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090Y1 -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 Google Patents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090Y1
KR200167090Y1 KR2019990016303U KR19990016303U KR200167090Y1 KR 200167090 Y1 KR200167090 Y1 KR 200167090Y1 KR 2019990016303 U KR2019990016303 U KR 2019990016303U KR 19990016303 U KR19990016303 U KR 19990016303U KR 200167090 Y1 KR200167090 Y1 KR 200167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ewer
roadside
support plat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준
Original Assignee
박정서
박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서, 박찬준 filed Critical 박정서
Priority to KR2019990016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관한 본 고안은, 도로변의 하수구 피트(pit)내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하수와 함께 흘러들어오는 오물을 받아들여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는, 도로변의 하수구피트로 하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담배꽁초나 낙엽 토사 또는 기타 쓰레기들을 필터링하여 하수관으로 흘러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나 하천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에 쓰레기가 쌓여 하수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각종 오물이나 토사가 하수관에 쌓이지 않으므로 하수관의 준설회수를 현격히 줄일 수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Filter installed in sewer of road}
본 고안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의 하수구 피트(pit)내에 설치되어 오물을 걸러내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도로변에는 빗물이 곧바로 배수되도록 하수구피트(pit)가 시설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구피트는 눈이나 특히 비가 많이 올 경우 도로에 내린 물을 지하로 흘려보내는 배수시설이다.
그런데, 공지의 사실과같이 눈이나 비가 많이 올 경우 도로에 버려져 있던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기타 쓰레기들은 빗물과 함께 하수구피트로 흘러가 배수된다. 보통 하수구피트에는 커버가 씌워져 있어 크기가 큰 쓰레기는 걸러져 피트 내부로 흘러들지 않지만, 담배꽁초나 기타 작은 쓰레기 및 토사등은 커버를 통과하여 하수구피트내로 흘러들게 된다. 특히 눈이 올 경우 도로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모래나 염화칼슘을 뿌리는데, 이러한 것들은 도로에 남아있다가 결국 하수구피트로 흘러들어간다.
상기 하수구피트에는 지하의 메인하수관으로 통하는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오물이나 토사로 인해 하수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수 가 있다. 또한 오물이나 토사가 메인하수관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메인하수관에 쌓이게 되고, 이로인한 준설이 필요하게 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하수관의 준설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 준설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하수관을 교체하는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시설운용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인하수관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들은 지하수나 하천으로 배수되므로 결국 도로상의 오물들이 빗물에 쓸려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빗물과 함께 하수구피트로 흘러드는 담배꽁초나 낙엽 토사 또는 기타 쓰레기들을 필터링하여 지하수나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관에 오물이 쌓임으로써 하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준설의 회수를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배수가 항상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가 하수구피트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그물망을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하수구피트(pit) 13,14:지지플레이트
15,16:필터 17:다리
19,20:커버 21:구멍
23:하수관 25:손잡이
27:그물망 31:지지부재
33:바닥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변의 하수구피트(pit)로 유입되어 하수관으로 흐르는 오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피트 내부에 설치되어 하수와 함께 흘러들어오는 오물을 받아들여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4개의 측벽과 바닥면을 갖는 바구니의 형태를 취하며 그물망조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를 하수구피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측벽과 바닥면을 가지며, 그물망조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를 하수구피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하수구피트내에 설치되는 하수관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복수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유출된 하수는 지지플레이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의 내측에는 2겹 내지 4겹의 그물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및 지지플레이트는 합성수지류 또는 금속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는, 도로변의 하수구피트(11)내에 설치되어, 빗물에 떠내려오는 담배꽁초나 낙엽 토사 또는 기타 쓰레기(이하, 오물)를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기구는 하수구피트(11) 바닥면(도 2의 33)에 지지되어 일정 높이로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13)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에 놓여져 설치되는 바구니형태의 필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는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서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1)은 흘러드는 빗물을 밑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임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를 하수구피트(11)의 바닥면(33)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위치시키기 위해 복수의 다리(17)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17)는 지지플레이트(13)를 최소한 하수관(도 2의 23)보다 높게 위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13)는 물과 직접 접하므로 부식에 강한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합성수지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는 필터(15)를 지지하므로 필터(15)의 무게에 견딜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의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15)는 그물망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마치 바구니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상기 필터(15)의 바닥면은 지지플레이트(13)에 접하고, 네 측면은 하수구피트(11)의 내측벽에 접한다.
상기 필터(15)의 그물망 구조는 15메시(mesh) 내지 25메시 정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물망의 성김정도는 필터(15)의 사용처 및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필터(15)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손잡이(2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5)는 잡기 편리하도록 필터(15)의 내측벽에 설치한다. 따라서 필터(15)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25)를 잡고 필터(15)를 하수구피트(11)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25)를 필터(15)의 내측벽에 설치하였지만, 손잡이는 실시예에 따라 필터(15)의 외측벽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참조부호 19는 커버로서 하수구피트(11)를 덮는 공지의 커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를 하수구피트내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수구피트(11)의 바닥면(33)에 지지플레이트(13)가 일정높이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 위에는 필터(15)가 올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는 다리(17)에 의해 하수관(13)보다 높은 위치로 수평을 이루며 지지되어 하부로 하수가 원활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터(15)는 하수구피트(15)의 내측벽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필터(15)의 외측으로 오물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있어서, 빗물이 각종 오물과 함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하수구피트(11)내로 흘러들게 되면, 오물은 필터(15)에 의해 걸러지고 빗물만이 필터(15)를 거쳐 지지프레이트(13)의 구멍(21)을 통해 화살표 b방향으로 하수관(23)을 빠져나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15)내에 걸러진 오물들이 쌓이게 되면, 커버(19)를 들어내고 손잡이(25)를 잡아 필터(15)를 들어올려 청소를 한다. 손잡이(25)가 필터(15)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손잡이(25)를 잡기가 용이하여 그만큼 청소가 쉽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그물망을 설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설치되는 필터(15)의 내측에 그물망(27)이 더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물망(27)은 지지부재(31)에 의해 지지되어 필터(15)의 내측벽 및 바닥면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물망(27)과 필터(15)의 이격거리는 지지부재(3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상기 그물망(27)도 필터(15)와 마찬가지로 바구니와 같은 형태를 취하며 15메시 내지 25메시의 그물망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그물망(27)을 한 개만 설치하였지만 상기 그물망은 실시예에 따라 3개 또는 4개 까지도 얼마든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물망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필터링효과가 증가함은 물론이다.
상기 그물망(27)의 테두리부에는 손잡이(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부재(31)에 의해 필터(15)와 그물망(27)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물망(27)을 들어올리면 필터(15)도 함께 들어올려진다. 그러나 필터(15)에도 도 2에서처럼 손잡이(25)를 설치 할 수 도 있다. 이는 그물망(27)과 필터(15)를 완전히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그물망(27)과 필터(15)를 별도로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 필요하다. 즉, 그물망(27)과 필터(15)사이에 오물이 흘러들었을 경우에는 그물망과 필터(15)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이 때에는 그물망(27)과 필터(15)에 각각의 손잡이가 있어야 용이한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있어서, 하수구피트(11)내로 오물과 함께 흘러드는 빗물은 그물망(27)과 필터(15)를 거쳐, 지지플레이트(13)의 구멍(21)을 통해 하수관(23)을 따라 지하로 유동한다. 이 때 빗물과 함께 흐르던 각종 오물은 그물망(27)과 필터(15)에 의해 2차에 걸쳐 걸러지므로, 하수관(23)으로 배수되는 물에는 부유쓰레기가 섞여 있지 않다. 따라서 메인하수관이나 지하수로 쓰레기가 흘러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구멍(21)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온 빗물은 지지플레이트(13)의 하부에서 하수관(23)으로 원활히 빠져나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는 다리(17)에 의해 최소한 하수관(23)의 높이보다 높이 위치하므로, 하수관피트(11)의 바닥에 모여 흐르는 빗물은 지지플레이트(13)에 닿지 않고 원활히 흐를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기구는 원통형의 맨홀에 적합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맨홀은 둥근 형상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기구도 맨홀의 피트(pit)형상에 대응하여 둥근형태를 취한다.
먼저, 맨홀의 피트(11)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4)는 둥근 원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에는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다수의 다리(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리(17)는 지지플레이트(14)를 바닥에 대해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의 상부에는 원통형의 필터(16)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6)는 그물망의 구조를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두 개의 손잡이(25)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그물망은 대략 15메시 내지 25메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20은 맨홀 커버이다.
아울러, 상기 필터(16)내에 원통형의 그물망(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상기 그물망은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내에 지지되며 오물을 필터링하는 망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2실시예에 따른 필터기구에 있어서, 커버(20)를 통해 피트(11)내로 유입하는 오물은 필터(16)를 통해 걸러지며, 필터(16)를 통과한 빗물은 지지플레이트(14)의 구멍(21)을 통해 지하고 배출된다. 그러므로 빗물에 떠내려온 오물은 필터(16)에 의해 걸려져 지하로 흘러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는, 도로변의 하수구피트로 하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기타 쓰레기들을 필터링하여 하수관으로 흘러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나 하천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에 쓰레기가 쌓여 하수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배수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각종 오물이나 토사가 하수관에 쌓이지 않으므로 하수관의 준설회수를 현격히 줄일 수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도로변의 하수구피트(pit)로 유입되어 하수관으로 흐르는 오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피트 내부에 설치되어 하수와 함께 흘러들어오는 오물을 받아들여 필터링하는 필터(15,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5)는 4개의 측벽과 바닥면을 갖는 바구니의 형태를 취하며 그물망조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는 손잡이(25)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15)를 하수구피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측벽과 바닥면을 가지며, 그물망조직으로 형성되고 측벽에는 손잡이(25)가 마련되며, 상기 필터(16)를 하수구피트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14)는 하수구피트(11)내에 설치되는 하수관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복수의 다리(17)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15,16)를 통과하여 유출된 하수는 지지플레이트(13,14)의 구멍(21)을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내측에는 2겹 내지 4겹의 그물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지지플레이트는 합성수지류 또는 금속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19990016303U 1999-08-10 1999-08-10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167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303U KR200167090Y1 (ko) 1999-08-10 1999-08-10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303U KR200167090Y1 (ko) 1999-08-10 1999-08-10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090Y1 true KR200167090Y1 (ko) 2000-02-15

Family

ID=1958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303U KR200167090Y1 (ko) 1999-08-10 1999-08-10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090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40B1 (ko) * 2007-07-30 2008-11-10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 정화장치
KR101036279B1 (ko) 2009-12-10 2011-05-23 최희택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1270468B1 (ko) * 2011-06-20 2013-06-04 이경섭 집수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50072596A (ko) 2013-12-20 2015-06-30 공태현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제조방법
KR20150145563A (ko) 2014-06-20 2015-12-30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성을 확보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KR20160007914A (ko) 2014-07-10 2016-01-21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60093976A (ko) 2015-01-30 2016-08-09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60134597A (ko) 2016-09-18 2016-11-23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2A (ko)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0A (ko)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220041990A (ko) 2020-09-25 2022-04-04 (유)종합테크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40B1 (ko) * 2007-07-30 2008-11-10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 정화장치
KR101036279B1 (ko) 2009-12-10 2011-05-23 최희택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1270468B1 (ko) * 2011-06-20 2013-06-04 이경섭 집수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50072596A (ko) 2013-12-20 2015-06-30 공태현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제조방법
KR20150145563A (ko) 2014-06-20 2015-12-30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성을 확보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KR20160007914A (ko) 2014-07-10 2016-01-21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60093976A (ko) 2015-01-30 2016-08-09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60134597A (ko) 2016-09-18 2016-11-23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2A (ko)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0A (ko)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220041990A (ko) 2020-09-25 2022-04-04 (유)종합테크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US8608956B2 (en) Curb inlet catch basin filtration apparatus
US5744048A (en) Clog resistant storm drain filter
KR200167090Y1 (ko)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100032075A (ko) 오물수거기구가 부착된 지하통로용 커버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US10704246B2 (en) In-ground stormwater collection and pretreatment filtration systems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40114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100132223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스틸 그레이팅 덮개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100557657B1 (ko) 쓰레기 수거망
US20200399883A1 (en) Surface Drain Precursor Screen
KR200234827Y1 (ko) 오물받이가 설치된 측구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