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498A -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498A
KR20100123498A KR1020090042753A KR20090042753A KR20100123498A KR 20100123498 A KR20100123498 A KR 20100123498A KR 1020090042753 A KR1020090042753 A KR 1020090042753A KR 20090042753 A KR20090042753 A KR 20090042753A KR 20100123498 A KR20100123498 A KR 2010012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lighting module
illumination function
illumin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호
Original Assignee
장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호 filed Critical 장광호
Priority to KR102009004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498A/ko
Publication of KR2010012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빗물)나 생활오수 등을 집수 및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집수로 및 배수로에 장착되는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트렌치는, 트렌치(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조명모듈(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트렌치(100)에 조명모듈(60)을 설치함으로서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별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조명에 의한 미려한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트렌치, 그레이팅, 발광다이오드, LED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Trench Having Light}
본 발명은 우수(빗물)나 생활오수 등을 집수 및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집수로 및 배수로에 장착되는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렌치 몸체에 조명모듈을 장착하여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 바닥, 도로변 등과 같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우수)이나 오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는 바닥에는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 배수하기 위한 트렌치가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트렌치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작이 간편한 격자틀로 이루어져 일정한 단일 길이의 사각형 형태로 제작되거나, 부분적으로 제작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트렌치는 배수의 편리성과 작업 간편을 위한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나 운전자 등에게 식별력이 떨어져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단순한 외관에 따른 미감이 적기 때문에 환경미화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용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돌출면이나 곡면 등에서의 운행 차량의 유도 또는 안전식별력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주행안정성을 위한 식별표식 장비를 설치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렌치에 조명모듈을 설치하여 조명에 따른 식별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별기능으로 보행자나 운전자 등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주행안정성을 이루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으로 미려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는
트렌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렌치에 조명모듈을 설치함으로서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식별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조명에 의한 미려한 연출이 가 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조명에 의한 미려한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구조를 저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동 A-A선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동 B-B선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설치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렌치(100)는, 배수로 방향으로의 몸체(10)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0)와, 상기 걸림돌기(20)와 대응하는 타측에 형성된 체결홈(30) 그리고 상면의 배수구멍(40)을 통하여 배수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수평 돌출되는 수평걸림부(21)와 걸림유도홈(22)이 일체성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30)은, 상기 걸림돌기(20)의 수평걸림부(21)가 삽입되며 이와 같이 구비된 결속수단에 의해 다수개의 트렌치(1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평걸림부(21)가 체결홈(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수평걸림부(21)에 끼워 맞춤되는 결합관(50)을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부 평면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된 조명모듈(60)을 수용하는 수용부(70)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70)의 상부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투광판(80)이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트렌치(100)커버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배수로 방향으로의 몸체(10)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0)와 상기 걸림돌기(20)와 대응하는 타측에 형성된 체결홈(30)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상면에는 배수구멍(40)이 형성되어 트렌치(100)를 배수구에 설치할 때 배수를 원활하게 하면서 양호한 집수상태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트렌치(100)를 배수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중복되게 배치할 때 상기 걸림돌기(20)를 상기 체결홈(30)에 삽입시킴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일측에 길게 돌출된 걸림돌기(20)를 대응하는 체결홈(30)에 삽입하고 걸림돌기(20)의 수평걸림부(21)에 결합관(50)을 끼워 주면 걸림돌기(20)에 형성된 걸림유도홈(22)과 결속되므로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0)의 수평걸림부(21)에 결합관(50)을 끼워주면 더욱 견고한 결속상태가 되므로 다수개 연결된 트렌치(100)를 한 번에 들어올려도 이탈됨이 없으므로 연결상태가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조립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해체작업시에는 상기 조립작업의 역 동작으로 진행하면 간편하고 용이 한 해체가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몸체(10) 좌측 또는 좌우 양측 단부에는 수용부(70)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조명모듈(6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70)의 상부에는 투광판(80)이 부착되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한다.
물론 상기 투광판(80)은 내부 조명모듈(6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를 설치한 후, 상기 조명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투광판(80)을 통해 외부로 빛이 비추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명모듈(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투광판(80) 대신 집광판(미도시)을 부착하여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는 투광판(80)의 일부는 집광판으로 구성하고 일부는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몸체(10)의 일측 투광판(80)은 집광판으로 구성하고, 타측만 투광판(8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트렌치(100) 주변에 집광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각 조명모듈(60)마다 장착 연결할 수도 있고, 1개의 배터리로 전체 조명모듈(6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트렌치(100)가 설치되는 장소는 주변에 가로등과 같이 상 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가로등 등과 같이 상용전원(미도시)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으로부터 전원을 연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1개의 전원장치로부터 전체 트렌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트렌치(100)와 트렌치(100)가 결합될 때, 상기 조명모듈(60)간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조명모듈(60)간 연결은 별도의 배선을 이용하여 각 트렌치(100) 하부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조명모듈(60)의 전원단자가 트렌치(100)외주면의 소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각 트렌치(100)와 트렌치(100)를 결합하면 동시에 전원단자들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상기 걸림돌기(20)와 체결홈(30)에 전원단자를 위치시켜 걸림돌기(20)가 체결홈(30)에 결합되면 전원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호유도작용을 이용하여 전원단자가 서로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도 전원을 공급이 되도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배수로 방향으로 한줄 또는 두줄의 빛이 발광된다.
한편, 상기 조명모듈(60)은 트렌치(100)의 다른 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리브(90)가 존재하는데, 그 중 중앙부의 리브(90)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수용홈에 조명모듈(60)을 장 착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조명모듈(60)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트렌치(100)의 전,후면 배수구멍(40)측으로 비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100)의 전,후면에 위치한 리브(90) 안쪽에 상기 조명모듈(60)을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도 역시 상기 조명모듈(60)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트렌치(100)의 전,후면 배수구멍(40)으로 비추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명모듈(60)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된 기판(61)과, 상기 기판(6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6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판(62)은 내부 기판(61)을 보호 및 방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배수로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조명이 발광된다.
이때, 당연히 상기 설명한 3곳의 위치에 모두 조명모듈(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60)을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마련된 수용홈에 본딩작업을 하여 장착할 수도 있고, 레이저 융착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몸체(1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된 조명모듈(60)은 몸체(10)의 가장자리를 밝혀주고,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다른 조명모듈(60)은 몸체(10)의 하부에서 조명되어 배수구멍(40)를 통하여 빛을 밝혀주는 조 명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로를 따라 조명을 하게 되므로 배수로 영역표시를 항상 주위에 인식시킬 수 있고, 상기 식별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이용하면 공원 등에서는 미려한 연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트렌치(100)는 RFID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황실 등에 마련되어 있는 중앙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 상황실 등 원격에서 트렌치(100)의 발광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난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트렌치(100)가 분리되는 경우 상황실에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반대로 연결작업 시, 임의의 트렌치(100)를 분리해도 연결되어 있는 다른 트렌치(100)들은 계속하여 발광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신뢰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동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동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100)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트렌치(100) 10 : 몸체(10)
20 : 걸림돌기(20) 21 : 수평걸림부(21)
22 : 걸림유도홈(22) 30 : 체결홈(30)
40 : 배수구멍(40) 50 : 결합관(50)
60 : 조명모듈(60) 61 : 기판(61)
62 : 보호판(62) 70 : 수용부(70)
80 : 투광판(80) 90 : 리브

Claims (12)

  1. 배수로 방향으로의 몸체(10) 일측에 수평 돌출되며 수평걸림부(21)와 걸림유도홈(22)이 일체성 있게 형성된 걸림돌기(20)와;
    상기 걸림돌기(20)와 대응하는 타측에 형성된 체결홈(30)과;
    상기 몸체(10) 상면에 형성된 배수구멍(40)과;
    상기 트렌치(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조명모듈(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2.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조명모듈(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상기 트렌치(100) 상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된 수용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판(80)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상기 트렌치(1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리브 중, 중앙부의 리브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상기 트렌치(1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리브 중, 배수로 방향의 전후면에 위치한 리브에 마련된 수용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6. 제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100)를 연속하여 배치하는 경우, 상기 각 조명모듈(60)은 서로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태양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60)은 상용전원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조명모듈(60)의 발광상태를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트렌치(100)가 분리되면 중앙제어시스템에 알람이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100)는
    상기 수평걸림부(21)가 체결홈(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수평걸림부(21)에 끼워 맞춤되는 결합관(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100).
KR1020090042753A 2009-05-15 2009-05-15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KR20100123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53A KR20100123498A (ko) 2009-05-15 2009-05-15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753A KR20100123498A (ko) 2009-05-15 2009-05-15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98A true KR20100123498A (ko) 2010-11-24

Family

ID=4340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753A KR20100123498A (ko) 2009-05-15 2009-05-15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3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22A (ko) *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22A (ko) * 2016-12-02 2018-06-12 (주)아이디어위즈벤처스 배수율 검출 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그레이팅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41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경계석
KR101986162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도로표지병
KR100729910B1 (ko)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US10424173B1 (en) Lighted piling cap
KR20100045325A (ko) 횡단보도
KR1011843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20100110974A (ko) 볼라드용 인식장치
KR100934620B1 (ko)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KR102200051B1 (ko)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KR20100123498A (ko) 조명기능을 갖는 트렌치
KR20120029011A (ko) 보행자 신호 연동형 횡단보도 안전 유도시스템
KR101975331B1 (ko)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CN210052255U (zh) 一种道路智能警示装置及道路智能警示系统
KR200420428Y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볼라드
KR20110000509U (ko) 휀스용 조명장치
KR102433056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신호등
KR200380684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경계석
KR20120108428A (ko) 펜스
KR20110116432A (ko) 태양발전식 자전거 도로 매설용 안전유도등
CN210052299U (zh) 一种智能人行道发光警示模组
KR20090010666U (ko) 태양전지 볼라드
JP3007937U (ja) 自発光式点滅表示器
KR101362737B1 (ko) 자전거 거치대
KR101556080B1 (ko) 솔라셀 전원공급형 감지 등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