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061A -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 Google Patents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061A
KR20220122061A KR1020210026209A KR20210026209A KR20220122061A KR 20220122061 A KR20220122061 A KR 20220122061A KR 1020210026209 A KR1020210026209 A KR 1020210026209A KR 20210026209 A KR20210026209 A KR 20210026209A KR 20220122061 A KR20220122061 A KR 2022012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inlet
fluid
conduit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712B1 (ko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박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욱 filed Critical 박종욱
Priority to KR102021002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7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2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using already existing parts of the sewer system for runoff-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위치하여 유체를 하수관으로 연통시키는 제2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쌓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유체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제1관로를 따라 하수관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전통시장 또는 저지대 취약지역 등에서 배수구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유체가 제1본체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하고, 악취를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FLOW GATE OF MANHOLE}
본 발명은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위치하여 유체를 하수관으로 연통시키는 제2본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쌓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유체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제1관로를 따라 하수관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전통시장 또는 저지대 취약지역 등에서 배수구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유체가 제1본체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하고, 악취를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양측부에는 강우시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로가 도로를 따라 형성되고, 배수로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집수정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집수정에서 빗물과 같이 유입되는 토사나 잡물을 여과하여 하수구로 배출되게 하고 있으며, 집수정 상측 개방부에는 빗물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지 등의 비교적 큰 잡물의 유입을 걸러 주기 위한 스틸그레이팅이 설치되는 형태로 빗물받이 집수정이 설치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28281호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빗물받이 집수정의 상부 유입구측에 삽탈식으로 재치되어 가설되는 스틸그레이팅 하부에 빗물 유입 여부에 따라 개폐자재하는 개폐판을 형성한 덮개를 설치하여 강우시 또는 노면에 노면수가 발생한 경우에만 집수정 상부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노면수의 유입량에 따라 개폐판의 개방상태가 조절되어 배수로로 빗물 등의 노면수를 원활하게 배수되게하고, 평상시에는 집수정 상부의 유입구측을 덮개의 개폐판이 자체 편스프링 탄력에 의하여 덮개를 차폐하여 줌으로서, 평상시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집수정을 통하여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악취나 해충으로 오염시키게 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39950호 "침사조 및 악취 역류 방지기능을 보유한 배수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집수구의 상부 둘레에 상부단턱을 형성하여 이에 침사조를 설치하여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물을 먼저 걸러내도록 하고, 그 하부에 악취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악취역류방지장치에 오물이 걸리고 퇴적되는 일이 없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68563호 "하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장치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규격화 되어 있는 합성수지재 빗물 받이 맨홀 또는 비 규격제 콘크리트 제품의 맨홀에 설치 사용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철망과 빗물 유출 장치구를 설치하여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되, 때로는 철망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빗물 유출 장치구만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을 살펴보면, 도로에 설치되어 빗물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배수구에 차단막과 같은 부재들을 설치하여 유체 유입시에만 이 차단막이 열리거나 동작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나,
실제 가을철 낙엽 등이 배수구 상부를 덮어 유체의 유입 자체를 차단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차단됨에 따라 도로가 침수되는 문제가 속속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직접 낙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통시장 또는 저지대 취약지역 등에서는 상부에 고무판 등을 덮어 이물질의 유입과 악취차단,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종래기술들은 유체를 배수할 수 있는 어떤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배수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수구를 형성하며 하수관과 연통되는 제1관로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구비되되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며 이 유입구와 제1관로를 연결하는 제2관로가 형성된 제2본체로 이루어져, 배수구 상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도 유체가 제1관체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이물질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유입구와 제1본체 사이에 고임부가 형성되어 유체가 상기 고임부에 모이면, 수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차단판이 개방되면서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탈착형 커버를 더 도입하여, 상기 배수구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발빠짐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는
상부에 유체 유입용 배수구가 형성되며, 배수구 및 하수관과 연통되는 제1관로가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제1관로를 연결하는 제2관로가 형성된 제2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 시 상기 배수구 상부가 막히면, 유체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2본체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하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는
배수구 및 제1관로가 형성된 제1본체와, 이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2본체로 이루어져, 배수구 상부에 이물질이 쌓여도 유체가 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하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배수구가 일체형으로 성형됨에 따라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에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유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유체가 유입될 때는 유입되는 유체의 힘, 즉 수압에 의해 차단판이 열려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상기 차단판은 악취를 막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입구와 제1본체 사이에 고임부를 더 구성하여 유체가 일정량 고였을 때에만 수압에 의해 차단판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은 흘러가고 유체만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에 커버를 도입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고 배수구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F)는 배수구(11)를 형성하는 제1본체(10)와, 상기 제1본체(10) 측면에 구비되어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연석(R)에 결합되는 제2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구(11)에 쌓였을 때에도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되어 도로에 유입되는 유체, 가장 많이는 빗물 등을 배수하도록 이루어지고,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는 연석(R)을 이용하여 단턱을 두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시공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배수구(11)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연석(R) 일부를 절단한 후 결합하여 시공함으로서 연석(R)의 일부 및 배수구(11)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10)는 상부에 유체 유입용 배수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1)와 연통되는 수직형 제1관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로(12)에는 하수관(17)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10)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배수구(11)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11) 상부에는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11)에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격자형 덮개(11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배수구(11)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격자형 덮개(113)의 테두리부분이 상기 안착부(111)에 놓여져 결합되는 구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격자형 덮개(113)가 아닌 배수구(11)를 밀폐시키는 탈착형 커버(C)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탈착형 커버(C)는 상기 덮개(113)와 같이, 안착부(111)에 놓여지는 부재로, 격자형 덮개(113)는 유체의 통과를 허락하도록 이루어지나, 상기 커버(C)는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통시장이나 저지대 취약지역 등에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통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탈착형 커버(C)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고정부재(M)를 통하여 상기 안착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임시고정부재(M)는 상기 안착부(111)와 커버(C) 양측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고무자석이거나,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커버(C)가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안착부(111)에만 고무자석 재질의 임시고정부재(M)를 구비하여 이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커버(C)의 상면에는 커버(C)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C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손잡이(C2)는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돌출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작업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도입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배수구(11)의 하부에는 수직형 제1관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관로(12)에는 후술하는 제2관로(22)가 연결되는 제1통공(14)과 하수관(17)이 연결되는 제2통공(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는 상기 제1통공(14)의 위치가 상기 제2통공(15)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통공(14) 상부에는 상기 제2본체(20)가 결합된 연석(R)의 일부가 안착되는 결착공간(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공간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끼움날개(G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입구(21)가 형성되는 제2본체(20)를 도로의 가장자리에 시공된 연석(R) 또는 연석(R)을 대체하도록 결합시켜 도로에서 이질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본체(20)는 유입구(21), 제1관로(12) 및 차단판(25)이 형성된 부재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2본체(20)는 연석(R)(경계석)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보행자 등에게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안내부(2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안내부(27) 측면에 유입구(2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본체(20)는 상기 유입구(21)가 상기 배수구(11)의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제1본체(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11)로 유입되지 않는 유체가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본체(20)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21)와 연통되는 제2관로(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로(22)는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제1관로(12), 보다 정확하게는 제1통공(14)에 연결되어 유입구(21)로 유입된 유체를 제1관로(12)로 배수하여 궁극적으로 하수관(17)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관로(22)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21)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1통궁(14)과 연통되며 중간에 절곡부(221)가 형성되어 도면과 같이 단면 형상이 'ㄴ'자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21)에는 단일의 유입구(21)를 구역화하기 위한 보강재(211)가 더 구비되어, 유입구(21) 형성에 있어, 지지력을 확보하여 내구성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상기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보강재(211)는 도면과 같이 세로방향의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입구(21)의 내측에는 차단판(25)이 더 구비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구(11)를 통하여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차단판(25)의 상부에는 힌지결합부(251)가 구비되고, 이 힌지결합부(251)가 상기 유입구(21)의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차단판(25)의 하부가 열려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결합부(251)와 유입구(21) 내측 상부의 힌지 결합방식은, 종래에 사용되는 봉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 핀을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 중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판(25)의 개폐는 별도의 탄성체를 상기 힌지결합부(251)에 구비되어 유체가 차단판(25)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할 때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유입구(21)가 폐쇄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 및 악취 역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유체의 수압에 의해 차단판(25)이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약한 탄성력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차단판(25)의 측면, 즉 상기 유입구(21)의 테두리 내측에 밀착되는 차단판(25)의 측면 테두리 부분에는 밀착력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고무패킹,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바가 도입되거나, 점착제가 도포되거나 점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유체에 의해 일정 수압을 받을 때에만 차단판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무자석을 도입하여 차단판(25)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입구(21) 내측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무자석은 상기 차단판(25)의 하부 또는 고임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5)은 상기 유입구(21) 전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211)에 의해 구역화 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유체의 양,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각 구역의 차단판(25)이 개별적으로 열려 유체를 유입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유입구(21)의 하부가 상기 제1본체(10)의 상단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임부(213)에 유입된 유체가 조금씩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10)와 유입구(21) 사이에 고임부(213)가 형성되도록 유입구(21)를 수직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2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경사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21)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유입구(21)와 제1본체(10) 사이에는 틈새, 즉 고임부(213)가 형성되게 되며, 유체가 유입될 때, 1차적으로 고임부(213)에 유체가 모여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증가된 하중에 의해 차단판(25)이 밀려 개방됨에 따라, 적은 양의 유체 또는 바람 등에 의해 차단판(25)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테이퍼진 형상, 즉 유입구(21)가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함은, 도3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유입구(21)가 형성되는 제2본체(20)의 상부 가로 폭보다 상기 유입구(21) 하단부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제2본체(20)의 하부 가로 폭이 더 좁게 형성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유체가 고이는 현상에 대하여 일예를 들면, 비가 오면 빗물 중 일부는 고이고 일부는 고여진 빗물 위로 흐르게 되는데, 이 때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은 흐르는 물과 함께 흘러 고임부(213)를 이탈할 수 밖에 없어, 유입구(2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또 한번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2관로(22)를 통하여 제1관로(12)로 배수되게 되며, 도면에서는 상기 제2관로(22)가 직각을 이루는 절곡부(221)를 갖도록 도시하였으나, 이 절곡부(221)는 곡선형의 절곡부(221)로 이루어져 유체가 고이지 않고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구(11) 상부에 이물질, 즉 낙엽 등이 쌓여 배수구(11)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때에도 유체가 유입구(21)로 유입될 수 있어 도로의 침수를 방지하며, 악취차단 및 미관을 위하여 배수구(11)에 커버(C)를 덮는 경우에도 측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F)의 시공 및 설치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2본체(20)에 제1본체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제1본체(10)는 연석의 일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10) 양측에는 연석의 일부분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석과 제1본체(10)는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나, 콘크리트,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결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본체(20)만 따로 제작하여, 기존에 설치된 하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제2본체(20)와 제1본체(10)를 상호 결합시키는데, 상기 제2본체(20)의 제2관로(22)의 단부, 즉 절곡부에 의해 'ㄴ'라 형성된 제2본체(20)의 단부를 상기 제1본체(10)의 제1통공에 끼워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 때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10) 양측에 위치하는 연석(R)에 하부가 개방된 끼움공(R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20)의 후단에 상기 끼움공(R2)에 끼워지는 끼움날개(G1)가 형성되어, 상기 제1본체(10)와 연석의 조립체를 상부에서 하부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제1관로를 상기 제1통공(14)에 끼워넣기 위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시키면, 사기 끼움날개(G1)가 상기 연석(R)의 끼움공(R2)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본체(10)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된 지지날개(G2)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날개(G2)는 제2본체(20)가 결합된 연석의 하단을 지지하는 날개로, 보다 안정적으로 제2본체(20)를 제1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도면에서는 상기 연석(R) 후단에 상기 지지날개(G2)가 지탱하는 별도의 후방날개(R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후방날개(R1)가 아니라 연석(R)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매설되어 배수구(11)를 형성하며, 상기 제2본체(20)의 제2통공(15)에 기 설치된 하수관, 또는 새롭게 설치되는 하수관이 결합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제1본체 및 제2본체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뒤,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즉 도로의 가장자리에 이를 한 번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이 작업 편의성 및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5는 상기 차단판(25)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차단판(25)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단판(25)의 상부보다 폭이 좁은 체류부(25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류부(255)는 상기 차단판(25) 단부에서 유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류부(255)는 도5와 같이, 상기 고임부(213)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도5의 우측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체류부(255)가 담을 수 있는 공간, 즉 체적이 상기 고임부(213)의 체적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체류부(255)에 유체가 고이면 유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차단판(25)이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체적이 체류부(255)의 체적보다 고임부(213)의 체적이 4배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플로어 게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 플로어 게이트
R : 연석 10 : 제1본체
11 : 배수구 111 : 안착부
113 : 덮개 12 : 제1관로
14 : 제1통공 15 : 제2통공
17 : 하수관 20 : 제2본체
21 : 유입구
211 : 보강재 213 : 고임부
22 : 제2관로 221 : 절곡부
25 : 차단판 251 : 힌지결합부
27 : 안내부 C : 커버

Claims (4)

  1. 상부에 유체 유입용 배수구가 형성되며, 배수구 및 하수관을 연통되는 제1관로가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제1관로를 연결하는 제2관로가 형성된 제2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 시 상기 배수구 상부가 막히면, 유체가 상기 배수구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2본체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하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유입구에는
    상기 유입구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하부 또는 고임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차단판을 유입구 내측에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유입구 사이에 유체가 고일 수 있는 고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입구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20210026209A 2021-02-26 2021-02-26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259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09A KR102590712B1 (ko) 2021-02-26 2021-02-26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09A KR102590712B1 (ko) 2021-02-26 2021-02-26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61A true KR20220122061A (ko) 2022-09-02
KR102590712B1 KR102590712B1 (ko) 2023-10-18

Family

ID=8328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09A KR102590712B1 (ko) 2021-02-26 2021-02-26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06B1 (ko) * 2023-09-19 2024-02-07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용 빗물 배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69A (ko) * 2007-08-16 2009-02-19 김상래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20170126363A (ko) * 2016-05-09 2017-11-17 김재원 경사구조를 갖는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180074970A (ko) * 2016-12-26 2018-07-04 김재원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배수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869A (ko) * 2007-08-16 2009-02-19 김상래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20170126363A (ko) * 2016-05-09 2017-11-17 김재원 경사구조를 갖는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180074970A (ko) * 2016-12-26 2018-07-04 김재원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배수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06B1 (ko) * 2023-09-19 2024-02-07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용 빗물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712B1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35102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US20130292311A1 (en) Stormwater Drain Backflow Flood Control Device
JP2008075430A (ja) 落葉対策用l型縁塊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20220122061A (ko)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EP3565931A1 (en) A drain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34252A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2190972B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20050081903A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0737121B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249093Y1 (ko) 배수구용 그릴에 장착하는 그물망커버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50103147A (ko)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2466764B1 (ko) 악취저감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