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52B1 -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52B1
KR102127152B1 KR1020190160321A KR20190160321A KR102127152B1 KR 102127152 B1 KR102127152 B1 KR 102127152B1 KR 1020190160321 A KR1020190160321 A KR 1020190160321A KR 20190160321 A KR20190160321 A KR 20190160321A KR 102127152 B1 KR102127152 B1 KR 10212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housing
housing
contaminated water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종훈
유승욱
이강연
김옥
박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이
상현종합건설 주식회사
강성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현토건
청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이, 상현종합건설 주식회사, 강성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현토건, 청목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이
Priority to KR102019016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일면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유출구가 구비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를 선회시키는 가이드판; 및 선회하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되는 협잡물을 포집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은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POLLUTIION USING SWIRL FLOW}
본 발명은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협잡물질의 배출원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생활하수나 공장폐수처럼 특정한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산재되어 있는 오염원으로서 정확한 유출경로를 확인하기 어렵고 유입이 비지속적이다. 특히 협잡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협잡물질이 희석,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비점협잡물질의 종류에는 토사, 유해세균, 중금속, 살충제, 협잡물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도시하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등 협잡물 처리시설을 대폭 확충해 오고 있으나, 그에 비하여 하천 등의 수질의 향상 정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점협잡물이 포함된 우수에 대한 처리가 부족하여 처리하지 못한 우수가 그대로 하천 등으로 유입되면서 주변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시설이나 우수관로에 설치되는 배수로 등을 통해 배수되는 우수 등은, 특히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에 대한 처리를 위해 비점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비점협잡물을 비롯한 협잡물을 저감할 수있는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유출구가 구비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를 선회시키는 가이드판; 및 선회하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되는 협잡물을 포집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은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판의 상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측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판;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판; 상기 제2 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제3 판; 및 하방향 연장되도록 상기 제3 판에 연결되는 제4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판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4 판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천장의 모서리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제외한 측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를 커버하는 메쉬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전된 협잡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가 지반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상부하우징(100), 가이드판(300), 하부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오염수(피처리수)는 가이드판(300)에 의해 상부하우징(100) 내에서 선회하며, 이에 따라 오염수 내에 포함된 협잡물(A)은 하부하우징(200) 내부로 침전 및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탈착가능할 수 있고, 하부하우징(200) 탈거 시, 포집된 협잡물(A)이 제거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상부하우징(100)의 하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은 서로 마주보는 일면과 타면을 구비할 수 있고, 일면과 타면은 직육면체의 상하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일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의 일면에는 유입구(10)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유출구(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10)는 오염수가 유입되기 위한 개구이며, 유출구(20)는 오염수가 처리된 후 유출되기 위한 개구이다. 유입구(10)와 유출구(20)는 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입구(10)는 상부하우징(100)의 내외부를 연통하며, 유출구(20) 역시 유입구(10)와 다른 측에서 상부하우징(100)의 내외부를 연통한다. 오염수는 일면으로 유입되어 상부하우징(100) 내에서 처리된 후 반대편인 타면으로 유출된다.
유출구(20)의 높이는 유입구(1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바닥에서 유출구(20)까지의 높이는 바닥에서 유입구(10)까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유출구(20)를 유입구(10)보다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오염수의 유출 전 체류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의 천장(내측 상면)에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곡면부는 상부하우징(100)의 천장의 모서리(두 면이 만나는 선형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부는 오염수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등에 도시된 곡면부(110)는 상부하우징(100)의 천장에서 유출구(20)까지 형성된다. 이러한 곡면부(110)는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유입구(10) 측에서 천장까지 연결되는 곡면부도 함께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곡면부는 유입구(10)로 회귀한 오염수를 유출구(20) 측으로 부드럽게 유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판(300)은 상부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판으로서, 유입구(10)로 유입된 오염수의 유동을 방해하는 한편, 오염수를 선회시킨다. 가이드판(300)은 오염수를 특정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판(300)의 상단은 상부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가이드판(300)의 상단은 상부하우징(10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오염수는 가이드판(300)을 따라 선회하여 유입구(10) 측으로 회귀한 후 가이드판(300)의 상단을 넘어갈 수 있다.
가이드판(300)의 측단은 상부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브판은 상부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300)의 폭은 상부하우징(100)의 내측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는 가이드판(300) 측부와 상부하우징(100) 사이로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판(300)의 측단은 상부하우징(100)의 4개의 내측면 중에, 상술한 유입구(10) 및 유출구(20)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유동하고, 가이드판(300)은 오염수의 유동을 가로막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00)은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킨 후 다시 상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방식으로 오염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오염수가 회전하면, 오염수 체류 시간이 길어지고, 오염수에 함유된 협잡물(A)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침전할 수 있다.
가이드판(300)은 복수의 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판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판(300)은 상기 유입구(10)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판(310);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판(3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판(320); 상기 제2 판(320)의 하부에 연결되고,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제3 판(330); 및 하방향 연장되도록 상기 제3 판(330)에 연결되는 제4 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310)은 유입된 오염수가 최초로 부딪히는 판으로서,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유출구(20) 쪽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310)의 단면은 유출구(20) 측으로 갈수록 접선기울기가 커지는 곡선일 수 있다.
한편, 제1 판(310)의 상단은 상부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데, 제1 판(310)의 상단이 상부하우징(100)의 내부 천장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수는 가이드판(300)을 따라 선회하여 유입구(10) 측으로 회귀한 후 제1 판(310)을 넘어서 유동할 수 있다.
제2 판(320)은 제1 판(310)의 끝에 연결되는 판으로서,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계속 유동시킬 수 있다. 제2 판(320)은 상부하우징(100)의 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320)은 상부하우징(100)의 유출구(20)가 형성된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유입구(10) 측으로 회귀한 오염수는 제1 판(310)을 넘어서 유동한 후, 제2 판(320)과 상부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판(330)은 제2 판(320)의 끝에 연결되는 판으로서, 오염수를 상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3 판(330)은 아래로 볼록하기 때문에 오염수가 제3 판(330)을 따라 U자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제4 판(340)은 제3 판(330)의 끝에 연결되는 판으로서,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부하우징(100)의 내측면 중 유입구(10)가 형성된 내측면과, 제4 판(340)은 서로 이격되며, 협잡물(A)은 상부하우징(100)과 제4 판(3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방향으로 침전할 수 있고,
제4 판(340)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4 판(340)은 수직하게 뻗은 제2 판(320)과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4 판(340)은 유출구(20)가 형성된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침전된 협잡물(A)은 오염수의 선회 방향에 따라 상방향으로 부유할 수 있으나 상술한 구조에 따른 제4 판(340)에 의해 협잡물(A) 부유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오염수 및 협잡물(A)이 유동(화살표 참조)을 살펴보면, 먼저 오염수는 유입구(10)를 통해 상부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판(310)과 부딪힌다. 오염수는 제1 판(310)에 의해 하방향으로 유동하기 시작하며 제2 판(320)에 의해 계속 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오염수는 제3 판(330)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턴할 수 있고, 유입구(10) 측으로 회귀할 수 있다. 한편, 제3 판(330)을 지난 오염수 일부는 제4 판(340)을 따라 하방향으로 계속 침강할 수도 있다.
유입구(10) 측으로 회귀한 오염수는 상술한 순서대로 반복 선회할 수 있으나, 오염수 일부는 제1 판(310)의 상단을 넘어, 제2 판(320)과 상부하우징(100) 내측면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수는 제4 판(340)과 상부하우징(100) 내측면 사이의 통로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유입구(10) 측으로 다시 회귀할 수 있다. 즉, 선회 경로가 두 가지일 수 있고, 선회 시간이 길어지면서 협잡물(A)이 효과적으로 침전될 수 있다.
오염수의 양이 증가하면, 상부하우징(100)은 오염수로 가득찰 수 있고, 오염수는 상술한 순서대로 선회할 수 있다.
협잡물(A)은 오염수의 선회에 따라 함께 선회하되 제4 판(340)을 따라 하방향으로 침전될 수 있다. 또한, 협잡물(A)은 오염수의 선회에 따라, 상방향으로 부유하기 위한 동력을 받을 수 있으나, 이러한 부유는 제4 판(34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가 계속 선회할수록 협잡물(A)은 대부분 침전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20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하부하우징(20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00)의 하면과 하부하우징(200)의 상면이 서로 연통된다.
선회하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되는 협잡물(A)은 하부하우징(200)에 포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전된 협잡물(A)은 다시 상방향으로 부유할 수 있는 힘을 받을 수는 있으나, 가이드판(300)에 의해 부유가 제한되며, 협잡물(A)은 계속적으로 하부하우징(200)에 침전 및 포집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00)의 바닥(내측 하면)에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곡면부는 하부하우징(200)의 바닥의 모서리(두 면이 만나는 선형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곡면부는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부는 오염수 및 협잡물(A)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등에 도시된 곡면부(210)는 하부하우징(200)의 바닥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곡면부(210)는 제2 판(320)과 상부하이장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오염수를 하부하우징(200) 내에서 유동시킬 수 있다. 협잡물(A) 역시 곡면부(210)를 침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메쉬구조물(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구조물(400)은 유출구(20)를 커버하도록 상부하우징(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쉬구조물(400)은 유출구(20) 주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메쉬구조물(400)은 협잡물(A)을 여과할 수 있다. 협잡물(A)의 크기에 따라 메쉬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판(300)에 의해 선회하고 유출구(20) 측으로 회귀한 오염수는 유출구(20)를 지나는 경로로 다시 한번 선회할 수 있는데, 이 때 오염수 일부는 유출구(20) 측으로 유출될 수 있고, 메쉬구조물(400)은 오염수 내 협잡물(A)을 걸러낼 수 있다. 걸러진 협잡물(A)은 제2 판(320)과 상부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하부하우징(200)으로 포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탈착 가능하다. 하부하우징(200)이 탈거되고 그 내부에 포집된 협잡물(A)은 제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100)에는 하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홈이 구비되고, 하부하우징(200)에는 상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홈이 구비되어,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100)이 하부하우징(200)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00)에는 상부하우징(100)의 하단이 안착되는 스토퍼(22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200)이 상부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의 하단은 하부하우징(200)에 대해 돌출(120)될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상부하우징(100)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구조물(130)과 하부하우징(200)의 상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결합구조물(230)이 서로 접착,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들 결합구조물은 상부하우징(100) 및 하부하우징(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방식 외에,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방식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가 지반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반(1)에 수용부(1a)가 형성되고,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상기 지반(1)의 수용부(1a)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a)는 지반(1)이 파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는 지반(1)과 연결되어 우수 등의 오염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유출구(20) 역시 지반(1)과 연결되어 처리된 오염수를 지반(1)으로 배출할 수 있다.
유입구(10)는 별도의 유입관(30)(30)을 매개로 지반(1)과 연결될 수 있다. 유출구(20) 역시 별도의 유출관(40)(40)을 매개로 지반(1)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10)가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유입구(10) 파이프가 직접 지반(1)에 삽입될 수 있다. 유출구(20)가 파이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유출구(20) 파이프가 직접 지반(1)에 삽입될 수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우수 등의 오염수는 상부하우징(100)으로 유입된 후 하부하우징(200)에 포집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서로 분리된 경우, 포집된 협잡물(A)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200)에, 포집된 협잡물(A)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는 하부하우징(200)의 일면(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는 별도의 배출관(50)과 연결될 수 있고, 협잡물(A)은 배출구 및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에는 배출펌프가 구비될 수 있고, 배출펌프에 의해 협잡물(A)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사시도이고, 도 10(a)는 측면도, 도 10(b)는 배면도, 도 11은 상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제외한 측면(140)에는 복수의 홀(14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홀(141)은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하우징(100)의 유입구(10) 및 유출구(20)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140)에, 복수의 홀(141)이 구비된 타공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홀(141)은 협잡물(A)을 여과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1)의 수용부(1a)에 매립된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에서, 우수 등의 오염수는 유입구(10)를 통해 상부하우징(100)으로 유입되었다가 측면(140)의 복수의 홀(141)을 통해 일부 유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협잡물(A)은 홀(141)에 의해 걸러지고 침전하여 하부하우징(200)에 포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유입구
20: 유출구
100: 상부하우징
200: 하부하우징
300: 가이드판
400: 메쉬구조물

Claims (10)

  1. 일면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유출구가 구비된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염수를 선회시키는 가이드판; 및
    선회하는 오염수로부터 침전되는 협잡물을 포집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은 탈착가능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측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상단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천장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오염수를 하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판;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판;
    상기 제2 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제3 판; 및
    하방향 연장되도록 상기 제3 판에 연결되는 제4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타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4 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된 협잡물이 상기 상부하우징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4 판은 하단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오염수는,
    상기 제1 판, 상기 제2 판, 상기 제3 판의 내측면을 따라 선회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제1 판의 상부를 넘어 상기 제2 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타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는 제2 경로와, 상기 제1 판의 상부를 넘어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제3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경로로 이동하는 오염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상기 제4 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되고,
    상기 제2 경로로 이동하는 오염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침전하여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되고,
    상기 유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타면에 결합되는 메쉬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경로로 이동하는 오염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상기 메쉬구조물에 의해 걸러져, 상기 제2 판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타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되는,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높이보다 큰,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천장의 모서리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부가 형성된,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제외한 측면에는 복수의 홀이 마련된,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포집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10. 삭제
KR1020190160321A 2019-12-05 2019-12-05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212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21A KR102127152B1 (ko) 2019-12-05 2019-12-05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21A KR102127152B1 (ko) 2019-12-05 2019-12-05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52B1 true KR102127152B1 (ko) 2020-06-29

Family

ID=7140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21A KR102127152B1 (ko) 2019-12-05 2019-12-05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77A (ko) * 2020-06-23 2021-12-30 김규형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164B1 (ko) * 1996-06-21 1999-08-02 요지 모리 유수의 회수분리장치
KR100900054B1 (ko) *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100050279A (ko)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초기강우 여과장치
KR20100051103A (ko) * 2008-02-19 2010-05-14 가부시키가이샤 하넥스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036019B1 (ko) * 2010-12-30 2011-05-23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JP4729590B2 (ja) * 2008-02-04 2011-07-20 株式会社ハネックス 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164B1 (ko) * 1996-06-21 1999-08-02 요지 모리 유수의 회수분리장치
JP4729590B2 (ja) * 2008-02-04 2011-07-20 株式会社ハネックス 分離装置
KR20100051103A (ko) * 2008-02-19 2010-05-14 가부시키가이샤 하넥스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20100050279A (ko) * 2008-11-05 2010-05-13 주식회사 선양엔지니어링 초기강우 여과장치
KR100900054B1 (ko) *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36019B1 (ko) * 2010-12-30 2011-05-23 주식회사 엘엔에이치환경기술공사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77A (ko) * 2020-06-23 2021-12-30 김규형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KR102441762B1 (ko) * 2020-06-23 2022-09-07 김규형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6486A1 (en)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US9108864B2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WO2015161339A1 (en)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KR102127152B1 (ko)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US11414852B2 (en) Removable trash filter basket with hinged wier for catch basins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US20210404169A1 (en) Volume controlled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802483B1 (ko) 탈착식 여과장치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1106390B1 (ko) 볼텍스 트랩 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561092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KR10126449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634268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130014462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