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34Y1 -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9334Y1 KR200249334Y1 KR2020010017907U KR20010017907U KR200249334Y1 KR 200249334 Y1 KR200249334 Y1 KR 200249334Y1 KR 2020010017907 U KR2020010017907 U KR 2020010017907U KR 20010017907 U KR20010017907 U KR 20010017907U KR 200249334 Y1 KR200249334 Y1 KR 2002493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 road
- prefabricated
- retain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측면의 급 경사진 지반을 지지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 옹벽에 측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측구가 형성된 옹벽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토사의 내부에 매설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도로와 접하는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부와; 측구부와 받침부 사이의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 받침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과, 벽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인접한 다른 조립식 측구겸용 옹벽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식으로 인한 작업성의 용이 및 균일한 품질관리와 동절기 및 우천시에도 작업이 가능하며, 터파기 및 거푸집공사가 필요없이 공기가 단축되고, 또한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옹벽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옹벽설치에 따른 설치공수를 줄여 공정기간을 단축시키고, 자재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 측면의 급 경사진 지반(地盤) 또는 복토(覆土) 등을 지지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 기능을 하는 측구가 일체화되 조립식으로 시공됨으로써, 별도의 설치된 수로의 설치 과정을 배제하여 측구설치에 따른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자재와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나 하천 그리고 제방 등의 측면 경사진 지반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전한 도로를 확보하고,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및 측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및 측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및 측구는 경사진 지반(1)을 지지하여 토사가 도로(2) 등으로 넘어 오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10)와, 벽체(10) 하부에 형성되어 벽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가 형성되고, 지지부(12)의 일측에 지반(1)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 또는 우천시에 도로(2)로 유입되는 우수 등이 집수되는 측구(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옹벽의 설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설치선을 따라 터파기를 하여 기초판 세움으로부터 옹벽의 설치까지 거푸집을 짜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으로 기초판을 매설하기 위한 터파기에 많은 시공면적이 필요하여 토지사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이므로 그 품질이 일정치 않아 정확한 관리가 어려우며, 하니콤(honeycomb) 등의 발생시 미관을 해하며 양생과정 등에서 콘크리트의 토압에 의한 크랙 등으로 품질 저하의 요인이 되며, 거푸집을 위한 재료비, 인건비, 시공기일 등의 과다로 건설단가가 높아지며, 특히 추운 동절기나, 장마 등의 우천시에는 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부분적인 파손 등에 대한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옹벽의 일측에 지반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 또는 우천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雨水) 등을 배수할 수 있는 측구가 일체화되어 별도의 측구 설치과정을 배제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공수를 줄일 수 이고, 자재와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및 측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반 2 : 도로
20 : 측구부 22 : 측구면
30 : 벽체 32 : 배수구
40 : 받침부 41, 42 : 제 1, 2결합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블록은, 일측에 토사의 내부에 매설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도로와 접하는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부와; 상기 측구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의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벽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인접한 다른 조립식 측구겸용 옹벽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측구부에 매립되고, 타단이 상기 도로의 표층에 매립되어상기 측구부를 상기 도로의 표층에 결합하는 다수의 철근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기능에 따라 정의된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이하, 옹벽)은 하부에 도로와 접하여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측구부(2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지반(1)을 지지하는 벽체(30)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벽체(30)의 내측 하부에 상기 벽체(30)가 토압에 견디어 지반(1)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 지지하는 받침부(40)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40)에는 상기 받침부(40)의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에 끼워맞춤 형상을 갖는 제 1a결합홈(41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워맞춤 형상의 제 1b결합홈(41b)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벽체(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에는 끼워맞춤 형상을 갖는 제 2a결합홈(4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워맞춤 형상의 제2b결합홈(42b)이 형성된다. 이에 이웃하는 각각의 옹벽들은 상기 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이웃되는 다른 옹벽의 대응되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2결합부재(41, 4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옹벽 복수개를 각각 제 1a, 1b 결합홈(41a, 41b)과, 제 2a, 2b결합홈(42b, 42b)에 각각 제 1, 2결합부재(41, 42)를 끼워맞춤식으로 일렬 조립하여 도로(2)의 양측에 경사진 지반(1)을 지지함과 아울러 도로(2) 양측에 측구를 형성한다.
상기 측구부(20)는 상기 벽체(30)의 외측 하부에 도로(2)와 접하여 우천시 도로(2)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배수할 수 있는 측구면(22)을 형성하고, 측구부(20)의 도로측 단부에는 도로(2)를 형성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측구부에 매립된 철골부재가 돌출된다.
상기 벽체(30)는 상기 받침부(40) 및 상기 측구부(20)가 접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그 연장길이는 지반(1)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30)는 도로(2) 양측면의 지반(1)의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 상기 지반(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40)에 대하여 지반(1)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벽체(30)의 소정부에는 벽체(30)의 배면에 지지된 지반(1)에서 배어나오는 수분과, 우천시 지반으로 스며드는 우수를 측구면(22)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32)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40)는 상기 벽체(30)가 지반(1)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30)의 바닥면적을 확장하는 것으로, 상기 벽체(30)의 하부에 형성된 측구부(20)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수평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40)의 폭은 벽체(30)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1a, 2a결합홈(41a, 42a)에는 인접하는 다른 옹벽의 제 1b, 2b결합홈(41b, 42b)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재(41, 42)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옹벽들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도로의 측면에 일렬로 조립되어 지지한다. 상기 각 결합홈(41a, 41b, 42a, 42b)의 형상은 각 결합부재(41, 42)가 삽입 장착되도록 요입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41, 42)는 삭각의 관형재로 형성되어 일측이 옹벽의 제 1a, 2a결합홈(41a, 42a)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이 옹벽에 인접한 다른 옹벽의 제 1b, 2b결합홈(41b, 42b)에 삽입되어 각 옹벽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의 시공순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옹벽들 중 제 1옹벽(100)과 제 2옹벽(200)을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 1, 2결합부재(41, 42)를 제 1옹벽(100)의 제 1a결합홈(41a) 및 제 2a결합홈(42a)과 제 2옹벽(200)의 제 1b결합홈(41b), 그리고, 제 1옹벽(100)의 제 2a결합홈(42a)과 제 2옹벽(200)의 제 2b결합홈에 각각 끼워 두 옹벽(100, 200)을 서로 결합한다. 각 옹벽들은 이러한 상태로 도로(2)의 양측면에 매설되어 도로(2) 양측에 경사진 지반(1)을 지지하게된다. 이때, 측구부에서 돌출된 철골부재(24)들은 도로(2)의 표면에 타설되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옹벽(100)은 도로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옹벽이 설치되는 경우, 지반 내부로 침투되는 빗물 등은 벽체(30)의 소정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32)을 통하여 도로측의 측구면(22)으로 배출되어 그 측구면(22)을 따라 배수되고, 도로(2)에 내리는 빗물은 완만한 만곡면을 이루는 도로(2)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려 측구면(22)을 따라 배수된다.
이상에서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은 조립식으로 인한 작업성의 용이 및 균일한 품질관리와 동절기 및 우천시에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또한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옹벽블록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터파기 및 거푸집공사가 필요없으므로 옹벽설치에 따른 공수가 줄어 공기(工期)를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자재와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일측에 토사의 내부에 매설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도로와 접하는 측구를 형성하는 측구부와;상기 측구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의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상기 받침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벽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인접한 다른 조립식 측구겸용 옹벽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제 1항에 있어서,일단은 상기 측구부에 매립되고, 타단이 상기 도로의 표층에 매립되어 상기 측구부를 상기 도로의 표층에 결합하는 다수의 철근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7907U KR200249334Y1 (ko) | 2001-06-15 | 2001-06-15 |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7907U KR200249334Y1 (ko) | 2001-06-15 | 2001-06-15 |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9334Y1 true KR200249334Y1 (ko) | 2001-11-16 |
Family
ID=7310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7907U KR200249334Y1 (ko) | 2001-06-15 | 2001-06-15 |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9334Y1 (ko) |
-
2001
- 2001-06-15 KR KR2020010017907U patent/KR200249334Y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64857A (en) | Slutted drain | |
JP2007138707A (ja) |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 |
CN201459985U (zh) | 平顶房的防水结构 | |
KR20060110163A (ko) | 조립식 식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 |
KR200249334Y1 (ko) |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 |
KR200439619Y1 (ko) | 매입형 배수로 부재 | |
KR20080001610U (ko) | 매입형 배수로 부재 | |
JP2886528B1 (ja) | 多目的街渠構造 | |
JPH0786247B2 (ja) | 複合機能型側溝 | |
KR100378702B1 (ko) |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 |
JP4105595B2 (ja) | 歩車道境界体を構築するため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JP7499163B2 (ja) | 貯水型側溝およびそれを用いた貯水型側溝設備 | |
KR101137449B1 (ko) | 도로 경계용 측구 시공방법 | |
JP2000179034A (ja) |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 |
JP3605537B2 (ja) | 排水性舗装路面の排水構造 | |
KR100398961B1 (ko) |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 |
JP3089149U (ja) | 側 溝 | |
CN218970188U (zh) | 一种铺装绿化雨水口 | |
KR200331474Y1 (ko) | 옹벽용 조립식 블록 | |
KR102124839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차단 장치 | |
KR200263811Y1 (ko) |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 |
JP2799845B2 (ja) | 地下浸透型側溝の構築工法 | |
KR100954800B1 (ko) |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 |
KR100769944B1 (ko) | 생태 환경을 고려한 경관 옹벽 및 이를 이용한 보도 확장시공방법 | |
KR100577851B1 (ko) | 부력으로 인한 이탈방지용 도로 배수관로 보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