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22A -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 Google Patents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22A
KR20180063522A KR1020160163342A KR20160163342A KR20180063522A KR 20180063522 A KR20180063522 A KR 20180063522A KR 1020160163342 A KR1020160163342 A KR 1020160163342A KR 20160163342 A KR20160163342 A KR 20160163342A KR 20180063522 A KR20180063522 A KR 2018006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rating
drainage
grating fil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인택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Priority to KR102016016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522A/ko
Publication of KR2018006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 그레이팅 홀 패턴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만 각각 대응하도록 다수의 필터모듈이 배열되어 구성되는 그레이팅 필터가 상기 그레이팅의 패턴 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 필터는 상기 그레이팅 상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는 개방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로 구성되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일측에 마련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을 감지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값을 측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받은 수신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A drain hole grating filter having a drainage rate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해당하는 배수구 거름망이며, 더불어 배수구의 배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통해 강우량에 따라 배수 능력을 실시간을 검출할 수 있어 배수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 고속도로, 주택가, 건물, 공장 등 임의의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지면으로는 일정 거리마다 배수로로 연결된 배수구를 설치하여 노면으로 내린 빗물이 배수구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구는 노면으로 열려 있는 단순 개구부이므로 토사, 돌, 나뭇가지, 낙엽, 담배꽁초 등 다양한 쓰레기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것들은 배수구 및 배수로의 막힘을 초래하므로 상기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차량이나 사람이 배수구에 추락되지 않도록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배수구 뚜껑에 해당하는 격자상 구조의 그레이팅(grating)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그레이팅은 금속재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며 외부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배수성의 충분한 원활함을 위하여 격자 패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배수구 그레이팅은 사용자들이 무단으로 투척하는 담배꽁초나 쓰레기 또는 가로수에서 발생되는 낙엽 등 다양한 이물질들이 유입되어 배수구 피트 내에 이물질이 쌓인다.
배수구 피트에는 지하의 메인하수관으로 통하는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비가 오면 피트 내에 투척된 이물질들이 하수관내로 그대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하수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또한, 각종 오물이나 토사가 메인하수관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메인하수관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한 준설이 필요하게 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하수관의 준설은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 준설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하수관을 교체하는 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들은 지하수나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결국 도로상의 오염물들이 빗물에 쓸려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비점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 필터가 개발되었으나, 현재까지 상용화되고 있는 제품은 극히 일부에 해당하며 상용화 제품의 경우에도 제품의 효율성이 매우 낮아 시장 활성화가 미약한 상태이다.
특히, 기존의 제품들의 경우 일반적인 금속제 그레이팅이 설치된 배수구에서 그레이팅을 해체한 후 하부에 필터를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할 때에도 그레이팅을 해체한 후 이물질을 수거해야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배수구의 가장 큰 재난적 문제점은 배수구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우천시 배수구가 완전 막혀 침수의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가 최근에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배수구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에 의하거나, 악취로 인한 고의적인 배수구 폐쇄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데, 현재까지는 배수구의 배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배수구 막힘으로 인한 침수의 초동조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KR 10-2014-0000178호 KR 20-0229336호 KR 20-0167090호 KR 10-1181873호 KR 10-0965793호 KR 10-2011-0050784호 KR 20-233162호 KR 20-2009-0007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구의 배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배수구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원천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이팅 격자 패턴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연속 구조의 필터모듈로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필터를 제조할 때 구조의 간소화, 제조 공정의 용이성을 제고하여 제조 시간 단축, 제조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화된 구조를 통해 필터모듈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필터링의 최적화와 동시에 배수 기능을 확장시킨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구 그레이팅 홀 패턴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만 각각 대응하도록 다수의 필터모듈이 배열되어 구성되는 그레이팅 필터가 상기 그레이팅의 패턴 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 필터는 상기 그레이팅 상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는 개방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로 구성되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일측에 마련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을 감지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값을 측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받은 수신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우천 시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량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이상의 우천시 상기 검출부에서 유속량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시그널을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한 홀 또는 두 개 이상의 홀에 배치되며, 그 상부면으로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강화유리로 덮어져 몰딩(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필터는 실시간 배수율 검출을 기능을 가져 원격에서 모니터링 하여 배수가 원활하지 않거나 배수구가 막혔을 경우 긴급 조치반을 통해 조치할 수 있어 재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과 필터모듈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생산 효율성을 만족하면서 조립 구조가 간소화되고, 내구성, 기능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립 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 금속재의 베이스 프레임을 적용하여 제품 내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 필터 제조 공정 방식에 의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 필터모듈 내에 구성된 배수율 검출 수단을 통해 우천 시 배수구로 빗물이 잘 유입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여기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기 때문에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필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검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태양광 패널모듈과 투명판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는, 배수구 그레이팅 홀 패턴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만 각각 대응하도록 다수의 필터모듈이 배열되어 구성되는 그레이팅 필터가 상기 그레이팅의 패턴 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 필터는 상기 그레이팅 상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는 개방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로 구성되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일측에 마련되어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을 감지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값을 측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받은 수신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는, 배수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동시에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배수율 검출 기능의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 특성을 충분히 확장시킨 조립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과 더불어 제품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1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필터(100)는 격자형 구조를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grating)에서 격자 홀에 각각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모듈(300; 도 4)이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필터모듈(300)은 바람직하게는 그레이팅 필터 양측에 설치되는 필터모듈은 짧은 필터 모듈이 설치되고, 나머지 위치에 대해서는 보다 길이가 긴 구조의 필터모듈이 적용된다. 이것은 배수구 그레이팅이 하수구에 설치될 때 가장자리에는 그레이팅 안착을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금속 구조물에 지지되어 있어 상기 필터모듈이 하부측으로 관통할 수 없기 때문에 양측을 제외한 나머지 홀로만 필터모듈이 삽입되도록 길이가 긴 필터모듈이 삽입되며, 도 3에 도시에서는 양측으로 길이가 짧은 필터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관통이 되지 않는 부분까지 짧은 필터모듈을 적용함으로써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도면에서는 가로축으로 2줄의 필터모듈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그레이팅의 사이즈에 따라 필터모듈의 배열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도면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그레이팅 필터(100)를 구성할 때 구조의 간소화, 제조의 용이성, 생산 비용 절감, 높은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00)의 구성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필터모듈의 구성을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요지로 본다.
아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20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이캐스트(die casting) 공법을 통해 성형되며 주요 재료로는 알루미늄(Al) 또는 아연(Zn)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레이팅 필터(100)가 그레이팅에 삽입되었을 때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10)가 그레이팅의 I-bar(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금속 구조체)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가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그 중간 중간으로 그레이팅의 배수 홀과 대응하는 개방부(240) 마련되며 이 홀 내측으로 필터모듈이 결합될 때 하부측에 형성된 리브(240)에 의해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면 베이스 프레임(200)의 바닥측으로는 개방부(220)의 양측을 기준으로 리브(240)가 나란히 배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양측으로 마련된 각각의 리브(240)에는 필터모듈이 고정 결합될 수 있기 위한 걸림부(230)가 마련되어 있어 베이스 프레임 하부측에서 양측에 마련에 리브 사이로 필터모듈이 진입하면 걸림부(230)에 결합된다.
베이스 프레임의 한 셀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하부측으로 길게 2개의 리브(240)가 성형되고 상기 리브(240)와 지지부(210)의 경계면으로 리브 길이방향에 따라 관통된 걸림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관통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형 설계에 따라 리브 상에 요입 가공되도록 준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형성된 개방부(220) 하부측으로 필터모듈이 상기 리브(240) 내측으로 진입하여 수직하게 결합되어 개방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모듈에 의해 필터링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200)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구성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을 통해 공정 시간 단축과 원가 절감을 실현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가공할 수 있지만, 합성수지를 통한 사출 성형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의 구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필터모듈의 조립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필터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베이스 프레임의 개방부(220)에 고정 결합되어 개방부를 통해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들을 필터링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은 대략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여기에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모듈(300)은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계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의 강도나 사용 특성을 고려하여 금속/비금속계열의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은 전면에 모두 다공 구조를 가지며 상부면 즉,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면은 개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다공 구조의 필터모듈은 소정크기의 이물질에 해당하는 담배꽁초, 쓰레기, 낙엽 등의 걸러내고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은 하수구로 빠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의 타공 사이즈를 제어하여 일반 이물질뿐만 아니라, 모레, 자갈, 토사 등의 입경 사이즈에 따라 타공 사이즈를 제어하여 필터링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의 필터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터모듈의 높이를 기준으로 임의의 지점, 바람직하게는 중앙 지점에서 하부측으로는 직경이 작은 타공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는 직경 크기가 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것은 하부측으로는 조밀한 타공 구조를 가지고 작은 이물질도 쉽게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상부측에 마련된 직경이 큰 타공의 경우 배수의 원활함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타공 직경 크기를 제어하여 이물질 종류에 따라 필터링 효율성과 배수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필터모듈 상부측 개방부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지지면(320)과 걸림(330)이 형성된다. 앞서 베이스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할 때 간략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지지면은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될 때 리브의 내측면으로 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지지면 중앙부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걸림턱(3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걸림부(230)에 걸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330)은 상기 지지면의 한 영역에 해당되고 일정 길이만큼의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과 조립 시 탄성을 갖도록 절개 부분이 마련되어 있어 내/외측으로 임의의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필터모듈 조립 시 걸림턱으로 안쪽으로 접혀진 후 걸림부에 위치하면 원위치로 회복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조립이 되면 필터모듈은 걸림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베이스 프레임과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230)와 걸림턱(330)의 구조를 길이형 구조로 제안하여 걸림 고정의 견고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베이스 프레임과 필터모듈의 제조상 용이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검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의 그레이팅 필터는 배수율을 검출하는 검출부(40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41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20), 검출된 신호값을 통신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430)을 포함하여 외부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장치는 배수구로 유입되는 배출수의 속도와 시간당 배수량 등 배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검출부(400)는 유속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배수구 필터에 검출부를 구성하는 이유는 도로 배수구에 이물질들 적재로 인하여 배수구가 막히면 침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각 배수구의 배수율을 측정한다.
제어부(410)는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배수율값을 획득한 후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달하여 외부 관제센터까지 전송하게 된다.
즉, 지역별 배수구의 배수율을 통합 관제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검출부에 해당하는 유속센서는 그레이팅 필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필터모듈 내측으로 설치되어 배수되는 우수를 검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필터모듈을 가지는 그레이팅 필터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검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장자리측으로 가장 먼저 우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초기 우수부터 배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이며, 반드시에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검출부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430)은 검출부에서 측정된 배수율값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통합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무선통신모듈은 바람직하게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 많은 지역에 설치된 배수구의 정보를 최종 통합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추가적인 중계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태양광 패널모듈과 투명판의 분리도다.
배수율 측정 장치를 구성할 때 상기 전원부(420)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충전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을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를 가진다. 도로에는 매우 많은 배수수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전국에는 400만개 이상의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 기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모듈을 적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로 구성하며,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 상부측으로는 투명판(450)이 구성되는데, 이것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태양광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구성된다. 투명판은 강화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와 같은 고강도 투명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터 상부 일측으로 실링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첫 번째, 그레이팅 필터(100)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필터모듈(300)로 각각 구성되어 제조 공정의 용이성, 조립 용이성, 제품 내구성 등 생산 및 제품 만족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매우 간단한 조립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만족도 높은 그레이팅 필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는 실시간 배수율 검출을 기능을 가져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배수가 원활하지 않거나 배수가가 막혔을 경우 긴급 조치반을 통해 조치할 수 있어 재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그레이팅 필터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지지부
220 : 개방부
230 : 걸림부
240 : 리브
300 : 필터모듈
310 : 몸체
320 : 지지면
330 : 걸림턱
400 : 제어부
410 : 검출부
420 : 전원부
430 : 무선통신모듈
440 : 접속커넥터
450 : 투명판

Claims (6)

  1. 배수구 그레이팅 홀 패턴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만 각각 대응하도록 다수의 필터모듈이 배열되어 구성되는 그레이팅 필터가 상기 그레이팅의 패턴 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 필터는 상기 그레이팅 상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는 개방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로 구성되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일측에 마련되어 우천 시 유입되는 빗물을 감지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값을 측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받은 수신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로 구현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우천 시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량을 검출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이상의 우천시 상기 검출부에서 유속량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경보 시그널을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의 한 홀 또는 두 개 이상의 홀에 배치되며, 그 상부면으로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강화유리로 덮어져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도로 배수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163342A 2016-12-02 2016-12-02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42A KR20180063522A (ko) 2016-12-02 2016-12-02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42A KR20180063522A (ko) 2016-12-02 2016-12-02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22A true KR20180063522A (ko) 2018-06-12

Family

ID=6262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42A KR20180063522A (ko) 2016-12-02 2016-12-02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522A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90Y1 (ko) 1999-08-10 2000-02-15 박정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233162Y1 (ko) 1998-09-16 2001-08-07 김득진 우수(雨水)피트커버(pit cover)
KR200229336Y1 (ko) 1998-04-08 2001-09-17 종 환 이 화장솜용상자
KR200393565Y1 (ko) * 2005-06-15 2005-08-23 김수광 구역 및 제수변 소출력 유수량 관리 시스템
KR20090000740U (ko) 2007-07-20 2009-01-23 (주)오성에스이엠 적외선을 이용한 교육용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
KR100965793B1 (ko) 2009-01-21 2010-06-24 이기선 도로용 배수구의 여과장치
KR100986311B1 (ko) * 2010-01-28 2010-10-08 김은희 발열기능을 구비한 그레이팅 장치
KR20100123498A (ko) * 2009-05-15 2010-11-24 장광호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KR20110050784A (ko) 2009-11-09 2011-05-17 박판석 이물질 차단 맨홀 그레이팅
KR101181873B1 (ko) 2009-08-19 2012-09-18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140000178A (ko) 2012-06-22 2014-01-02 공태현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KR20140005465A (ko) * 2012-07-04 2014-01-15 정형식 스트레이너 유지 관리 장치
KR101639625B1 (ko) * 2015-10-27 2016-07-14 구자홍 교량의 원격 제어 배수 시스템
KR200480951Y1 (ko) * 2016-02-03 2016-07-27 주식회사 새온누리그린테크 막힘경보 및 악취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장치
KR20160093976A (ko) * 2015-01-30 2016-08-09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36Y1 (ko) 1998-04-08 2001-09-17 종 환 이 화장솜용상자
KR200233162Y1 (ko) 1998-09-16 2001-08-07 김득진 우수(雨水)피트커버(pit cover)
KR200167090Y1 (ko) 1999-08-10 2000-02-15 박정서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200393565Y1 (ko) * 2005-06-15 2005-08-23 김수광 구역 및 제수변 소출력 유수량 관리 시스템
KR20090000740U (ko) 2007-07-20 2009-01-23 (주)오성에스이엠 적외선을 이용한 교육용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
KR100965793B1 (ko) 2009-01-21 2010-06-24 이기선 도로용 배수구의 여과장치
KR20100123498A (ko) * 2009-05-15 2010-11-24 장광호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KR101181873B1 (ko) 2009-08-19 2012-09-18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110050784A (ko) 2009-11-09 2011-05-17 박판석 이물질 차단 맨홀 그레이팅
KR100986311B1 (ko) * 2010-01-28 2010-10-08 김은희 발열기능을 구비한 그레이팅 장치
KR20140000178A (ko) 2012-06-22 2014-01-02 공태현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필터
KR20140005465A (ko) * 2012-07-04 2014-01-15 정형식 스트레이너 유지 관리 장치
KR20160093976A (ko) * 2015-01-30 2016-08-09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101639625B1 (ko) * 2015-10-27 2016-07-14 구자홍 교량의 원격 제어 배수 시스템
KR200480951Y1 (ko) * 2016-02-03 2016-07-27 주식회사 새온누리그린테크 막힘경보 및 악취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8354B1 (en) Rainwater drain contaminant filtration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KR102227149B1 (ko) 침수 경보장치
CN108867239B (zh) 城市道路雨水收集利用自调节系统
CN105332416A (zh) 一种自动翻转式雨水口截污装置
US20150218785A1 (en) Automated roof runoff management system
CN106088297B (zh) 仓库排水沟入口防堵装置
KR200480951Y1 (ko) 막힘경보 및 악취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장치
CN104863247A (zh) 带过滤功能的下水道雨篦子
CN110439087B (zh) 一种基于v形过滤结构的智能平箅式雨水井
CN205171658U (zh) 一种自动翻转式雨水口截污装置
KR20190139420A (ko) 오물투척방지용 자동개폐식 빗물받이 덮개
KR20180063522A (ko)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60093976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CN208430430U (zh) 一种公路桥路面排水装置
KR20090017869A (ko)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CN210797827U (zh) 一种便于清理的雨水篦子
KR102569525B1 (ko)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CN214117280U (zh) 一种建筑施工排水结构
KR102374849B1 (ko)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CN105401643A (zh) 免开启防堵井盖装置
CN209798970U (zh) 一种排水井盖
KR20170142282A (ko) 토사받이가 구비된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KR20180063520A (ko)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CN110593387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泄水井盖
CN218405756U (zh) 一种雨水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