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19B1 -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719B1
KR101020719B1 KR1020100050082A KR20100050082A KR101020719B1 KR 101020719 B1 KR101020719 B1 KR 101020719B1 KR 1020100050082 A KR1020100050082 A KR 1020100050082A KR 20100050082 A KR20100050082 A KR 20100050082A KR 101020719 B1 KR101020719 B1 KR 10102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connection pipe
gas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흠
Original Assignee
대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도의 빗물받이 구조를 통해 우기시 빗물을 확보하여 건기시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악취가 역류하여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변의 경계석과 인접하는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통해 흘러 내리는 빗물을 유입하는 입수정과, 상기 입수정과 연결되어 하천까지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입수정의 내측에 별도 설치되어 상기 경계석과 상기 덮개를 통해 일부 흘러 들어오는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하는 집수통 및, 상기 입수정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우기시 입수정에 유입된 빗물이 연결관에 흘러나가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비우기시 연결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가 입수정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Structure for Rain Drainer with Obtaining Groundwater and Preventing Counterflow of Stink}
본 발명은 지하도의 빗물받이에 있어서 우기시에 집수된 물을 건기시에 지하수로 활용 가능함과 더불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빗물이 지하도를 거쳐서 하천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정 지점마다 배수구가 형성된 빗물받이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통상 빗물받이 구조는 빗물 등이 이동하는 수로로서 지하도의 일정거리마다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수정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은 통상적인 도로변의 빗물받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빗물받이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된 경계석(2)과 함께 도로변에 빗물이 유입되는 입수정(6)을 덮는 덮개(4)가 설치되어 있고, 입수정(6)의 일측에는 빗물을 흘려 보내는 연결관(8)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빗물받이 구조에서는 우기시에 뚜껑(4)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빗물이 흘러 들어와서 입수정(6)에 모이게 되고, 입수정(6)에 모인 빗물은 연결관(8)을 통해 하수도 본관을 경유하여 원격지의 하천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빗물받이 구조의 경우에는 하수도 본관을 통해 물이 전량 흘러내려가지 못하고 하수도 본관의 하부에 물이 일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입수정(6)과 연결관(8)의 사이가 서로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연결관(8)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가 입수정(6)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환경의 청결함을 해치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종래의 빗물받이 구조에서는 건기시 확보가 가능한 소중한 수자원을 전량 하수 처리장 측으로 흘려 보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건기시에 수자원을 확보하여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전혀 없다는 단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하도의 빗물받이 구조를 통해 우기시 빗물을 확보하여 건기시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악취가 역류하여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변의 경계석과 인접하는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통해 흘러 내리는 빗물을 유입하는 입수정과, 상기 입수정과 연결되어 하천까지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입수정의 내측에 별도 설치되어 상기 경계석과 상기 덮개를 통해 일부 흘러 들어오는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하는 집수통 및, 상기 입수정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우기시 입수정에 유입된 빗물이 연결관에 흘러나가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비우기시 연결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가 입수정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도의 입수정과 별도로 우기시에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집수통 구조를 형성하고, 입수정과 연결관의 사이에 차단도어가 설치된 가스켓을 설치함으로써, 빗물의 지하수로의 확보 및 악취 역류가 방지되도록 함에 따라, 소중한 수자원으로서의 물을 우기시에 집수하여 지하수로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스켓을 통해 우기시 빗물을 정상적으로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함과 더불어 평상시 연결관으로의 연결 통로를 차단하여 역류된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청결한 생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변의 빗물받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집수통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스켓이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고, 우기시에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구조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된 경계석(10) 측구의 전방 하측에 입수정(14)을 덮는 덮개(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1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흘러 들어오는 빗물을 유입하는 입수정(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수정(14)의 일측 하단에는 하수도 본관을 통해 하천까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수정(14)의 타측에는 해당 입수정(14)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경계석(10)과 덮개(12)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통(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수통(18)의 상부 일측 즉, 상기 입수정(14)과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경계석(10)을 타고 흘러들어오거나, 상기 덮개(12)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일부 빗물에 대한 유입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단턱을 갖도록 절곡된 집수키(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집수통(18)의 일측면 하부에는 해당 집수통(18)에 집수되는 물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지하수로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통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22)의 구멍 직경 및 그 개수는 해당 집수통(18)의 용적이나 주변의 기후 변화에 따른 고유한 우기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집수통(18) 내에는 빗물 뿐만 아니라, 주변의 오물이나, 흙 등이 함께 유입되어 해당 집수통(18)의 하부에 퇴적될 수 있어서, 상기 유출구(22)를 막을 가능성이 있는 바, 이를 감안하여 상기 집수통(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정(14)과는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덮개(12)를 개봉하여 집수통(18)을 꺼내서 퇴적된 오물을 제거한 다음에 다시 장착할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18)은 단턱이 형성된 집수키(20)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일부 빗물만을 집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출구(22)를 통해 지하수로 일부가 빠져 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기시 많은 비가 오더라도 집수된 물이 넘치거나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입수정(14)과 상기 연결관(16)의 사이에는 해당 연결관(16)의 내측 일정 부위까지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가스켓(24)이 설치되는 바, 상기 가스켓(24)의 치수는 해당 연결관(16)의 직경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가스켓(24)과 연결관(16)의 사이가 벌어져서 빗물이나 역류된 악취가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가스켓(24)의 전면에는 경첩 부재(28a,28b)에 의해 일측 방향 즉, 연결관(16)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한 차단 도어(26)가 설치되어 있는 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내리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경첩 부재(28a,28b)의 닫힘 작용에 의해 해당 차단 도어(26)가 해당 가스켓(24)을 완전히 차단하여 가스켓(24)의 연결구(24a)와 연결된 연결관(16)으로부터의 악취가 입수정(14) 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기시에 상기 가스켓(2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정(14)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밀어내는 힘이 해당 차단 도어(24)에 가해지면서 경첩 부재(28a,28b)가 회동함에 따라, 차단 도어(24)가 개방되어 입수정(14)으로부터의 빗물이 연결관(16)을 통해 정상적으로 흘러 나가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 도어(24)는 비가 내리는 양에 따라 가해지는 힘이 달라지므로, 해당 외력에 따라 개방의 정도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비가 내리더라도 입수정(14)이 넘치지 않고 원활하게 연결관(16)을 통해 흘러내려 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24)도 착탈이 가능한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덮개(12)를 개방하여 가스켓(24)을 꺼내어 오물 등을 제거하거나, 연결관(16)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경계석, 12:덮개,
14:입수정, 16:연결관,
18:집수통, 20:집수키,
22:유출구, 24:가스켓,
26:차단 도어, 28a,28b:경첩 부재.

Claims (5)

  1. 도로에 설치된 덮개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을 유입하는 입수정과;
    상기 입수정과 연결되어 하천까지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입수정 내측 중 상기 덮개의 하측에서 벗어나 형성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통해 흘러내리는 일부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하되, 상기 덮개를 통해 흘러내리는 일부 빗물의 유입 통로를 형성하는 공간 확보를 위한 단턱을 갖도록 절곡된 집수키와 집수된 물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지하수로서 유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구비하는 집수통; 및
    상기 입수정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우기시 상기 입수정에 유입된 빗물이 연결관에 흘러나가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비우기시 연결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가 입수정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서, 전면에 경첩 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관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한 사각형의 차단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후면에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원형의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5. 삭제
KR1020100050082A 2010-05-28 2010-05-28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10102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82A KR101020719B1 (ko) 2010-05-28 2010-05-28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82A KR101020719B1 (ko) 2010-05-28 2010-05-28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719B1 true KR101020719B1 (ko) 2011-03-09

Family

ID=4393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82A KR101020719B1 (ko) 2010-05-28 2010-05-28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47B1 (ko) 2010-10-07 2012-11-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의 발화 방지 구조
KR101474197B1 (ko) * 2014-04-30 2014-12-17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KR101604210B1 (ko) * 2015-04-03 2016-03-1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166U (ko) * 1996-06-18 1998-03-30 권혁중 빗물받이의 밸브장치
KR200342683Y1 (ko) * 2003-10-15 2004-02-1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166U (ko) * 1996-06-18 1998-03-30 권혁중 빗물받이의 밸브장치
KR200342683Y1 (ko) * 2003-10-15 2004-02-1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47B1 (ko) 2010-10-07 2012-11-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의 발화 방지 구조
KR101474197B1 (ko) * 2014-04-30 2014-12-17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WO2015167179A1 (ko) * 2014-04-30 2015-11-05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CN106132830A (zh) * 2014-04-30 2016-11-16 韩国机场公社 移动式登机桥的雨水沟
US9752290B2 (en) 2014-04-30 2017-09-05 Korea Airports Corporation Rainwater receiver of movable boarding bridge
KR101604210B1 (ko) * 2015-04-03 2016-03-1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WO2016159475A1 (ko) * 2015-04-03 2016-10-0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US10100472B2 (en) 2015-04-03 2018-10-16 Korea Airports Corporation Moveable boarding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0941371B1 (ko) 집수정용 악취방지 차단 및 배수가 용이한 차단장치
KR101020719B1 (ko)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101540783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785912B1 (ko) 하수구의 악취유출 방지겸 이물질유입 방지장치
KR20050103147A (ko)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KR20150090577A (ko) 거름구가 구비된 콘크리트 구조물
KR20160050465A (ko)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22645B1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