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490B1 -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490B1 KR101264490B1 KR1020110006973A KR20110006973A KR101264490B1 KR 101264490 B1 KR101264490 B1 KR 101264490B1 KR 1020110006973 A KR1020110006973 A KR 1020110006973A KR 20110006973 A KR20110006973 A KR 20110006973A KR 101264490 B1 KR101264490 B1 KR 101264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portion
- space
- rainwater
- outlet
- init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221 initi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suspended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우수가 와류형도류판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부상되는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과 침전되는 고형물을 처리하는 와류형처리부, 상기 와류형처리부를 거쳐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상단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우수는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및 수평으로 수중에 설치된 섬유상필터를 갖고, 상기 연결부를 거친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이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함에 따라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필터링 후 배출되는 필터형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와류형처리부에 유입시켜 와류현상에 의해 부상되는 오일 및 부유물과 침전되는 고형물을 분리처리하여 1차 처리하고, 1차 처리된 우수를 연결부를 거쳐 섬유상필터 하부로 유입되며, 수평으로 설치된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여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여과시켜 2차 처리함에 따라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침전 및 여과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와류형처리부에 유입시켜 와류현상에 의해 부상되는 오일 및 부유물과 침전되는 고형물을 분리처리하여 1차 처리하고, 1차 처리된 우수를 연결부를 거쳐 섬유상필터 하부로 유입되며, 수평으로 설치된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여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여과시켜 2차 처리함에 따라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침전 및 여과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와류시킨 후, 수중에 수평으로 설치된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시키는 2차례의 처리과정을 거침에 따라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침전 및 여과처리시킬 수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은 가정 등에서 나오는 생활하수, 공장폐수, 배설물 또는 자연으로 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이 하수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맑고 안전한 물로 정화 처리하여 자연하천, 호수 등으로 방류하거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으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근래 하수처리장 확충과 하수관거 정비사업에도 불구하고, 강우초기에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이 전체 오염부하량의 30 ~ 40%정도로 해안이나 하천 및 호소의 수질악화 및 공중위생환경을 저해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으로 초기우수 처리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보통 자연지형에서 주택단지나 산업단지로 개발될 경우 빈번한 차량 통행과 유동인구로 인하여 많은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이 도로 및 우수받이 등에 쌓이게 되고, 우천시에 해안으로 유출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며, 협잡물과 부유물등은 일차적으로 인근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심미적 오염원이 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대책을 미리 강구하고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설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와류되어 부유물과 침전물로 1차 처리하는 와류형처리부와 1차 처리된 우수가 상측으로 유입되어 하측으로 유출시키는 연결부 및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면서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형처리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효과적으로 초기우수를 여과처리할 수 있다.
특히, 필터형처리부는 수평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거친 1차 처리된 우수에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용이하게 필터링하여 초기우수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및 제3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공간부는 제1공간부와 동일한 깊이와 길이를 갖되, 폭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공간부의 폭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합친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공간부는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유입구와 제2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1유출구를 갖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1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제1유출구와 연통)와 제3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를 갖으며, 상기 제3공간부는 제2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3유입구(제2유출구와 연통)와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3유출구를 갖고, 1차 처리된 우수가 상기 제2공간부에서 제3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의 통공방향은 우수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의 통공방향과 직교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 구비되어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를 와류시킴에 따라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며,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고,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되는 와류형처리부, 상기 제2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류형처리부를 거쳐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제2유입구를 통해 상단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는 제2유출구를 통해 제3공간부의 하단으로 유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3공간부에 구비되며, 수평으로 섬유상필터를 갖고, 상기 연결부를 거친 1차 처리된 우수가 제3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함에 따라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이 필터링되며, 상기 제3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형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호 연통된 상기 제1유출구와 제2유입구는,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유출구의 반대방향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형처리부는,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가 와류형도류판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고, 상기 와류형처리부의 하측인 제1공간부의 하단부에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분리경사판이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부의 하단부에 침전저장부를 구획함에 따라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며,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와류형도류판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1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와류형처리부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으로 좁아지는 주머니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그물코가 형성되어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나 부유물 등의 고형물이 걸러져 포집되는 걸림망, 및 상기 걸림망의 그물코를 통과한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이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공간부의 하단부만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배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망의 다공을 통과한 우수가 상기 배플에 의해 상단 및 중간부가 폐쇄된 제1공간부의 내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와류가 발생되되, 배플에 의해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고,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며,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배플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상필터는, 다수의 끈상 섬유상여재가 판상으로 배열된다.
또한, 배열된 끈상의 섬유상여재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되, 이 고정부재는 섬유상여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상필터는, 판상으로 직조된 섬유상여재이다.
또한, 상기 섬유상필터는 상하로 다수 개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상필터는, 상기 필터형처리부의 높이방향 중간부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관리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공간부는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어 세척이나 교체작업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필터는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테두리를 따라 고정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은 제3공간부에 고정되며, 다수의 통공을 갖는 보호망이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섬유상필터의 상측 혹은 하측 혹은 상/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망은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턱이 상기 제3공간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와류형처리부에 유입시켜 와류현상에 의해 부상되는 오일 및 부유물과 하측으로 침전되는 고형물을 분리처리하여 1차 처리하고, 1차 처리된 우수가 연결부를 거쳐 하측으로 유출되며, 침수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여 수중의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여과시켜 2차 처리함에 따라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침전과 부상 및 여과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섬유상필터의 상측에 관리공간부가 확보되어 섬유상필터의 여재 세척이나 교체 시에 유지관리 공간으로 사용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와류형처리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 와류형처리부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B-B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부와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C-C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와류형처리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 와류형처리부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B-B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부와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C-C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와류형처리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 와류형처리부의 A'-A'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와류형처리부와 연결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B-B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부와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C-C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필터형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섬유상필터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우수 처리장치(10)는 비가 오기 시작한 후, 지상의 오염물을 포함한 초기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일이나 부유물 및 침전물과 유기물 등이 와류형처리부와 필터처리부의 두 가지 처리과정을 거쳐 처리됨에 따라 우수가 배출되는 강과 호수 및 바다 등에서 우수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초기우수 처리장치(10)는 와류형처리부(100)와 연결부(200) 및 필터형처리부(300)로 구성되고,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 및 제3공간부(600)로 구획되어 각각 구비되며, 제2공간부(500)는 제1공간부(400)와 동일한 깊이와 길이를 갖되, 폭은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공간부(600)의 깊이는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의 깊이와 동일하고, 폭은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의 합친 폭과 동일하며, 제1공간부(400)는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유입구(150)와 제2공간부(500)로 유출되기 위한 제1유출구(160)를 갖는다.
제2공간부(500)는 제1공간부(400)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220 : 제1유출구와 연통)와 제3공간부(600)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230)를 갖는다.
또한 제3공간부(600)는 제2공간부(500)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3유입구(330 : 제2유출구와 연통)와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3유출구(340)를 갖는다.
이때, 1차 처리된 우수가 제2공간부(500)에서 제3공간부(600)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230)의 통공방향은 우수가 제1공간부(400)에서 제2공간부(500)로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220)의 통공방향과 직교된다.
이러한 초기우수 처리장치(10)에 의한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 및 제3공간부(600)의 우수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와류형처리부(100)는 제1공간부(400)에 구비되어 제1유입구(150)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를 와류시킴에 따라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며,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고,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제1유출구(160)를 통해 제2공간부(500)로 유출된다.
즉, 유입된 초기우수의 1차 처리과정이다.
그리고 연결부(200)는 제2공간부에 구비되며, 와류형처리부(100)를 거쳐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제2유입구(220)를 통해 상단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는 제2유출구(230)를 통해 제3공간부(600)의 하단으로 유출된다.
이 연결부(200)는 1차 처리된 초기우수를 필터형처리부(300)로 이동시키되, 와류형처리부(100)에서 상단으로 유입된 우수를 필터형처리부(300)의 하단으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또한 필터형처리부(300)는 제3공간부(600)에 구비되며, 수평으로 섬유상필터(320)를 갖고, 연결부(200)를 거쳐 1차 처리된 우수가 제3유입구(330)를 통해 유입되어 섬유상필터(32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함에 따라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필터링 후 제3유출구(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초기우수를 2차 처리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와류형처리부(100)와 연결부(200) 및 필터형처리부(300)를 거쳐 2차례 처리된 초기우수는 지하에 매설된 우수관(20) 또는 우수박스로 유출되어 흐름에 따라 초기우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오염 방지는 하천이나 호수 및 바다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초기우수 처리장치(10)의 와류형처리부(100)와 연결부(200) 및 필터형처리부(300)는 상호 연통된 각각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와류형처리부(100)는 제1공간부(400)에, 연결부(200)는 제2공간부(500)에, 필터형처리부(300)는 제3공간부(600)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는 제2유입구(220)에 의해 상단부에서 상호 연통되고, 제2공간부(500)와 제3공간부(600)는 제2유출구(230)에 의해 하단부에서 상호 연통된다.
이때, 도 1 내지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공간부(500)에서 제3공간부(600)로 초기우수가 유출되는 방향은 제1공간부(400)에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직교된다.
이는, 제1공간부(400)에서 유입되는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제3공간부(600)로 이동되는 속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필터형처리부(300)로 유입되는 유속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연통된 제1유출구(160)과 제2유입구(220)는 제1공간부(400)와 제2공간부(50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제2유출구(230)의 반대방향 일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공간부(500)로 부상되는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제2유출구(230)와의 거리를 확보하여 제2공간부(500) 전 공간에 걸쳐 우수가 흐르도록 하여 사수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와류형처리부(100)를 살펴보면,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공간부(400)에 구비되어 제1유입구(150)를 통해 초기우수가 와류형도류판(120)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부상되는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과 하측으로 침전되는 고형물을 처리하게 된다.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되어 1차 처리된 우수는 와류형도류판(12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1유출구(160)를 통해 제2공간부(500)로 유출된다.
그리고 와류형처리부(100)의 하측인 제1공간부(400)의 하단부에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분리경사판(130)이 구비되어 제1공간부(400)의 하단부에 침전저장부(140)를 구획한다.
다시 말해, 제1공간부(400)는 분리경사판(130)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침전저장부(140)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와류형도류판(12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류형도류판(12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초기우수 유입관(30)에 의해 와류형도류판(120)의 내부와 우수관(20)이 연통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초기우수는 와류형도류판(120)에 의해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와류형도류판(120)에 의해 초기우수에서 부유물과 침전물이 분리되고, 오일과 스티로폼 및 나뭇가지 등의 부유물은 상측으로 부상되며, 침전물은 분리경사판(130)의 침전공(132)을 통해 침전저장부(140)에 침전 및 저장된다.
여기서, 분리경사판(130)은 중앙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침전저장부(140)로 침전된 고형물이 새로 유입된 초기우수에 의해 다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와류형처리부(1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망(110')과 배플(120')로 구성된다.
먼저, 걸림망(110')은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으로 좁아지는 주머니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그물코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망(110')은 제1유입구(150)를 통해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나 부유물 등의 고형물이 걸러져 포집된다.
그리고 배플(120')은 걸림망(110')의 그물코를 통과한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이 제1유출구(16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공간부(400)의 하단부만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와류형처리부(100')에 의한 1차 처리과정은 제1유입구(150)를 통해 초기우수가 걸림망(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걸림망(110')의 그물코를 통과하지 못하는 부상되는 쓰레기나 부유물 등의 고형물이 걸림망(110')에 걸려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걸림망(110')의 그물코를 통과한 우수는 배플(120')에 의해 상단 및 중간부가 폐쇄된 제1공간부(400)의 내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와류가 발생되되, 배플(120')에 의해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고,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며,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배플(12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이동되어 제1유출구(160)를 통해 제2공간부(400)로 유출된다.
필터형처리부(300)는 도 1과 도 7 내지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필터(3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섬유상필터(320)는 제3공간부(600)의 높이방향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며 3차 처리된다.
다시 말해, 섬유상필터(320)는 수중에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공간부(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터형처리부(300) 즉, 제3공간부(600)의 높이방향 중간부나 하측부에 설치됨에 따라, 섬유상필터(320)의 상측에는 일정 관리공간부(610)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관리공간부(610)는 섬유상필터(320)의 여재 세척이나 교체 시,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세척이나 교체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섬유상필터(320)는 다수의 끈상 섬유상여재가 판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통과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끈상의 섬유상필터(32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는 것으로, 2차 처리 시, 오염물을 필터층에 억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즉, 필터링할 수 있는 량과 효과를 증대시켜 여과지속시간이 길어져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된 끈상의 섬유상여재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부재(33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배열된 끈상의 섬유상여재를 상호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킴에 따라 판상 형태를 유지함은 물론, 여과 처리효율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30)는 끈상의 섬유상여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된다.
한편, 섬유상필터(320)의 다른 실시 예로, 섬유상여재가 판상으로 직조된 것으로, 통과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판상으로 직조된 섬유상필터(32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는 것으로, 2차 처리 시, 오염물을 필터층에 억류하여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즉, 필터링할 수 있는 량과 효과를 증대시켜 여과지속시간이 길어져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형처리부(300)를 거쳐 2차 처리된 우수는 처리수 유출관(40)을 통해 우수관(20)이나 우수박스 등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필터(320)는 테두리를 따라 고정틀(350)이 구비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보호망(360)이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측 혹은 하측 또는 상/하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틀(350)은 섬유상필터(320)의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테두리를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은 섬유상필터(320)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의 양단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고정틀(350)은 제3공간부(600)에 고정되어 섬유상필터(3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망(360)은 섬유상필터(320)의 상측 혹은 하측 혹은 상/하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섬유상필터(320)를 보호하도록 일정 강도를 유지함에 따라 세척이나 교체작업 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망(360)은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턱(370)에 의해 제3공간부(6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턱(370)은 제3공간부(6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3공간부(600)에는 섬유상필터(32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미 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고정홈은 섬유상필터(3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틀(350)과 보호망(360)의 고정을 위한 고정턱(370)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유입구(220)의 저부는 제3유출구(340)의 저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2공간부(500)의 수위와 제3공간부(600)의 수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처리되는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10 : 초기우수 처리장치 20 : 우수관
30: 초기우수 유입관 40 : 처리수 유출관
100, 100' : 와류형처리부 120 : 와류형도류판
130 : 분리경사판 132 : 침전공
140 : 침전저장부 110' : 걸림망
120' : 배플 150 : 제1유입구
160 : 제1유출구 200 : 연결부
220 : 제2유입구 230 : 제2유출구
300 : 필터형처리부 320 : 섬유상필터
330 : 제3유입구 340 : 제3유출구
400 : 제1공간부 500 : 제2공간부
600 : 제3공간부 610 : 관리공간부
30: 초기우수 유입관 40 : 처리수 유출관
100, 100' : 와류형처리부 120 : 와류형도류판
130 : 분리경사판 132 : 침전공
140 : 침전저장부 110' : 걸림망
120' : 배플 150 : 제1유입구
160 : 제1유출구 200 : 연결부
220 : 제2유입구 230 : 제2유출구
300 : 필터형처리부 320 : 섬유상필터
330 : 제3유입구 340 : 제3유출구
400 : 제1공간부 500 : 제2공간부
600 : 제3공간부 610 : 관리공간부
Claims (10)
-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및 제3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공간부는 제1공간부와 동일한 깊이와 길이를 갖되, 폭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공간부의 폭은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합친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공간부는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유입구와 제2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1유출구를 갖고,
상기 제2공간부는 제1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제1유출구와 연통)와 제3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를 갖으며,
상기 제3공간부는 제2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3유입구(제2유출구와 연통)와 외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3유출구를 갖고,
1차 처리된 우수가 상기 제2공간부에서 제3공간부로 유출되기 위한 제2유출구의 통공방향은 우수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제2공간부로 유입되기 위한 제2유입구의 통공방향과 직교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 구비되어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를 와류시킴에 따라 오일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며,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고,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되는 와류형처리부;
상기 제2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류형처리부를 거쳐 1차 처리된 초기우수가 제2유입구를 통해 상단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는 제2유출구를 통해 제3공간부의 하단으로 유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3공간부에 구비되며, 수평으로 섬유상필터를 갖고, 상기 연결부를 거친 1차 처리된 우수가 제3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상필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함에 따라 포함된 미세한 고형물과 유기물질 등이 필터링되며, 상기 제3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형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와류형처리부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으로 좁아지는 주머니 형상이며, 외주면을 따라 그물코가 형성되어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쓰레기나 부유물 등의 고형물이 걸러져 포집되는 걸림망; 및
상기 걸림망의 그물코를 통과한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이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공간부의 하단부만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배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망의 다공을 통과한 우수가 상기 배플에 의해 상단 및 중간부가 폐쇄된 제1공간부의 내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와류가 발생되되, 배플에 의해 부유성 오염물과 오일 등은 수면으로 부상이 촉진되고, 고형물은 하측으로 침전 및 저장되며, 오염물과 고형물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배플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연통된 상기 제1유출구와 제2유입구는,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유출구의 반대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필터는,
다수의 끈상 섬유상여재가 판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배열된 끈상의 섬유상여재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되, 이 고정부재는 섬유상여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필터는,
판상으로 직조된 섬유상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필터는 상하로 다수 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필터는,
상기 필터형처리부의 높이방향 중간부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관리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공간부는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어 세척이나 교체작업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필터는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테두리를 따라 고정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틀은 제3공간부에 고정되며,
다수의 통공을 갖는 보호망이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섬유상필터의 상측 혹은 하측 혹은 상/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망은 전후 혹은 좌우 혹은 전후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턱이 상기 제3공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24500 | 2010-12-07 | ||
KR1020100124500 | 2010-12-0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8780A Division KR20130014462A (ko) | 2012-12-18 | 2012-12-18 | 초기우수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410A KR20120063410A (ko) | 2012-06-15 |
KR101264490B1 true KR101264490B1 (ko) | 2013-05-14 |
Family
ID=4668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6973A KR101264490B1 (ko) | 2010-12-07 | 2011-01-24 | 초기우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4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129B1 (ko) * | 2013-09-30 | 2014-05-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다단식 지하유입구 |
WO2020059966A1 (ko) * | 2018-09-18 | 2020-03-2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사형 다단식 나선 지하유입구 |
-
2011
- 2011-01-24 KR KR1020110006973A patent/KR10126449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410A (ko) | 201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4022B1 (ko)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US9108864B2 (en) |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 |
KR100862740B1 (ko) |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987316B1 (ko) |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 |
KR101015625B1 (ko) |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KR100904177B1 (ko) |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KR101249741B1 (ko) |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 |
KR101196653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605267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KR20130021598A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564083B1 (ko) |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 |
KR10091331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 |
WO2015161339A1 (en) |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 |
KR102624472B1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244122B1 (ko)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1479462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493478B1 (ko) |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807192B1 (ko) |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036944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
KR101005589B1 (ko) |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 |
KR101264490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956138B1 (ko) |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