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49B1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4849B1 KR102374849B1 KR1020190112664A KR20190112664A KR102374849B1 KR 102374849 B1 KR102374849 B1 KR 102374849B1 KR 1020190112664 A KR1020190112664 A KR 1020190112664A KR 20190112664 A KR20190112664 A KR 20190112664A KR 102374849 B1 KR102374849 B1 KR 102374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grating
- drain
- rainwater drain
- clos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과 인접한 위치에 도로 경계석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경계석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를 이루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배치되어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 상부를 개폐시키는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가 오지 않는 평상 시에는 도로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를 차폐시키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빗물을 받기 위한 빗물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차량이 다니는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빗물을 모아 하수관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빗물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빗물 배수구에는 빗물은 흘러 내리되, 자동차, 오토바이 및 자전거 등의 바퀴와, 사람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레이팅으로 덮어지게 되며, 통상적으로 빗물 배수구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통상적인 빗물 배수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데, 이 때 빗물 배수구의 하부와, 매설된 하수관 사이에는 배출관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차도와 인도에 내린 빗물은 도로의 가장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로 모인 후,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빗물 배수구의 포집 공간으로 흘러 내려간 다음 배출관을 통해 하수관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빗물 배수구의 배출관과 연결되는 하수관에는 빗물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오수가 합류되기 때문에, 하수관의 내부에는 늘 악취가 가득하게 되고, 생활오수에 의한 날파리 등의 해충이 서식하게 된다.
따라서, 하수관 내의 악취와 각종 해충이 배출관 및 빗물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며, 이에 보행자를 비롯한 주변 생활인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빗물 배수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빗물은 통과시키되, 자동차 등의 바퀴와 사람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그레이팅으로 덮어져 있는바, 빗물 배수구는 항상 외부와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그레이팅은 격자 형태를 이루어 복수 개로 분할된 배수구멍이 형성되도록 금속재로 제작된 것이므로, 빗물은 분할된 복수의 배수구멍들을 통해 빗물 배수구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반면, 자동차 등의 바퀴나 사람의 발은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그레이팅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된 배수구멍을 통해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버리는 경우가 많고, 또한 낙엽이나 기타 생활 쓰레기 등이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 배수구로 유입됨으로써, 빗물 배수구의 배출관 및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빗물 배수구의 배출관 및 하수관이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 등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경우, 빗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못하고, 빗물 배수구를 통해 빗물이 역류하여 도로 및 인도가 침수되는 등의 큰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환경미화원 등의 작업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을 분리한 후, 빗물 배수구 내부에 쌓인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예방하기 위하여 비가 오지 않는 평상 시에는 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판재로서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를 덮어 악취 및 해충의 확산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가 빗물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비가 올 때 작업관리자가 판재를 일일이 수거하고 다시 비가 안오면 판재를 다시 배치하여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이러한 작업에 따라 시간 및 비용이 낭비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가 오지 않는 평상 시에는 도로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키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결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를 자동으로 차폐시킴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각종 악취와 해충이 도로 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시키고,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가 빗물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여 결국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행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는,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과 인접한 위치에 도로 경계석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경계석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를 이루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배치되어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 상부를 개폐시키는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을 차폐시키는 리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에는 구동부와 제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는 구동축과 차폐 플레이트 및 우적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면에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 주변 또는 그레이팅 외측 면에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제2 수용공간과 상기 빗물 배수구의 배수공간은 배수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에 의하면, 비가 오지 않는 평상 시에는 도로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가 자동으로 폐쇄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의 상부가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결국 행정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로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가 자동으로 차폐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각종 악취와 해충이 도로 변으로 확산되는 것이 예방되고,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가 빗물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결국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줄어들게 되는바, 행정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가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에 의해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가 차폐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에서 차폐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차폐 플레이트가 그레이팅을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가 단차가 낮은 경계선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에 의해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가 차폐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에서 차폐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차폐 플레이트가 그레이팅을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가 단차가 낮은 경계선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가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서 자동개폐 장치에 의해 빗물 배수구의 그레이팅 상부가 차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 구성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에서 차폐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차폐 플레이트가 그레이팅을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도??.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100)의 자동개폐 장치(200)는, 차도와 인도(20)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30)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로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도와 인도(20)는 소정의 단차를 갖는 경계석(30)들에 의해 경계를 이루게 된다. 즉, 차도와 인도(20)의 경계 부위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경계석(30)들을 설치하여 인도(20)가 차도에 비하여 경계석(30) 높이만큼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주행 중인 차량이 인도(20)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행자들을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차도와 인도(20)의 경계 부위에는 일정 높이 및 일정 너비를 갖는 다수의 경계석(30)들을 일렬로 배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200)는 복수의 경계석(30)들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로 제작된 함체를 구비하고, 이 함체 내에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30)과 나란히 배치되는 자동개폐 장치(200)는, 차도 가장자리(10) 부위에 형성되는 빗물 배수구(100)와 이 빗물 배수구(100)의 상부를 덮는 그레이팅(110)이 구비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200)는, 내부에 구획벽(230)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용공간(232)과 제2 수용공간(234)이 형성되는 본체부(210)와, 이 본체부(210)의 상부를 덮어 제1 수용공간(232) 및 제2 수용공간(234)을 차폐시키는 리드부(220)로 구성되는 함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함체는 복수의 경계석(30)들과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경계석(30)과 동일 재질의 석재로서 제작된 것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체의 리드부(220) 상면에는 전원공급부로서 태양광 패널(240)이 배치되어 전원을 수급 받고, 수급된 전원은 구동부(3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00)는 전원공급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함체의 리드부(220) 상면에 태양광 패널(240)이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가로등 등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후술되는 구동부(3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함체를 구성하는 본체부(210)에서 제1 수용공간(232)에는 구동부(300)와 제어부(330)가 배치되고, 제2 수용공간(234)에는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축(310) 및 이 구동축(310)의 정역회전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차폐 플레이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함체를 구성하는 본체부(210)의 일 측면에는 구동축(3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320)가 수납되기 위한 장공 형태의 수납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제2 수용공간(234) 내부에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우적감지부(3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의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수용공간(234)의 저부와 빗물 배수구(100)의 배수공간(102)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보슬비의 경우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나, 비교적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 빗물은 함체의 수납 홀(212)을 통해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함체의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된 빗물의 배수가 필요로 하게 되는바,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관을 통해 빗물 배수구(100)의 배수공간(102)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100)의 자동개폐 장치(200)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와 인도(20)의 경계를 이루는 도로의 가장자리 영역에 빗물 배수구(100)가 형성되고, 이 빗물 배수구(100)의 상부에 그레이팅(1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 그레이팅(110)과 인접한 위치에는 경계석(30)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를 갖는 함체가 복수의 경계석(30)들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함체의 본체부(210)에 배치되는 우적감지부(340)가 설정 강수량 이상으로 비가 오지 않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우적감지부(340)는 이의 신호를 제어부(330)로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330)는 우적감지부(3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구동부(30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300)는 회전하여 구동축(31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32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를 이루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수납 홀(212)을 통해 슬라이드 되면서 그레이팅(110)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이, 빗물 배수구(100)의 그레이팅(110)을 차폐 플레이트(320)가 덮은 상태가 되면, 그레이팅(110)의 배수구멍(112)들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바, 이를 통해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들의 유입이 차단됨은 물론 하수관을 통한 악취나 각종 해충들이 지상으로 확산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빗물 배수구(100)와 그레이팅(110)을 차폐 플레이트(320)가 덮은 상태에서, 설정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경우, 우적감지부(340)가 이를 감지하여 이의 신호를 제어부(330)로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330)는 우적감지부(3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구동부(30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설정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경우, 내리는 비는 차폐 그레이팅(110)의 상부 면을 따라 함체의 수납 홀(212)을 통해 본체부(210)의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2 수용공간(234)에 배치될 수 있는 우적감지부(340)는 이를 통해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30)로 송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구동부(300)에 역회전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구동축(310)을 역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320)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를 이루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수납 홀(212)을 통해 슬라이드 되면서 구동축(310)에 감기면서 빗물 배수구(100) 및 그레이팅(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빗물 배수구(100) 및 그레이팅(110)이 개방되면, 차도 및 인도(20)에 내리는 빗물이 도로 가장자리 영역으로 모인 후, 그레이팅(110)의 배수구멍(112)들을 통해 빗물 배수구(100)의 배수 공간을 통과한 후, 배출관과 하수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함체의 수납 홀(212)을 통해 본체부(210)의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수관을 통해 빗물 배수구(100)의 배수공간(102)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폐 플레이트(320)는 구동축(310)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그레이팅(110) 상부를 플랫하게 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소정의 신축성을 갖되 소정의 강도와 경도를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 플레이트(320)는 그레이팅(110)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에 자성물질이 내포되게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그레이팅(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되는바, 차폐 플레이트(320) 제작 시 내부에 자성물질이 포함되도록 하게 되면, 차폐 플레이트(320)가 그레이팅(110)을 덮은 상태에서 소정의 자력이 발생되어 들뜸이 예방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로변 가장자리 영역에서 그레이팅(110)의 양 측에는 가이드 레일(120)이 설치되고, 차폐 플레이트(320)의 양측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120)과 이탈방지게 결합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110) 양 측에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고, 차폐 플레이트(320)의 양측 저면에 가이드 홈(322)이 형성되는 경우, 차폐 플레이트(320)가 함체의 수납 홀(212)을 통해 수납될 때, 그 슬라이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차폐 플레이트(320)가 그레이팅(110) 상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이 예방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빗물 배수구(100)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그레이팅(110) 양 측에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고, 차폐 플레이트(320)의 양측 저면에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레이팅(110) 양 측에 가이드 홈(322)이 형성되고, 차폐 플레이트(320)의 양측 저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그레이팅(110)의 양 측에 가이드 레일(120) 또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레이팅(110)의 양측에 가이드 레일(120) 또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개폐 장치(200)가 단차가 낮은 경계선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차도와 인도(20)의 경계 부위에 설치되는 경계석(30)들 중, 일부의 경계석(30)은 단차가 거의 없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즉,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또는 사무용 빌딩 등의 주차장 입구나 횡단보도가 설치된 부분에는 경계석(30)의 단차를 낮추어 차량이나 자전거, 유모차, 휠체어 등이 용이하게 지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경계석(30)의 단차가 낮은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의 높이를 낮춤과 동시에 함체의 일측 상부 쪽에 수납 홀(212)이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배수구(100) 및 그레이팅(110)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함체의 수납 홀(212)을 통해 본체부(210)의 제2 수용공간(234)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수관(400)을 통해 빗물 배수구(100)의 배수공간(102)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100)의 자동개폐 장치(200)는, 설정 강수량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경우 이를 우적감지부(340)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관리자가 원격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로 변에는 각종 CCTV가 설치되어 있는바, CCTV를 통해 빗물 배수구(100)의 영상을 관리사무소의 모니터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송신받고, 관리자가 취득되는 영상을 통해 관리사무소의 PC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 등을 이용하여 구동부(300)를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빗물 배수구(100) 및 그레이팅(110)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격조정 시스템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용 빗물 배수구(100)의 자동개폐 장치(200)에 의하면, 비가 오지 않는 평상 시에는 도로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100)가 자동으로 폐쇄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100)의 상부가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결국 행정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로 빗물 배수구(100)의 그레이팅(110) 상부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빗물 배수구(100)의 그레이팅(110) 상부가 자동으로 차폐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각종 악취와 해충이 도로 변으로 확산되는 것이 예방되고,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각종 생활 쓰레기가 빗물 배수구(10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결국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줄어들게 되는바, 행정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로 가장자리 20 : 인도
30 : 경계석 100 : 빗물 배수구
102 : 배수공간 110 : 그레이팅
112 : 배수구멍 120 : 가이드 레일
200 : 자동개폐 장치 210 : 본체부
212 : 수납 홀 220 : 리드부
230 : 구획벽 232 : 제1 수용공간
234 : 제2 수용공간 300 : 구동부
310 : 구동축 320 : 차폐 플레이트
322 : 가이드 홈 330 : 제어부
30 : 경계석 100 : 빗물 배수구
102 : 배수공간 110 : 그레이팅
112 : 배수구멍 120 : 가이드 레일
200 : 자동개폐 장치 210 : 본체부
212 : 수납 홀 220 : 리드부
230 : 구획벽 232 : 제1 수용공간
234 : 제2 수용공간 300 : 구동부
310 : 구동축 320 : 차폐 플레이트
322 : 가이드 홈 330 : 제어부
Claims (4)
-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과 인접한 위치에 도로 경계석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로 경계석과 동일 높이 및 동일 너비를 이루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배치되어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빗물 배수구 및 그레이팅 상부를 개폐시키는 차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는,
구획벽에 의해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을 차폐시키는 리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에는 구동부와 제어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용공간에는 구동축과 차폐 플레이트 및 우적감지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면에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 주변 또는 그레이팅 외측 면에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2 수용공간과 상기 빗물 배수구의 배수공간은 배수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664A KR102374849B1 (ko) | 2019-09-11 | 2019-09-11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664A KR102374849B1 (ko) | 2019-09-11 | 2019-09-11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1120A KR20210031120A (ko) | 2021-03-19 |
KR102374849B1 true KR102374849B1 (ko) | 2022-03-17 |
Family
ID=7526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664A KR102374849B1 (ko) | 2019-09-11 | 2019-09-11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48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1154B1 (ko) * | 2022-12-20 | 2024-01-08 | 주식회사 퀀텀 | 배수용 그레이팅을 이용한 도로 침수 방지 시스템 |
KR20240148178A (ko) | 2023-04-03 | 2024-10-11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배수트랩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844B1 (ko) * | 2006-07-07 | 2007-02-12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
KR100832787B1 (ko) * | 2007-04-25 | 2008-05-28 | 김원주 | 교량의 이동개폐식 누수오염 방지장치 |
KR101409265B1 (ko) * | 2013-10-07 | 2014-06-20 | 케이비엔지니어링(주) | 셔터식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0108B1 (ko) | 2010-12-23 | 2011-04-21 | 김흥성 | 도로 빗물받이의 악취차단장치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2664A patent/KR1023748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844B1 (ko) * | 2006-07-07 | 2007-02-12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
KR100832787B1 (ko) * | 2007-04-25 | 2008-05-28 | 김원주 | 교량의 이동개폐식 누수오염 방지장치 |
KR101409265B1 (ko) * | 2013-10-07 | 2014-06-20 | 케이비엔지니어링(주) | 셔터식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1120A (ko) | 2021-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3235B1 (ko) | 하수구용 배수장치 | |
KR102374849B1 (ko)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
KR100941371B1 (ko) | 집수정용 악취방지 차단 및 배수가 용이한 차단장치 | |
KR20090007395U (ko) |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 |
KR102256569B1 (ko) |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
KR101320456B1 (ko) |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 |
KR20180078734A (ko) | 빗물받이 개폐 장치 | |
KR102569525B1 (ko) |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 |
KR101230015B1 (ko) | 빗물을 재활용하는 야외 화장실용 급수 시설 | |
KR20090017869A (ko) |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 |
KR101437956B1 (ko) | 수질 개선을 위한 조립식 맨홀 | |
KR102467582B1 (ko) | 빗물 배수구의 개폐장치 | |
KR100842368B1 (ko) |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 |
WO2024082344A1 (zh) | 一种防洪防阻塞排水井盖及运行方法 | |
KR100951061B1 (ko) |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 |
KR101020719B1 (ko) |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 |
KR20090008698A (ko) |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 |
KR200468245Y1 (ko) |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 |
KR102580348B1 (ko) |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 |
KR200234827Y1 (ko) | 오물받이가 설치된 측구 | |
KR102722080B1 (ko) | 낙엽 및 오물 제거를 통한 도로 범람 방지용 우수받이 구조 | |
KR101054282B1 (ko) | 빗물받이 | |
KR20210051327A (ko) | 하수구의 악취 저감 장치 | |
KR102638787B1 (ko) |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361559Y1 (ko) |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