로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오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를 포함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수로는 상기 우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는 상기 오수로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수로는, 상측에 수직관이 연통 형성되며, 수직관의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우수로와 오수로는 바닥부에 인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우수로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요입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우수로는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되고, 오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 및 상기 오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오수로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우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를 포함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수로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요입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수로는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하수암거 내에 밀폐된 우수와 오수가 흐르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킴으로써, 우수와 오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악취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수가 높은 수심을 형성하여 적정한 유속으로 흐르면서 원활하게 배제되고,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수가 바닥수로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암거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수암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부 일측에 바닥수로가 형성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부 양측에 바닥수로가 형성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는 하나의 하수암거 내부에 우수와 오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우수와 오수가 흐르는 공간을 분리시켜 우수와 오수를 각각 별도로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서로 분리 구획되어 밀폐된 통로인 우수로(100) 및 오수로(200)를 구비한다.
상기 우수로(100)는 하수암거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사면이 밀폐된 통로로 이루어지며, 하수관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오수로(200)에 비하여 큰 통로 크기를 갖고 있어 우수가 대량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우수로(100)는 일측 또는 양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관로(110)가 연결되고, 상기 우수관로(11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하천 등으로 흘려 보내 배제시킨다.
상기 우수로(100)의 상부에는 우수용 맨홀(120)이 형성되고, 우수용 맨홀(120)에는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우수로(100)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오수로(200)는 상기 우수로(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우수로(100)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사면이 밀폐된 통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관로(210)가 연결되며, 상기 오수관로(2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흘려 보내 배제시킨다.
상기 오수로(200)는 상기 우수로(100)의 측면 하부에 상기 우수로(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110)가 상기 오수로(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오수로(2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우수로(1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우수는 오수와 별도로 우수로(10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수로(200)는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수직관(230)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230)의 상부에는 오수용 맨홀(220)이 형성되고, 오수용 맨홀(220)에는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우수로(100)와는 별개로 오수로(200)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우수로(100)와 오수로(200)는 바닥부에 인버터(130,240)가 각각 형성되어 시기에 따라 우수와 오수가 발생되는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양측부가 높고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게 형성된 유도판을 통하여 우수와 오수의 배출을 안내하여 정체를 방지함으로써 통로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계속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물질, 슬러지 등의 고형물이 퇴적되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우수로(100)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140)가 하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140)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150)가 형성되거나,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140)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140)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150)가 형성됨으로써,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는 슬로프(150)를 따라 우수가 바닥수로(140)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암거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수로(140)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좁은 폭과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유속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슬로프의 관로 경사가 3.0‰이고, 바닥부에 반경 25cm의 U형 바닥수로가 설치된 우수로(2.5×2.0m)를 갖는 하수암거(발명예)를 준비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슬로프와 바닥수로가 존재하지 않는 우수로(2.5×2.0m)를 갖는 하수암거(비교예)를 준비하여, 유량 비율에 따른 수심과 유속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유속증가율을 계산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량 비율이 0.1% ~ 1%의 저유량이 발생한 경우에 발명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유속이 70.4 ~ 122.1%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도 우수가 슬로프를 따라 바닥수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중앙에 우수로(100)가 형성되고 우수로(100)의 측면에 오수로(200)가 형성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와는 반대로 중앙에 오수로(200)가 형성되고 오수로(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우수로(100)가 형성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의 도면에서 우수로(100)가 오수로(200)가 되고, 오수로(200)가 우수로(100)가 되도록 바꾸면 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도면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하수관거의 중앙에 설치되고 오수관로(210)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220)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2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200)와, 상기 오수로(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오수로(200)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우수관로(110)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11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오수로(200)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요입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되거나,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는 하나의 하수암거 내에 밀폐된 우수와 오수가 흐르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배제시킴으로써, 우수와 오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악취 발생이 저감되고, 또한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수가 높은 수심을 형성하여 적정한 유속으로 흐르면서 원활하게 배제되고, 하수암거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수가 바닥수로로 유입되어 유속이 증가하므로 고형물의 퇴적과 부패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암거 내부의 준설과 청소, 점검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종래기술
1. 하수암거
2. 오수차단블록
R. 우수
W. 오수
*본 발명
100. 우수로
110. 우수관로
120. 우수용 맨홀
130. 인버터
140. 바닥수로
150. 슬로프
200. 오수로
210. 오수관로
220. 오수용 맨홀
230. 수직관
240. 인버터
R. 우수
W. 오수

Claims (9)

  1. 중앙에 설치되고, 우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 및
    상기 우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우수로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오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를 포함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로는 상기 우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는 상기 오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로는, 상측에 수직관이 연통 형성되며, 수직관의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로와 오수로는 바닥부에 인버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로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요입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로는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7. 중앙에 설치되고, 오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오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오수로; 및
    상기 오수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오수로와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설치되고, 우수관로가 연결되며, 상부에 우수용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로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배제시키는 통로가 되는 우수로를 포함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로는, 바닥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요입 형성되고, 바닥부는 상기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로는 바닥부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수로가 형성되고, 바닥부는 중앙에서 양측의 바닥수로를 향해 하향 경사진 슬로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KR1020160086711A 2016-07-08 2016-07-08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KR20180006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11A KR20180006078A (ko) 2016-07-08 2016-07-08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11A KR20180006078A (ko) 2016-07-08 2016-07-08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78A true KR20180006078A (ko) 2018-01-17

Family

ID=610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711A KR20180006078A (ko) 2016-07-08 2016-07-08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404A (zh) * 2021-04-20 2021-05-28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一种浮箱自控式雨污分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404A (zh) * 2021-04-20 2021-05-28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一种浮箱自控式雨污分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4247B (zh) 具有初期雨水弃流功能的混合流非下凹生物滞留池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CN105756180A (zh) 一种带水平格栅拦截装置的截流井
JP6069779B2 (ja) 多層式下水道管
CN110093966B (zh) 一种生物滞留设施溢流口结构
CN105863039A (zh) 截流井横置浮动拦渣装置
US7811450B2 (en) Swirl chamber with movable non-return valve and air injector for prevention of sedimentation in storm water and waste drains
KR101147561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20180006078A (ko)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KR20110000827A (ko) 우수 암거 구조체
CN209163002U (zh) 安全环保雨水井
CN107460938A (zh) 一种具有二次沉泥功能的渗透型道路雨水口
US10060117B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N104878823A (zh) 一种合流管道初期雨水截流蓄排系统及蓄排方法
CN103628562A (zh) 一种用于排水倒虹管的拦蓄自冲洗装置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CN209011279U (zh) 一种雨水分流净化系统
GB254453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lateral pipes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CN217460843U (zh) 一种减少淤泥堵塞的截流井
CN209011280U (zh) 一种用于雨水分流的雨水箅子
CN211200658U (zh) 一种城市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2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14

Effective date: 2018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