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651Y1 -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 Google Patents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651Y1
KR200355651Y1 KR20-2004-0007013U KR20040007013U KR200355651Y1 KR 200355651 Y1 KR200355651 Y1 KR 200355651Y1 KR 20040007013 U KR20040007013 U KR 20040007013U KR 200355651 Y1 KR200355651 Y1 KR 20035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eceiver
storm
bucket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로
권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썸
Priority to KR20-2004-000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노면에 내린 우수가 우수관을 통해 차집, 유출되는 과정에서 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일부분을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투수성을 가지며, 우수관을 통해 들어오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투수성 우수받이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가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우수받이의 측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설치되고, 게다가 우수받이의 내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버켓(bucke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A PERMEABLE RAINWATER TANK FACILITY SEPARABLE FROM SUSPENDED WASTES}
본 고안은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노면에 내린 우수가 우수관을 통해 차집, 유출되는 과정에서 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일부분을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투수성을 가지며, 우수관을 통해 들어오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기존의 우수받이(10)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우수받이(10)는 우수관을 통해 차집되는 우수룰 하수관 등으로 단순히 연결하여 배출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었다. 즉, 도시의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노면에 내린 우수는 우수관을 따라 우수받이(10)의 유입구(11)로 유입되어 단순히 하수관 등으로 연결된 유출구(12)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존의 우수받이(10)를 사용하면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노면 등에 내리는 우수의 대부분이 하수관 등으로 모두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대부분의 우수가 하수관 등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출되고 나면, 유출된 우수는 하수관거의 부하를 높게 하여 호우시 도시 침수등의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최근 들어 도시화가 가속화되는 추세에 따르면 더욱 심각해질 수도 있다.
또한 하수관거를 통한 우수의 유출은 도시 지하의 지하수 확보를 불가능하게 하여, 이로 인한 지하수 고갈과 지하수 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현실화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수 고갈로 인한 생태계의 불군형은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우수받이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면, 노면에 내린 우수가 우수관을 통해 차집, 유출되는 과정에서 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일부분을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투수성을 가지며, 우수관을 통해 들어오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우수받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의 사시도와 투수공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의 내부에 삽입되는 버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의 내부에 삽입되는 버켓의 공극 구조의 확대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우수받이 21 : 유입구
22 : 유출구 23 : 투수공
30 : 버켓 33 : 공극
이와 같은 본 고안이 목적은 우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우수받이로서,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가 상기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측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설치되고, 상기 우수받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버켓(bucket)을 포함하는 투수성 우수받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수공의 직경은 약 1cm 내지 5cm이고, 상기 다수의 투수공의 전체 면적은 상기 우수받이 측면의 면적의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수받이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버켓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켓의 공극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1 : 10 이상이고, 상기 공극의 가로 부분의 길이는 0.5cm 내지 2c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버켓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 단지 예시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우수받이(10)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우수받이(20)의 유입구(21)는 우수로(미도시) 등에 연결되고 유출구(22)는 하수관(미도시) 등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20)의 측면(25)에는 다수의 투수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우수받이(20)의 측면(25)에 형성되는 투수공(23)의 직경은 원활한 투수능 확보를 위해 1cm 내지 5cm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수받이의 전체 규격에 따라 그 직경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지하에 설치되는 우수받이(20)의 강도 확보를 위해 우수받이(20)의 측면(25)에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공의 면적은 우수받이(20)의 측면(25)의 약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우수받이(20)의 측면(25)에 형성되는 투수공(23)은 우수받이(20)를 성형할 때 거푸집의 측면에 다수의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20)의 재질은 콘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것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투수공(23')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기존의 우수받이(10)와는 달리 투수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우수받이(20)의 하부를 개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20)의 내부에는 다수의 공극(33)을 갖는 버켓(30)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우수받이(20)에 삽입되는 버켓(30)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이 가벼운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것은 이처럼 우수받이(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켓(30)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이나 부유물이 대량으로 우수받이(20)로 유입되는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여 우수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수받이(20)의 유입부(21)와 연결되는 부분(31)에서 버켓(30)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우수받이(20)의 유출구(22)와 연결되는 부분(32)에서는 우수받이(20)의 유입구(21)를 통해 우수와 함께 버켓(30)으로 들어오는 협잡물 등이 유출구(22)를 통해 하수관 등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것은 버켓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극(33)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버켓(30)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30)에 형성되는 다수의 공극(33)은 각각 직사각형의 모형을 가지며, 각 공극의 가로와 세로의 비가 대략 1 :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 공극의 가로의 길이는 0.5cm 내지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구성에 의하여,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우수의 대부분이 유출구(12)로 배출되는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우수받이(10)와는 달리, 본 고안에따른 투수성 우수받이(20)는 유입구(21)로 유입되는 우수의 일부는 유출구(22)를 통해 하수관 등으로 배수되지만, 그 나머지는 측면(25)에 형성된 투수공(23)이나 개방된 하부(24)를 통해 우수받이(20)가 설치되는 지하의 토양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은 지하 토양으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쇄석을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우수받이(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투수 시트를 설치하여 흙입자의 우수받이(20)로의 역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수받이(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켓(30)을 분리하여 청소함으로써 유입구(21)를 통해 우수와 함께 우수받이(20) 내부로 유입되는 협잡물 등을 용이하게 우수받이(20) 내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홈통받이(2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수받이(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유출구(22)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가 우수받이(20)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다수의 파이프를 거푸집의 측면에 삽입하여 그 측면에 다수의 투수공(23)을 갖는 우수받이(20)를 거푸집에서 성형한다. 그 다음에 거푸집에서 성형된 우수받이(20)의 내부로 다수의 공극(33)을 갖는 버켓(33)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를 제작할 수 있다.
거푸집에서 성형되는 우수받이(20)는 투수공(23) 및 하부(24)가 개방된 구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과 형태 및 규격, 재료를 동일하게 할 수도있으며, 우수받이(20) 내부에 탈부착이 용이한 플라스틱 버켓을 삽입하므로 그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유리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만 받아들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권리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우수 찻집 시설에 적용될 경우 우수의 침투로 유출량의 저감 및 지하수의 확보가 가능해 지고 우수내의 부유물과 협잡물을 제거하여 관거의 흐름이나 하천의 수질 확보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기존의 구조물과 시설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변경이나 개발 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우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우수받이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가 상기 우수받이가 설치되는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상기 우수받이의 측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설치되고,
    상기 우수받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버켓(buck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의 직경은 1cm 내지 5cm이고, 상기 다수의 투수공의 전체 면적은 상기 우수받이 측면의 면적의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버켓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공극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1 : 10 이상이고, 상기 공극의 가로 부분의 길이는 0.5cm 내지 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KR20-2004-0007013U 2004-03-15 2004-03-15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KR200355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13U KR200355651Y1 (ko) 2004-03-15 2004-03-15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013U KR200355651Y1 (ko) 2004-03-15 2004-03-15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71A Division KR20050092244A (ko) 2004-03-15 2004-03-15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651Y1 true KR200355651Y1 (ko) 2004-07-07

Family

ID=4934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13U KR200355651Y1 (ko) 2004-03-15 2004-03-15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109208426B (zh) 一种市政道路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JP2006118265A (ja) 雨水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163130B1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200355651Y1 (ko)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20050092244A (ko)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받이 및 그 제작 방법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CN220598037U (zh) 一种道路设计防水结构
KR200407746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CN217480370U (zh) 一种具有渗透、蓄水功能的排水沟
CN219569052U (zh) 一种简易室外雨水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