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04B1 -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04B1
KR101173304B1 KR1020120036826A KR20120036826A KR101173304B1 KR 101173304 B1 KR101173304 B1 KR 101173304B1 KR 1020120036826 A KR1020120036826 A KR 1020120036826A KR 20120036826 A KR20120036826 A KR 20120036826A KR 101173304 B1 KR101173304 B1 KR 10117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anel
panel
entranc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달성
Original Assignee
오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달성 filed Critical 오달성
Priority to KR102012003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방지를 위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 출입구를 가로 질러 세워질 수 있도록 한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좌편과 우편에서 좌우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각각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확장패널과: 상기 본체패널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패널을 밀어주어 상기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압착시켜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ENTRANCE WATER PROOF APPARATUS FOR FLOOD PROTECTION}
본 발명은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구의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침수되기 쉬운 상습 침수지역에 있는 건물 출입구에 주로 설치된다.
대표적인 상습 침수지역인 저지대의 경우 밀집된 주택가 또는 지하주택 및 지하상가,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매년 장마철이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우려되어 불안한 생활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선도로(支線道路: access road)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여름철 홍수기인 7, 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지대의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지선도로와 인접되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침수피해를 조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건물 출입구에 물막이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물막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물막이 장치는 건물 출입구 양측벽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지주(20)와, 상기 고정지주(20)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끼워지는 사각의 물막이판(10)과, 상기 고정지주(20)에 대하여 물막이판(10)을 체결해주는 체결부재(30)로 구성되었다.
이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물막이 장치는 집중적인 호우로 인해 배수되지 못한 채 차오르는 물이 건물 출입구를 통해 침입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물막이 장치는 상기 고정지주(20)가 건물 출입구 양측벽에 반영구적으로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기간 이외의 기간에도 상기 고정지주(20)를 제거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평상시에도 건물 출입구에 방치된 고정지주(20)는 보기에도 흉물스러울 뿐만 아니라 설치된 건물이 침수피해가 예상된다는 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 가격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의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는, 건물 출입구를 가로 질러 세워질 수 있도록 한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좌편과 우편에서 좌우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각각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확장패널과: 상기 본체패널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패널을 밀어주어 상기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압착시켜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에는 상기 출입구와의 수밀한 접촉을 위하여 실리콘 스펀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 사이에는 수밀한 접촉을 위하여 실리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분체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푸쉬부재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분체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의 표면에는 상기 분체도장에 의해 색상이 가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본체패널의 좌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본체패널의 우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본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출시 상기 출입구 양측벽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을 밀어 압착시키고 후퇴시 상기 압착을 해제하는 진퇴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진퇴부를 진출 또는 후퇴시켜주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본체패널의 전면과 접촉하는 전면접촉부와, 상기 전면접촉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본체패널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한 후면접촉부와, 상기 전면접촉부로부터 전방향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와, 상기 전방연장부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전면접촉부와의 사이에 실리콘 스펀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스펀지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을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을 겹쳐진 상태로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에서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은 좌우로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패널의 좌우방향 변위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는 상기 관통공의 상하폭보다는 넓고 좌우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아이너트로 구비되어 그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확장패널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는, 출입구 양측벽에 상시 고정되도록 한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출입구 양측벽에 대하여 확장패널을 강력한 힘으로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전면에서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확장패널이 구비되기 때문에 좌우폭을 건물 출입구 좌우폭에 맞추어 좌우폭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장 큰 부피를 갖는 본체패널이 경량화 소재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이동 및 설치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패널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지 않아도 간단히 끼우는 방식에 의하여 실리콘 스펀지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분체도장에 의하여 내식성을 갖추고 있고 주변의 환경과 조화로운 색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패널에 대하여 확장패널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보관에 편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물막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패널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도 4의 'A'를 확대하여 설치동작을 보여주는 일련의 참고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는, 건물의 출입구 양측벽에 압착방식에 의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건물 출입구에 상시 고정되는 흉물스러운 고정지주를 세우지 않아도 되고, 강력한 압착에 의하여 건물 출입구에 수밀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수압을 안정적으로 견디면서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패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는 본체패널(110)과, 한 쌍의 확장패널(120)과, 푸쉬부재(130)와, 구속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패널(110)의 좌우편에서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확장패널(120)이 상기 푸쉬부재(130)의 강력한 힘에 의해 밀리면서 건물 출입구 양측벽에 압착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정지주 없이도 간편하게 수밀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패널(110)은 건물 출입구를 가로 질러 세워져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넓은 사각의 패널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패널(110)의 좌우폭은 설치될 건물의 출입구보다 약간 좁게 마련된다. 상기 본체패널(110)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의 빈 공간은 경량의 충진재로 충진하거나 비워둔다. 그리고 상기 본체패널(11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연결부위 이음부는 아크용접이나 실리콘 작업을 하여 봉합한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110)의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하게 되면 공기 중에서 녹이 잘 슬지 않으나 산과 알칼리에 의해 부식되기 쉬우므로 그 표면에 내식성 분체도장을 하여 부식을 대비한다. 이처럼 분체도장을 하게 되면 부식이 방지되는 것뿐만 아니라 도장부위의 표면강도가 강해져서 접촉에 의한 긁힘이 완화되고, 표면이 매끄럽게 되며, 주변 환경에 조화되는 색상을 입힐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110)의 상단부에는 접힘식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11)는 상기 본체패널(110)의 좌우폭이 늘어나는 경우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손잡이(111)가 구비되면 이동 및 보관시 편리하다. 또한, 상기 본체패널(110)의 하단부에는 건물 출입구와의 수밀한 접촉을 위하여 실리콘 스펀지(127)가 접합된다. 상기 본체패널(110)의 하단부 이외에도 상기 확장패널(120)에도 실리콘 스펀지(123)가 구비되며 (좌편에 구비된 확장패널(120)에는 좌측단에, 우편에 구비된 확장패널(120)에는 우측단에 구비됨), 상기 본체패널(110)과 확장패널(120)의 겹쳐진 사이에도 수밀을 위해 실리콘 스펀지(125)가 구비된다. 상기 실리콘 스펀지(123,125,127)는 가볍고 부드러워 휘어짐이 매우 좋으며, 탄성이 풍부하여 본 발명이 설치되는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과 바닥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도 적응성이 뛰어나서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방진, 방음 특성이 우수하고, 고온 및 저온에서도 유연한 성질을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같은 실리콘 스펀지(123,125,127)는 다른 유기고무계의 스펀지에 비해서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이 뛰어나므로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확장패널(120)은 상기 본체패널(110)의 전면에서 좌편과 우편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좌우폭을 확장해 줌으로써 건물 출입구 너비에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패널(120)은 상기 본체패널(110)의 전면과 접촉하는 전면접촉부(121a)와, 상기 전면접촉부(121a)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21b)와, 상기 후방연장부(121b)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본체패널(110)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한 후면접촉부(121c)와, 상기 전면접촉부(121a)로부터 전방향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121d)와, 상기 전방연장부(121d)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전면접촉부(121a)와의 사이에 실리콘 스펀지(123)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스펀지 끼움부(121e)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120)의 전면접촉부(121a)에는 상기 구속부재(140)의 볼트(141)가 관통하는 관통공(122)이 구비되는데 상기 관통공(122)은 좌우폭이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확장패널(120)은 상기 구속부재(140)의 볼트(141)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패널(1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확장패널(120)은 본체패널(110)과는 달리 높은 강도를 확보하면서 상기 푸쉬부재(130)에 의한 압력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스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표면은 부식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분체도장되며, 상기 분체도장에 의해 주변의 환경과 조화되는 색상이 가미될 수도 있다.
상기 푸쉬부재(130)는 상기 본체패널(110) 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패널(120)을 밀어주어 상기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압착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푸쉬부재(130)는 상기 본체패널(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31)와, 상기 고정부(131)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출시 상기 출입구 양측벽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120)을 밀어 압착시키고 후퇴시 상기 압착을 해제하는 진퇴부(132)와, 상기 고정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진퇴부(132)를 진출 또는 후퇴시켜주는 손잡이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이 구성된 푸쉬부재(130)는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매우 강력한 힘으로 상기 확장패널(120)을 건물 출입구 양측벽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확장패널(120)이 건물 출입구 양측벽에 강하게 압착되어 상기 본체패널(110)에 가해지는 수압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해주고 수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재(130)는 상기 본체패널(110)의 좌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본체패널(110)의 우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확장패널(120)을 편중 없이 균형 있게 밀어주도록 한다.
상기 구속부재(140)는 상기 본체패널(110)에 대하여 확장패널(120)을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속부재(140)는 상기 본체패널(110)과 확장패널(120)을 겹쳐진 상태로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는 볼트(141)와, 상기 볼트(141)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아이너트(1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아이너트(142)는 상기 확장패널(120)에 구비된 관통공(122)의 상하폭보다는 넓고 좌우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아이너트(142)의 회전된 각도에 따라 관통공(122)을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확장패널(120)을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구속부재(14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볼트(141)와 아이너트(142)를 체결하면 상기 본체패널(110)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120)이 압착된 상태로 구속되지만, 상기 볼트(141)와 아이너트(142)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고 느슨하게 해주면 상기 확장패널(120)이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아이너트(142)의 넓은 폭이 수직하게 회전하여 맞추어지면 상기 관통공(122) 주변에 걸쳐지게 되어 상기 본체패널(110)로부터 확장패널(120)을 분리시킬 수 없지만, 상기 아이너트(142)의 넓은 폭이 수평하게 회전하여 맞추어지면 상기 확장패널(120)의 관통공(122)을 관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상기 본체패널(110)로부터 확장패널(12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본체패널(110)에는 상기 구속부재(140)의 볼트(141)가 관통되는 관통공(112)이 단공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의 설치동작 및 작용을 도 7 및 도 8을 비롯하여 앞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7 및 도 8은 도 도 4의 'A'를 확대하여 설치동작을 보여주는 일련의 참고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가 설치될 건물의 출입구 폭을 잰 후 그 폭 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 본체패널(110)을 제작하여 마련한다.
이후, 상기 출입구의 양측벽 및 바닥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고 표면 상태가 매우 불균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르타르나 시멘트를 사용하여 평탄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상기 확장패널(120)의 폭이 좁혀진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패널(110)을 바닥에 내려놓아 출입구를 가로질러 세워준다. 이때 상기 본체패널(110)에 대하여 확장패널(120)을 구속하고 있는 볼트(141)와 아이너트(142)를 느슨하게 풀어 상기 확장패널(120)이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푸쉬부재(130)의 손잡이부(133)를 당겨서 진퇴부(132)가 진출하도록 한다. 이를 좌편과 우편에 각각 구비된 푸쉬부재(130) 모두에 대하여 실시한다. 그러면 상기 진퇴부(132)가 진출하면서 상기 확장패널(120)을 강력한 힘으로 밀어주어 상기 확장패널(120)이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강하게 압착된다. 이때 상기 본체패널(110)과 확장패널(120)에 구비된 실리콘 스펀지(123,127)가 상기 출입구의 양측벽 및 바닥에 압착되어 불균일한 표면 틈새를 촘촘하게 메우면서 수밀한 압착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아이너트(142)를 잠금방향으로 돌려주어 상기 본체패널(110)로부터 상기 확장패널(120)이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막이 장치의 설치가 간단히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본체패널 111 : 손잡이
120 : 확장패널 123,125,127 : 실리콘 스펀지
130 : 푸쉬부재 140 : 구속부재

Claims (14)

  1. 건물 출입구에 설치되어 침수를 차단하도록 한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건물 출입구를 가로 질러 세워질 수 있도록 한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좌편과 우편에서 좌우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각각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확장패널과:
    상기 본체패널 전면의 좌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본체패널 전면의 우편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확장패널을 밀어주어 상기 건물 출입구의 양측벽에 압착시켜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에는 상기 출입구와의 수밀한 접촉을 위하여 실리콘 스펀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 사이에는 수밀한 접촉을 위하여 실리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분체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푸쉬부재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스틸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로 분체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의 표면에는 상기 분체도장에 의해 색상이 가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본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출시 상기 출입구 양측벽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을 밀어 압착시키고 후퇴시 상기 압착을 해제하는 진퇴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진퇴부를 진출 또는 후퇴시켜주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본체패널의 전면과 접촉하는 전면접촉부와, 상기 전면접촉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본체패널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한 후면접촉부와, 상기 전면접촉부로부터 전방향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와, 상기 전방연장부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전면접촉부와의 사이에 실리콘 스펀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스펀지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에 대하여 상기 확장패널을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본체패널과 확장패널을 겹쳐진 상태로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패널에서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은 좌우로 상하폭보다 좌우폭이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패널의 좌우방향 변위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관통공의 상하폭보다는 넓고 좌우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아이너트로 구비되어 그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확장패널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KR1020120036826A 2012-04-09 2012-04-09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KR10117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26A KR101173304B1 (ko) 2012-04-09 2012-04-09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26A KR101173304B1 (ko) 2012-04-09 2012-04-09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304B1 true KR101173304B1 (ko) 2012-08-17

Family

ID=4688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826A KR101173304B1 (ko) 2012-04-09 2012-04-09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92B1 (ko) * 2012-10-17 2013-05-22 오달성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101493022B1 (ko) 2013-11-28 2015-02-16 (주)에스엔비 차수판
KR101662784B1 (ko) 2016-03-28 2016-10-06 (주)도래샘 차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수문 자동제어 방법 및 차수문 자동제어 시스템
KR101698460B1 (ko) 2016-03-28 2017-01-23 (주)도래샘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KR20190098451A (ko) * 2018-02-14 2019-08-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102210905B1 (ko) * 2020-03-25 2021-02-03 (유)신일 수문의 지수구조
KR200497309Y1 (ko) * 2023-03-14 2023-10-05 승건산업 주식회사 가압식 차수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24Y1 (ko) * 2001-08-21 2001-11-27 임당산업 주식회사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101046807B1 (ko) * 2010-12-01 2011-07-06 대구도시철도공사 지하 출입구 차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24Y1 (ko) * 2001-08-21 2001-11-27 임당산업 주식회사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101046807B1 (ko) * 2010-12-01 2011-07-06 대구도시철도공사 지하 출입구 차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92B1 (ko) * 2012-10-17 2013-05-22 오달성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101493022B1 (ko) 2013-11-28 2015-02-16 (주)에스엔비 차수판
KR101662784B1 (ko) 2016-03-28 2016-10-06 (주)도래샘 차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수문 자동제어 방법 및 차수문 자동제어 시스템
KR101698460B1 (ko) 2016-03-28 2017-01-23 (주)도래샘 모터 구동식 차수장치
KR20190098451A (ko) * 2018-02-14 2019-08-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102035159B1 (ko) * 2018-02-14 2019-10-22 울산과학기술원 지하 통로 출입구용 차수장치
KR102210905B1 (ko) * 2020-03-25 2021-02-03 (유)신일 수문의 지수구조
KR200497309Y1 (ko) * 2023-03-14 2023-10-05 승건산업 주식회사 가압식 차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304B1 (ko)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AU2010362000B2 (en) A floodgate
US7775738B2 (en) Vehicle barrier system
CN104736768A (zh) 阻挡装置
KR10126639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DE102008009519B3 (de) Wasserabsperrung, insbesondere Hochwasserschutzwand
CN106368167B (zh) 一种防洪组合式挡板机构
WO2023075398A1 (ko) 차수문
FR2713694A1 (fr) Panneaux amovibles coulissants et superposables pour obturation d'une ouverture notamment dans des habitations et locaux à risque inondables.
JP2001214425A (ja)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及びそのロック装置
FR2730001A1 (fr) Batardeau etanche, amovible, modulaire, de pose rapide. destine a la protection des ouvertures de toutes sortes, des batiments lors des crues, des inondations subites et temporaires
KR100578537B1 (ko) 공동주택내의 지대가 낮은 지하공간의 우수유입방지장치
CN215870701U (zh) 双层分体式可闭锁轻质不锈钢盖板
KR200464317Y1 (ko) 지하실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판
JP6765755B2 (ja) 軽量止水パネルを備えた止水装置
CN110439193B (zh) 上人屋面变形缝及排水沟融合结构
EP2990565A2 (en) Flood protection system
KR20080070527A (ko) 설치와 이동 및 자체보관이 가능한 전면칸막이를 구비한버스승강장
WO2011012908A1 (en) Flood defence barrier system
CN215669301U (zh) 一种用于地下空间坡道出入口处的装配式防洪组件
DE10250792B3 (de) Methode und Einrichtung zur Abwehr von Hochwasser in seinen Erscheinungsformen Oberflächen-, Stau- und aufsteigendes Grundwasser für Gebäude
CN211114120U (zh) 一种螺栓式定位预埋工装
CN204281865U (zh) 一种埋地钢质管道阴极保护测试井
WO20192179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ood prevention and pest control
KR101567440B1 (ko) 차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