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46Y1 - 벽체용 루프 드레인 - Google Patents

벽체용 루프 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46Y1
KR200453346Y1 KR2020080008312U KR20080008312U KR200453346Y1 KR 200453346 Y1 KR200453346 Y1 KR 200453346Y1 KR 2020080008312 U KR2020080008312 U KR 2020080008312U KR 20080008312 U KR20080008312 U KR 20080008312U KR 200453346 Y1 KR200453346 Y1 KR 200453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ain
building
lower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98U (ko
Inventor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영 filed Critical 정대영
Priority to KR202008000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4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13/0431Drainage outlets, e.g. gullies with horizontal evacuation over the border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배관이 건물 외벽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빗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앵글 형상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걸름망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건물의 내,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0mm내외로 형성되고,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루프 드레인, 벽체, 배수, 물끊기 홈

Description

벽체용 루프 드레인{Roof drain for wall}
본 고안은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배관이 건물 외벽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드레인이라 함은, 건물의 옥상 또는 발코니 등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루프 드레인은 건물의 구조에 따라 건물의 옥상 바닥에 설치되거나, 건물의 옥상 바닥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배수배관(300)과 연결되도록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101)가 형성된 하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0)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다수의 배수공(201)이 형성된 걸름망(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배수배관(300)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며, 건물 외벽에 설치된 선홈통상자(400)의 하부에 배수배관(300)이 일부 관통되고, 별도의 연결관(500)으로 하부몸체(100)와 배수 배관(300)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루프 드레인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배수배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루프 드레인은 하부몸체의 돌출부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별도의 PVC 또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시공 시 연결관(PVC 또는 스테인레스 파이프)과 돌출부를 코킹에 의해 접합하므로 방수가 잘되지 않아 돌출부와 연결관의 조인트 부분으로 빗물이 역류하여 빗물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등의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연결관을 코킹으로 시공한 후 외부 마감재 시공 시 연결관을 움직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코킹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내부로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모두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을 없애고 부재 연결부의 하자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빗물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용 루프 드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빗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앵글 형상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걸름망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건물의 내,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0mm내외로 형성되고, 외 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모두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시공 후 길이가 길어도 길이게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루프 드레인과 선홈통상자를 연결하는데 사용되었던 연결관의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재료비 절감은 물론 하자방지 효과와 시공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면에 형성된 물끊기 홈에 의해 빗물이 돌출부의 표면을 타고 역류하는 것을 사전에 미리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빗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앵글 형상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걸름망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건물의 내,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0mm내외로 형성되고,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빗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12)가 형성된 앵글 형상의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된 걸름망(2)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는 건물의 내,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0mm내외로 형성되고,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1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배수배관(3)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주로 사용하며, 재질은 FRP, PVC, 스테인레스 등 여러 종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건물 옥상 바닥과 벽체를 타설할 때, 하부몸체(1)를 시공하여 고정함을 원칙으로 하지만, 현장에서 실제 시공은 타설 완료 후 몰탈과 액체방수로 후시공 한다. 특히 상기 걸름망(2)은 빗물의 배수 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원의 요점은, 하부몸체(1)의 돌출부(12) 길이를 건물의 벽체 두께에 따라 500mm내외로 형성하여 기존의 것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돌출부(12)의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12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의 벽체용 루프 드레인은 돌출부(12)의 길이가 보통 200mm내외로 형성되므로 외부 마감재(5)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가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일측은 돌출부(12)에 체결하여 코킹으로 시공하고 타측은 선홈통상자(4)에 연결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을 생략하고 건물의 내부 마감재는 물론 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12)를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돌출부(12)의 길이는 400~600㎜로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500㎜가 적당하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조인트를 없애서 조인트 접합부분의 하자발생 요소를 없애고, 루프 드레인 설치 후 여분의 길이는 마감 시공 시 그라인더 또는 커팅기로 잘라서 마무리하면 되므로 시공성 또한 우수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12)의 외면에 다수로 형성된 물끊기 홈(121)의 역할은 비가 많이 온 경우에 선홈통상자(4)에 빗물이 고여서 내려갈 때 빗물이 돌출부(12)의 표면을 타고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2)와 선홈통상자(4)의 연결부는 실리콘 등으로 마감하여 방수시킨다.
상기 물끊기 홈(121)은 사각이나 삼각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빗물이 상기 물끊기 홈(121)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끊기 홈(121)은 돌출부(12)의 표면을 따라 빗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사전에 미리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5는 스티로폼과 적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외부 마감재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체용 루프 드레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벽체용 루프 드레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몸체
11 : 유입구
12 : 돌출부
121 : 물끊기 홈
2 : 걸름망
21 : 배수공
3 : 배수배관
4 : 선홈통상자

Claims (1)

  1. 빗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통형의 돌출부(12)가 형성된 앵글 형상의 하부몸체(1)와, 상기 하부몸체(1)의 내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되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된 걸름망(2)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는 건물의 내,외부 마감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500mm내외로 형성되고,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빗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외면에 다수의 물끊기 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물끊기 홈(121)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루프 드레인.
KR2020080008312U 2008-06-20 2008-06-20 벽체용 루프 드레인 KR200453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12U KR200453346Y1 (ko) 2008-06-20 2008-06-20 벽체용 루프 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12U KR200453346Y1 (ko) 2008-06-20 2008-06-20 벽체용 루프 드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98U KR20090013198U (ko) 2009-12-30
KR200453346Y1 true KR200453346Y1 (ko) 2011-04-22

Family

ID=4424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312U KR200453346Y1 (ko) 2008-06-20 2008-06-20 벽체용 루프 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07Y1 (ko) 2002-09-05 2003-01-24 이대영 배수 각도를 갖는 옥외 통수관
JP2004285634A (ja) * 2003-03-20 2004-10-14 Kazuyuki Kanbara 排水具用付属具および排水具
KR200391116Y1 (ko) 2005-04-25 2005-08-0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2006118199A (ja) * 2004-10-21 2006-05-11 Kazuyuki Kanbara オーバーフロー機能を備えたコーナードレインおよびストレー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07Y1 (ko) 2002-09-05 2003-01-24 이대영 배수 각도를 갖는 옥외 통수관
JP2004285634A (ja) * 2003-03-20 2004-10-14 Kazuyuki Kanbara 排水具用付属具および排水具
JP2006118199A (ja) * 2004-10-21 2006-05-11 Kazuyuki Kanbara オーバーフロー機能を備えたコーナードレインおよびストレーナ
KR200391116Y1 (ko) 2005-04-25 2005-08-0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98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800B2 (en) Self-flushing gutter pipe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JP2010242372A (ja) 雨水貯留装置及びその集水筒
US9988818B1 (en) Rooftop rainwater drainage assembly
KR200453346Y1 (ko) 벽체용 루프 드레인
CN214220002U (zh) 一种装配式集成卫生间防水底盘
AU2009100093B4 (en) Self Flushing Leaf Filter
CN209162987U (zh) 一种新型建筑屋顶排水结构
JP2009062701A (ja) 樋配管システム
CN109881847A (zh) 设有地下室顶板室外地面或者屋面的变形缝排水构造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US20090243287A1 (en) Down spout clean-out adapter
US20190368185A1 (en) Plumbing fixture
US20040223807A1 (en) Self-flushing gutter pipe
KR101925205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
CN205171650U (zh) 预埋式楼面沉池地漏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JP5092689B2 (ja) 屋根排水装置
KR102597916B1 (ko)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JP2004285634A (ja) 排水具用付属具および排水具
KR100746732B1 (ko)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JP2005330776A (ja) 雨水貯留装置及び該雨水貯留装置を用いた雨水貯留システム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JP7474165B2 (ja) 排水管カバー及び雨水排水構造
KR100783936B1 (ko) 옥상용 배수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