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05B1 -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05B1
KR101770105B1 KR1020160037015A KR20160037015A KR101770105B1 KR 101770105 B1 KR101770105 B1 KR 101770105B1 KR 1020160037015 A KR1020160037015 A KR 1020160037015A KR 20160037015 A KR20160037015 A KR 20160037015A KR 101770105 B1 KR101770105 B1 KR 10177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rench
fixed
drain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종
이정민
임해식
김회진
송영석
한재영
이화수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6003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원발명은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수용 트렌치에 별도의 구성을 두지 않아도 적용 가능한 탈착식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낙엽과 같은 부유물이나 각종 협잡물을 배수로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 설치되는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거름망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부유물 및 협잡물을 걸러 내는 격자망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거름망의 측면에 위치한 탄성을 가지는 고정부로 인하여 배수용 트렌치에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거름망을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 회전 스크린을 축회전으로 들어 올려서, 부유물 및 협잡물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 수월해진다.

Description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REMOVABLE SCREEN OF DRAIN TRENCH FOR EASILY REMOVING TRASH THEREOF}
본원발명은 배수로(排水路)에 설치되는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수용 트렌치(drain trench)에 별도의 구성을 두지 않아도 적용 가능한 탈착식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낙엽과 같은 부유물이나 각종 협잡물을 배수로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수로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만든 물길 또는 수로(水路)를 말한다. 배수구(排水溝)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도랑을 의미한다. 배수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다. 자연 형태로 노출되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일정하게 도랑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도랑을 공장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도 있다. 배수로에 의한 배수는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구배차(勾配差)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류에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 명거(明渠)배수로와 지하에 매설된 암거(暗渠)배수로가 있다
본원발명은 넓게 보아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만든 물길이라면 어떤 것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는 본원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즉 자연 형태의 도랑이 아닌 구조물 형태의, 명거(明渠)배수로를 중심으로 본원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도로의 가장자리 및 횡단 방향으로 배수를 위한 배수로를 시공하여,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 등의 유수(流水)를 시공된 배수로를 이용하여 집수정에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거나, 농촌 지역에서 농업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배수로와 같이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수로 등 다양한 용도에 구애됨이 없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조물 형태의 명거배수로를 '배수용 트렌치(drain trench)'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내측 바닥은 물이 흐르도록 하향 경사지며, 중간중간 설치되어 있는 집수정(集水井)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수용 트렌치 내측에 형성되는 물이 흐르는 공간을 이하 편의상 '유수부(流水部)'라 칭한다.
상기 유수부로 유입된 물은 유수부의 아랫면의 경사를 따라 흘러서 상기 집수정으로 수집된 후, 상기 집수정에 연결된 다른 배수로 등 각종 관거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배수용 트렌치는 도로의 가장자리나 건물 주차장, 운동장, 공원 또는 농촌 지역 등에 설치되거나 철도선로 측방의 비탈면, 또는 산마루에도 설치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49547호(2011.5.21.) 배수로 또는 하수구에 설치되는 트렌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원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배수용 트렌치를 보인 것으로 본원발명과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후술하는 본원발명의 특징인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을 제공하지 않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용 트렌치는 대지, 차도(車道) 또는 보도(步度) 상으로 내리는 빗물 또는 범람하여 유입되는 유입수와 함께 상기 유수부로 들어오는 각종 쓰레기와 같은 협잡물(挾雜物)을 분리해 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용 트렌치의 경우에도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을 배수용 트렌치상에서 걸러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입공이 형성되는 배수용 트렌치 커버를 배수용 트렌치 상부에 장착하여 상기 협잡물을 걸러 낼 수 있다. 상기 배수용 트렌치 커버는 트렌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과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하여 우수가 유입된 후, 맨홀과 연결된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다.
관련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3-0030851호(2013.3.28.) 트렌치 커버 거름망'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물질을 걸러 내는 트렌치 커버 거름망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원발명의 목적과 일부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종래 배수용 트렌치는 유수부로 유입되는 쓰레기 등의 협잡물 등을 거르기 위하여 트렌치의 상부에 거름망 형태의 커버를 씌우며, 이러한 배수용 트렌치 커버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홀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나, 홀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되며, 홀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여 청소하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트렌치 커버 위에 별도의 합성수지재 거름망을 설치하더라도 제작 경비가 비싸거나 강도가 약하며, 지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큰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49547호(2011.5.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3-0030851호(2013.3.28.)
본원발명은 강우 시 배수용 트렌치로 흘러들어오는 우수나 배수용 트렌치에 의하여 배수되는 오수 및 기타 유수(流水)에 섞여 있는 쓰레기 등의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배수용 트렌치의 상부를 덮는 덮개 혹은 거름망의 경우 많은 양의 강우 시 쓰레기, 낙엽 등의 협잡물이 다량 유입되어 거름망을 형성하고 있는 공극이 막혀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용 트렌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던 기존의 거름망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막히게 되는 것과 달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원발명의 거름망은 다량의 협잡물이 유입되어도 중력에 의하여 하단으로 협잡물이 쌓이게 되고, 그 상단을 통하여 물이 배수되어 기능을 유지하는 거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배수용 트렌치 몸체에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안정적으로 거름망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미 설치된 배수용 트렌치에도 별도의 공정 없이 거름망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임의로 쉽게 설치되는 수직형 거름망의 개수(個數)를 조절할 수 있다.
강우 종료 후 또는 기타 유지 관리를 위하여 트렌치 내의 거름망에 쌓인 협잡물 등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유수부에 고정 설치되는 기본 고정 스크린의 상부에 힌지 결합하여 축회전을 하는 추가 회전 스크린을 구비하여 거름망 내에 쌓인 협잡물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거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원발명에 의하여 낙엽과 같이 발생 시기가 정해져 있는 부유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낙엽과 같이 부피가 큰 부유물의 발생량에 따라 탈착식으로 본원발명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고, 본원발명의 앞쪽 거름망에 걸린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 설치되는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거름망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부유물 및 협잡물을 걸러 내는 격자망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제공한다.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눌려지는 탄성수단이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수단이 눌려지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활형 탄성 고정부이고,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만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져 있어,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은 2개 이상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2개 이상의 스크린에는 추가 회전 스크린과 기본 고정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결합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상단 및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상단에 위치한 힌지부를 축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은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되고,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은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 및 협잡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프레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눌려지는 탄성수단이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수단이 눌려지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활형 탄성 고정부이고,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는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프레임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만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져 있어,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하단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유수에 떠밀려온 부유물 및 협잡물이 쌓이고,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회전시켜 들어 올림으로 인해서 상기 쌓여 있는 부유물 및 협잡물의 제거가 트렌치 내부로 삽 등을 집어 넣을 필요 없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쉽게 회전시켜 들어 올리기 위해,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 하부에 연결끈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끈의 다른 끝단은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위치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거름망은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 결합되기 때문에 트렌치 내부의 유수부로 다량의 협잡물 등이 흘러들어도 거름망이 막히지 않고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며, 거름망의 측면에 위치한 탄성을 가지는 고정부로 인하여 배수용 트렌치에 별도의 구성이 없어도 거름망을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은 추가 회전 스크린 및 기본 고정 스크린의 상부가 힌지 결합하여 축회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거름망에 모여 있는 협잡물 등의 제거가 용이하다. 이는 강우가 종료된 후, 거름망에 모여 있는 협잡물 등을 제거할 시에 거름망의 하단부 부분의 협잡물 등은 제거가 힘들기 때문에, 추가 회전 스크린을 축회전으로 들어 올려서, 부유물 및 협잡물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이 수월해진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하단에는 강우 종료 후 협잡물 등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축회전하여 들어 올릴 때, 협잡물 등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받침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위로 협잡물 등이 모이기 때문에, 강우 종료 시 협잡물 등의 제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의 일 실시 예를 본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거름망의 추가 회전 스크린과 기본 공정 스크린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의 힌지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활형 탄성 고정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의 실제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이 배수용 트렌치에 설치된 것을 보인 도면과 사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거름망에 낙엽 등의 부유물 또는 협잡물이 걸러진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부유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가 회전 스크린을 들어 올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 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거름망의 추가 회전 스크린과 기본 고정 스크린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부유물 및 협잡물 등을 걸러 내기 위한 거름망(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거름망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지면이나 도로면에서 유입되는 우수(雨水) 또는 기타 유수(流水)를 시공된 배수용 트렌치를 이용해 집수정에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유입수에 섞여서 흘러들어 오는 쓰레기나 나뭇잎 등의 부유물 또는 협잡물 등으로 인하여 집수정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기 부유물 또는 협잡물 등으로 인하여 배수용 트렌치가 막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름망은 다양한 배수용 트렌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수용 트렌치를 일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예를 들어 강우 시 발생하는 우수 등에 섞여 있는 부유물 또는 협잡물 등을 집수정 내로 흘러들어 가지 못하게 막는 거름망인데, 배수용 트렌치 내부에 수직 결합하여 배수용 트렌치 내부에 있는 유수부(10)에서 흐르는 물에 섞인 부유물 또는 협잡물 등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거름망에 구성되어있는 격자망을 이용하여 물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고, 협잡물 등만 걸러내며, 걸러낸 협잡물 등의 제거 또한 용이한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인 거름망(1)은 기본적으로 2개의 특징을 가지는데, 양 특징은 별개의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첫 번째 기술적 특징은 배수용 트렌치에 별도의 구성 없이 본원발명인 거름망을 수직으로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인 활형 탄성 고정부(31)이다. 두 번째 특징은 본원발명인 거름망(1)에 걸려진 낙엽과 같은 부유물이나 기타 협잡물을 용이하게 본원발명인 거름망(1)에서 분리해 내기 위한 2개의 스크린(screen) 구조이다. 상기 2개의 스크린은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기본 고정 스크린(34)으로 구성된다.
활형 탄성 고정부는 활과 같이 구부러져 볼록하게 형성된 형태이어서 상기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이 눌리는 경우 탄성력을 받게 됨을 의미한다. 탄성을 받을 수 있도록 눌리는 형태이면 되는 것이지 반드시 활과 같은 형태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과 달리 본원발명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은 유지 관리 시에 들어 올려지기 때문이다.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는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프레임(36)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 및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각각 상부에는 두 스크린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위한 힌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의 하부에는 상기 거름망(1)의 안정적인 고정 및 협잡물을 들어 올려 내기 위한 받침판(32)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기본 고정 스크린(34)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격자망(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자망은 유입수의 흐름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입수에 섞여 있는 협잡물은 걸러낼 수 있는 크기의 공극을 가지며, 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각 정면 및 배면의 하단에는 받침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으로 인하여 상기 거름망(1)이 많은 양의 유수에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의 정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판(32)의 경우 강우 종료 후 걸러진 협잡물의 제거 시에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을 들어 올려 부유물 또는 협잡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들어 올릴 때 협잡물 또한 딸려 올라오게 되어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용 트렌치 내부로 삽 등을 집어 넣을 필요가 없이 손쉽게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판(32)은 평소에는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아랫면에 밀착하여 상기 거름망(1)이 안정적으로 수직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름망(1)의 협잡물 제거 시에는 회전하는 삽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협잡물 제거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후술하겠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의 힌지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본원발명의 구성인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이 힌지 결합한 상태는 도 3의 우측 상부 원 안의 확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결합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상단 및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의 상단에 위치한 요철 구조의 상기 힌지부(35)를 축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35)를 제외한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은 결합하지 않고 자유롭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35)를 축으로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와 달리 도 3은 축 결합한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이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힌지를 축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힌지부(35)로 인하여 추가 회전 스크린(33)은 축회전 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되는 기본 고정 스크린(34)을 축으로 추가 회전 스크린(33)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에 구비된 힌지부(35)는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곡선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요철 구조이며, 본 실시 예의 경우 3개의 돌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에 구비된 힌지부(35)는 2개의 돌출 고정부를 구비하며, 이는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3개의 돌출 고정부와 맞물려 축 결합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인 상기 거름망(1)은 배수용 트렌치에 설치하여 강우 중에는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이 힌지부(35)의 축으로 인하여 접힌 상태에서 거름망 역할을 하여 강우 시 떠밀려 온 낙엽과 같은 부유물이나 협잡물을 걸러 내며, 강우 종료 후 또는 유지 관리가 필요할 때 상기 힌지부(35)를 축으로 회전하여 걸러낸 협잡물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의 정면 하단에 위치하는 받침판(32)에 유수에 떠밀려온 협잡물이 쌓여 들어 올려지므로,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을 들어 올림으로 인해서 쌓여있는 협잡물의 제거를 위하여 트렌치 내부로 삽 등을 집어 넣을 필요 없이 용이하게 트렌치 외부에서도 협잡물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미 많은 부유물이나 협잡물이 쌓여 얽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져서 작은 크기의 협잡물 등도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격자망(30)으로 빠져 나가지 않는다.
이는 배수용 트렌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진 경우 거름망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용 트렌치 내부로 들어가거나 배수용 트렌치 내부로 삽 등을 넣기 힘든 경우 본원발명의 힌지축 회전이 가능한 거름망을 이용하여 손쉬운 협잡물의 제거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활형 탄성 고정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프레임(36)의 양 측면에는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는 탄성을 가지는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활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프레임(36)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배수용 트렌치의 크기는 제조사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배수용 트렌치의 크기가 일부 다르더라도 각기 다른 크기의 거름망을 만들지 않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거름망(1)의 경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양 측면에 위치한 탄성을 가지는 활형 탄성 고정부(31)로 인하여 각기 다른 크기의 트렌치에 삽입 고정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에 따른 거름망(1)을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삽입하는 경우, 탄성을 가지는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가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내측벽에 밀착되면서 휘어지며, 휘어진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의 탄성 회복력에 의하여 상기 거름망(1)은 보다 견고하게 배수용 트렌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는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프레임(36)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만 고정되어 있으며, 결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34)의 외측 방향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져 있다. 즉,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31)의 중간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떨어져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의 실제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이 적용되기 전의 통상의 배수용 트렌치의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의 바닥에 낙엽과 같은 각종 부유물이나 협잡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부유물이나 협잡물은 우기 시에 배수로나 집수정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 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거름망이 배수용 트렌치에 설치된 것을 보인 도면과 사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거름망에 낙엽 등의 부유물 또는 협잡물이 걸러진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부유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가 회전 스크린을 들어 올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하여 배수용 트렌치 내부의 유수부(10)를 따라 흐르는 우수에는 나뭇잎이나 쓰레기 등의 부유물 또는 협잡물(40)이 섞여 흐르게 되며, 상기 협잡물이 집수정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거름망의 경우 다량의 협잡물이 쌓일 경우 우수를 배수하는 기능이 상실되어 우수가 트렌치 내부로 흘러들어 가지 못하게 막게 된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경우 배수용 트렌치 내부로 들어온 부유물 등을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 삽입된 거름망으로 걸러 낸다. 유수에 섞여 있는 협잡물은 배수용 트렌치의 하부에 쌓이게 되어도, 또는 협잡물 등이 본원발명에 의한 거름망을 일부 막는다 해도 거름망의 상부로 물의 흐름이 가능하다. 이는 배수용 트렌치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덮개 및 거름망과 달리 우수의 흐름을 막지 않는 것을 뜻한다.
한편,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을 쉽게 회전시켜 들어 올리기 위해,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 하부의 받침판(32)에 연결끈(미도시) 고정하고, 상기 연결끈의 다른 끝단은 상기 거름망(1)의 상부에 걸쳐 놓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위치시켜, 상기 연결끈을 당겨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33)을 쉽게 들어 올릴 수도 있다.
배수용 트렌치의 내부 유수부를 따라 상기 거름망(1)은 필요한 만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1)은 볼트나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닌 거름망 측면에 있는 탄성이 있는 활형 탄성 고정부(31)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에 의하여 언제든지 제거 및 재설치가 가능하다.
본원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거름망
10: 유수부
30: 격자망
31: 활형 탄성 고정부
32: 받침판
33: 추가 회전 스크린
34: 기본 고정 스크린
35: 힌지부
36: 프레임
40: 협잡물

Claims (9)

  1. 배수용 트렌치 및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트렌치는 거름망을 설치하가 위한 별도의 구성을 가지지 않는 통상의 배수용 트렌치이고,
    상기 거름망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격자망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름망은 2개 이상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2개 이상의 스크린에는 추가 회전 스크린과 기본 고정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과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결합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상단 및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상단에 위치한 힌지부를 축으로 결합하되,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은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되고,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은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들어 올려지고,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벽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눌려지는 탄성수단이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배수용 트렌치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수단이 눌려지면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별도의 구성을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다른 통상의 배수용 트렌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의 하단에는 돌출되어 받침판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은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거름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아랫면에 밀착되되,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회전시켜 들어 올릴 때에는 상기 받침판에 쌓여 있는 부유물 및 협잡물이 함께 들어 올려져, 상기 배수용 트렌치 내부로 삽 등을 집어넣을 필요 없이 청소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활형 탄성 고정부이고,
    상기 활형 탄성 고정부는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프레임 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만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기본 고정 스크린의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져 있어,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을 쉽게 회전시켜 들어 올리기 위해, 상기 추가 회전 스크린 하부에 연결끈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끈의 다른 끝단은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위치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1020160037015A 2016-03-28 2016-03-28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10177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5A KR101770105B1 (ko) 2016-03-28 2016-03-28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015A KR101770105B1 (ko) 2016-03-28 2016-03-28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105B1 true KR101770105B1 (ko) 2017-08-31

Family

ID=5976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015A KR101770105B1 (ko) 2016-03-28 2016-03-28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9796A (zh) * 2019-11-18 2020-02-21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萃取箱用旋转格栅装置
CN114481965A (zh) * 2021-12-30 2022-05-13 合肥海博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设计用排水沟用拦物结构
CN115028287A (zh) * 2022-06-13 2022-09-09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用于突发溢流污染的快速处理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449A (ja) * 2007-05-22 2008-1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449A (ja) * 2007-05-22 2008-12-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設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9796A (zh) * 2019-11-18 2020-02-21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萃取箱用旋转格栅装置
CN114481965A (zh) * 2021-12-30 2022-05-13 合肥海博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设计用排水沟用拦物结构
CN115028287A (zh) * 2022-06-13 2022-09-09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用于突发溢流污染的快速处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799B2 (en) Street curb filter basket system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20100032075A (ko) 오물수거기구가 부착된 지하통로용 커버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200167090Y1 (ko) 도로변 하수구용 필터기구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CN111335443B (zh) 一种防堵塞的市政排水管道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136508B1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0625017B1 (ko)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