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961B1 -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961B1
KR100398961B1 KR10-2000-0070419A KR20000070419A KR100398961B1 KR 100398961 B1 KR100398961 B1 KR 100398961B1 KR 20000070419 A KR20000070419 A KR 20000070419A KR 100398961 B1 KR100398961 B1 KR 10039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drainage
drain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83A (ko
Inventor
송주원
Original Assignee
(주)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 filed Critical (주)지원
Priority to KR10-2000-007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9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 연결부재로 구성된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벽면에 문양(1)이 돌출되어 있는 문양 콘크리트 패널(3)과, 이 패널(3)들을 연결해 주기 위해 일면에 철망(5)이 부착된 H형 연결부재(6)와 지지대(7)(7')로 구성된 패널 연결부재(8)를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구(9)에 관한 것이고, 또한 터파기한 설치공간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콘크리트 배수구(9)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배수로를 시공하되, 서로 마주보는 문양 콘크리트 패널(3) 사이에 거치된 보강철근(10)(10') 상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로가 시공되거나, 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배수 파이프(11)를 매설하고, 이 배수 파이프(11)와 연결되는 유공관(12)과 배출관(14)을 설치하여 사면 내의 표면침투수 및 지하 용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 시공방법{A Concrete Watershoot with and Method of a Drainageway Thereby}
본 발명은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배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벽면에 미려한 문양이 돌출되어 있는 패널과 이 패널과 패널 사이를 연결해 주는 패널 연결부재로 조립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콘크리트 배수로가 설치되거나, 또는 사면 내의 표면침투수나 지하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부에 배수파이프를 매설하여 유공관과 배출관으로 연결한 콘크리트 배수구가 설치되는 배수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신설 및 포장공사, 간척지 내부 개답(開沓) 및 녹지 정비, 또는 택지 개발 등 각 분야 걸쳐서 용수 및 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수구로는 콘크리트 타설, 또는 콘크리트 플륨관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콘크리트 플륨관은 콘크리트를 양생시키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중량이 과다하여 운반과 시공이 복잡하고, 인력의 과다 투입과 공기를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로 인해 간편하고 경제적인 배수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 콘크리트 배수패널의 대체품으로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만으로 사출성형한 합성수지 배수패널을 사용하여 배수구를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경량으로 배수로의 시공성 및 경제성은 우수하나, 배수로 피트에서 마구리들의 연결 배치하는 연결부 조립작업을 할 때 상기 콘크리트 배수패널에 비해 아주 용이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합성수지 배수구는 시공후 오래되지 않아 들뜨게 되어 결국에는 유실되기 쉬운 결함이 있었다.
즉, 배수로의 측벽 외부에서 배수구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배수로 측벽 외부의 토사가 침하되어 별도의 측수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측수로를 통하여 계속해서 우수가 흐르게 되어 측벽 외부의 토사가 계속 유실되며, 결국에는 합성수지 배수구가 들떠서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배수구로서의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배수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제작된 조립식의 배수구(17)를 제작하여 이 배수구를 계속해서 연결부재(18)로 서로 조립하여 연결한 후, 수밀을 위해 바닥 연결부위를 몰탈이나 또는 실리콘(19)으로 처리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없이 배수로를 구성하는 시공방법도 있으나, 이는 바닥 연결부위가 필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지반이 불량한 지역의 경우 부등침하가 우려되며, 배수구 내 바닥의 퇴적된 토사의 청소작업을 할 때 수밀을 위해 부착된 몰탈 및 실리콘이 손실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이것도 역시 배수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합성수지 배수패널로 시공되는 배수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출원번호:실용98-22100호)한 고안인 콘크리트와 합성수지로 구성된 조립식 배수구(100)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측벽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30)(30')의 상하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배수로를 구성하는 시공방법이 있으나, 이는 예컨대, 산불이나 또는 이와 유사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합성수지가 불에 약하기 때문에, 배수로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수지 배수구가 불에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주로 들판이나 산 같은 야외에 설치되는 상기한 종래 배수구들은 측벽을 모두 평평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동물 및 파충류 등 야생동물이 이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야생동물이 지나다니는 길목을 차단하게 되는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야생동물의 보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주로 사면의 아래에 설치되는 배수로가 사면에 유입되는 표면 침투수 및 지하용수의 영향을 받아 사면이 붕괴될 우려가 있으나, 종래의 배수로에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배수패널과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배수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야생동물이 지나다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미려한 돌출 문양이 일면에 형성된 패널을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구성하고, 상기 패널과 패널 사이는 생태보호용 철망이 일면에 부착된 H형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패널 연결부재로 조립하여 V자 형태로 콘크리트 배수구를 설치하고, 또한 터파기한 설치공간 내에서 문양 콘크리트 패널이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후, 상기 문양 콘크리트 패널 사이에 거치되는 보강 철근의 상하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부에 배수 파이프를 매설하고 이 배수 파이프에 유공관과 배출관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배수구가 설치되는 배수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철망부착 H형 연결부재의 조립 상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 연결부재로 설치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콘크리트 패널 조립식 배수구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합성수지 배수패널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문양, 2...조립부,
3,3'...문양 콘크리트 패널, 4,4'...삽입부,
5...철망, 6...H형 연결부재,
7,7'...지지대, 8...패널 연결부재,
9...콘크리트 배수구, 10,10'...보강 철근,
11...배수 파이프, 12...유공관(有孔官),
13...잡석, 14...배출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패널이 H형 연결부재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연결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 연결부재로 설치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의 벽면에 미려한 문양(1)이 돌출되어 있고 양단에는 조립부(2)(2')가 형성된 문양 콘크리트 패널(3)과, 이 콘크리트 패널(3)의 조립부(2)가 삽입되는 삽입부(4)(4')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는 철망(5)이 부착된 H형 연결부재(6)를 V자로 마주보게 하여 하단을 위아래 2개의 지지대(7)(7')로 연결하여 보강한 패널 연결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3)의 벽면에 돌출 형성된 문양(1)과 H형 연결부재(6)의 일면에 부착된 철망(5)은 파충류를 포함하는 야생동물이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는 길목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상기 H형 연결부재(6)에 부착된 철망(5)에 의해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가 보다 수월하게 타고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철망(5)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적용되나, 보다 광범위하게는 망사 형태나 또는 요철 형태로 구성된 부재를 사용하여도 철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패널(3)의 벽면에 형성된 문양(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콘크리트 패널(3) 외에도 현장에서 전부분이 콘크리트로 직접 타설되어 설치되는 배수로에서는 그 벽면에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콘크리트 패널로 조립되어 설치되는 배수로, 또는 콘크리트 플륨관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배수로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 또는 콘크리트 플륨관을 제작할 때 그 벽면에 미리 형성시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 연결부재로 구성된 콘크리트 배수구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배수로의 시공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양 콘크리트 패널(3)과 패널 연결부재(8)로 조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구(9)가 안착되어 배수로가 형성될 지면에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경사지게 V홈 형상으로 터파기를 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다음에, 이 설치공간 내에 패널 연결부재(8)를 배치하고, 문양 콘크리트 패널(3)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부(2)를 패널 연결부재(8)의 H형 연결부재(6)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4)(4')에 삽입시켜 조립하되, 계속해서 상기 H형 연결부재(6) 양단의 삽입부(4)(4')에 문양 콘크리트 패널(3)의 조립부(2)를 삽입하는 조립을 반복하여, 상기 패널(3)과 패널(3') 사이에 패널 연결부재(8)가 연결되는 형태로 콘크리트 배수구(9)를 설치한다.
이때, H형 연결부재(6)마다 철망(5)을 부착하지 않고 하나씩 건너뛴 상기 연결부재(6)에 철망(5)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터파기한 설치공간 내에 콘크리트 배수구(9)의 설치가 완료되면, 패널 연결부재(8) 하단부에 연결된 지지대(7)(7') 상부의 콘크리트 타설부에 2개의 보강 철근(10)(10')을 상기 배수구(9)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거치한 후, 상기 지지대(7)(7')와 보강 철근(10)(10')의 상하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배수로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 철근(10)(10')을 콘크리트 배수구(9)의 길이 방향으로 거치하게 되면, 상기 배수구(9)가 길이 방향으로 뒤틀려지는 부등침하 현상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되는 배수로에 추가되어 시공되는 다른 실시예의 배수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간 내에 안착된 콘크리트 배수구(9)의 하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현장 여건에 따른 수량으로 상기 배수구(9)의 폭방향으로 배수 파이프(11)를 걸쳐서 매설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사면 내에 설치되는 유공관(12)을 상기 배수 파이프(11)의 사면 쪽과 연결하고 그 주위에 잡석(13)을 배치한 다음, 상기 배수 파이프(11)의 다른 쪽에는 배출관(14)을 연결함으로써, 사면 내로 스며드는 표면 침투수 및 지하용수 등이 상기 유공관(12)으로 집수되어 배수 파이프(11와 연결된 배출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표면침투수와 지하용수에 의한 사면의 토사 유실 및 쇄굴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유공관의 주위에 배치한 잡석은 사면 내에서 맹암거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유공관의 연결은 -, T, + 등의 형태로 현장 여건에 맞는 다양한 연결방법의 채택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반 조립 및 반 타설식으로 배수로가 시공되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거푸집이 필요없는 상태에서 간단하게 조립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배수로가 시공되므로 상기한 종래 배수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패널에 형성시킨 미려한 문양은 자연 친화적인 아름답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주변 환경을 개선시킴은 물론, 문양 콘크리트 패널과 연결부재에 설치된 철망으로 인해 동물이나 파충류와 같은 야생동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길목 역할을 수행하므로 생태계를 보호 및 유지시킬 수 있고, 배수로의 배수 파이프와 연결된 유공관 및 배출관을 통하여 사면 내의 표면침투수와 지하용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사면이 붕괴되거나 토사의 유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측면의 벽면에 미려한 문양(1)이 돌출되어 있고 양단에는 조립부(2)가 형성된 문양 콘크리트 패널(3)과;
    이 패널(3)의 조립부(2)가 삽입되는 삽입부(4)(4')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는 망사 또는 요철형 부재가 부착된 H형 연결부재(6)를 V자로 마주보게 하여 하단을 지지대(7)(7')로 연결하여 보강한 패널 연결부재(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배수구.
  2. 삭제
  3. 문양 콘크리트 패널(3)과 패널 연결부재(8)로 조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수구(9)가 안착되어 배수로가 형성될 지면에 경사지게 V홈 형상으로 터파기를 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이 설치공간 내에 패널 연결부재(8)를 배치하고, 문양 콘크리트 패널(3)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부(2)를 패널 연결부재(8)의 H형 연결부재(6)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4)(4')에 삽입시켜 조립하되, 계속해서 상기 H형 연결부재(6) 양단의삽입부(4)(4')에 문양 콘크리트 패널(3)의 조립부(2)를 삽입하는 조립을 반복하여, 상기 패널(3)과 패널(3') 사이에 패널 연결부재(8)가 연결되는 형태로 콘크리트 배수구(9)를 설치하는 단계와;
    터파기한 설치공간 내에 콘크리트 배수구(9)의 설치가 완료되면, 패널 연결부재(8) 하단부에 연결된 지지대(7)(7') 상부의 콘크리트 타설부에 보강 철근(10)(10')을 상기 배수구(9)의 길이 방향으로 거치한 후, 상기 지지대(7)(7')와 보강 철근(10)(10')의 상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배수구(9)의 하단에 상기 배수구(9)의 폭방향으로배수 파이프(11)를 걸쳐서 매설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사면 내에 설치되는 유공관(12)을 상기 배수 파이프(11)의 사면 쪽과 연결하고 그 주위에 잡석(13)을 배치한 다음, 상기 배수 파이프(11)의 다른 쪽에는 배출관(14)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2000-0070419A 2000-11-24 2000-11-24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10039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19A KR100398961B1 (ko) 2000-11-24 2000-11-24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19A KR100398961B1 (ko) 2000-11-24 2000-11-24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040U Division KR200233587Y1 (ko) 2000-11-25 2000-11-25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83A KR20020040383A (ko) 2002-05-30
KR100398961B1 true KR100398961B1 (ko) 2003-09-26

Family

ID=1970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419A KR100398961B1 (ko) 2000-11-24 2000-11-24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84B1 (ko) 2005-04-19 2008-01-10 황익현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38B1 (ko) 2016-08-29 2017-01-19 유정렬 배수로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119U (ja) * 1992-12-03 1994-11-25 功 尾形 ホタル魚床環境護岸コンクリート製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119U (ja) * 1992-12-03 1994-11-25 功 尾形 ホタル魚床環境護岸コンクリート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84B1 (ko) 2005-04-19 2008-01-10 황익현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83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000025A1 (de) Wasserleitung
KR20060110163A (ko) 조립식 식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200233587Y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CN110983886A (zh) 一种复合式市政道路
KR20030001653A (ko)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KR100440900B1 (ko)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CN109162164A (zh) 消灭城市局部水涝的海绵化方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KR200261327Y1 (ko) 배수용 비탈면 보호 블럭
KR200267028Y1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101221645B1 (ko) 비탈면의 사방댐용 걸름장치
KR200194038Y1 (ko) 수로관
KR200326338Y1 (ko) 옹벽 구조물 배수구조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JPH03365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